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828B1 -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828B1
KR101916828B1 KR1020180040262A KR20180040262A KR101916828B1 KR 101916828 B1 KR101916828 B1 KR 101916828B1 KR 1020180040262 A KR1020180040262 A KR 1020180040262A KR 20180040262 A KR20180040262 A KR 20180040262A KR 101916828 B1 KR101916828 B1 KR 10191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photocoupler
thermoelectric elemen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근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01L35/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02B70/147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압을 PFM방식으로 스위칭되는 직렬공진형컨버터(40)와, 션트레귤레이터(61)와 포토커플러(62)가 구비된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for water purifier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은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PFM방식으로 스위칭하여 공급함으로써, 변환효율이 개선되며, 션트레귤레이터와 포토커플러를 직렬연결하여 귀환시 게인을 조정하여 에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이물질을 깨끗하게 걸러주는 정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에 더해 온도기능이 추가된 냉온수기가 출시되어 물을 시원하게, 혹은 뜨겁게 따라 마실 수 있다.
최근에는 정수기 시장이 커지고, 경쟁 업체 수가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으며, 정수기에서 사용되는 냉온수조에서 이물질이 발견되는 등 위생상 문제점이 발견되어 직수형 정수기의 점유율이 약 40%에 육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직수형 정수기의 가파른 성장세에 따라 직수 방식이 저수조 방식을 압도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즉, 화려한 기능보다는 '안전한 물' 이란 기본기로 돌아가려는 움직임이 최근 추세이다.
한편, 상기 직수형 정수기에는 물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 열전소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열전소자는 에너지 절감하기 위해 최근에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열전소자를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으로 SMPS, DC-DC컨버터 등 다양한 전원공급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8694호(2012년03월23일)에는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 전원 공급 수단(10); 상기 직류 전원 공급 수단(10)으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 장치(20); 및 상기 충전 장치(20)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충전 장치(20)를 제어하고 상기 직류 전원공급 수단(10)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직류 전원 공급 수단(10)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AC) 전원을 전파 정류하여 전파 정류 파형을 갖는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기(12); 상기 전파 정류 파형을 구형파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15);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속도에 따라 상기 구형파의 펄스 폭을 조절하여 상기 직류(DC) 전원의 파형을 생성하는 펄스 폭 변조부(17); 상기 펄스 폭 변조부(17)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속도에 따라 상기 구형파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상기 직류(DC) 전원의 파형을 생성하는 펄스 주파수 변조부(18); 및 상기 펄스 폭 변조되고 펄스 주파수 변조된 구형파를 갖는 상기 직류(DC) 전원을 승압하거나 감압하는 변압기(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한 종래기술은 직류 전원 공급 수단(1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충전하는 별도의 충전 장치(20)가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의 부피가 커져 직수기형 정수기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상기 펄스 폭 변조부(17)의 필요에 따라 펄스 주파수 변조부(18)가 구동됨으로써, 직류전원 공급수단의 제어수단인 펄스 폭 변조부(17)의 컨버팅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PWM신호에 따라 전압이 승하강되는 포토커플러와, 상기 포토커플러의 전압신호에 따라 주파수를 변경하는 PFM발진부가 구비됨으로써, PFM방식으로 전압을 조절하여 공진형컨버터의 효율이 우수하고, 직류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공진형컨버터의 입출력 전달이득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률보상부가 구비된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는 정수기에 장착된 열전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로서, 외부의 교류전원이 입력되고 노이즈가 제거되는 EMI필터와; 상기 교류전원을 전파 정류하는 정류다이오드가 구비된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전파 정류 시 상기 교류전원의 위상 손실이 최소화되록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보상부와; 상기 