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642B1 -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642B1
KR101916642B1 KR1020180103001A KR20180103001A KR101916642B1 KR 101916642 B1 KR101916642 B1 KR 101916642B1 KR 1020180103001 A KR1020180103001 A KR 1020180103001A KR 20180103001 A KR20180103001 A KR 20180103001A KR 101916642 B1 KR101916642 B1 KR 101916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pring cover
pressure
sub
fix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1020180103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용기의 뚜껑을 가압하는 압력조절부; 중심에 상기 압력조절부가 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일단이 상기 서브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을 결합하고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Removable type pressure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조리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압력조절부, 중심에 상기 압력조절부가 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일단이 상기 서브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을 결합하고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다양한 조리용기에 사용하여 조리용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여 한계압력을 설정할 수 있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 등의 야외할동에 있어서, 취사 등의 해결은 소위 코펠이라는 용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코펠은 등산과 같은 야외활동에 맞추어 제작되는 관계로 가볍고 또한 단순하게 제작되어, 주로 낚시, 산악 등과 같은 야회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취사도구로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코펠은 취사 시에 밥을 짓기에 알맞은 내부 압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관계로, 특히 산과 같은 기압이 낮은 장소에서는 적절한 내부 압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밥이 설익는 경우, 취사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등이 발생하곤 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일부 해결하고자, 오토 캠핑등과 같은 일반 캠핑에서도 맛을 위해 압력밥솥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압력밥솥을 야외로 가져가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압력밥솥은 무게가 무겁고 또한, 압력밥솥의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조절장치가 외부로 돌출하여 운반을 위한 포장도 힘들뿐만 아니라, 항상 돌출되어 있는 압력조절장치에 외부 충격이 가해져 압력조절장치에 손상을 입을 위험성이 있다.
또한, 현재의 압력밥솥 구조에서는 압력을 배출하는 곳이 압력조절장치 하나뿐이기 때문에, 만일 압력조절장치가 음식물 찌꺼기 등에 의해 막히는 경우에, 압력밥솥의 내부압력이 높아져 밥솥이 폭발할 위험성도 있다. 물론, 이러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 높은압력 하에서 밥솥은 고무링이 외부로 돌출하게끔 되어 있지만, 만일 고무링이 돌출하지 않게 되면 밥솥은 위험한 물건을 돌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된 야외용 조리용기가 개발되어 이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된 야외용 조리용기는 조리용기 자체에 압력조절장치가 달려있으며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고, 이 설정된 내부 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개방 조작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압력밭솥과 같이, 압력을 조절할 수 없으며 압력을 배출하는 곳이 압력조절장치 하나뿐이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내부압력이 너무 높아질 경우 폭발 위험성이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압력조절장치의 경우에는 조리용기에서 조리되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항상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개방 조작되기 때문에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는 조리종류에 맞추어 적정한 배출 압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점과, 이로 인한 양질의 조리가 불가능하다는 큰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압력솥은 단순하게 압력솥으로만 사용이 가능하여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조리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압력조절부, 중심에 상기 압력조절부가 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일단이 상기 서브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을 결합하고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다양한 조리용기에 사용하여 조리용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여 한계압력을 설정할 수 있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뚜껑을 가압하는 압력조절부; 중심에 상기 압력조절부가 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일단이 상기 서브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을 결합하고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부는 하측이 상기 조리용기의 뚜껑을 가압하는 하부 스프링커버; 상기 하부 스프링커버 상측과 연결되는 상부 스프링커버; 상기 하부 스프링커버 및 상부 스프링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스프링; 일단이 상기 상부 스프링커버의 상측에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핸들축; 상기 핸들축 타단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축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결합부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스프링커버는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는 뚜껑고정돌기 및 상기 하부 스프링커버 상면에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가압스프링이 위치하는 하부원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스프링커버는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원통이 삽입되고, 외측에 상기 가압스프링이 위치하는 상부원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스프링커버는 상기 하부원통의 정후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프링커버는 상기 상부원통의 정후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가이드 및 상부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스프링커버 및 상부 스프링커버를 연결시키는 체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지면과 수직이고, 서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2개의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서브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서브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판의 간격을 조여주는 중간 고정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일측이 개구되고, 상기 결합부 고정볼트의 상부가 삽입되는 고정볼트홈; 상기 고정볼트홈 상측에 형성되고, 개구된 일측까지 형성되며 키홀형상인 핸들축홀 및 상기 고정볼트홈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 스프링커버가 위치할 수 있는 원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메인 고정홀; 상기 메인프레임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몸체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고정판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용기는 상기 조리용기 몸체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이 삽입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판을 상기 고정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고정부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조리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압력조절부, 중심에 상기 압력조절부가 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일단이 상기 서브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을 결합하고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조리용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의 장착 위치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조리용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여 조리용기의 한계압력을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조리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의 구성으로, 조리용기의 내부압력이 한계이상이 되면 조리용기의 뚜껑 전체에서 증기가 배출되므로 폭발 위험성이 없다.
