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648B1 - 원수 유로 스페이서, 및 이것을 구비한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 Google Patents

원수 유로 스페이서, 및 이것을 구비한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648B1
KR101916648B1 KR1020187021199A KR20187021199A KR101916648B1 KR 101916648 B1 KR101916648 B1 KR 101916648B1 KR 1020187021199 A KR1020187021199 A KR 1020187021199A KR 20187021199 A KR20187021199 A KR 20187021199A KR 101916648 B1 KR101916648 B1 KR 101916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mesh
mesh structure
flow path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896A (ko
Inventor
유하 오카자키
야스히로 우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7/02281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92343A1/ja
Publication of KR20180090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01D63/107Specific properties of the central tube or the permeate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rectilinear paths, e.g. crossing at right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B01D2313/041Gaskets or O-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8Flow guidance means within the module or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4Specific spacers
    • B01D2313/143Specific spacers on the feed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4Specific spacers
    • B01D2313/146Specific spacers on the permeat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과제) 원수 유로에 있어서 분리막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농도 분극층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 및 이것을 구비한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는, 제 1 사열 (M) 과 제 2 사열 (N) 을 중첩시켜 이루어지고, 각 사열 (M, N) 에 의해 구성된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 52c) 가 제 2 사열 (N) 의 연장 방향으로 늘어서 구성된 제 1 메시 구조 (52) 와, 제 1 메시 구조 (52) 를 구성하는 제 2 사열 (N) 의 간격보다 제 2 사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동 사열 (N) 의 연장 방향으로 늘어서 구성된 제 2 메시 구조 (61) 를 교대로 구비한다.

Description

원수 유로 스페이서, 및 이것을 구비한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본 발명은, 액체에 용존하는 성분을 분리하는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도물 등에 포함되는 이온이나 염류 등을, 예를 들어,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등의 분리막을 사용하여 여과 처리하여, 음료에 보다 적합한 물을 제조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는, 집수관과, 집수관의 둘레에 둘러감긴 복수의 분리막을 포함한다. 각 분리막은, 시트상의 투과수 스페이서의 양면에 분리막을 중첩시키고, 이 상태에서 3 변을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 봉지하고, 다른 1 변을 개구단 (開口端) 으로 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개구단이 집수관에 접속됨으로써 투과수 스페이서를 따라 흐르는 투과수가 집수관에 흘러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 각 분리막 사이에는, 수도물 등의 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메시상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가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에 공급되는 원수는, 상기 원수 유로 스페이서를 따라 흐르면서, 그 일부가 분리막을 투과하여 투과수가 되어 집수관을 거쳐 외부로 내보내진다.
특허문헌 1 에는, 경사를 원수의 흐름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횡사를 원수의 흐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함과 함께, 횡사를 경사보다 가늘게 형성함으로써 원수 유로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를 구비한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5422호
그런데, 분리막을 원수가 투과함에 따라, 분리막을 투과할 수 없는 이온이나 염류는 원수 유로측에 있어서의 분리막의 근방 영역에 잔류한다. 이 잔류한 이온이나 염류가 분리막 근방에 축적됨으로써 원수 유로의 다른 영역보다 이온이나 염류의 농도가 높은 농도층 (이하, 농도 분극층이라고 적당히 표현한다) 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분리막의 막면 근방에 있어서의 삼투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분리막을 투과하는 투과수의 양이 감소하여 원수로부터 투과수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분리막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농도 분극층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 및 이것을 구비한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원수 유로 스페이서는,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의 집수관에 둘러감긴 제 1 분리막과 제 2 분리막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집수관과 평행한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 사열 (絲列) 및 제 2 사열로 이루어지는 2 층 구조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로서, 제 1 사열 및 제 2 사열에 의해 제 2 사열의 연장 방향으로 늘어서 구성된 제 1 메시 구조와, 제 1 사열 및 제 2 사열에 의해 제 2 사열의 연장 방향으로 늘어서 구성되고, 제 1 메시 구조를 구성하는 제 2 사열의 간격보다 제 2 사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제 2 메시 구조를 교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 제 2 메시 구조를 구성하는 제 1 사열의 집수관과 평행한 방향에 대한 경사는, 제 1 메시 구조를 구성하는 제 1 사열의 집수관과 평행한 방향에 대한 경사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 제 1 메시 구조는, 제 1 메시와, 제 1 메시보다 눈이 촘촘한 중간 메시를 교대로 나열하여 구성되고, 제 2 메시 구조는, 중간 메시와, 중간 메시보다 눈이 촘촘한 제 2 메시를 교대로 나열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스파이럴형 엘리먼트는, 투과수가 흐르는 집수관과, 시트상의 투과수 스페이서와, 투과수 스페이서의 양면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3 변이 봉지되고, 다른 1 변이 개구단인 주머니 형상을 이루고, 이 개구단이 집수관에 접속된 상태에서 집수관에 둘러감긴 제 1 분리막 및 제 2 분리막과, 상기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원수 유로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의하면,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는 교대로 배치되고, 집수관과 평행한 방향에 대한 경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여기에서, 제 2 메시 구조는, 제 1 메시 구조보다 제 2 사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상기 평행 방향을 따라 원수가 흐를 때, 제 1 메시 구조로부터 하류측에 인접하는 제 2 메시 구조에 유입되는 원수 유량보다, 제 2 메시 구조로부터 하류측에 인접하는 제 1 메시 구조에 유입되는 원수 유량 쪽이 많아진다. 이로써, 제 1 메시 구조를 흐르는 원수 유량이 증가하여, 동 메시 구조 주변에 있어서 제 1 분리막 또는 제 2 분리막 쪽으로 사행하면서 하류측으로 흐르는 원수 흐름의 기세를 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 2 메시 구조는 제 1 메시 구조보다 제 2 사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원수 유량이 적어도 제 1 메시 구조와 동일 정도의 수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 주변의 양 분리막 근방에 잔류하는 이온이나 염류를 하류측으로 흘러가게 하여 농도 분극층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에 의하면,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 제 2 메시 구조는 제 1 메시 구조보다 제 2 사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는, 집수관과 평행한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평행 방향을 따라 원수가 흐를 때, 제 1 메시 구조로부터 하류측에 인접하는 제 2 메시 구조에 유입되는 원수 유량보다, 제 2 메시 구조로부터 하류측에 인접하는 제 1 메시 구조에 유입되는 원수 유량 쪽이 많아진다. 이로 인하여, 제 1 메시 구조를 흐르는 원수 유량이 증가하여, 동 메시 구조 주변에 있어서 제 1 분리막 또는 제 2 분리막 쪽으로 사행하면서 하류측으로 흐르는 원수 흐름의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한편, 제 2 메시 구조는 제 2 사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원수 유량이 적어도 제 1 메시 구조와 동일 정도의 수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 주변의 양 분리막 근방에 잔류하는 이온이나 염류를 하류측으로 흘러가게 하여 농도 분극층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가 적용되는 여과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의 일부를 전개 상태로 나타냄과 함께, 당해 일부에 포함되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를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분리막 사이에 끼워 넣어진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구성을 나타냄과 함께, 일부에 그 단면도를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분리막 사이에 끼워 넣어진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되는 원수 흐름과,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의 대상 영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는,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분리막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의 분포 상태를 나타내는 등치선도이다. 도 5(b) 는, 도 3 에 나타내는 제 2 분리막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의 분포 상태를 나타내는 등치선도이다.
도 6(a) 는, 비교예인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 는, 도 6(a) 에 나타내는 X 방향으로 흐르는 원수가 제 1 분리막에 작용시키는 전단 응력을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해 산출한 결과를 나타내는 등치선도이다. 도 6(c) 는, 도 6(b) 와 마찬가지로, 도 6(a) 에 나타내는 제 2 분리막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을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해 산출한 결과를 나타내는 등치선도이다.
