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251B1 -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 Google Patents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251B1
KR101874251B1 KR1020170082553A KR20170082553A KR101874251B1 KR 101874251 B1 KR101874251 B1 KR 101874251B1 KR 1020170082553 A KR1020170082553 A KR 1020170082553A KR 20170082553 A KR20170082553 A KR 20170082553A KR 101874251 B1 KR101874251 B1 KR 101874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oking tool
torsion spring
lid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102017008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며, 제1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며,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고, 제2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결합위치에 토션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걸쇠에 고정되어 조리도구 뚜껑과 조리도구 몸체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Removable pressure holding device using torsion spring}
본 발명은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도구의 몸체와 뚜껑에 설치되되 조리도구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가변되도록 설치되며, 뚜껑을 가압하되 내부가 일정압력에 이르면 뚜껑이 일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조리도구 내부 압력을 유지하며,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탈착식으로 휴대가 편리한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 등의 야외할동에 있어서, 취사 등의 해결은 소위 코펠이라는 용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코펠은 등산과 같은 야외활동에 맞추어 제작되는 관계로 가볍고 또한 단순하게 제작되어, 주로 낚시, 산악 등과 같은 야회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취사도구로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코펠은 취사 시에 밥을 짓기에 알맞은 내부 압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관계로, 특히 산과 같은 기압이 낮은 장소에서는 적절한 내부 압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밥이 설익는 경우, 취사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등이 발생하곤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일부 해결하고자, 오토 캠핑등과 같은 일반 캠핑에서도 맛을 위해 압력밥솥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압력밥솥을 야외로 가져가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압력밥솥은 무게가 무겁고 또한, 압력밥솥의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조절장치가 외부로 돌출하여 운반을 위한 포장도 힘들뿐만 아니라, 항상 돌출되어 있는 압력조절장치에 외부 충격이 가해져 압력조절장치에 손상을 입을 위험성이 있다.
또한, 현재의 압력밥솥 구조에서는 압력을 배출하는 곳이 압력조절장치 하나뿐이기 때문에, 만일 압력조절장치가 음식물 찌꺼기 등에 의해 막히는 경우에, 압력밥솥의 내부압력이 높아져 밥솥이 폭발할 위험성도 있다. 물론, 이러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 높은 압력 하에서 밥솥은 고무링이 외부로 돌출하게끔 되어 있지만, 만일 고무링이 돌출하지 않게 되면 밥솥은 위험한 물건을 돌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된 야외용 조리용기가 개발되어 이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된 야외용 조리용기는 조리용기 자체에 압력조절장치가 달려있으며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고, 이 설정된 내부 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개방 조작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압력밭솥과 같이, 압력을 조절할 수 없으며 압력을 배출하는 곳이 압력조절장치 하나뿐이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내부압력이 너무 높아질 경우 폭발 위험성이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압력조절장치의 경우에는 조리용기에서 조리되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항상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개방 조작되기 때문에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는 조리종류에 맞추어 적정한 배출 압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점과, 이로 인한 양질의 조리가 불가능하다는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도구의 몸체와 뚜껑에 설치되되 조리도구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가변되도록 설치되며, 뚜껑을 가압하되 내부가 일정압력에 이르면 뚜껑이 일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조리도구 내부 압력을 유지하며,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탈착식으로 휴대가 편리한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며, 제1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며,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고, 제2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결합위치에 토션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걸쇠에 고정되어 조리도구 뚜껑과 조리도구 몸체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는 일단에 뚜껑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제1 볼트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은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고정되는 일단에 고정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제2 볼트삽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볼트삽입홀에 볼트가 삽입되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상기 제2 프레임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당김쇠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당김쇠의 전/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이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김쇠는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는 일단에 형성되는 볼트삽입부; 당김쇠 일측에서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는 나사산부 및 상기 나사산부를 따라 회동하여 위치가 변동되는 견인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 타단에는 고정쇠가 형성되어, 상기 견인너트가 상기 고정쇠에 의해 지지되어 당김쇠가 제2 프레임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견인너트의 위치 변화에 따라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김쇠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간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도록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며, 제1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며,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고, 