역률보상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직렬공진형컨버터와;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평활하는 다수개의 평활캐패시터가 구비된 출력필터와; 상기 정수기의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PWM신호에 따라 전압을 조절하는 션트레귤레이터와,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전압에 따라 출력전압이 조절되는 포토커플러가 구비된 피드백제어부와; 상기 피드백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포토커플러의 출력전압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의 주파수가 변동되도록 발진하는 발진기가 구비된 PFM발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한 쌍의 스위칭소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출력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의 1차코일에 발생되는 누설인덕턴스를 공진인덕터로 활용되도록 직렬연결된 공진캐패시터와, 상기 변압기의 2차코일에 결합되어 정류하는 한 쌍의 제2정류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률보상부에는 AC입력 전압이 90Vac 내지 264Vac 구간에서 가변시 직류 정전압을 출력하고, 역률을 보상하는 능동스위칭컨트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토커플러는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와 직렬연결되어, 상기 PWM신호에 따른 입력전압이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기준전압보다 높은 경우 상기 포토커플러의 출력전압은 반비례하여 낮아지고, 상기 PWM신호에 따른 입력전압이 상기 션트레귤레이터의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포토커플러의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교류(AC) 전원의 위상 손실을 최소화하는 역률보상부에 AC입력 전압을 일정한 직류전압으로 출력하는 능동스위치컨트롤러가 구비됨으로써, 직렬공진형컨버터의 전달이득 개선되어 컨버팅시 변환효율이 상승되고,
둘째, 정수기의 메인 CPU에서 출력되는 PWM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션트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에 따라 게인이 조절되는 포토커플러가 구비됨으로써, 직류출력 전압을 9 내지 24V의 폭에서 연속적으로 가변할 수 있어 정수기 열전소자의 제어가 용이하며,
셋째, 직렬공진형컨버터에 구비된 변압기의 1차측 코일의 누설인덕턴스를 공진인덕터로 활용함으로써, 전원공급장치의 부품수가 줄어들어 소형화된 정수기에 장착이 용이하고,
넷째, 직렬공진형컨버터가 하프 브릿지 방식으로 구비됨으로써, 변압기의 2차코일에 결합되어 정류하는 한 쌍의 제2정류다이오드의 수명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개선되며,
다섯째,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의 컨버팅시 제어방식으로 종래의 PWM방식 대신 PFM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컨버팅 효율이 4% 내지8% 정도 전력효율이 개선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의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렬공진형컨버터와 피드백제어부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제어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에 장착된 열전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로서, 외부의 교류전원(AC)이 입력되고 노이즈가 제거되는 EMI필터(10)와; 상기 교류전원(AC)을 전파 정류하는 정류다이오드(21)가 구비된 정류부(20)와; 상기 정류부(20)에서 전파 정류 시 상기 교류전원(AC)의 위상 손실이 최소화되록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보상부(30)와; 상기 역률보상부(30)에서 공급된 전원을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직렬공진형컨버터(40)와;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40)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평활하는 다수개의 평활캐패시터(51)가 구비된 출력필터(50)와; 상기 정수기의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PWM신호에 따라 전압을 조절하는 션트레귤레이터(61)와, 상기 션트레귤레이터(61)의 전압에 따라 출력전압이 조절되는 포토커플러(62)가 구비된 피드백제어부(60)와; 상기 피드백제어부(60)에서 출력되는 포토커플러(62)의 출력전압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의 주파수가 변동되도록 발진하는 발진기(71)가 구비된 PFM발진부(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평활캐패시터(51)는 다수개가 서로 병렬연결되어 고주파성 노이즈를 제거하고 DC전원을 평활하여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4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한 쌍의 스위칭소자(41)와, 상기 스위칭소자(41)의 출력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42)와, 상기 변압기(42)의 1차코일에 발생되는 누설인덕턴스를 공진인덕터로 활용되도록 직렬연결된 공진캐패시터(43)와, 상기 변압기(42)의 2차코일에 결합되어 정류하는 한 쌍의 제2정류다이오드(4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소자(41)는 Zero Voltage 및 Zero Current일 때 스위칭하는 방식의 Soft Switching 방식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역률보상부(30)에는 AC입력 전압이 90Vac 내지 264Vac 구간에서 가변시 직류 정전압(+400Vdc)을 출력하고, 역률을 보상하는 능동스위칭컨트롤러(3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40)가 입력 전압의 변위에 따라 발생되는 전달이득의 감소를 방지하게 되고, 스위칭컨버팅시 효율이 증대되게 된다.