도 7 은, 변형예 1 ∼ 변형예 4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 분극 용이 영역이 양 분리막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는 변형예 1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 는 변형예 2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 는 변형예 3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d) 는 변형예 4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변형예 5 ∼ 변형예 9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 분극 용이 영역이 양 분리막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는 변형예 5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 는 변형예 6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 는 변형예 7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d) 는 변형예 8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e) 는 변형예 9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변형예 10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제 1 분리막 및 제 2 분리막 사이에 끼워 넣어진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변형예 11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변형예 12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는, 농도 분극의 평가에 사용하는 평가용 셀의 일부의 구성을 생략하여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b) 는, 평가용 셀 내부에 설치되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시험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c) 는, 평가용 셀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외형을 가상선으로 나타냄과 함께 유로 구성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 는, 각 분리막의 시험체를 사용한 평가 시험에 있어서의 농도비와, 당해 농도비를 측정했을 때의 순수 체적 유속 (流束) 의 측정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b) 는, 동 도면 (a) 에 나타내는 각 분리막의 시험체를 사용한 평가 시험에 있어서의 농도비 및 순수 체적 유속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를 구비하는 여과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X」방향은 집수관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나타내고, 「Y」방향 및 「Z」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집수관의 직경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과 장치 (10) 는, 수도물 등의 원수를 저류하는 원수 탱크 (12) 와, 원수에 대해 여과 처리를 실시하는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20) 를 구비한다. 원수 탱크 (12) 에는, 예를 들어, 공급관 (L1) 을 통해 원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원수 탱크 (12) 에는,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20) 로 원수를 내보내는 송수관 (L2) 이 접속되어 있다. 이 송수관 (L2) 에는, 원수 탱크 (12) 로부터 원수를 퍼 올리기 위한 펌프 (14) 와, 원수에 포함되는 탁질 성분을 제거하는 전처리 유닛 (16) 이 설치되어 있다. 전처리 유닛 (16) 으로 처리된 원수는, 송수관 (L2) 을 경유하여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20) 로 내보내진다. 또, 송수관 (L2) 에 있어서의 펌프 (14) 의 하류측에 바이패스 배관 (L2-B) 이 접속되어 있다. 이 바이패스 배관 (L2-B) 은 송수관 (L2) 을 흐르는 원수의 일부를 원수 탱크 (12) 로 되돌림으로써 전처리 유닛 (16) 으로 내보내지는 원수 유량을 조정하는 역할을 갖는다.
이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20) 는, 이온이나 염류를 원수로부터 제거한 투과수와, 제거된 이온이나 염류를 포함하는 농축수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20) 에 의해 생성된 투과수는 투과수 배관 (L3) 을 경유하여 투과수 탱크 (18) 에 저류되고, 농축수는 농축수 배관 (L4) 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2 는,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20) 의 일부를 전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와, 동 엘리먼트에 포함되는 제 1 분리막 및 제 2 분리막에 끼워 넣어진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20) 는, 투과수가 흐르는 집수관 (22) 과, 집수관 (22) 의 주위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둘러감기는 제 1 분리막 (24) 및 제 2 분리막 (28) 을 구비한다. 또,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20) 는, 양 분리막 (24, 28)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양 분리막 (24, 28) 사이에 원수 유로를 형성하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를 구비한다. 제 1 분리막 (24) 및 제 2 분리막 (28) 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제 1 분리막 (24) 의 구성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 1 분리막 (24) 은, 투과수 스페이서 (26) 를 사이에 두고 양면에, 예를 들어, 역침투막, 한외 여과막, 또는, 정밀 여과막으로 이루어지는 분리막 (24a, 24b) 을 각각 중첩시켜 주머니 형상으로 구성되고, 개구단이 집수관 (22) 에 접속된다. 이 투과수 스페이서 (26) 는, 집수관 (22) 에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고, 이 유로를 따라 분리막 (24a, 24b) 을 투과한 투과수가 집수관 (22) 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 집수관 (22) 에는, 복수의 연통공 (22a, 22b, 22c) 이 축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고, 양 분리막 (24, 28) 을 투과한 투과수는 연통공 (22a ∼ 22c) 으로부터 집수관 (22) 으로 유입된다. 또, 제 1 분리막 (24) 의 개구단을 제외한 다른 3 변은, 투과수와 농축수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 등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를 흐르는 원수의 일부는, 양 분리막 (24, 28) 중 어느 일방을 투과함으로써 이온이나 염류 등의 탁질 성분이 제거된 투과수가 되어, 투과수 스페이서 (26) 를 따라 집수관 (22) 으로 유도된다. 또, 잔여의 원수는, 원수 유로를 따라 흐름에 따라 투과수로부터 제거된 탁질 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농축수가 되어, 하류측의 농축수 배관 (L4) (도 1 참조) 으로 배출된다.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20) 는, 상류측 캡재 (32) 와, 하류측 캡재 (34) 를 축 방향 양 끝면에 각각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상류측 캡재 (32) 에는, 원수가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20) 내부로 흘러 들어가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류측 캡재 (34) 에는, 집수관 (22) 을 흐르는 투과수와, 원수 유로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2 개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 을 사용하여,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제 1 분리막 (24) 및 제 2 분리막 (28) 사이에 끼워 넣어진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는, 제 1 사열 (M) 및 제 2 사열 (N) 을 서로 중첩시킨 2 층 구조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이며, 각 사열 (M, N) 을 적층 상태에서 고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수 유로 스페이서는, 각 사열 (M, N) 을 서로 넣어 짠 상태로 해도 된다.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는, 제 1 메시 구조 (51, 52, 53) 및 제 2 메시 구조 (61, 62, 63) 를 교대로 구비한다. 제 1 메시 구조 (51 ∼ 53) 는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메시 구조 (52) 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메시 구조 (52) 는,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52b, 52c) 가 제 2 사 (N2, N3) 의 연장 방향으로 늘어서 형성된다.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 52c) 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에 있어서의 제 1 변부 (52a-1) 및 제 2 변부 (52a-2) 는, 제 1 사 (M1, M2) 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제 3 변부 (52a-3) 및 제 4 변부 (52a-4) 는 제 2 사 (N2, N3) 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는, 일례로서 각 변부 (52a-1 ∼ 52a-4) 의 치수가 3 ㎜ 가 되도록 구성된 정방형상의 외관 형상을 갖는다. 각 사열 (M, N) 은, X 방향에 대해, 예를 들어, 45°각각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또, 각 사열 (M, N) 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재에 의해, 예를 들어, 직경 (D) 이 0.4 ㎜ 인 원기둥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에 의해 형성되는 원수 유로의 폭 (E) 은, 일례로서 0.8 ㎜ 이다. 또, 각 사열 (M, N) 의 형상은 원기둥상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평판상 등으로 형성해도 된다.
제 2 메시 구조 (61 ∼ 63) 는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제 2 메시 구조 (61) 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고, 제 2 메시 구조 (62, 63) 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메시 구조 (61) 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61b, 61c) 가 제 2 사 (N1, N2) 의 연장 방향으로 늘어서 형성된다.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의 제 1 변부 (61a-1) 및 제 2 변부 (61a-2) 는 제 1 사 (M1, M2) 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에 있어서의 제 3 변부 (61a-3) 는 제 2 사 (N1) 에 의해 형성된다. 또,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의 제 4 변부는, 상기 서술한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에 있어서의 제 3 변부 (52a-3) 에 의해 구성된다.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는, 예를 들어, 각 변부 (61a-1, 61a-2, 61a-3) 의 치수를 3 ㎜ 로 하고, 평행사변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여기에서, 제 1 변부 (61a-1) 및 제 2 변부 (61a-2) 의 X 방향에 대한 경사각 (α1) 은,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의 제 1 변부 (52a-1) 및 제 2 변부 (52a-2) 의 X 방향에 대한 경사각 (α2) 보다 커지도록 제 1 사 (M1, M2) 를 굴곡시켜 구성된다. 일례로서, 경사각 (α1) 은 90°로 하고, 경사각 (α2) 을 45°로 하면 된다. 그리고,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에 있어서의 양 변부 (61a-1, 61a-2) 의 간격 (R1) 은,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에 있어서의 양 변부 (52a-1, 52a-2) 의 간격 (즉, 제 3 변부 (52a-3) 의 길이) 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에 있어서의 양 변부 (52a-3, 61a-3) 의 간격 (R2) 은,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에 있어서의 양 변부 (52a-3, 52a-4) 의 간격 (즉, 제 1 변부 (52a-1) 의 길이) 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쪽이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보다 눈이 촘촘하게 (즉, 둘러싼 면적이 작게) 구성되어, X 방향으로 흐르는 원수가 유로로부터 받는 저항 (이하, 유로 저항이라고 표기) 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와 동일 구성의 메시가 늘어서 구성되는 제 2 메시 구조 (61) 쪽이,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와 동일 구성의 메시가 늘어서 구성되는 제 1 메시 구조 (52) 보다 유로 저항이 커진다.
