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331B1 -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5331B1 KR101875331B1 KR1020170082555A KR20170082555A KR101875331B1 KR 101875331 B1 KR101875331 B1 KR 101875331B1 KR 1020170082555 A KR1020170082555 A KR 1020170082555A KR 20170082555 A KR20170082555 A KR 20170082555A KR 101875331 B1 KR101875331 B1 KR 1018753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ressure
- cooking tool
- lid
- coo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며,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압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뭉치는 상기 제2 프레임과의 연결 위치가 변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조리도구 뚜껑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탄성력을 형성하여 조리도구 내부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증가할 때 뚜껑이 일정 범위안에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도구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도구의 몸체와 뚜껑에 설치되되 조리도구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가변되도록 설치되며, 뚜껑을 가압하되 내부가 일정압력에 이르면 뚜껑이 일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조리도구 내부 압력을 유지하며,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탈착식으로 휴대가 편리한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 등의 야외할동에 있어서, 취사 등의 해결은 소위 코펠이라는 용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코펠은 등산과 같은 야외활동에 맞추어 제작되는 관계로 가볍고 또한 단순하게 제작되어, 주로 낚시, 산악 등과 같은 야회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취사도구로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코펠은 취사 시에 밥을 짓기에 알맞은 내부 압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관계로, 특히 산과 같은 기압이 낮은 장소에서는 적절한 내부 압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밥이 설익는 경우, 취사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등이 발생하곤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일부 해결하고자, 오토 캠핑등과 같은 일반 캠핑에서도 맛을 위해 압력밥솥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압력밥솥을 야외로 가져가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압력밥솥은 무게가 무겁고 또한, 압력밥솥의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조절장치가 외부로 돌출하여 운반을 위한 포장도 힘들뿐만 아니라, 항상 돌출되어 있는 압력조절장치에 외부 충격이 가해져 압력조절장치에 손상을 입을 위험성이 있다.
또한, 현재의 압력밥솥 구조에서는 압력을 배출하는 곳이 압력조절장치 하나뿐이기 때문에, 만일 압력조절장치가 음식물 찌꺼기 등에 의해 막히는 경우에, 압력밥솥의 내부압력이 높아져 밥솥이 폭발할 위험성도 있다. 물론, 이러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 높은 압력 하에서 밥솥은 고무링이 외부로 돌출하게끔 되어 있지만, 만일 고무링이 돌출하지 않게 되면 밥솥은 위험한 물건을 돌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된 야외용 조리용기가 개발되어 이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된 야외용 조리용기는 조리용기 자체에 압력조절장치가 달려있으며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고, 이 설정된 내부 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개방 조작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압력밭솥과 같이, 압력을 조절할 수 없으며 압력을 배출하는 곳이 압력조절장치 하나뿐이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내부압력이 너무 높아질 경우 폭발 위험성이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압력조절장치의 경우에는 조리용기에서 조리되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항상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개방 조작되기 때문에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는 조리종류에 맞추어 적정한 배출 압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점과, 이로 인한 양질의 조리가 불가능하다는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도구의 몸체와 뚜껑에 설치되되 조리도구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가변되도록 설치되며, 뚜껑을 가압하되 내부가 일정압력에 이르면 뚜껑이 일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조리도구 내부 압력을 유지하며,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탈착식으로 휴대가 편리한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며,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압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뭉치는 상기 제2 프레임과의 연결 위치가 변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조리도구 뚜껑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탄성력을 형성하여 조리도구 내부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증가할 때 뚜껑이 일정 범위안에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도구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는 일단에 뚜껑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제1 볼트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은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고정되는 일단에 고정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제2 볼트삽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볼트삽입홀에 볼트가 삽입되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뭉치는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는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 상측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부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가압뭉치의 연결 위치가 변동되도록 회동하는 위치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원반형으로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연결되며, 양측에 소정의 길이의 핀가이드를 형성하는 폴가이드; 상기 폴가이드와 핀에 의해 체결되어 폴가이드 내부를 유동하는 유동폴대; 상기 유동폴대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원반형의 가압판 및 상기 지지판과 가압판에 의해 상하단이 지지되어 탄성력을 형성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가변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가압판이 상기 코일스프링을 가압 또는 감압하여 조리도구 뚜껑에 대한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부는 상기 탄성부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는 나사산부 및 상기 나사산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하여 연결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산부가 상기 결합너트 내측을 따라 회동하여 상기 제2 프레임과의 