한편, 상기 포토커플러(62)는 상기 션트레귤레이터(61)와 직렬연결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WM신호에 따른 입력전압이 상기 션트레귤레이터(61)의 기준전압보다 높은 경우 상기 포토커플러(62)의 출력전압은 반비례하여 낮아지고, 상기 PWM신호에 따른 입력전압이 상기 션트레귤레이터(61)의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포토커플러(62)의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상기 션트레귤레이터(61)의 분기전압이 높아지면, 상기 포토커플러(62)의 게인은 낮아지고(S2), 상기 션트레귤레이터(61)의 분기전압이 기준전압이하로 낮아 지면 상기 포토커플러(62)의 게인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됨으로써(S1), 상기 스위칭소자(41)의 스위칭 주파수가 변화되어 출력전압이 가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내부에 설치된 열전소자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해 9V 내지 24V의 직류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수기에는 온수 온도,냉수 온도를 감지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물의 온도와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고, 설정온도와 감지온도의 차이를 PWM신호로 변환하여 션트레귤레이터(61)에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션트레귤레이터(61)는 상기 PWM신호에 따라 전압이 승하강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토커플러(62)의 게인을 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토커플러(62)의 게인 조정에 따른 출력전압은 PFM발진부(70)의 발진기(71)의 발진주파수를 변경하게 되며, 상기 발진기(71)의 발진주파수에 따라 상기 PFM발진부(70)가 직렬공진형컨버터(40)에 구비된 스위칭소자(41)를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는 펄스 주파수 변조 방식(PFM)으로 상기 스위칭소자(41)를 스위칭하여 출력전압을 조정하게 된다.
한편, 표 1은 종래 기술의 PWM 방식과 본원 발명에 따른 PFM방식의 컨버팅에 따른 전체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을 실측하여 비교한 것으로, 본 발명의 PFM방식의 전원공급장치가 약 4% 정도 개선되게 된다.
구분 입력전력(220V) 출력전력 효율(%)
@열전소자(3A) @제어(1.2A)
본원발명(PFM방식) 114.28W 72W(24V) 28.83W(24.03V) 88.23%
종래기술(PWM방식) 116.46W 69.33W(23.11V) 28.71W(23.93V) 84.18%
한편, 상기 스위칭소자(41)의 출력단에는 변압기(42)의 1차코일에 발생되는 누설인덕턴스를 공진인덕터로 활용되도록 직렬연결된 공진캐패시터(43)와 연결되어, LLC공진탱크를 형성하며, 상기 변압기(42)에 1차측 입력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압기(42)의 2차코일에는 한 쌍의 제2정류다이오드(44)가 하프 브릿지 방식으로 연결되어 전파정류하게 되며, 상기 제2정류다이오드(44)에서 전파정류된 공급전원은 출력필터(50)의 평활캐패시터(51)에서 고주파 노이즈가 제거되고, 평활되어 상기 열전소자에 직류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은 EMI필터(10)에서 디퍼렌셜 노이즈와 커먼모드노이즈가 제거되고, 정류부(20)에서 전파정류된다. 상기 정류부(20)에서 공급되는 전파정류된 입력전원이 90Vac 내지 264Vac 구간에서 가변시에도 역률보상부(30)에 구비된 능동스위칭컨트롤러(31)가 대략 400V의 DC전원을 직렬공진형컨버터(40) Vi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능동스위칭컨트롤러(31)의 안정적인 직류전원공급은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40)의 전달이득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스위칭컨버팅시 효율이 증대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EMI필터 20 : 정류부
21 : 정류다이오드 30 : 역률보상부
31 : 능동스위칭컨트롤러 40 : 직렬공진형컨버터
41 : 스위칭소자 42 : 변압기
43 : 공진캐패시터 44 : 제2정류다이오드
50 : 출력필터 51 : 평활캐패시터
60 : 피드백제어부 61 : 션트레귤레이터
62 : 포토커플러 70 : PFM발진부
71 : 발진기
AC : 교류전원
S1 : 포토커플러의 게인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
S2 : 포토커플러의 게인이 가변되는 영역

Claims (4)

  1. 정수기에 장착된 열전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교류전원(AC)이 입력되고 노이즈가 제거되는 EMI필터(10)와; 상기 교류전원(AC)을 전파 정류하는 정류다이오드(21)가 구비된 정류부(20)와; 상기 정류부(20)에서 전파 정류시 상기 교류전원(AC)의 위상 손실이 최소화되록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보상부(30)와; 상기 역률보상부(30)에서 공급된 전원을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직렬공진형컨버터(40)와;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40)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평활하는 다수개의 평활캐패시터(51)가 구비된 출력필터(50)와; 상기 정수기의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PWM신호에 따라 전압을 조절하는 션트레귤레이터(61)와, 상기 션트레귤레이터(61)의 전압에 따라 출력전압이 조절되는 포토커플러(62)가 구비된 피드백제어부(60)와; 상기 피드백제어부(60)에서 출력되는 포토커플러(62)의 출력전압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의 주파수가 변동되도록 발진하는 발진기(71)가 구비된 PFM발진부(70);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4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한 쌍의 스위칭소자(41)와, 상기 스위칭소자(41)의 출력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42)와, 상기 변압기(42)의 1차코일에 발생되는 누설인덕턴스를 공진인덕터로 활용되도록 직렬연결된 공진캐패시터(43)와, 상기 변압기(42)의 2차코일에 결합되어 정류하는 한 쌍의 제2정류다이오드(44)로 이루어지며,