제2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당김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결합위치에 토션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걸쇠에 고정되어 조리도구 뚜껑과 조리도구 몸체 일측을 가압하며, 상기 당김쇠의 전/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이 회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며, 타단에 고정쇠가 형성되고, 제1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1 프레임 및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며, 제2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당김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결합위치에 토션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걸쇠에 고정되어 조리도구 뚜껑과 조리도구 몸체 일측을 가압하며, 상기 당김쇠의 전/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이 회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탈착식으로 형성되어 휴대가 편리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의 조리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압력 유지장치 거치시에는 압력솥으로, 탈착시에는 일반 가열용기로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조리도구의 실용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뚜껑을 가압하되 내부가 일정압력에 이르면 뚜껑이 일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조리도구의 폭발 없이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당김쇠가 구비되어 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하며, 조리도구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이 다수의 체결공을 형성함으로써 조리도구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유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유지장치에 당김쇠가 추가되어 구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당김쇠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보조판이 조리기구에 구비되어 고정판이 고정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결합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압력유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압력유지장치에 당김쇠가 추가되어 구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당김쇠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 예시도이고, 도 5는 보조판이 조리기구에 구비되어 고정판이 고정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제1 프레임(100) 및 제1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200)을 포함하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서로 결합되는 결합위치에 토션스프링(300)이 장착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100, 200)이 각각 조리도구 뚜껑(20)과 몸체(10) 일측을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100)은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의 형상 등의 바 형태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동일한 판이 이격되어 이어진 구조일 수 있다.
이하, 이해가 쉽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인 두개의 동일한 판이 이격되어 이어진 구조를 바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프레임(100)은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00)은 뚜껑고정볼트(170)에 의해 조리도구 뚜껑(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프레임(100) 일단에는 뚜껑고정볼트(17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볼트삽입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뚜껑고정볼트(170)는 제1 볼트삽입홀(120)을 따라 회동하면서 조리도구 뚜껑(20)에 고정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볼트삽입홀(120)은 내주면에 뚜껑고정볼트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프레임(100)이 조리도구 뚜껑(20)에 고정되는 것을 바탕으로 설명하였으나, 조리도구 뚜껑에 대한 고정은 본 발명의 압력유지장치를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고정 외에도 조리도구 뚜껑(20)에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00)은 제1 스프링걸쇠(1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걸쇠(110)는 토션스프링(300)의 일단이 고정되어 토션스프링(300)과 제1 프레임(1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스프링걸쇠(110)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의 두개 이상의 체결공에 따라 체결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구성하기 위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프레임(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100)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 또는 핀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의 형상 등의 바 형태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판 형태 또는 두개의 동일한 판이 이격되어 이어진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의 형상 등의 바 형태나 동일한 판이 이격되어 이어진 구조는 제1 프레임(100)의 이격된 판 내부 사이로 결합될 수 있으며, 두개의 동일한 판이 이격되어 이어진 구조는 제1 프레임(100)보다 더 멀게 이격되어 제1 프레임의 2개의 판 외부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도 2에 도시된 형태인 하나의 판으로 구성된 제2 프레임(200)이 제1 프레임(100)의 이격된 판 내부 사이로 결합되는 것을 바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프레임(200)은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200)의 일단에는 고정판(2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220)은 조리도구 몸체(10) 일측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판(220)이 조리도구 몸체(10) 일측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조리도구 몸체(10) 일측과 소정의 마찰력을 형성하여 미끄럼이 방지되며,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부착력을 더하기 위해 고정판(220)에는 고무패드 등의 마찰력이 높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고정판(220)은 조리도구 몸체(10) 일측에 부착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볼트삽입홀(22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볼트삽입홀(222)은 조리도구 몸체(10) 일측과 고정판(220)을 연결하기 위해 볼트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조리도구 몸체(10) 일측에는 제2 볼트삽입홀(222)에 상응하는 홀을 형성하는 보조판(27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판(270)은 고정판(220)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조리도구 공정시에 조리도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착식으로 구비되어 조리도구 몸체(10) 