연결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뭉치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간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도록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며,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가압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뭉치는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연결 위치가 변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조리도구 뚜껑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탄성력을 형성하여 조리도구 내부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증가할 때 뚜껑이 일정 범위안에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도구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압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뭉치는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연결 위치가 변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조리도구 뚜껑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탄성력을 형성하여 조리도구 내부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증가할 때 뚜껑이 일정 범위안에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도구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탈착식으로 형성되어 휴대가 편리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의 조리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압력 유지장치 거치시에는 압력솥으로, 탈착시에는 일반 가열용기로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조리도구의 실용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뚜껑을 가압하되 내부가 일정압력에 이르면 뚜껑이 일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조리도구의 폭발 없이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뭉치가 구비되어 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하며, 조리도구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이 다수의 체결공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조리도구의 형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유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코일스프링을 제외하고 도시한 도 2의 압력유지장치의 일 구성인 가압뭉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압력유지장치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보조판이 조리기구에 구비되어 고정판이 고정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유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코일스프링을 제외하고 도시한 도 2의 압력유지장치의 일 구성인 가압뭉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압력유지장치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보조판이 조리기구에 구비되어 고정판이 고정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결합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압력유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코일스프링을 제외하고 도시한 도 2의 압력유지장치의 일 구성인 가압뭉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의 압력유지장치 작동 예시도이고, 도 5는 보조판이 조리기구에 구비되어 고정판이 고정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제1 프레임(100), 제1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200),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과 각각 연동되는 가압뭉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100)은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의 형상 등의 바 형태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동일한 판이 이격되어 이어진 구조일 수 있다.
이하, 이해가 쉽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인 두개의 동일한 판이 이격되어 이어진 구조를 바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프레임(100)은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00)은 뚜껑고정볼트(160)에 의해 조리도구 뚜껑(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프레임(100)은 일단에는 뚜껑고정볼트(16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볼트삽입홀(110)이 형성될 수 잇다.
즉, 뚜껑고정볼트(160)는 제1 볼트삽입홀(110)을 따라 회동하면서 조리도구 뚜껑(20)에 고정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볼트삽입홀(110)은 내주면에 뚜껑고정볼트(160)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프레임(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100)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의 형상 등의 바 형태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판 형태 또는 두개의 동일한 판이 이격되어 이어진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의 형상 등의 바 형태나 동일한 판이 이격되어 이어진 구조는 제1 프레임(100)의 이격된 판 내부 사이로 결합될 수 있으며, 두개의 동일한 판이 이격되어 이어진 구조는 제1 프레임(100)보다 더 멀게 이격되어 제1 프레임의 2개의 판 외부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도 1에 도시된 형태인 하나의 판으로 구성된 제2 프레임(200)이 제1 프레임(100)의 이격된 판 내부 사이로 결합되는 것을 바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프레임(200)은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200)의 일단에는 고정판(21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210)은 조리도구 몸체(10) 일측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판(210)이 조리도구 몸체(10) 일측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조리도구 몸체(10) 일측과 소정의 마찰력을 형성하여 미끄럼이 방지되며,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부착력을 더하기 위해 고정판(210)에는 고무패드 등의 마찰력이 높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고정판(210)은 조리도구 몸체(10) 일측에 부착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볼트삽입홀(21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볼트삽입홀(212)은 조리도구 몸체(10) 일측과 고정판(210)을 연결하기 위해 볼트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조리도구 몸체(10) 일측에는 제2 볼트삽입홀(212)에 상응하는 홀을 형성하는 보조판(26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판(260)은 고정판(210)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조리도구 공정시에 조리도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착식으로 구비되어 조리도구 몸체(10) 일측과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판(260)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압력유지장치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판(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판(27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00) 타단에는 고정쇠(40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쇠(400)는 후술하는 가압뭉치(300)와 연결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정쇠(400)를 통해 제2 프레임(200)과 가압뭉치(300)가 연동될 수 있다.
