KR101760805B1 -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805B1
KR101760805B1 KR1020160163792A KR20160163792A KR101760805B1 KR 101760805 B1 KR101760805 B1 KR 101760805B1 KR 1020160163792 A KR1020160163792 A KR 1020160163792A KR 20160163792 A KR20160163792 A KR 20160163792A KR 101760805 B1 KR101760805 B1 KR 101760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e
user
mobile terminal
information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진
고경민
황순찬
이병찬
Original Assignee
김효진
고경민
황순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진, 고경민, 황순찬 filed Critical 김효진
Priority to KR102016016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A61H2003/065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in the form of brail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88Illumin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팡이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 및 각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달하며, 이동 단말기에서 분석한 정보를 다시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지팡이의 손잡이부에 시각 장애인용 점자식 키보드를 포함하여, 이동 장소의 설정 및 이동 중 목적지 변경을 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부의 점자식 키보드를 통해 입력이 쉽고, 간편하며, 또한, 지팡이의 하단에 조명부를 포함하여, 낮과 밤에 시각 장애인의 위치를 주변에 쉽게 알려,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A STIC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하며,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이어폰으로 음성을 제공하며, 사용자에게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은 눈의 장애로 인하여 사물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장애인을 칭한다.
이상과 같은 시각장애인은 시각으로 사물의 파악이 어려워 터치에 의한 촉감으로 사물을 확인하여 보행할 수 있게 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를 항상 휴대하고 있다.
한편, 상기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를 이용하여 시각 장애인이 보행하는 경우 장애물의 확인은 가능하나 가고자하는 방향의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아 특허공개 제2007-0089181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도로에 RFID를 설치하여서 길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맹인들을 위한 관리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RFID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 기술 중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유통, 물류, WMS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주로 기업의 네트워크화, 자동화, 지능화 등의 제한적인 산업분야에만 적용되었다. 이러한 제한적인 산업분야에만 적용되던 RFID 산업이 최근 활성화되고 있고 기술적인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져 대국민, 대고객 서비스 차원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RFID는 무선통신기술을 사용해 대상 물체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부착된 태그 정보를 자유롭게 식별하고 기록할 수 있는 자동식별 기술로 태그, 안테나, 리더기 및 미들 웨어, 응용서비스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RFID리더기를 통해 RFI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RFID 리더기가 탑재되어야 한다. 이동형 RFID 단말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동형 단말기 내에 RFID 리더기를 탑재하는 것이다. 하지만 RFID 리더기의 전파 간섭 등 여러 기술적인 문제와 인식 거리 문제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동형 RFID와 일반 RFID 시스템과의 차이는 단순한 물리적인 리더기의 형태 뿐 아니라 유비쿼터스 시대의 정보 단말로 RFID의 대중화 및 B2C 형태의 대국민, 대고객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비지니스 모델의 필요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상기 이동형 RFID의 서비스 구성은 사물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는 태그, 리더기가 장착된 단말기, 식별 코드와 관련 정보의 서버 위치를 알려주는 ODS(Object Directory Server), 태그의 실제 정보를 가지고 있는 OIS(Object Information Service)로 구성된다.
즉, 특정 제품에 설치 된 태그 정보를 읽은 후 리더기가 식별된 코드를 해당 ODS로부터 OIS 서버의 정보를 받아 콘텐츠를 제공하는 형태로, 이동형 RFID리더기와 ODS, 콘텐츠 서버 간의 통신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동형 RFID는 다양한 비지니스 모델을 적용해 유비쿼터스 환경의 정보 단말로 생활 깊숙이 스며들어 휴대전화의 활용을 더욱 발전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사용자의 위치, 성향 등의 특성을 고려한 상황 인지 서비스 제공같은 부가 서비스 제공으로 점차 휴대전화 단말 상호간 에드혹(Ad-Hoc) 네트워크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으로 자연스럽게 발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내 RFID전파 표준화(2004년 2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전파 식별"로 표준화함)에 따르면 인도 블럭의 경우에 감지 거리가 멀어서(거리20cm) 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고, 건물에 부착되는 저장장치의 데이터 정보 내용이 시각장애인의 현재 위치에 따라 잘못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시각장애인이 계단을 내려가는 경우 "계단의 시작"이라는 음성이 정보가 안내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화장실의 경우 반대편에서 이동하면 화장실에 대한 정보가 반대편에 인식됨에 따라 상반된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저장장치에 부착된 정보가 반대로 표출되어 다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근거리에 대한 정보 인식 신뢰도가 떨어져서 시각장애인이 사용할 경우에는 행단보도인근 이라는 정보 습득은 가능하나 보다 정밀한 행단 보도의 중앙이라던지 계단의 입구라던지 그러한 곳에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전원부에 대한 문제로 항상 이러한 발신 장치가 부착된곳에서는 전원부가 상시 연결이 되어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RFID 태그를 설치하여 RFID 수신 수단이 설치된 지역을 지나갈 경우 RFID 수신 수단으로부터 장소를 알려주는 기술도 있지만 이는 다수의 장소에 RFID를 모두 설치하여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시각장애인의 안내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팡이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 및 각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달하며, 이동 단말기에서 분석한 정보를 다시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팡이의 손잡이부에 시각 장애인용 점자식 키보드를 포함하여, 이동 장소의 설정 및 이동 중 목적지 변경을 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부의 점자식 키보드를 통해 입력이 쉽고, 간편한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팡이의 하단에 조명부를 포함하여, 낮과 밤에 시각 장애인의 위치를 주변에 쉽게 알려,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가정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며,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이어폰으로 