여기에서, 각 메시 구조 (52, 61, 62) 에 있어서의 원수 흐름에 대하여 도 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에 의해 형성되는 원수 흐름, 및 시뮬레이션 영역 (T) 을 도 3 과 마찬가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시뮬레이션 영역 (T) 은, 가상선 (T1 ∼ T4) 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며, 가상선 (T1) 은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의 중심점과, 제 2 사각형상 메시 (61b) 의 중심점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사 (N1) 및 제 2 사 (N2) 의 중간선이다. 가상선 (T3) 은, 제 2 사각형상 메시 (62a) 의 중심점과, 제 2 사각형상 메시 (62b) 의 중심점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사 (N3) 및 제 2 사 (N4) 의 중간선이다. 또, 가상선 (T2) 은, 제 2 사각형상 메시 (61b) 의 중심점과, 제 2 사각형상 메시 (62b) 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제 1 사 (M2) 및 제 1 사 (M3) 의 중간선이다. 가상선 (T4) 은,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의 중심점과, 제 2 사각형상 메시 (62a) 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제 1 사 (M1) 및 제 1 사 (M2) 의 중간선이다.
각 메시 구조 (52, 61, 62) 의 연장 방향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제 2 메시 구조 (61), 제 1 메시 구조 (52), 제 2 메시 구조 (62) 를 이 순서로 통과하면서 원수는 하류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 점에 대하여, 각 메시 구조 (52, 61, 62) 의 일부를 구성하는 각 사각형상 메시 (52a, 61a, 62a) 에 있어서의 원수 흐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 사각형상 메시 (52a, 61a, 62a) 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에서부터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제 2 사각형상 메시 (62a) 의 순서로 인접 배치된다. 이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에 있어서, 원수의 일부는 흐름 (C1) 을 따라 제 2 분리막 (28) 쪽으로 사행하면서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에 유입된다. 이로써, 제 2 분리막 (28) 에 근접한 영역에 있어서의 원수의 유속을 높여, 제 2 분리막 (28) 에 근접한 영역에 체류하는 잔류 이온이나 염류를 하류측으로 흘러가게 할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에 있어서, 원수의 일부는 흐름 (C2) 을 따라 제 2 분리막 (28) 쪽으로 사행하면서 제 2 사각형상 메시 (62a) 에 유입된다. 이로써, 제 2 분리막 (28) 에 근접한 영역에 체류하는 잔류 이온이나 염류를 하류측으로 흘러가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메시 구조 (61, 62) 의 일부를 각각 구성하는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62a) 쪽이, 제 1 메시 구조 (52) 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보다 유로 저항이 크다. 이 때문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로부터 흐름 (C1) 을 따라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에 유입되는 유량 (Q1) 쪽이,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로부터 흐름 (C2) 을 따라 제 2 사각형상 메시 (62a) 로 유출되는 유량 (Q2) 보다 많아진다. 그리고, 유량 (Q1) 과 유량 (Q2) 의 차분인 유량 (Q3) 만큼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로부터 하류측의 제 1 사각형상 메시 (52b) 로 흐르는 원수의 유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메시 구조 (52) 에 있어서의 원수 유량이 증가함과 함께, 제 2 메시 구조 (61, 62) 에 있어서의 원수 유량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각 사각형상 메시 (52a, 61a, 62a) 의 각 변부 (52a-2, 61a-2, 62a-2) (도 3 참조) 주변에서 흐름 (S1, S2, S3) 을 따라 제 1 분리막 (24) 쪽으로 각각 사행하면서 흐르는 원수 흐름 중 제 1 메시 구조 (52) 에 있어서의 원수의 흐름 (S1) 의 수세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 1 메시 구조 (52) 에 의해 둘러싸인 제 1 분리막 (24) 의 근접 영역에 있어서의 원수의 유속을 높여, 동 영역에 체류하는 잔류 이온이나 염류를 하류측으로 흘러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62a) 에 있어서의 원수의 흐름 (S2, S3) 의 유량은 흐름 (S1) 의 유량보다 각각 감소한다. 그러나,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62a) 에 있어서의 제 1 사 (M1, M2) 의 간격 (R1) (도 3 참조) 은,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에 있어서의 제 1 사 (M1, M2) 의 간격, 즉, 제 3 변부 (52a-3) 의 길이 (도 3 참조) 보다 좁게 구성된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원수의 흐름 (S2, S3) 에 있어서의 원수 유량이 원수의 흐름 (S1) 보다 각각 감소해도 동 흐름 (S2, S3) 은 유속이 빠른 상태로 유지되어,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와 동일 정도의 수세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제 2 메시 구조 (61, 62) 에 의해 둘러싸인 제 1 분리막 (24) 의 근접 영역에 있어서의 원수의 유속을 높여, 동 영역에 체류하는 잔류 이온이나 염류를 하류측으로 흘러가게 할 수 있다.
도 5(a) 는, 도 3 에 나타내는 영역 (T) 에 있어서 원수가 제 1 분리막 (24) 에 작용시키는 전단 응력의 크기를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한 결과를 나타내는 등치선도이다. 도 5(b) 는, 도 5(a) 와 마찬가지로 영역 (T) 에 있어서 제 2 분리막 (28) 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의 크기를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한 결과를 나타내는 등치선도이다. 여기에서, 각 분리막 (24, 28) 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의 크기가 클수록, 각 분리막 (24, 28) 에 근접하는 영역으로부터 원수가 잔류 이온이나 염류를 흘러가게 하는 작용이 큰 것을 의미한다. 또, 반대로, 각 분리막 (24, 28) 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이 작을수록, 각 분리막 (24, 28) 에 근접하는 영역으로부터 원수가 잔류 이온이나 염류를 흘러가게 하는 작용이 작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서는, X 방향을 따라 영역 (T) 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속은 0.162 m/s 로 하고 있다.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52b) 로 둘러싸인 제 1 분리막 (24) 의 영역에 있어서, 제 2 변부 (52a-2) (도 3 참조) 의 주변에서 사행한 원수에 의해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61b, 62a, 62b) 로 둘러싸인 제 1 분리막 (24) 의 영역과 동일 정도의 강한 전단 응력이 광범위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각 분리막 (24, 28) 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의 크기가 0.75 ㎩ 이하가 되는 영역, 즉 각 분리막 (24, 28) 의 근접 영역에 있어서의 원수의 흐름이 완만하고 잔류 이온이나 염류를 원수가 흘러가게 하는 작용이 작은 영역이 양 분리막 (24, 28) 의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16 % 였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전단 응력의 크기가 0.75 ㎩ 이하가 되는 영역을 분극 용이 영역이라고 호칭한다. 또한, 도 5(a) 및 도 5(b) 에 나타내는 양 분리막 (24, 28) 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의 평균값은 3.3 ㎩ 이다.
도 6(a) 는 비교예인 원수 유로 스페이서 (30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 는 동 도면 (a) 에 나타내는 영역 (U) 에 있어서 제 1 분리막 (24) 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의 크기를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한 결과를 나타내는 등치선도이다. 도 6(c) 는 동 도면 (a) 에 나타내는 영역 (U) 에 있어서의 제 2 분리막 (28) 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의 분포 상태를 나타내는 등치선도이다. 도 6(b) 및 도 6(c) 에서는, X 방향을 따라 영역 (U) 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속은 0.162 m/s 로 하고 있다.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300) 는, 사 (V1, V2, V3) 를 포함하는 사열 (V) 과, 사 (W1, W2, W3) 를 포함하는 사열 (W) 을 서로 직교하도록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메시 구조 (310) 를 갖는다. 이 메시 구조 (310) 는,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사각형상 메시 (310a, 310b, 310c, 310d) 를 포함한다. 또한, 영역 (U) 은, 사각형상 메시 (310a ∼ 310d) 에 있어서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다.
도 6(b) 및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분리막 (24, 28) 의 영역 (U) 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은 최대로 약 8 ㎩ 정도이다. 또, 양 분리막 (24, 28) 에 형성되는 분극 용이 영역이 양 분리막 (24, 28) 의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20 % 이다.
이와 같이, 비교예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300) 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와 같이 양 분리막 (24, 28) 에 큰 전단 응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아, 양 분리막 (24, 28) 에 형성되는 분극 용이 영역의 면적 비율도 20 % 로 비교적 높아진다. 이 때문에, 양 분리막 (24, 28) 에 근접한 영역에 잔류하는 이온이나 염류를 충분히 흘러가게 할 수 없다.