가압뭉치(300)는 제2 프레임(20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압뭉치(300)는 제1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압뭉치(300)는 제2 프레임(200)과의 연결 위치가 변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조리도구 뚜껑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압뭉치(300)는 하부에 탄성력을 형성함으로써 조리도구 내부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증가할 때 조리도구 뚜껑이 일정 범위안에서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리도구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뭉치(300)는 상기의 작동을 위해 결합부(310), 탄성부(320), 위치가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10)는 제1 프레임(100)과 결합하는 가압뭉치(30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310)는 T형 배관 또는 T형 니플 형태와 유사한 결합부재(312)가 구비되며, 결합부재(312)가 제1 프레임(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프레임(100) 양측으로 볼트가 체결되어 결합부재(312)와 제1 프레임(100)이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결합부(310)의 상측으로는 탄성부(320)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320)는 결합부(310) 상측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도구 내부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조리도구 뚜껑을 일정 범위 안에서 개방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부(320)는 지지판(322), 폴가이드(323), 유동폴대(325), 가압판(326), 코일스프링(32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판(322)은 결합부(310)의 상단에 형성되어 결합부(310)와 연결되며,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반형의 형태는 지지판(322)이 후술하는 코일스프링(324)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상 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는 형태 등의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지지판(322)은 코일스프링(324)의 나선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폴가이드(323)는 지지판(32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폴가이드(323)는 소정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폴가이드(323)는 지지판(322)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폴가이드(323)는 양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핀가이드(3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폴가이드(323)가 유동폴대(325)와 핀에 의해 체결되는데, 이때 유동폴대(325)의 유동에 따라 체결되는 핀도 함께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폴가이드(323)와 유동폴대(325)를 체결하는 핀은 폴가이드(323)의 핀가이드(321)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유동폴대(325)는 폴가이드(323)와 핀에 의해 체결되어 폴가이드(323)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동폴대(325)는 폴가이드(323) 상측으로 이동할시에 핀이 핀가이드(321) 끝단에 걸림으로써 폴가이드(323)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유동폴대(325)의 상단에는 가압판(326)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판(326)은 유동폴대(325)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판(326)은 코일스프링(324)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지지판(322)과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판(326)은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324)의 나선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가압판(326)도 지지판(322)과 마찬가지로 원반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스프링(3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판(322)과 가압판(326)사이로 위치하여 하단이 지지판(322)에 의해 지지되며, 상단이 가압판(3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코일스프링(324)은 가압판(326)이 하부로 이동하면 가압판(326)에 의해 상단이 가압되어 지지판(322)과 결합부(310)에 순차적으로 힘이 전가되고, 뚜껑을 누르는 힘, 즉 조리도구에 대한 가압력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가압판(326)이 상부로 이동하면 가압판(326)에 의해 상단이 감압되어 가압력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가압판(326)의 상/하 이동은 후술하는 위치가변부(330)의 회동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324)은 탄성력을 형성함으로써 조리도구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조리도구 내부의 압력이 일정범위 이상 벗어날 시 조리도구 뚜껑을 상측으로 밀어내는데, 이때 코일스프링(324)의 탄성력으로 인해 조리도구 뚜껑은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소정의 범위에서 개방되어 내부 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상기 구조의 탄성부(320) 작용에 따라 가압력 조절과 조리도구 내부 압력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탄성부의 상측으로는 위치가변부(330)가 연결될 수 있다.