일측과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판(270)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압력유지장치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판(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판(27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00) 타단에는 고정쇠(50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쇠(500)는 후술하는 당김쇠(40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정쇠(500)를 통해 제2 프레임(200)과 당김쇠(400)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200)은 제2 스프링걸쇠(2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걸쇠(210)는 제1 스프링걸쇠(110)에 일단이 고정된 토션스프링(300)의 타단이 고정되어 토션스프링(300)과 제2 프레임(2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스프링걸쇠(210)는 제1 스프링걸쇠(110)와 마찬가지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상기의 제1 및 제2 스프링걸쇠(210)를 통하여 토션스프링이 결합위치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프레임(100, 200)간에 장력을 형성하여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이 각각 조리도구 뚜껑(20)과 몸체(10)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밥을 짓거나 찜을 하는 등의 조리 시 조리도구 몸체 내에 형성되는 압력을 일정정도 유지하다가 내부의 압력이 일정범위를 벗어나면 압력에 의해 뚜껑(20)이 스스로 개방되고, 개방된 뚜껑(20)과 조리도구 몸체(10) 사이로 증기가 배출되어 일정 압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뚜껑(20)의 개방은 토션스프링(300)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리도구 몸체(10) 일측에 고정판(220)을 부착시킨 제2 프레임(200)과, 뚜껑(20)에 뚜껑고정볼트(170)를 체결시킨 제1 프레임(100)에 의해 뚜껑(20)이 이탈되지 않고 소정의 범위에서만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외부뿐만 아니라 대기압이 낮은 산지 등에서도 조리 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할 수 있어 가정, 캠핑, 여행시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당김쇠(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김쇠(400)는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을 제어하기 편리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해주며, 뚜껑(20)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당김쇠(400)는 제1 프레임(100)에 결합되며, 제2 프레임(200)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200) 타단에는 고정쇠(500)가 형성되므로, 당김쇠(400)는 고정쇠(5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당김쇠(400)는 제1 및 제2 프레임(200)과 각각 연동될 수 있다. 즉, 당김쇠(400)의 전/후 동작에 따라 제1 프레임(100) 또는 제2 프레임(200)이 결합부재를 회전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김쇠(400)를 우측으로 동작시키면 (제1 프레임이 뚜껑에 고정되었을 시) 제2 프레임(200)은 좌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당김쇠(400)를 좌측으로 동작시키면 (제2 프레임이 몸체에 고정되었을 시) 제1 프레임(100)은 상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당김쇠(400)를 통해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본 발명의 압력유지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각각 뚜껑(20)과 몸체(10)에 고정되어 있으면 당김쇠(400)의 회동작용은 가압력 조절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당김쇠(400)는 뚜껑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당김쇠(400)는 볼트삽입부(410), 나사산부(420) 및 견인너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트삽입부(410)는 제1 프레임(100)과 결합하는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볼트삽입부(410)는 제1 프레임(100)을 형성하는 2개의 판 사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제1 프레임(100) 내부에 설치되며,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당김쇠(400)와 제1 프레임(1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홀(미도시)이 제1 프레임(100) 및 볼트삽입부(410)에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부(420)는 당김쇠 일측에서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부(420)는 견인너트(430)가 결합되어 이동하며, 나사산부(420)가 형성되는 길이에 따라 견인너트(430)의 이동범위가 형성될 수 있다.
견인너트(430)는 고정쇠(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견인너트(4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산부(420)에 결합되어 회동됨으로써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이때, 견인너트(430)의 이동방향에 따라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견인너트(430)가 나사산부(42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 가압력은 증가되고, 상부로 이동하면 가압력은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고정쇠에 의해 지지되는 견인너트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압력유지장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당김쇠(400)는 사용자가 잡는 위치인 일단에 손잡이(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제1 및 제2 프레임간(100, 2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제1 및 제2 프레임(100, 200)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두개 이상의 체결공(600)을 형성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체결공(600)간의 상응되는 위치를 다르게 하여 결합부재로 체결함으로써 체결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두께, 너비, 높이 등이 다르게 형성되는 다양한 조리기구의 형상에 맞추어 압력유지장치의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스프링걸쇠(210)가 탈부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토션스프링(300)의 위치도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스프링걸쇠(210)는 각각 제1 및 제2 프레임(100, 200)의 판 두께에 상응하는 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결합홈(미도시)을 통해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토션스프링(300)은 압력유지장치의 일측면에 하나만 장착될 수도 있고, 양측면에 2개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토션스프링(300) 및 당김쇠(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의 결합위치, 당김쇠(400)의 제1 프레임(100)에 대한 결합위치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 예와 구분되는 제2 프레임(200), 당김쇠(400)의 결합위치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100)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당김쇠(400)는 제2 프레임(200)의 고정쇠(500)에 의해 지지되어 제1 프레임(100)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당김쇠(400)의 작동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프레임(100, 200)이 회동될 수 있다.