또, 제 2 메시 구조 (61, 62, 63) 만으로 구성된 원수 유로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의해 생기는 압력 손실이 과대해진다. 이 때문에, 원수 유로 스페이서가 하류측으로 흘러가 텔레스코프 현상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에서는, 제 1 메시 구조 (51, 52, 53) 와, 제 1 메시 구조 (51 ∼ 53) 보다 X 방향으로 흐르는 원수가 통과 하기 어려운 제 2 메시 구조 (61, 62, 63) 를 교대로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제 2 메시 구조 (61) 에 있어서의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로부터 제 1 메시 구조 (52) 에 있어서의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로 흘러드는 원수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로 둘러싸인 영역의 양 분리막 (24, 28) 에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로 둘러싸인 영역의 양 분리막 (24, 28) 과 동등한 전단 응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에 의하면, 압력 손실의 증대를 방지하면서, 양 분리막 (24, 28) 의 근방 영역에 잔류하는 이온이나 염류를 흘러가게 하여 농도 분극층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에 의하면, 큰 전단 응력을 양 분리막 (24, 28) 에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이오 필름 등의 균체에서 유래하는 물질에 의해 양 분리막 (24, 28) 이 막힌 상태가 되는 바이오파울링의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7 ∼ 도 14 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와 구성이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적절히 설명을 생략하고, 구성이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는 것으로 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표 1 에서는, 제 1 메시 구조에 있어서의 경사각 (α1) 의 크기를 변화시킨 변형예 1 ∼ 4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 분극 용이 영역이 양 분리막 (24, 28) 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 ∼ 도 8(d) 는, 변형예 1 ∼ 변형예 4 의 각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 제 1 메시 구조에 있어서의 제 1 사각형상 메시 및 제 2 메시 구조에 있어서의 제 2 사각형상 메시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a) ∼ 도 8(d) 에 있어서 X 방향을 따라 영역 (T) (도 3 참조) 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속은 0.162 m/s 로 설정하고 있다. 도 8(a) ∼ 도 8(d) 에 나타내는 각 원수 유로 스페이서 (70, 80, 90, 100) 는, 상기 실시형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와 제 2 사각형상 메시의 구성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다.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1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70) 는, 제 2 메시 구조 (71) 를 구성하는 제 2 사각형상 메시 (71a) 의 경사각 (α1) 이 5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구성과 상이하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70) 에 의하면 분극 용이 영역이 양 분리막 (24, 28)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19 % 이다.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2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80) 는, 제 2 메시 구조 (81) 를 구성하는 제 2 사각형상 메시 (81a) 의 경사각 (α1) 이 85°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구성과 상이하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80) 에 의하면 분극 용이 영역이 양 분리막 (24, 28)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17 % 이다.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3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90) 는, 제 2 메시 구조 (91) 를 구성하는 제 2 사각형상 메시 (91a) 의 경사각 (α1) 이 95°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구성과 상이하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90) 에 의하면 분극 용이 영역이 양 분리막 (24, 28)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15 % 이다.
도 8(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4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100) 는, 제 2 메시 구조 (101) 를 구성하는 제 2 사각형상 메시 (101a) 의 경사각 (α1) 이 12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구성과 상이하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100) 에 의하면 분극 용이 영역이 양 분리막 (24, 28)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10 % 이다.
또, 변형예 4 에 나타내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경사각 (α1) 보다 경사각을 크게 하면, 제 1 메시 구조와 제 2 메시 구조가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제작이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경사각 (α1) 은 120°이하의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변형예 1 ∼ 4 의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와 마찬가지로 농도 분극층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표 2 는, 제 1 메시 구조 (51) 및 제 2 메시 구조 (61) 의 구성 비율을 변경한 변형예 5 ∼ 변형예 9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에 있어서, 양 분리막 (24, 28) 표면에서 차지하는 분극 용이 영역의 면적 비율을 상기 실시형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와 마찬가지로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X 방향을 따라 흐르는 원수의 유속은 0.162 m/s 로 설정하고 있다. 도 10(a) ∼ 도 10(e) 는, 변형예 5 ∼ 9 의 경우에 있어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형예 5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110) 는, 도 10(a) 에 나타내는 제 1 메시 구조 (112) 및 제 2 메시 구조 (114) 를 교대로 구비한다. 제 1 메시 구조 (112) 는, 제 1 사열 (M10) 을 구성하는 제 1 사 (M11, M12) 의 연장 방향으로 제 1 사각형상 메시 (112a, 112b) 를 2 개 나열하여 구성된다. 제 1 사각형상 메시 (112a, 112b) 는,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 제 2 메시 구조 (114) 는, 제 2 메시 구조 (61)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110) 에 있어서, 양 분리막 (24, 28) 표면에서 차지하는 분극 용이 영역의 면적 비율은 18 % 이다.
변형예 6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120) 는, 도 10(b) 에 나타내는 제 1 메시 구조 (122) 및 제 2 메시 구조 (124) 를 교대로 구비한다. 제 1 메시 구조 (122) 는 제 1 사열 (M20) 을 구성하는 제 1 사 (M21, M22) 의 연장 방향으로 제 1 사각형상 메시 (122a, 122b, 122c) 를 3 개 나열하여 구성된다. 제 1 사각형상 메시 (122a ∼ 122c) 는,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 2 메시 구조 (124) 는, 제 2 메시 구조 (61)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120) 에 있어서, 양 분리막 (24, 28) 표면에서 차지하는 분극 용이 영역의 면적 비율은 19 % 이다.
변형예 7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130) 는, 도 10(c) 에 나타내는 제 1 메시 구조 (132) 및 제 2 메시 구조 (134) 를 교대로 구비한다. 제 1 메시 구조 (132) 는, 제 1 사열 (M30) 을 구성하는 사 (M31, M32) 의 연장 방향으로 제 1 사각형상 메시 (132a, 132b) 를 2 개 나열하여 구성된다. 제 1 사각형상 메시 (132a, 132b) 는,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제 2 메시 구조 (134) 는, 제 1 사열 (M30) 을 구성하는 제 1 사 (M31, M32) 의 연장 방향으로 2 개의 제 2 사각형상 메시 (134a, 134b) 를 나열하여 구성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130) 에 있어서, 양 분리막 (24, 28) 표면에서 차지하는 분극 용이 영역의 면적 비율은 16 % 이다.
변형예 8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140) 는, 도 10(d) 에 나타내는 제 1 메시 구조 (142) 및 제 2 메시 구조 (144) 를 교대로 구비한다. 제 1 메시 구조 (142) 는, 제 1 메시 구조 (51)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 2 메시 구조 (144) 는, 제 1 사열 (M40) 을 구성하는 제 1 사 (M41, M42) 의 연장 방향으로 제 2 사각형상 메시 (144a, 144b) 를 2 개 나열하여 구성된다. 제 2 사각형상 메시 (144a, 144b) 의 구성은,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140) 에 있어서, 양 분리막 (24, 28) 표면에서 차지하는 분극 용이 영역의 면적 비율은 15 % 이다.
변형예 9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150) 는, 도 10(e) 에 나타내는 제 1 메시 구조 (152) 및 제 2 메시 구조 (154) 를 교대로 구비한다. 제 1 메시 구조 (152) 는, 제 1 메시 구조 (51)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 2 메시 구조 (154) 는, 제 1 사열 (M50) 을 구성하는 제 1 사 (M51, M52) 의 연장 방향으로 제 2 사각형상 메시 (154a, 154b, 154c) 를 3 개 나열하여 구성된다. 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150) 에 있어서, 양 분리막 (24, 28) 표면에서 차지하는 분극 용이 영역의 면적 비율은 14 % 이다.
상기와 같이, 변형예 5 ∼ 9 의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와 마찬가지로 농도 분극층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 은, 변형예 10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에 포함되는 제 1 메시 구조 및 제 2 메시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는, 제 1 사열 (A) 및 제 2 사열 (B) 을 서로 중첩시킨 2 층 구조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이며, 각 사열 (A, B) 을 적층 상태에서 고착하여 형성된다. 각 사열 (A, B) 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사열 (M, N) 과 마찬가지로, X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예를 들어 45°각각 경사져 있다. 또, 제 1 사열 (A) 을 구성하는 제 1 사 (A1, A2) 의 간격과 제 1 사 (A2, A3) 의 간격은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일례로서 4 ㎜ 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 1 사 (A3, A4) 의 간격 및 제 1 사 (A4, A5) 의 간격은, 각각 제 1 사 (A1, A2) 의 간격의 절반의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사열 (B) 을 구성하는 제 2 사 (B1, B2) 의 간격 및 제 2 사 (B2, B3) 의 간격은,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일례로서 4 ㎜ 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 2 사 (B3, B4) 의 간격과 제 2 사 (B4, B5) 의 간격은 각각 제 2 사 (B1, B2) 의 간격의 절반의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사 (A1 ∼ A5, B1 ∼ B5) 는, 예를 들어,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직경은 0.4 ㎜ 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는, 상기 서술한 제 1 사열 (A) 및 제 2 사열 (B) 에 의해 제 2 사열 (B) 의 연장 방향으로 늘어서 구성된 제 1 메시 구조 (171, 172, 173) 와, 제 2 메시 구조 (181, 182, 183) 를 교대로 구비한다. 제 1 메시 구조 (171 ∼ 173) 는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제 2 메시 구조 (181 ∼ 183) 도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메시 구조 (172), 제 2 메시 구조 (182) 를 예로 들어 설명을 한다.