음성을 제공하며, 사용자에게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팡이에 있어서, 막대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지팡이 본체; 상기 손잡이부에 작동 버튼이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전원공급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고 경로 설정 및 변경을 위한 점자식 키보드부; 상기 지팡이 본체에 사용자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부; 상기 지팡이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 변위를 검출하는 이동 변위부; 및 상기 지팡이 본체에 구비되어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점자식 키보드부는 슬라이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길이 조절부는 하단에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의 본체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한 LED 발광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은 조명부를 향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을 외부로 방출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는 폴리스티렌,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계열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이동 변위부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 및 각도를 검출하고, 제어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정보를 제공하면, 이동 단말기와 이어폰을 통해 음성으로 해당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는 손잡이부에 길안내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길안내 버튼을 누르면 현재 위치, 목적지와의 거리 및 안내 방향을 블루투스 이어폰을 통해 안내해주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지팡이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 및 각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달하며, 이동 단말기에서 분석한 정보를 다시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지팡이의 손잡이부에 시각 장애인용 점자식 키보드를 포함하여, 이동 장소의 설정 및 이동 중 목적지 변경을 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부의 점자식 키보드를 통해 입력이 쉽고, 간편하며, 또한, 지팡이의 하단에 조명부를 포함하여, 낮과 밤에 시각 장애인의 위치를 주변에 쉽게 알려,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의 손잡이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의 길이 조절부에 대한 도면이다.
100: 이어폰
200: 이동 단말기
300: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본체
310: 손잡이부
320: 전원공급부
330: 점자식 키보드부
340: 슬라이드 커버
350: 길안내 버튼
360: 조명부
370: 길이 조절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도면으로,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는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며,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이어폰으로 사용자에게 음성을 제공하여,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팡이와 이동단말기의 통신 수단 및 이동 단말기와 이어폰 간의 연결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는 막대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손잡이부(310)가 형성된 지팡이 본체(300); 상기 손잡이부(310)에 작동 버튼이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전원공급부(320); 상기 손잡이부(310)에 구비되고 경로 설정 및 변경을 위한 점자식 키보드부(330); 상기 지팡이 본체에 사용자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부(370); 상기 지팡이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 변위를 검출하는 이동 변위부; 및 상기 지팡이 본체(300)에 구비되어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10)는 지팡이 본체(300)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3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전지의 교체 방식 또는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부(310)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손잡이부(310)의 점자식 키보드부(330)는 본 발명이 기존의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와 큰 차이를 나타내는 특징으로, 기존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는 음성으로 목적지를 설정하거나, 이동 단말기를 통해 목적지를 설정해야한다. 음성으로 목적지를 설정할 경우, 외부의 소음에 의해 부정확한 목적지가 입력되거나, 입력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동 단말기로 목적지를 설정하는 경우 역시, 목적지 입력은 정확하겠으나, 이동 중에 이동 단말기로 설정하는 것이 시각 장애인에게는 간편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손잡이부(310)에 점자식 키보드부(330)를 포함함에 따라, 이동 중에도 손 쉽게 목적지 설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점자식 키보드부(330)는 사용자각 직접 점자 입력이 가능한 다수의 점자체(331)와, 상기 점자식 키보드부(330)를 개폐단속하는 슬라이드 커버(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길이 조절부(37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길이 조절부(370)를 통해, 가장 길이를 짧게 설정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동 변위부는 사용자에 의해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가 이동하는 이동 변위를 검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인 사용자는 지팡이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길을 파악하기 위해 지팡이를 지면을 치면서 보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팡이로 지면을 치면서 보행하는 것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지팡이를 흔들면서 지면을 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 이동 변위부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의 하단에 마련된 센서를 이용하여 지팡이가 이동하는 각도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지팡이 하단에 마련된 센서는 지팡이가 이동하는 각도 및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특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지팡이가 이동하는 각도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지팡이 하단에 마련된 센서는 지팡이의 각속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 회전율을 검출할 수 있는 회전 감지 센서 및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각을 검출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지팡이가 이동하는 각도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라면 상술한 센서 이외에 다른 센서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지팡이가 이동하는 각도 및 방향을 측정하여 발생한 정보는 제어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달된다. 정보를 전달 받은 이동 단말기는 설정한 경로와 비교하여, 경로를 벗어난 경우,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음성으로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는 손잡이부(310)에 길안내 버튼(350)이 구비되고, 상기 길안내 버튼(350)을 누르면 현재 위치, 목적지와의 거리 및 안내 방향을 블루투스 이어폰을 통해 안내해주도록 구성된다. 