즉, 당김쇠(400)를 우측으로 동작시키면 (제1 프레임이 뚜껑에 고정되었을 시) 제2 프레임(100)은 좌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당김쇠(400)를 좌측으로 동작시키면 (제2 프레임이 몸체에 고정되었을 시) 제1 프레임(200)은 상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토션스프링(300) 및 당김쇠(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프레임(100, 200)의 형태, 당김쇠(400)의 결합위치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제2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와 구분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100, 200)의 형태, 당김쇠(400)의 결합위치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프레임(100)은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20)에 고정되며, 타단에 고정쇠(5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고정쇠(500)가 제2 프레임(200)의 타단에 형성되어 당김쇠(400)를 지지하였던 것과 달리 제3 실시 예에 따른 압력유지장치에서는 당김쇠(400)가 타단에 고정쇠(500)를 형성하는 제1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2 프레임(200) 일단은 조리도구 몸체(10) 일측에 고정되며, 제2 프레임(200)의 타단에는 고정쇠(500)가 형성되지 않고, 제1 프레임(100)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2 프레임(200) 타단이 결합할 수 있다.
당김쇠(400)는 제1 프레임(100)에 타단에 형성된 고정쇠(500)에 의해 지지되어 제1 프레임(100)과 연동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200) 하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당김쇠(400)를 우측으로 동작시키면 (제1 프레임이 뚜껑에 고정되었을 시) 제2 프레임(200)은 좌측 방향으로 회동하며, 당김쇠(400)를 좌측으로 동작시키면 (제2 프레임이 몸체에 고정되었을 시) 제1 프레임(100)은 상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도구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리도구는 크기와 용도가 다양한 조리도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핑 또는 산악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코펠일 수 있으며, 식당 또는 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솥일 수도 있다. 또한, 압력솥의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며 대형 또는 소형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냄비, 팬, 찜솥 등의 조리기구 일 수도 있다. 즉, 요리, 조리 등에 사용되는 조리기구면 모두 포함되며,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조리도구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조리도구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더 나아가 조리도구 외에도 압력유지가 필요한 장치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는 사용범위가 제품 또는 장치의 형태와 크기, 용도에 한정되지 않으며 압력에 관한 제품 또는 장치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리도구당 하나의 압력유지장치가 부착 또는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토션스프링, 당김쇠, 고정판 등은 2개 이상으로도 구비되어 조리도구 몸체의 다방면에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조리도구 몸체
20 : 조리도구 뚜껑
100 : 제1 프레임
110 : 제1 스프링걸쇠
120 : 제1 볼트삽입홀
170 : 뚜껑고정볼트
200 : 제2 프레임
210 : 제2 스프링걸쇠
220 : 고정판
222 : 제2 볼트삽입홀
270 : 보조판
300 : 토션스프링
400 : 당김쇠
410 : 볼트삽입부
420 : 나사산부
430 : 견인너트
440 : 손잡이
500 : 고정쇠
600 : 체결공

Claims (10)

  1.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며, 제1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며,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고, 제2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결합위치에 토션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걸쇠에 고정되어 조리도구 뚜껑과 조리도구 몸체 일측을 가압하되,
    상기 제2 프레임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당김쇠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당김쇠의 전/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는 일단에 뚜껑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제1 볼트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고정되는 일단에 고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제2 볼트삽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볼트삽입홀에 볼트가 삽입되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쇠는,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하는 일단에 형성되는 볼트삽입부;
    당김쇠 일측에서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는 나사산부 및
    상기 나사산부를 따라 회동하여 위치가 변동되는 견인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 타단에는 고정쇠가 형성되어,
    상기 견인너트가 상기 고정쇠에 의해 지지되어 당김쇠가 제2 프레임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견인너트의 위치 변화에 따라 가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쇠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간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도록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9.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며, 제1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며,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고, 제2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당김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결합위치에 토션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걸쇠에 고정되어 조리도구 뚜껑과 조리도구 몸체 일측을 가압하며,