위치가변부(330)는 제2 프레임(200)과 가압뭉치(300)를 연결하는 동시에 연결 위치가 변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가변부(330)는 연결부(332), 나사산부(334) 및 결합너트(33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32)는 탄성부(320)와 위치가변부(33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탄성부(320)의 가압판(326)에서 일정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부(334)는 연결부(332)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사산부(334)는 결합너트(336)가 결합되며, 결합너트(336) 내부를 따라 회동하여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결합너트(336)는 나사산부(334)와 결합되는 동시에 제2 프레임(200)의 타단에 형성된 고정쇠(400)와 결합하여 제2 프레임(200)과 가압뭉치(3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즉, 결합너트(336)는 제2 프레임(200)의 고정쇠(400)와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나사산부(334)는 결합너트(336) 내부를 회동하여 고정쇠(400)와의 연결위치가 변경됨으로써,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산부(334)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회동하면 가압력은 증가되고, 상부로 이동하도록 회동하면 가압력은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압뭉치(300)를 회전시켜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압력유지장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뭉치(300)는 사용자가 잡는 위치인 상단에 손잡이(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제1 및 제2 프레임간(100, 2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제1 및 제2 프레임(100, 200)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두개 이상의 체결공(500)을 형성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의 체결공(500)간의 상응되는 위치를 다르게 하여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체결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두께, 너비, 높이 등이 다르게 형성되는 다양한 조리기구의 형상에 맞추어 압력유지장치의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가압뭉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의 결합위치, 가압뭉치(300)가 결합되는 고정쇠(400)의 형성 위치, 가압뭉치(300)의 일 구성인 결합부(310)의 결합위치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실시 예와 구분되는 고정쇠(400)의 형성 위치, 제2 프레임(200), 가압뭉치(300)의 결합위치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고정쇠(400)는, 제2 프레임(200)의 타단에 형성되었던 제1 실시 예와 달리 제1 프레임(100)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00)은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며, 타단에 고정쇠(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뭉치(300)는 고정쇠(400)에 결합너트(336)가 고정되므로 고정쇠(400)의 위치 변경에 따라 가압뭉치(300)의 결합위치도 변동될 수 있다.
즉, 가압뭉치(300)는 제1 프레임(100)과의 연결위치가 변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가압력이 조절되며, 탄성력이 형성되어 조리도구의 내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100)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가압뭉치(300)의 결합부(310)는 제2 프레임(200)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및 가압뭉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프레임(200)의 형태, 가압뭉치(300)의 결합부(310) 결합 위치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와 구분되는 제2 프레임(200)의 형태 및 가압뭉치(300)의 결합부(310) 결합 위치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프레임(200)은 일단이 몸체 일측에 부착되며, 타단이 제1 프레임(100)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 예와 달리 제2 프레임(200)의 타단이 제1 프레임(100)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가압뭉치(300)는 결합너트(336)가 제1 프레임(100) 타단에 형성된 고정쇠(400)에 결합되어 제1 프레임(100)과 연결되며, 결합부(310)는 제2 프레임(200)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프레임(100)과의 연결위치가 변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가압력이 조절되며, 탄성력이 형성되어 조리도구의 내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도구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리도구는 크기와 용도가 다양한 조리도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핑 또는 산악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코펠일 수 있으며, 식당 또는 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솥일 수도 있다. 또한, 압력솥의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며 대형 또는 소형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냄비, 팬, 찜솥 등의 조리기구 일 수도 있다. 즉, 요리, 조리 등에 사용되는 조리기구면 모두 포함되며,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조리도구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조리도구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더 나아가 조리도구 외에도 압력유지가 필요한 장치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사용범위가 제품 또는 장치의 형태와 크기, 용도에 한정되지 않으며 압력에 관한 제품 또는 장치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리도구당 하나의 압력유지장치가 부착 또는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가압뭉치, 고정판 등은 2개 이상으로도 구비되어 조리도구 몸체의 다방면에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조리도구 몸체