    상기 역률보상부(30)에는 AC입력 전압이 90Vac 내지 264Vac 구간에서 가변시 직류 정전압을 출력하고, 역률을 보상하는 능동스위칭컨트롤러(31)가 구비되고,
    상기 포토커플러(62)는 상기 션트레귤레이터(61)와 직렬연결되어, 상기 PWM신호에 따른 입력전압이 상기 션트레귤레이터(61)의 기준전압보다 높은 경우 상기 포토커플러(62)의 출력전압은 반비례하여 낮아지고, 상기 PWM신호에 따른 입력전압이 상기 션트레귤레이터(61)의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포토커플러(62)의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40262A 2018-04-06 2018-04-06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KR101916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262A KR101916828B1 (ko) 2018-04-06 2018-04-06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262A KR101916828B1 (ko) 2018-04-06 2018-04-06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828B1 true KR101916828B1 (ko) 2018-11-08

Family

ID=6432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262A KR101916828B1 (ko) 2018-04-06 2018-04-06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9029A1 (ko) * 2022-06-07 2023-12-1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2797A (ja) * 2015-12-18 2017-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92281A (ja) * 2016-04-06 2017-10-19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2797A (ja) * 2015-12-18 2017-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92281A (ja) * 2016-04-06 2017-10-19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9029A1 (ko) * 2022-06-07 2023-12-1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7771C (en) Alexander topology resonance energy conversion and inversion circuit utilizing a series capacitance multi-voltage resonance section
EP2830995B1 (en) Compact, configurable power supply for energizing ozone-producing cells
US7339287B2 (en) Power converter
CN103580470B (zh) 用于开关功率变换器的混合自适应功率因数校正方案
TW201424240A (zh) 提供高效率及高功率密度之交流對直流共振轉換器
JP2004519987A (ja) 自律的一次側インバータを有するスイッチモード電源
WO2001095467A2 (en)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gated oscillator control
US20220131470A1 (en) Control of power converters
TW201815043A (zh) 一種依負載電流調變全橋控制模式之直流-直流轉換器
CN114362389B (zh) 输入电压、负载及互感变化大时的恒压输出无线传能系统
US5701243A (en) High-power factor series resonant rectifier circuit
JPH066974A (ja) 両方向性調整電圧路を組込んでいるd.c.チョッパ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2018520635A (ja) 電源
KR101916828B1 (ko) 정수기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US11251690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ad-time control in resonant converters
EP2677651A1 (en) Synchronized isolated AC-AC converter with variable regulated output voltage
JP3568870B2 (ja) コンバータ
De Rooij et al. A novel unity power factor low-EMI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N116094346A (zh) Ac-dc转换器及其控制器
CN212909355U (zh) 一种谐振高压闭环变换器
JPH08205535A (ja) 電圧共振型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KR20220044996A (ko) 차량-그리드-홈 전력 인터페이스
CN215378781U (zh) 一种微波软开关变频电源
US11967902B2 (en) Converter for transferring electric power to an electrical load
TW561677B (en) Magnetic amplifier ac/dc converter with primary side reg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