    상기 당김쇠의 전/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10. 일단이 조리도구 뚜껑에 고정되며, 타단에 고정쇠가 형성되고, 제1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1 프레임 및
    일단이 조리도구 몸체 일측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며, 제2 스프링걸쇠가 형성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당김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결합위치에 토션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걸쇠에 고정되어 조리도구 뚜껑과 조리도구 몸체 일측을 가압하며,
    상기 당김쇠의 전/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KR1020170082553A 2017-06-29 2017-06-29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KR10187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53A KR101874251B1 (ko) 2017-06-29 2017-06-29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53A KR101874251B1 (ko) 2017-06-29 2017-06-29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251B1 true KR101874251B1 (ko) 2018-07-03

Family

ID=6291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553A KR101874251B1 (ko) 2017-06-29 2017-06-29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2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524B1 (ko) * 2019-11-18 2020-12-29 김완수 압력조절이 용이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2429B1 (en) 2000-08-25 2004-10-12 Premark Feg L.L.C. Floating lid assembly for a steam kettle
US20050166908A1 (en) 2002-03-08 2005-08-04 Seb S.A. Food pressure-cooking device with a rotary locking/unlocking control device
KR100683559B1 (ko) * 2006-07-26 2007-02-20 신화석 압력용기용 뚜껑잠금장치
KR200452262Y1 (ko) 2008-06-03 2011-02-14 권태웅 시멘트 기둥용 유로폼 고정밴드
KR101246679B1 (ko) * 2012-06-18 2013-03-22 주식회사 키친마더 압력조리기구
US20130098921A1 (en) 2011-10-25 2013-04-25 Guoqing Yang Slow Cooker and Lock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2429B1 (en) 2000-08-25 2004-10-12 Premark Feg L.L.C. Floating lid assembly for a steam kettle
US20050166908A1 (en) 2002-03-08 2005-08-04 Seb S.A. Food pressure-cooking device with a rotary locking/unlocking control device
KR100683559B1 (ko) * 2006-07-26 2007-02-20 신화석 압력용기용 뚜껑잠금장치
KR200452262Y1 (ko) 2008-06-03 2011-02-14 권태웅 시멘트 기둥용 유로폼 고정밴드
US20130098921A1 (en) 2011-10-25 2013-04-25 Guoqing Yang Slow Cooker and Locking Assembly
KR101246679B1 (ko) * 2012-06-18 2013-03-22 주식회사 키친마더 압력조리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524B1 (ko) * 2019-11-18 2020-12-29 김완수 압력조절이 용이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6510B2 (en) Electric rotary grater
US8931401B2 (en) Appliance for simultaneous cooking and stirring
KR101814089B1 (ko) 캠핑용 그릴장치
KR101874251B1 (ko)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KR101935922B1 (ko) 자동 조리 장치
KR100785108B1 (ko)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KR200459594Y1 (ko) 착탈식 손잡이가 설치된 주방 용기
KR101312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착탈장치
US67639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and supporting a utensil cover
JP4329127B2 (ja) 炊飯器
US20060162128A1 (en) Removable gripping handle for grilling tools
WO2014165717A1 (en) Detachable pivoting handle for gripping a cookware vessel
KR101916642B1 (ko)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CA2439755A1 (en) Barbecue grill
KR101268172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1062046B1 (ko)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한 조리용기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탈,부착되는 손잡이
KR101875331B1 (ko)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KR101916643B1 (ko) 압력조절부가 분리되는 탈부착타입 압력유지장치
KR101304960B1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KR200264123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0973843B1 (ko) 록킹수단이 구비된 즉석 구이 장치
US1072206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oking a meal
KR101458747B1 (ko) 구이기용 가열수단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구이기
US8474369B2 (en) Electric skillet with magnetic self-reversing stirrer that is removable
KR102196524B1 (ko) 압력조절이 용이한 탈착식 압력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