또한, 압력 유지장치 거치시에는 압력솥으로, 탈착시에는 일반 가열용기로 사용 할 수 있어 보다 조리도구의 실용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탁타입 압력유지장치의 압력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에서 스프링을 제외하고 압력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의 서브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를 조리용기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를 고정부를 포함한 조리용기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탁타입 압력유지장치의 압력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에서 스프링을 제외하고 압력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의 서브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를 조리용기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는 조리용기(2)에 사용되어 조리용기(2)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탈부착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며,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조리용기(2)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압력조절부(100), 서브프레임(200), 메인프레임(300), 프레임 고정볼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조절부(100)는 조리용기(2)의 뚜껑을 가압하여 조리용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절부(100)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의 서브프레임(20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조리용기(2)의 뚜껑을 가압하는 것으로 밀착되거나, 조리용기(2)의 뚜껑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절부(100)는 하부 스프링커버(110), 상부 스프링커버(120), 가압스프링(130), 핸들축(140), 핸들(150) 및 결합부 고정볼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하부 스프링커버(110)는 하측이 조리용기(2)의 뚜껑을 가압할 수 있고, 가압스프링(130) 하측에 위치하여 가압스프링(130)을 받쳐줄 수 있다.
또한, 하부 스프링커버(11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 스프링커버(110)는 뚜껑고정돌기(111) 및 하부원통(112)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고정돌기(111)는 하부 스프링커버(110) 하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조리용기(2)의 뚜껑을 가압하거나, 조리용기(2)의 뚜껑에 삽입되어 압력조절부(100)가 조리용기(2)의 뚜껑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뚜껑고정돌기(111)는 하부 스프링커버(110)의 원주보다 지름이 작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원통(112)은 하부 스프링커버(110) 상면에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원통(112)은 외측에 가압스프링(13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부원통(112)은 상부 스프링커버(120)와 연결될 수 있는데, 상부 스프링커버(120)의 상부원통(12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스프링커버(110)는 하부원통(112)의 정후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가이드(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가이드(113)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핀(170)에 의해 상부 스프링커버(120)와 연결되고, 상부 스프링커버(120)가 상하방향으로 하부가이드(113) 및 상부가이드(122)의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상부 스프링커버(120)는 하부 스프링커버(110) 상측과 연결될 수 있고, 핸들축(140)에 의해 압력을 받아 하강하여 가압스프링(130)을 압착시킬 수 있고, 핸들축(14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부 스프링커버(120)도 승강하여 가압스프링(130)의 압착을 풀 수 있다.