20 : 조리도구 뚜껑
100 : 제1 프레임
110 : 제1 볼트삽입홀
160 : 뚜껑고정볼트
200 : 제2 프레임
210 : 고정판
212 : 제2 볼트삽입홀
260 : 보조판
300 : 가압뭉치
310 : 결합부
312 : 결합부재
320 : 탄성부
321 : 핀가이드
322 : 지지판
323 : 폴가이드
324 : 코일스프링
325 : 유동폴대
326 : 가압판
330 : 위치가변부
332 : 연결부
334 : 나사산부
336 : 결합너트
340 : 손잡이
400 : 고정쇠
500 : 체결공
20 : 조리도구 뚜껑
100 : 제1 프레임
110 : 제1 볼트삽입홀
160 : 뚜껑고정볼트
200 : 제2 프레임
210 : 고정판
212 : 제2 볼트삽입홀
260 : 보조판
300 : 가압뭉치
310 : 결합부
312 : 결합부재
320 : 탄성부
321 : 핀가이드
322 : 지지판
323 : 폴가이드
324 : 코일스프링
325 : 유동폴대
326 : 가압판
330 : 위치가변부
332 : 연결부
334 : 나사산부
336 : 결합너트
340 : 손잡이
400 : 고정쇠
500 : 체결공
Claims (11)
-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며,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압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뭉치는,
상기 제2 프레임과의 연결 위치가 변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조리도구 뚜껑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탄성력을 형성하여 조리도구 내부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증가할 때 뚜껑이 일정 범위안에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도구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간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도록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간의 결합위치 조정 시 조리도구에 대한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는 일단에 뚜껑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제1 볼트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고정되는 일단에 고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제2 볼트삽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볼트삽입홀에 볼트가 삽입되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뭉치는,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는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 상측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부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가압뭉치의 연결 위치가 변동되도록 회동하는 위치가변부를 포함하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원반형으로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연결되며, 양측에 소정의 길이의 핀가이드를 형성하는 폴가이드;
상기 폴가이드와 핀에 의해 체결되어 폴가이드 내부를 유동하는 유동폴대;
상기 유동폴대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원반형의 가압판 및
상기 지지판과 가압판에 의해 상하단이 지지되어 탄성력을 형성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가변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가압판이 상기 코일스프링을 가압 또는 감압하여 조리도구 뚜껑에 대한 가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부는,
상기 탄성부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는 나사산부 및
상기 나사산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하여 연결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산부가 상기 결합너트 내측을 따라 회동하여 상기 제2 프레임과의 연결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뭉치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삭제
-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며,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가압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뭉치는,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연결 위치가 변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조리도구 뚜껑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탄성력을 형성하여 조리도구 내부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증가할 때 뚜껑이 일정 범위안에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도구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간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도록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간의 결합위치 조정 시 조리도구에 대한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압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뭉치는,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연결 위치가 변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조리도구 뚜껑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탄성력을 형성하여 조리도구 내부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증가할 때 뚜껑이 일정 범위안에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도구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간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도록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간의 결합위치 조정 시 조리도구에 대한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2555A KR101875331B1 (ko) | 2017-06-29 | 2017-06-29 |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2555A KR101875331B1 (ko) | 2017-06-29 | 2017-06-29 |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5331B1 true KR101875331B1 (ko) | 2018-07-05 |