제 1 메시 구조 (172) 는, 제 1 사 (A1 ∼ A3) 및 제 2 사 (B1 ∼ B3) 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메시 (172a-1) 와, 제 1 사 (A3 ∼ A5) 및 제 2 사 (B3 ∼ B5) 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 메시 (172a-2) 를 제 2 사열 (B) 의 연장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하여 구성된다. 이 제 1 메시 (172a-1) 는, 예를 들어, 정방형상의 외관 형상을 갖는다. 한편, 중간 메시 (172a-2) 는, 예를 들어, 장방형상의 외관 형상을 갖고, 제 1 메시 (172a-1) 보다 눈이 촘촘해지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제 1 메시 (172a-1) 와 중간 메시 (172a-2) 를 비교하면, 제 1 메시 (172a-1) 쪽이 중간 메시 (172a-2) 보다 유로 저항이 작아진다.
제 2 메시 구조 (182) 는, 제 1 사 (A1 ∼ A3) 및 제 2 사 (B3 ∼ B5) 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 메시 (182a-1) 와, 제 1 사 (A3 ∼ A5) 및 제 2 사 (B3 ∼ B5) 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메시 (182a-2) 를 제 2 사열 (B) 의 연장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하여 구성된다. 중간 메시 (182a-1) 는, 중간 메시 (172a-2) 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장방형상의 외관 형상을 갖고, 동 메시 (172a-2) 와 동일한 눈의 크기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 제 2 메시 (182a-2) 는, 예를 들어, 정방형상의 외관 형상을 갖고, 중간 메시 (182a-1) 보다 눈이 촘촘하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제 2 메시 (182a-2) 와 중간 메시 (182a-1) 를 비교하면, 제 2 메시 (182a-2) 쪽이 중간 메시 (182a-1) 보다 유로 저항이 커진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메시 구조 (182) 에 있어서, 원수의 일부는 흐름 (C11, C12) 을 따라 중간 메시 (182a-1) 로부터 하류측의 제 1 메시 구조 (172) 에 있어서의 제 1 메시 (172a-1) 에 유입된다. 그리고, 제 1 메시 (172a-1) 에 있어서, 원수의 일부는 흐름 (C21, C22) 을 따라 제 1 메시 (172a-1) 로부터 하류측의 제 2 메시 구조 (183) 의 중간 메시 (183a-1) 에 유입된다.
여기에서, 중간 메시 (182a-1) 의 원수 흐름에 있어서의 하류측에는 제 2 메시 (182a-2) 및 제 1 메시 (172a-1) 가 인접해 있다. 그리고, 제 2 메시 (182a-2) 는 제 1 메시 (172a-1) 보다 유로 저항이 크기 때문에, 중간 메시 (182a-1) 로부터 흐름 (C11, C12) 을 따라 제 1 메시 (172a-1) 에 흘러드는 원수의 유량 (Q11) 쪽이 제 2 메시 (182a-2) 에 흘러드는 원수의 유량 (Q12) 보다 많아진다.
한편, 제 1 메시 (172a-1) 의 하류측에는, 중간 메시 (172a-2, 183a-1) 가 각각 인접해 있다. 양 메시 (172a-2, 183a-1) 는, 눈의 크기가 동등하기 때문에 유로 저항의 크기도 동등 정도의 크기가 된다. 이 때문에, 흐름 (C21, C22) 을 따라 중간 메시 (183a-1) 에 유출되는 원수의 유량 (Q12) 과, 흐름 (S11, S12) 을 따라 중간 메시 (172a-2) 에 유출되는 원수의 유량 (Q13) 은 동일 정도의 유량이 된다.
따라서, 흐름 (C11, C12) 을 따라 제 2 메시 구조 (182) 로부터 제 1 메시 구조 (172) 에 있어서의 제 1 메시 (172a-1) 에 유입되는 유량 (Q11) 과, 동 메시 (172a-1) 로부터 흐름 (C21, C22) 을 따라 제 2 메시 구조 (183) 에 유출되는 유량 (Q12) 의 차분 유량 (ΔQ11-12) 만큼 제 1 메시 구조 (172) 에 있어서의 제 1 메시 (172a-1) 로부터 흐름 (S11, S12) 을 따라 하류측의 중간 메시 (172a-2) 에 흘러드는 원수의 유량 (Q13) 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에 있어서도, 제 1 메시 구조 (172) 를 흐르는 원수의 수세를 늘릴 수 있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와 동 조건에서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경우에, 양 분리막 (24, 28) 표면에서 차지하는 분극 용이 영역의 면적 비율은 17 % 이다.
또, 상기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를 사용한 경우에 양 분리막 (24, 28) 에 원수 흐름을 작용시키는 전단 응력의 평균값은 2.6 ㎩ 인 데에 대해, 상기 서술한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전단 응력의 평균값은 3.3 ㎩ 였다.
따라서,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를 사용한 경우, 양 분리막 (24, 28) 에 작용하는 평균 전단 응력이 상기 서술한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보다 약 20 % 저하된다. 이 때문에,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와 비교하여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3 은, 변형예 11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20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200) 는, 상기 서술한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의 변형예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와 구성이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고, 구성이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200) 는, 제 1 사열 (A10) 및 제 2 사열 (B10) 을 서로 중첩시킨 2 층 구조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이며, 각 사열 (A10, B10) 을 적층 상태에서 고착하여 형성된다. 제 1 사열 (A10) 을 구성하는 각 사 (A11, A12, A13) 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점에서 상기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의 구성과 상이하다. 한편, 제 2 사열 (B10) 을 구성하는 제 2 사 (B11 ∼ B15) 의 구성은, 상기 서술한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에 있어서의 제 2 사 (B1 ∼ B5) 와 동일하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200) 는, 상기 서술한 제 1 사열 (A10) 및 제 2 사열 (B10) 에 의해 제 2 사열 (B10) 을 따라 구성된 제 1 메시 구조 (201, 202, 203) 와, 제 2 메시 구조 (211, 212, 213) 를 교대로 구비한다. 제 1 메시 구조 (201 ∼ 203) 는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제 2 메시 구조 (211 ∼ 213) 도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메시 구조 (202) 및 제 2 메시 구조 (212) 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 1 메시 구조 (202) 는, 제 1 사 (A11, A12) 및 제 2 사 (B11 ∼ B13) 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메시 (202a) 를 포함하고, 이 제 1 메시 (202a) 와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메시가 제 2 사열 (B10) 의 연장 방향으로 다수 늘어서 구성된다.
제 2 메시 구조 (212) 는, 제 1 사 (A11, A12) 및 제 2 사 (B13 ∼ B15) 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메시 (212a) 를 포함하고, 이 제 2 메시 (212a) 와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메시가 제 2 사열 (B10) 의 연장 방향으로 다수 늘어서 구성된다. 이 제 2 메시 (212a) 는, 제 1 메시 (202a) 보다 눈이 촘촘하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제 1 메시 (202a) 보다 유로 저항이 커진다.
원수 유로 스페이서 (200) 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와 동 조건에서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각 분리막 (24, 28) 표면에서 차지하는 분극 용이 영역의 면적 비율은 17 % 였다. 이 변형예 11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200) 에 있어서도 상기 서술한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 는, 변형예 12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23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수 유로 스페이서 (230) 는, 사열 (M, N) 을 중첩시켜 형성된 제 1 메시 구조 (231, 232, 233) 와 제 2 메시 구조 (241, 242, 243) 를 교대로 구비한다. 여기에서, 제 1 메시 구조 (231, 232, 233) 는 동일 구성을 각각 갖고, 제 2 메시 구조 (241, 242, 243) 도 동일 구성을 각각 갖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메시 구조 (232) 및 제 2 메시 구조 (241) 를 예로 들어 원수 유로 스페이서 (230) 의 설명을 한다.
원수 유로 스페이서 (230) 는, 사열 (N) 의 간격이 등간격이 되는 점에서 상기 서술한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구성과 상이하다. 한편, 사열 (M) 의 간격은, 제 1 메시 구조 (232) 를 구성하는 사 (M1, M2) 의 간격 (R3) 보다 제 2 메시 구조 (241) 를 구성하는 사 (M1, M2) 의 간격 (R4) 쪽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열 (M) 만큼 제 1 메시 구조 (231) 보다 제 2 메시 구조 (241) 에 있어서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단, 이 경우에는, 사열 (M) 이 제 2 사열에 상당하고, 사열 (N) 이 제 1 사열에 상당한다.