또한, 상부 스프링커버(12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스프링커버(120)는 상부원통(121) 및 상부가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원통(121)은 상부 스프링커버(120) 하면에 형성되고, 하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원통(121)은 외측에 가압스프링(13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원통(121)은 하부 스프링커버(110)의 하부원통(112)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부가이드(122)는 상부원통(121)의 정후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가이드(122)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핀에 의해 하부 스프링커버(110)와 연결되고, 상부 스프링커버(120)가 상하방향으로 상부가이드(122) 및 하부가이드(113)의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부 스프링커버(110)와 상부 스프링커버(120)가 서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고, 압력조절부(100)로 조리용기(2)의 뚜껑을 가압 시 상부 스프링커버(1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스프링(130)은 하부 스프링커버(110) 및 상부 스프링커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스프링(130)은 하부 스프링커버(110)에 의해 받혀지고, 상부 스프링커버(120)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가압스프링(130)의 가압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가압스프링(13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조리용기(2)의 내부 한계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압스프링(130)의 구성으로, 한계압력에 도달할 시 조리용기(2)의 뚜껑 전체가 가압스프링(130)을 밀어 올리면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핸들축(140)은 일단이 상부 스프링커버(120)의 상측에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핸들축(140)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브프레임(200)에 고정된 결합부 고정볼트(160)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2)에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를 설치하고 핸들(150)을 돌려 핸들축(140)이 하강하게 되면 상부 스프링커버(120)를 하측방향으로 밀어주면서 가압스프링(130)을 가압할 수 있다.
핸들(150)은 핸들축(140) 타단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핸들축(140)을 편리하게 돌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 고정볼트(160)는 핸들축(140)에 설치되고 결합부(210)에 삽입되어, 서브프레임(200)에 압력조절부(10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결합부 고정볼트(160)가 결합부(210)의 고정볼트홈(21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결합부 고정볼트(160)가 고정되어 있어, 핸들(150)에 의해 핸들축(140)이 회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압스프링(130)의 가압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 고정볼트(160)는 도 2 및 도 3에 사각볼트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으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 고정볼트(160)는 중심에 홀이 형성되고, 홀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핸들축(140)의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 고정볼트(160)의 나사산을 따라 핸들축(140)이 회전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조리용기(2)의 뚜껑에 압력조절부(100)를 설치하고, 핸들(150)을 돌려 핸들축(140)이 하강하면서 상부 스프링커버(120)를 하측방향으로 밀어주고, 그에 따라, 가압스프링(130)이 가압될 수 있다.
이때, 가압스프링(130)의 가압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조리용기(2)의 내부 한계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가 설치된 조리용기(2)는 작은 홀의 구성으로 압력을 배출하는 것과 같이 압력을 배출하는 부분이 하나가 아니라, 조리용기(2)의 뚜껑 전체에서 증기를 배출하기 때문에 폭발 위험성이 없을 수 있다.
또한, 조리음식에 따라 한계압력을 조절하여, 음식에 맞게 조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200)은 압력조절부(100)를 양측에서 잡아주고, 메인프레임(300)과 연결되어,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의 연결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200)은 결합부(210), 수평판(220) 및 서브 고정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서브프레임(200) 중심에 형성되어 압력조절부(100)가 탈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결합부(210)는 일측이 개구되고, 고정볼트홈(211), 핸들축홀(212) 및 원홈(213)을 포함하여, 압력조절부(100)가 결합부(210)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고정볼트홈(211)은 사각형상으로 결합부(210)의 원 중심에 형성되고, 결합부(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결합부 고정볼트(16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볼트홈(211)은 사각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 고정볼트(160)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핸들축홀(212)은 고정볼트홈 상측에 형성되고, 개구된 일측까지 형성되며 키홀형상일 수 있다.
즉, 핸들축홀(212)은 결합부(210)의 중심측으로 반원형상이며, 결합부(210)의 외측으로 사각형상인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축홀(212)은 압력조절부(100)가 결합부(210)에 탈착될 때, 핸들축(140)이 결합부(210)로 삽입되고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원홈(213)은 고정볼트홈(211)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부 스프링커버(12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원홈(213)은 원형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 상부 스프링커버(120) 및 가압스프링(130)이 위치하거나, 하강되어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수평판(220)은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2개가 양측에 지면과 수직이고, 서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2개의 수평판(220)이 형성되고, 총 4개의 수평판(2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과 같이, 도면에는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2개의 수평판(220)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다각으로 다수개의 수평판(220)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메인프레임(3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2)의 몸체의 다방면에서 가압하며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방향 끝단에 2개의 수평판(220) 사이에 메인프레임(300)이 위치되어 프레임 고정볼트(400)로 연결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수평판(220)은 서브 고정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고정홀(230)은 수평판(220)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브 고정홀(230)은 프레임 고정볼트(400)가 체결될 수 있고, 중간 고정볼트(240)도 체결될 수 있다.