Family
ID=6292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2555A KR101875331B1 (ko) | 2017-06-29 | 2017-06-29 |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5331B1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81879A (en) * | 1981-02-25 | 1983-05-03 | Harvey Hubbell Incorporated | Detenting lift cover |
JPH0382732U (ko) * | 1989-12-12 | 1991-08-22 | ||
JPH0389791U (ko) * | 1989-12-25 | 1991-09-12 | ||
US6802429B1 (en) * | 2000-08-25 | 2004-10-12 | Premark Feg L.L.C. | Floating lid assembly for a steam kettle |
US20050166908A1 (en) * | 2002-03-08 | 2005-08-04 | Seb S.A. | Food pressure-cooking device with a rotary locking/unlocking control device |
KR100683559B1 (ko) * | 2006-07-26 | 2007-02-20 | 신화석 | 압력용기용 뚜껑잠금장치 |
KR200452262Y1 (ko) * | 2008-06-03 | 2011-02-14 | 권태웅 | 시멘트 기둥용 유로폼 고정밴드 |
KR101246679B1 (ko) * | 2012-06-18 | 2013-03-22 | 주식회사 키친마더 | 압력조리기구 |
US20130098921A1 (en) * | 2011-10-25 | 2013-04-25 | Guoqing Yang | Slow Cooker and Locking Assembly |
-
2017
- 2017-06-29 KR KR1020170082555A patent/KR1018753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81879A (en) * | 1981-02-25 | 1983-05-03 | Harvey Hubbell Incorporated | Detenting lift cover |
JPH0382732U (ko) * | 1989-12-12 | 1991-08-22 | ||
JPH0389791U (ko) * | 1989-12-25 | 1991-09-12 | ||
US6802429B1 (en) * | 2000-08-25 | 2004-10-12 | Premark Feg L.L.C. | Floating lid assembly for a steam kettle |
US20050166908A1 (en) * | 2002-03-08 | 2005-08-04 | Seb S.A. | Food pressure-cooking device with a rotary locking/unlocking control device |
KR100683559B1 (ko) * | 2006-07-26 | 2007-02-20 | 신화석 | 압력용기용 뚜껑잠금장치 |
KR200452262Y1 (ko) * | 2008-06-03 | 2011-02-14 | 권태웅 | 시멘트 기둥용 유로폼 고정밴드 |
US20130098921A1 (en) * | 2011-10-25 | 2013-04-25 | Guoqing Yang | Slow Cooker and Locking Assembly |
KR101246679B1 (ko) * | 2012-06-18 | 2013-03-22 | 주식회사 키친마더 | 압력조리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284863A1 (en) | Crock Pot Lid Holder and Stand | |
WO2009103904A3 (fr) | Recipient chauffant et dispositif chauffant pour un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d'aliments et/ou de boissons | |
US758015A (en) | Camp-stove. | |
US676396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and supporting a utensil cover | |
US8783241B1 (en) | Dutch oven lid holder | |
CN201814427U (zh) | 用于在液体中烹饪食品的厨房用具 | |
KR101875331B1 (ko) |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
US6263787B1 (en) | Thermal cooker | |
US20060162128A1 (en) | Removable gripping handle for grilling tools | |
KR101916642B1 (ko) |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 |
KR101874251B1 (ko) |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
KR101916643B1 (ko) | 압력조절부가 분리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 |
KR101558995B1 (ko) |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 |
US4134385A (en) | Stove frame adapter | |
EP3505027A1 (en) | An adjustable detachable handle for pans | |
US8453300B1 (en) | On demand handling apparatus | |
US10722068B2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oking a meal | |
KR101377823B1 (ko) | 주방용품 받침 | |
KR20120065930A (ko) | 컵타입시루멀티안치대 | |
KR20120128490A (ko) | 조리용기용 절첩식 손잡이 | |
WO2004112557A1 (en) | Utensil for preparing food or beverages in general by means of heated liquids | |
WO2012150496A1 (en) | A controlled emptying kitchen saucepan | |
KR200494746Y1 (ko) | 탈부착형 기름받이가 구비된 전기그릴 | |
KR20100008647U (ko) | 프라이팬의 손잡이 | |
EP2928350B1 (fr) | Article culinaire muni d'un fond comportant un matériau à bas point de curi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