계속해서, 상기 서술한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에 의한 농도 분극 억제 효과의 평가 시험에 사용하는 평가용 셀 (400) 의 사용 방법, 및 당해 셀 (400) 을 사용한 평가 시험에 대하여 도 15(a) ∼ 도 15(c) 를 사용하여 설명을 한다. 도 15(a) 는, 평가용 셀 (400) 을 당해 셀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여 나타냄과 함께, 일부에 단면도를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 15(b) 는, 평가용 셀 (400) 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시험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c) 는, 평가용 셀 (400) 내부의 유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외형을 가상선으로 나타냄과 함께 유로 구성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에 있어서,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에 있어서의 시험체 (40-T) 의 단면은, 편의상 「×」마크의 해칭을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5(a) ∼ 도 1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가용 셀 (400) 은, 웅형 (雄型) (410) 및 자형 (雌型) (420) 을 끼워 맞추게 하여 이루어지는 대략 직방체상의 농도 측정 유닛이다. 이 평가용 셀 (400) 은, 도 1 에 나타내는 여과 장치 (10) 에 포함되는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20) 를 바꿔 넣어서 사용된다. 도 1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웅형 (410) 은 중앙부에 볼록부 (412) 가 형성된 금속 또는 수지제 부재이다. 이 볼록부 (412) 는, 돌출면 (412a) 이 모서리가 둥근 장방형상으로 형성된다. 모서리가 둥근 장방형이란, 장방형을 구성하는 단변과 장변 중, 단변이 반원상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곡선으로 치환된 외형을 이루는 형상을 의미한다. 또, 돌출면 (412a) 의 주연부는 모따기 가공이 실시되어 있고, 경사면 (412b) 이 형성되어 있다.
자형 (420) 은, 상기 웅형 (410) 의 볼록부 (412) 에 끼워 맞추는 오목부 (422) 가 중앙부에 형성된 금속 또는 수지제 부재이다. 그리고, 평가용 셀 (400) 은, 양 형 (410, 420) 을 끼워 맞추게 함으로써, 볼록부 (412) 및 오목부 (422) 사이에 평가용 유로 (430) 가 형성된다. 이 평가용 유로 (430) 는, 도 1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장방형상의 외형을 갖고, 일례로서, 전체 길이 (D1) 가 167 ㎜ 이고, 양 끝에 형성되는 반원부의 직경, 즉 폭 (D2) 이 35 ㎜ 이고, 유로의 두께는 약 1 ㎜ 이다.
또, 도 15(a) 및 도 1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웅형 (410) 에는, 원수 입구를 구성하는 관끝 (414) 과, 농축수 출구를 구성하는 관끝 (416) 이 형성된다. 이 원수 입구를 구성하는 관끝 (414) 에는 원수를 공급하는 송수관 (L2) (도 1 참조) 이 접속되고, 농축수 출구를 구성하는 관끝 (416) 에는 농축수 배관 (L4) (도 1 참조) 이 접속된다. 그리고, 양 관끝 (414, 416) 은, 웅형 (410) 내부에 형성된 연락 유로 (414a, 416a) 에 의해 평가용 유로 (430) 와 각각 연통되어 있다. 자형 (420) 에도, 웅형 (410) 의 관끝 (414, 416) 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투과수 출구를 구성하는 관끝 (424, 426) 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양 관끝 (424, 426) 과 평가용 유로 (430) 는, 자형 (420) 내부에 형성된 연락 유로 (424a, 426a)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 투과수 출구를 구성하는 관끝 (424, 426) 은, 각각 투과수 배관 (L3) (도 1 참조) 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평가용 셀 (400) 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가용 셀 (400) 의 내부에 형성되는 평가용 유로 (430) 에는, 투과수 스페이서 (26) 의 시험체 (26-T), 분리막 (24a) 의 시험체 (24-T), 및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시험체 (40-T) 가 적층 상태로 격납된다. 각 시험체 (26-T, 24-T, 40-T) 는, 자형 (420) 의 오목부 (422) 에 간극 없이 들어가도록 모서리가 둥근 장방형상으로 미리 가공되어 있다. 이 때, 도 1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형 (420) 쪽에서 볼 때, 투과수 스페이서의 시험체 (26-T), 분리막의 시험체 (24-T),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시험체 (40-T) 의 순서로 오목부 (422) 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각 시험체 (26-T, 24-T, 40-T) 를 설치함으로써, 분리막인 시험체 (24-T) 를 투과한 투과수가 시험체 (26-T) 의 내부를 통과하여 연락 유로 (424a, 426a) 중 어느 것으로부터 투과수 배관 (L3) (도 1 참조) 으로 유출되게 된다. 한편, 분리막인 시험체 (24-T) 를 투과하지 않은 원수는 농축수로서 연락 유로 (416a) 를 경유하여 농축수 배관 (L4) (도 1 참조) 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1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체 (40-T) 를 오목부 (422) 에 설치하고 나서 오목부 (422) 의 측벽 (422a) 을 따르게 하도록 O 링 (432) 을 장착한다. 이 O 링 (432) 은, 외주가 모서리가 둥근 장방형상을 이루는 환상 부재이며, 그 단면이 원상으로 구성된 고무제 패킹이다. 이 O 링 (432) 은 웅형 (410) 의 볼록부 (412) 에 형성된 경사면 (412b) 에 가압됨으로써, 웅형 (410) 의 볼록부 (412) 와 자형 (420) 의 오목부 (422) 의 간극을 막아 평가용 유로 (430) 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시일재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 변형예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및 비교예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300) 에 대해서도, 상기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시험체 (40-T) 와 마찬가지로, 시험체 (160-T, 300-T) 를 제작하여 평가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각 시험체 (24-T, 26-T, 40-T) 와, O 링 (432) 을 자형 (420) 의 오목부 (422) 에 설치한 다음에, 웅형 (410) 의 볼록부 (412) 를 오목부 (422) 에 끼워 넣고, 복수의 볼트 (BL1 ∼ BL4) (도 15(a) 참조) 등에 의해 양 형 (410, 420) 을 고정시킨다. 이 때, 웅형 (410) 의 볼록부 (412) 와 O 링 (432) 사이에 간극이 남는 경우에는, 투과수 스페이서 (26-T) 를 복수 장 겹침으로써, O 링 (432) 이 볼록부 (412) 의 경사면 (412b) 과 오목부 (422) 의 측벽 사이에서 압접되도록 조정한다. 이로써,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시험체 (40-T) 의 평가용 셀 (400) 로의 장착 작업이 완료된다.
본 평가 시험에 있어서, 시험체 (300-T) 는, 사열 (V) (도 6(a) 참조) 의 간격 및 사열 (W) (도 6(b) 참조) 의 간격이 각각 2 ㎜ 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각 사열 (V, W) 을 구성하는 각 사 (V1 ∼ V3, W1 ∼ W3) 의 직경은 0.2 ㎜ 이다.
또, 시험체 (40-T) 는, 제 1 사열 (M) (도 3 참조) 의 간격 및 제 2 사열 (N) (도 3 참조) 의 간격이 각각 2 ㎜ 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따라서, 시험체 (40-T) 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제 1 사각형상 메시 (52a) 는 1 변이 2 ㎜ 인 정방형상의 외관 형상을 이루고, 제 2 사각형상 메시 (61a) 는 1 변이 2 ㎜ 인 마름모형상의 외관 형상을 나타내는) 각 사열 (M, N) 을 구성하는 각 사 (M1 ∼ M3, N1 ∼ N4) 의 직경 (D) 은 0.2 ㎜ 이다.
시험체 (160-T) 는, 제 1 사열 (A) (도 11 참조) 을 구성하는 제 1 사 (A1, A2) 의 간격과 제 1 사 (A2, A3) 의 간격이 각각 3 ㎜ 이고, 제 1 사 (A3, A4) 의 간격과 제 1 사 (A4, A5) 의 간격이 각각 1.5 ㎜ 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또, 제 2 사열 (B) (도 11 참조) 은, 제 2 사 (B1, B2) 의 간격과 제 2 사 (B2, B3) 의 간격이 각각 3 ㎜ 이고, 제 2 사 (B3, B4) 의 간격과 제 2 사 (B4, B5) 의 간격이 각각 1.5 ㎜ 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각 사열 (A, B) 을 구성하는 각 사 (A1 ∼ A5, B1 ∼ B5) 의 직경은 0.2 ㎜ 이다.
계속해서, 상기 평가용 셀 (400) 을 사용한 원수 유로 스페이서의 평가 시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평가 시험은 기온 25 ℃ 의 조건하에서 실시하고 있다.