즉, 서브 고정홀(230)이 수평판(22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됨으로써, 메인프레임(300)이 서브프레임(200)에 연결되는 장착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조리용기(2)의 크기(지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200)은 중간 고정볼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 고정볼트(240)는 서브 고정홀(230)에 삽입되어 수평판(220)의 간격을 더욱 조여줄 수 있다. 즉, 프레임 고정볼트(400)의 보조역할을 하여 서브프레임(200)에 메인프레임(300)이 고정되는 고정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중간 고정볼트(240)는 결합부(210) 및 프레임 고정볼트(4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체결되어야 한다.
또한, 중간 고정볼트(240)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서브프레임(200)의 끝단에 메인프레임(300)의 일측 끝단을 연결시키고, 메인프레임(300)을 외측으로 회전시켜 서브프레임(200)에 결합시킨 후 중간 고정볼트(240)를 서브프레임(200) 및 메인프레임(300)에 체결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의 보관이 용이하고, 부피를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들고 다닐 수 있다.
메인프레임(300)은 일단이 서브프레임(200)의 양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조리용기(2)의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는 조리용기(2)를 양측에서 메인프레임(300)에 의해 잡아줌으로써,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의 설치 고정력이 높아질 수 있고, 조리용기(2)의 압력을 보다 잘 견디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300)은 메인 고정홀(310), 고정판(320), 몸체 고정볼트(330) 및 고정판홀(34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고정홀(310)은 메인프레임(3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브프레임(200)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300)의 장착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조리용기(2)의 높이(뚜껑에서 몸체까지의 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고정판(320)은 메인프레임(300) 타단에 형성되고,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320)은 조리용기(2)의 몸체에 부착될 수 있다. 조리용기(2)의 몸체와의 접촉면적이 최대화되도록 조리용기(2)의 몸체 일측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조리용기(2)의 몸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320)은 조리용기(2)의 몸체 상단 또는 뚜껑 하단의 걸림 부분에 걸려 부착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또한, 고정판(320)는 조리용기(2)의 몸체와의 밀착력 및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찰력이 높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320)은 몸체 고정볼트(330)가 삽입되고, 몸체 고정볼트(330)가 의해 조리용기(2)의 몸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몸체 고정볼트(330)는 고정판(320)에 구비되어 조리용기(2)의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몸체 고정볼트(330)는 고정판(320)의 고정판홀(340)에 삽입되고 조리용기(2)의 몸체를 양측에서 고정하여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를 조리용기(2)의 몸체와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조절부(100)는 조리용기(2)의 뚜껑에 설치되고, 조리용기(2)의 몸체를 양측에서 잡아줌으로써, 조리용기(2)의 뚜껑과 몸체를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판홀(340)은 고정판(320)에 형성되어 몸체 고정볼트(330)가 관통될 수 있다.
프레임 고정볼트(400)는 서브프레임(200) 및 메인프레임(300)을 결합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임 고정볼트(400)는 메인프레임(300)이 서브프레임(200)에 결합되는 각도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메인프레임(300)이 서브프레임(200)에 결합되는 각도는 90˚가 바람직하나, 이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 고정볼트(400)는 서브프레임(200)의 서브 고정홀(230) 및 메인프레임(300)의 메인 고정홀(310)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되는 서브 고정홀(230) 및 메인 고정홀(310)에 따라 메인프레임(300)의 장착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를 고정부를 포함한 조리용기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의 조리용기(2)는 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용기(2)는 가열이 가능한 냄비, 코펠, 팬, 찜솥, 압력솥 등 다양한 조리용기일 수 있다. 즉, 요리, 조리 등에 사용되는 조리용기면 모두 포함되며, 상기에세 설명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조리용기들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부(500)는 조리용기(2)의 몸체 양측면에 형성되고 고정판(320)이 삽입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고정부(500)는 조리용기(2)의 몸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500)는 조리용기(2)의 몸체에 일체형 또는 탈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00)는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고정부(500)는 상측에 메인프레임(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홈은 메인프레임(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00)는 외측면에 고정부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홀(미도시)은 고정판(320)을 고정부(500)에 고정시키도록 몸체 고정볼트(330)가 삽입될 수 있다.