즉, 길안내 버튼(350)은 사용자가 이어폰을 통해 전달 받은 음성 정보를 다시 듣고 싶거나, 현재 위치 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 손잡이부(310)에 구비된 길안내 버튼(350)을 누르면, 이어폰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의 길이 조절부에 대한 도면으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37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길이 조절부(370)를 통해, 가장 길이를 짧게 설정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부(370)에는 하단에 조명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360)에 의해 낮과 밤에 시각 장애인의 위치를 주변에 쉽게 알려,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360)의 본체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한 LED 발광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은 조명부를 향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을 외부로 방출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즉, 커버부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발광다이오드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폴리스티렌,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계열의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스티렌,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계열의 수지는 내열성,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투광성이 높아 밝은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높아 깨지거나 변형이 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커버부의 재질로 이용하기 바람직하다.

Claims (6)

  1.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며,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이어폰으로 사용자에게 음성을 제공하며, 사용자에게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팡이에 있어서,
    막대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지팡이 본체;
    상기 손잡이부에 작동 버튼이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전원공급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고 경로 설정 및 변경을 위한 점자식 키보드부;
    상기 지팡이 본체에 사용자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부;
    상기 지팡이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 변위를 검출하는 이동 변위부; 및
    상기 지팡이 본체에 구비되어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점자식 키보드부는 사용자각 직접 점자 입력이 가능한 다수의 점자체와, 상기 점자식 키보드부를 개폐단속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구성하고, 상기 길이 조절부는 하단에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의 본체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한 LED 발광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은 조명부를 향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을 외부로 방출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63792A 2016-12-02 2016-12-02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KR101760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92A KR101760805B1 (ko) 2016-12-02 2016-12-02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92A KR101760805B1 (ko) 2016-12-02 2016-12-02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805B1 true KR101760805B1 (ko) 2017-07-25

Family

ID=5942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792A KR101760805B1 (ko) 2016-12-02 2016-12-02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0828A (zh) * 2022-11-25 2022-12-30 杭州兆华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tws蓝牙耳机适配测试系统的构建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48B1 (ko) * 2014-07-11 2015-11-27 (주)솔루션아이티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48B1 (ko) * 2014-07-11 2015-11-27 (주)솔루션아이티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0828A (zh) * 2022-11-25 2022-12-30 杭州兆华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tws蓝牙耳机适配测试系统的构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nandes et al. A review of assistive spatial orientation and navigation technolog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US20210019854A1 (en) Location Signaling with Respect to an Autonomous Vehicle and a Rider
US8542098B2 (en) Location determination and guidance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S96779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instructions at optimal times
US20180196417A1 (en) Location Signaling with Respect to an Autonomous Vehicle and a Rider
US9734688B2 (en) Wearable device,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and control method
KR101841531B1 (ko) Nfc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KR20130086861A (ko) 전자식지팡이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
US20180196415A1 (en) Location Signaling with Respect to an Autonomous Vehicle and a Rider
CN109844454A (zh) 用于在全球定位系统(gps)拒止环境中进行导航的方法、系统和软件
CN109646258A (zh) 一种导盲杖、导盲系统及导盲方法
JP5864800B1 (ja) ウェアラブル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指輪・腕時計・腕輪、プログラム
ES2960612T3 (es) Sistema y método para navegación interior
EP3566022B1 (en) Location signaling with respect to an autonomous vehicle and a rider
WO2020012180A2 (en) Human interface device
KR101760805B1 (ko)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CN103926614A (zh) 一种具有视频功能的多功能卡片
KR101888541B1 (ko) 보호대상군 수색 관리 시스템
KR101655820B1 (ko) 스마트 글래스를 이용한 도착시간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09833A (ko) 장소 인식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80049470A (ko) 대형 재난 현장 대응을 위한 nfc 태그 환자 식별띠 및 비콘을 이용한 응급 이송 관리 스마트 시스템
KR20190069866A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행도우미 시스템
KR101954109B1 (ko)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KR101888540B1 (ko) 보호대상군 관리시스템
KR100967173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