우선, 순수 투과 계수 (A) 를 산출한다. 이 「순수」투과 계수는, 평가용 셀 (400) 에 관끝 (414) 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염 등의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순수인 경우에 있어서 이하의 식 (1) 의 관계로부터 구해지는 투과 계수이다.
JW = A × Pout ………… (1)
상기 식 (1) 에 있어서, JW 는 순수 체적 유속 [㎥/(㎡s)] 이고, Pout 은 농축수 배관 (L4) 에 설치된 수압계 (도시 생략) 의 측정값이다. 순수 투과 계수 (A) 의 산출 방법으로는, 농축수 배관 (L4) 의 유량 조정 밸브 (도시 생략) 및 바이패스 배관 (L2-B) 의 유량 조정 밸브를 조정함으로써, Pout = 0.5 ㎫, 농축수 배관 (L4) 에 있어서의 농축수 유량 (QL4) 을 14.5 cc/min. 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투과수 배관 (L3) 의 투과수 유량 (QL3) [㎥/s] 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 투과수 유량 (QL3) 을 분리막 (24a) 의 시험체 (24-T) 의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순수 체적 유속 (JW1) 을 구한다.
마찬가지로, Pout = 2.0 ㎫, 농축수 유량 (QL4) 을 14.5 cc/min. 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투과수 유량 (QL3) [㎥/s] 을 측정하고, 당해 측정값을 상기 시험체 (24-T) 의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순수 체적 유속 (JW2) 을 측정한다.
그리고, Pout = 0.5 ㎫, 순수 체적 유속 (JW1) 과, Pout = 2.0 ㎫, 순수 체적 유속 (JW2) 을 사용하여, 최소 제곱법에 의한 직선 근사에 의해 상기 식 (1) 에 있어서의 순수 투과 계수 (A) 를 구한다.
다음으로, 평가용 셀 (400) 에 관끝 (414) 으로부터 공급하는 원수를, 예를 들어, 염 농도가 250 ppm 전후가 되도록 조정된 염화나트륨 (NaCl) 용액으로 변경하여, Pout = 0.5 ㎫, 농축수 유량 (QL4) 을 14.5±0.5 [cc/min] 로 하고, 이 경우에 있어서의 투과수의 유량 (QL3) [㎥/s] 을 측정한다. 그리고, 투과수의 유량 (QL3) 을 시험체 (24-T) 의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용액 체적 유속 (JV) 을 산출하고, 산출된 용액 체적 유속 (JV) 을 이하의 식 (2) 에 대입하여 시험체 (24-T) 의 막면에 있어서의 삼투압 (Pf) 을 산출한다. 이하의 식 (2) 에 있어서, Pout = 0.5 ㎫ 이다.
Pf = Pout - (JV/A) ………………… (2)
그리고, 이하에 나타내는 식 (3) 에 의해 분리막인 시험체 (24-T) 의 막면 근방에 있어서의 원수의 염 농도를 의미하는 막면 농도 (Cm) 를 산출한다.
Cm = B × Pf ……………………… (3)
상기 식 (3) 에 있어서 환산 계수 (B) 는, 원수에 함유되는 NaCl, MgSO4, CaCl2 등의 염 농도와 삼투압의 관계에 의해 정해지는 정수이며, 본 실시형태와 같이 원수에 포함되는 염이 염화나트륨인 경우에는 환산 계수 (B) = 1.2294 가 된다.
다음으로, 식 (4) 의 관계로부터, 벌크 (bulk) 농도 (Cb) 를 산출한다.
Cb = (Cin + Cout)/2 ……………… (4)
상기 식 (4) 에 있어서의 Cin 은 송수관 (L2) 을 흐르는 원수의 염 농도, Cout 은 농축수 배관 (L4) 을 흐르는 농축수의 염 농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수에 포함되는 염화나트륨의 염 농도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50 ppm 전후로 미리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농축수 배관 (L4) 을 흐르는 농축수의 염 농도 (Cout) 만 측정하면 된다. 또, 농축수나 원수에 있어서의 염 농도의 측정은, 일례로서, 전기 전도도 (비율) 를 측정함으로써 실시하면 된다.
그리고, 식 (4) 에 의해 산출된 Cb 와, 식 (3) 에 의해 산출된 Cm 의 비인 식 (5) 에 나타내는 농도비 (Cr) 를 산출한다.
Cr = Cm/Cb ………………………… (5)
여기에서, 도 16(a) 는 상기 서술한 농도비 (Cr) 를 세로축에, 순수 체적 유속 (JW) 의 측정값을 가로축으로 하여 각 분리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동 도면 (a) 에 있어서, 「△」마크는 비교예인 원수 유로 스페이서 (300) 의 시험체 (300-T) 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시험체 (40-T) 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는 변형예 10 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의 시험체 (160-T) 의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16(b) 는, 동 도면 (a) 에 나타내는 각 시험체 (40-T, 160-T, 300-T) 의 농도비 (Cr) 의 측정값을 측정시의 순수 체적 유속 (JW) 과 함께 나타내는 표이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제 1 사열 (M) 및 제 2 사열 (N) 은 비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분리막 (24a) 과 분리막 (28a) 에 있어서의 막면 근방의 원수 흐름은 크게 상이하다. 이 때문에, 양 분리막 (24a, 28a) 근방에 있어서의 염 농도의 분포 상태도 크게 상이하다. 따라서,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시험체 (40-T) 를 사용한 평가 시험에서는, 분리막 (24) 의 시험체 (24-T) 에 제 1 사열 (M) 이 접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와, 동 시험체 (24-T) 에 제 2 사열 (N) 이 접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농도비 (Cr) 를 각각 측정하고, 그 평균값에 기초하여 농도 분극의 크기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도 16(b) 에서는, 시험체 (24-T) 에 제 1 사열 (M) 이 접하도록 설치한 경우를 「B」로 하고, 시험체 (24-T) 에 제 2 사열 (N) 이 접하도록 설치한 경우를 「A」로 하여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A」의 설치 상태에 있어서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의 시험체 (40-T) 를 시험체 (40-TA) 라고 표기하고, 상기 「B」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의 시험체 (40-T) 를 시험체 (40-TB) 라고 적절히 표기한다.
도 1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체 (40-TA) 를 사용한 평가 시험에서는, 순수 체적 유속 (JW) = 0.91 × 10-5 [㎥/(㎡s)] 에 있어서, 농도비 (Cr) = 2.1 이다. 또, 시험체 (40-TB) 를 사용한 평가 시험에서는, 순수 체적 유속 (JW) = 1.13 × 10-5 [㎥/(㎡s)] 에 있어서, 농도비 (Cr) = 3.1 이다. 따라서, 시험체 (40-TA, 40-TB) 에 있어서의 농도비 (Cr) 의 평균값은 2.6 이 되어, 비교예인 시험체 (300-T) 의 농도비 (Cr) 의 최소값 2.7 보다 낮은 값이 된다. 따라서, 원수 유로 스페이서 (40) 에 의하면, 종래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300) 보다 농도 분극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의 시험체 (160-T) 를 사용한 평가 시험에서는, 순수 체적 유속 (JW) = 1.03 × 10-5 [㎥/(㎡s)] 인 경우의 농도비 (Cr) 가 1.6 이고, 순수 체적 유속 (JW) = 1.51 × 10-5 [㎥/(㎡s)] 인 경우의 농도비 (Cr) 가 2.4 이다. 이와 같이 시험체 (160-T) 를 사용한 평가 시험에서는,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비교예인 시험체 (300-T) 에 있어서의 농도비 (Cr) 의 최소값인 2.7 을 크게 하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에 의하면, 종래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 (300) 보다 농도 분극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시험체 (160-T) 를 사용한 상기 평가 시험에 있어서, 농축수 배관 (L4) 에 있어서의 농축수 유량 (QL4) 을 14.5 cc/min. 으로 했을 때의 압력 손실 (PL) 을 측정한 결과 6.4 ㎪ 였다. 이 압력 손실 (PL) 은, 관끝 (414) 으로부터 평가용 셀 (400) 의 평가용 유로 (430) 에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 (Pin) 과, 상기 서술한 Pout 의 차압이다.
마찬가지로, 시험체 (300-T) 를 사용한 상기 평가 시험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농축수 유량 (QL4) 을 14.5 cc/min. 으로 했을 때의 압력 손실 (PL) 을 측정한 결과, 측정값은 8.6 ㎪ 였다.