즉, 고정부(500)에 메인프레임(300)의 고정판(320)이 삽입되고, 몸체 고정볼트(330)를 고정부홀(미도시)에 삽입하여 고정판(3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가 조리용기(2)에 설치될 때, 조리용기(2)의 몸체 및 뚜껑의 고정력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1)는 조리용기(2)에 설치되어 조리용기(2)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300)의 장착 위치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조리용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압스프링(130)의 장력을 조절하여 조리용기(2)의 한계압력을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조리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압스프링(130)의 구성으로, 조리용기(2)의 내부압력이 한계이상이 되면 조리용기(2)의 뚜껑 전체에서 증기가 배출되므로 폭발 위험성이 없다.
또한, 조리용기(2)에 탈착이 가능하고 보관성이 우수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조리용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더 나아가 조리용기 외에도 압력유지가 필요한 장치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조절부가 분리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는 사용범위가 제품 또는 장치의 형태와 크기, 용도에 한정되지 않으며 압력에 관한 제품 또는 장치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2: 조리용기
100: 압력조절부
110: 하부 스프링커버
111: 뚜껑고정돌기
112: 하부원통
113: 하부가이드
120: 상부 스프링커버
121: 상부원통
122: 상부가이드
130: 가압스프링
140: 핸들축
150: 핸들
160: 결합부 고정볼트
170: 체결핀
200: 서브프레임
210: 결합부
211: 고정볼트홈
212: 핸들축홀
213: 원홈
220: 수평판
230: 서브 고정홀
240: 중간 고정볼트
300: 메인프레임
310: 메인 고정홀
320: 고정판
330: 몸체 고정볼트
340: 고정판홀
400: 프레임 고정볼트
500: 고정부

Claims (10)

  1. 조리용기의 뚜껑을 가압하는 압력조절부;
    중심에 상기 압력조절부가 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일단이 상기 서브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을 결합하고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서브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메인 고정홀을 포함하여,
    상기 서브프레임 및 메인프레임간의 결합위치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는,
    하측이 상기 조리용기의 뚜껑을 가압하는 하부 스프링커버;
    상기 하부 스프링커버 상측과 연결되는 상부 스프링커버;
    상기 하부 스프링커버 및 상부 스프링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스프링;
    일단이 상기 상부 스프링커버의 상측에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핸들축;
    상기 핸들축 타단에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축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결합부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프링커버는,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는 뚜껑고정돌기 및
    상기 하부 스프링커버 상면에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가압스프링이 위치하는 하부원통을 포함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링커버는,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원통이 삽입되고, 외측에 상기 가압스프링이 위치하는 상부원통을 포함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프링커버는,
    상기 하부원통의 정후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프링커버는,
    상기 상부원통의 정후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가이드 및 상부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스프링커버 및 상부 스프링커버를 연결시키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지면과 수직이고, 서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2개의 수평판을 더 포함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서브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판의 간격을 조여주는 중간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일측이 개구되고,
    상기 결합부 고정볼트의 상부가 삽입되는 고정볼트홈;
    상기 고정볼트홈 상측에 형성되고, 개구된 일측까지 형성되며 키홀형상인 핸들축홀 및
    상기 고정볼트홈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 스프링커버가 위치할 수 있는 원홈을 포함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몸체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고정판홀을 더 포함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
    상기 조리용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이 삽입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판을 상기 고정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고정부홀을 포함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KR1020180103001A 2018-08-30 2018-08-30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KR101916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001A KR101916642B1 (ko) 2018-08-30 2018-08-30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001A KR101916642B1 (ko) 2018-08-30 2018-08-30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556 Division 2017-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642B1 true KR101916642B1 (ko) 2019-01-30

Family

ID=6527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001A KR101916642B1 (ko) 2018-08-30 2018-08-30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6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524B1 (ko) * 2019-11-18 2020-12-29 김완수 압력조절이 용이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KR102288742B1 (ko) * 2021-02-24 2021-08-10 김장현 전자유도가열식 취반기 및 이에 사용되는 조리기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1879A (en) * 1981-02-25 1983-05-03 Harvey Hubbell Incorporated Detenting lift cover
US6802429B1 (en) * 2000-08-25 2004-10-12 Premark Feg L.L.C. Floating lid assembly for a steam kettle
US20050166908A1 (en) * 2002-03-08 2005-08-04 Seb S.A. Food pressure-cooking device with a rotary locking/unlocking control device
KR100683559B1 (ko) * 2006-07-26 2007-02-20 신화석 압력용기용 뚜껑잠금장치
KR200452262Y1 (ko) * 2008-06-03 2011-02-14 권태웅 시멘트 기둥용 유로폼 고정밴드
KR101246679B1 (ko) * 2012-06-18 2013-03-22 주식회사 키친마더 압력조리기구
US20130098921A1 (en) * 2011-10-25 2013-04-25 Guoqing Yang Slow Cooker and Lock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1879A (en) * 1981-02-25 1983-05-03 Harvey Hubbell Incorporated Detenting lift cover
US6802429B1 (en) * 2000-08-25 2004-10-12 Premark Feg L.L.C. Floating lid assembly for a steam kettle
US20050166908A1 (en) * 2002-03-08 2005-08-04 Seb S.A. Food pressure-cooking device with a rotary locking/unlocking control device
KR100683559B1 (ko) * 2006-07-26 2007-02-20 신화석 압력용기용 뚜껑잠금장치
KR200452262Y1 (ko) * 2008-06-03 2011-02-14 권태웅 시멘트 기둥용 유로폼 고정밴드
US20130098921A1 (en) * 2011-10-25 2013-04-25 Guoqing Yang Slow Cooker and Locking Assembly
KR101246679B1 (ko) * 2012-06-18 2013-03-22 주식회사 키친마더 압력조리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524B1 (ko) * 2019-11-18 2020-12-29 김완수 압력조절이 용이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KR102288742B1 (ko) * 2021-02-24 2021-08-10 김장현 전자유도가열식 취반기 및 이에 사용되는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642B1 (ko)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US5542347A (en) Fry pan cooking shield and method
US6561080B1 (en) Screw press coffee brewing apparatus
US11039713B2 (en) Accessory clamp for grill
US4639161A (en) Shelving device
US20120240790A1 (en) Clip system for positioning a strainer basket within a cooking container
KR20140050612A (ko) 음료수 글라스 및 음료수 글라스 조립체
US9341365B2 (en) Eversible candle holder
US20180134447A1 (en) Container with and container assembly with engagable cap
KR101916643B1 (ko) 압력조절부가 분리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KR200456214Y1 (ko) 조리용기
US6637713B1 (en) Log supporting apparatus
US4379513A (en) Pressure vessel fastening means
KR102196524B1 (ko) 압력조절이 용이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KR101874251B1 (ko)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WO2004103132A1 (en) Handle of the pot-lid for preventing the contents in the pot from overflowing
US20030094169A1 (en) Cooking device
KR102291876B1 (ko) 가스 조리와 인덕션을 겸비한 이중조리용기
WO2008085053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drink from flexible packaging
KR101875331B1 (ko)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CN204427657U (zh) 压力锅
USD483217S1 (en) Food steamer insert
CN211559713U (zh) 一种可堆叠收纳的套装锅具
JP2003190011A (ja) 積重ね加熱調理容器
CN213872807U (zh) 一种微波炉加热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