상기와 같이, 시험체 (160-T) 를 사용한 경우에는, 종래의 시험체 (300-T) 보다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원수 유로 스페이서 (160) 에 의하면, 농도 분극 및 압력 손실 쌍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다양한 개량, 수정, 또는 변형을 가한 양태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또, 동일한 작용 또는 효과가 발생하는 범위 내에서, 어느 발명의 특정 사항을 다른 기술로 치환한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Claims (4)

  1.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의 집수관에 둘러감긴 제 1 분리막과 제 2 분리막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상기 집수관과 평행한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 사열 및 제 2 사열로 이루어지는 2 층 구조의 원수 유로 스페이서로서,
    상기 제 1 사열 및 상기 제 2 사열에 의해 상기 제 2 사열의 연장 방향으로 늘어서 구성된 제 1 메시 구조와,
    상기 제 1 사열 및 상기 제 2 사열에 의해 상기 제 2 사열의 연장 방향으로 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 1 메시 구조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사열의 간격보다 상기 제 2 사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제 2 메시 구조를 교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 구조는, 제 1 메시와, 상기 제 1 메시보다 눈이 촘촘한 중간 메시를 교대로 나열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메시 구조는, 상기 중간 메시와, 상기 중간 메시보다 눈이 촘촘한 제 2 메시를 교대로 나열하여 구성되어 있는, 원수 유로 스페이서.
  3. 투과수가 흐르는 집수관과,
    시트상의 투과수 스페이서와,
    상기 투과수 스페이서의 양면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3 변이 봉지되고, 다른 1 변이 개구단인 주머니 형상을 이루고, 당해 개구단이 상기 집수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집수관에 둘러감긴 제 1 분리막 및 제 2 분리막과,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원수 유로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4. 삭제
KR1020187021199A 2016-11-18 2017-06-21 원수 유로 스페이서, 및 이것을 구비한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KR101916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5396 2016-11-18
JP2016225396 2016-11-18
JPJP-P-2017-101262 2017-05-22
JP2017101262A JP6353957B2 (ja) 2016-11-18 2017-05-22 原水流路スペーサ、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PCT/JP2017/022819 WO2018092343A1 (ja) 2016-11-18 2017-06-21 原水流路スペーサ、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896A KR20180090896A (ko) 2018-08-13
KR101916648B1 true KR101916648B1 (ko) 2018-11-07

Family

ID=6249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199A KR101916648B1 (ko) 2016-11-18 2017-06-21 원수 유로 스페이서, 및 이것을 구비한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84840B2 (ko)
EP (1) EP3542890B1 (ko)
JP (1) JP6353957B2 (ko)
KR (1) KR101916648B1 (ko)
CN (1) CN108495701B (ko)
RU (1) RU270362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3357B2 (ja) * 2018-05-18 2022-09-08 日東電工株式会社 流路スペーサ及び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JP7133356B2 (ja) * 2018-05-18 2022-09-08 日東電工株式会社 流路スペーサ及び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US11458437B2 (en) * 2019-09-05 2022-10-04 Molecule Works Inc. Universal planar membrane device for mass transfer
EP4039357A4 (en) * 2019-10-02 2022-11-16 LG Chem, Ltd. INTAKE SIDE SPACER AND SEPARATOR DIAPHRAGM ELE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270A (ja) 1998-11-19 2000-06-06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0237554A (ja) 1999-02-18 2000-09-05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JP2004089763A (ja) 2002-08-29 2004-03-25 Japan Organo Co Ltd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分離膜モジュール、分離膜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水処理方法
JP2009195870A (ja) 2008-02-25 2009-09-03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JP2015066488A (ja) 2013-09-27 2015-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酸性ガス分離用スパイラル型モジュール
JP2015205269A (ja) 2014-04-08 2015-11-19 東レ株式会社 分離膜構造体および分離膜エレメン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6781A (en) * 1973-01-16 1980-02-05 Hercules Incorporated Network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SE430852B (sv) * 1977-11-18 1983-12-19 Gambro Lundia Ab Anordning for separation medelst semipermeabla membran
GB2124965B (en) * 1982-07-06 1986-05-29 Plg Res Mesh structure and laminate made therewith
US5137600A (en) * 1990-11-01 1992-08-11 Kimberley-Clark Corporation Hydraulically needled nonwoven pulp fiber web
RU2050177C1 (ru) * 1991-09-13 1995-12-20 Кемеров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пище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Мембран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жидких сред методом ультрафильтрации
JP3098600B2 (ja) * 1991-12-18 2000-10-16 日東電工株式会社 スパイラル型分離膜モジュール
US6656362B1 (en) * 1998-06-18 2003-12-02 Toray Industries, Inc. Spiral reverse osmosis membrane element, reverse osmosis membrane module using it, device and method for reverse osmosis separation incorporating the module
JP4154557B2 (ja) 2000-06-20 2008-09-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US6881336B2 (en) * 2002-05-02 2005-04-19 Filmtec Corporation Spiral wound element with improved feed space
JP2004050005A (ja) * 2002-07-18 2004-02-19 Japan Organo Co Ltd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逆浸透膜モジュール及び逆浸透膜装置
JP2004283708A (ja) 2003-03-20 2004-10-14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
WO2005092483A1 (ja) 2004-03-26 2005-10-06 Nitto Denko Corporation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
JP4688140B2 (ja) 2004-03-26 2011-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
MX2010010163A (es) * 2008-03-20 2010-12-06 Univ Yale Modulo de membrana enrollada helicoidal para uso en osmosis forzada.
BR112014032391B1 (pt) 2012-06-26 2021-08-10 SWM Luxembourg S.à.R.L. Elementos de filtração enrolados em espiral e rede extrudada
US10258928B2 (en) 2014-03-31 2019-04-1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piral wound membrane module adapted for high recovery
US9452383B2 (en) * 2014-04-30 2016-09-27 Uop Llc Membrane separation element and process relating thereto
US20180169589A1 (en) * 2015-06-15 2018-06-21 Dmac Ip Pty Ltd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WO2017105345A1 (en) * 2015-12-18 2017-06-22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pacer for a membrane modu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270A (ja) 1998-11-19 2000-06-06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0237554A (ja) 1999-02-18 2000-09-05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JP2004089763A (ja) 2002-08-29 2004-03-25 Japan Organo Co Ltd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分離膜モジュール、分離膜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水処理方法
JP2009195870A (ja) 2008-02-25 2009-09-03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JP2015066488A (ja) 2013-09-27 2015-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酸性ガス分離用スパイラル型モジュール
JP2015205269A (ja) 2014-04-08 2015-11-19 東レ株式会社 分離膜構造体および分離膜エレメ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2890A1 (en) 2019-09-25
JP2018086642A (ja) 2018-06-07
KR20180090896A (ko) 2018-08-13
EP3542890A4 (en) 2019-10-30
JP6353957B2 (ja) 2018-07-04
EP3542890B1 (en) 2022-09-28
US20200164315A1 (en) 2020-05-28
RU2703622C1 (ru) 2019-10-21
US11484840B2 (en) 2022-11-01
CN108495701A (zh) 2018-09-04
CN108495701B (zh)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648B1 (ko) 원수 유로 스페이서, 및 이것을 구비한 스파이럴형 막 엘리먼트
CN100493687C (zh) 检测分离模块的方法
KR101593341B1 (ko)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용 단부재,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 및 분리막 모듈
KR102009550B1 (ko) 다단 역침투막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JPH03504820A (ja) スパイラル状に巻かれた逆浸透膜セル
KR20150036192A (ko) 저 에너지 피드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멤브레인 여과
KR20110074539A (ko) 나선형으로 권취된 막 분리기 조립체
CN107531526B (zh) 包含螺旋卷绕生物反应器和超滤膜模块的过滤总成
US20160279575A1 (en) Flow path member and forward osmosis membrane element
KR101632941B1 (ko) 유체 커플링을 가지는 여과 시스템
CN107530631B (zh) 包含定位在独立的压力容器中的螺旋卷绕生物反应器和膜模块的过滤总成
KR20200110331A (ko) 막분리 시스템 및 막분리 시스템의 운전 방법
US20150182918A1 (en) Multi-pass hyperfiltration system
JP2015107483A (ja) 螺旋流水処理装置
EP3795239A1 (en) Channel spacer and spiral membrane element
WO2018092343A1 (ja) 原水流路スペーサ、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KR20190031715A (ko) 4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JP2009050759A (ja)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
US11123691B2 (en) Separation membrane element
KR101522463B1 (ko) 고유량 압력지연 삼투막 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지연 삼투모듈
JP7302973B2 (ja)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771812B2 (ja) スパイラル型分離膜モジュール
KR20140087416A (ko) 중공사막 모듈
US20230025401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JP2015089536A (ja) 分離膜エレメントおよび分離膜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