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631B1 -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631B1
KR101916631B1 KR1020180061850A KR20180061850A KR101916631B1 KR 101916631 B1 KR101916631 B1 KR 101916631B1 KR 1020180061850 A KR1020180061850 A KR 1020180061850A KR 20180061850 A KR20180061850 A KR 20180061850A KR 101916631 B1 KR101916631 B1 KR 10191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ed
fall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명
Original Assignee
이운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명 filed Critical 이운명
Priority to KR1020180061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는,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용 침대가 위치된 거주실에 구비되며, 상기 환자용 침대가 위치된 침대영역 및 상기 거주실 내의 상기 환자용 침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외부영역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하는 열화상카메라, 상기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낙상판단데이터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낙상판단데이터를 수신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Fall Sensing Device Having Thermal Camera}
본 발명은 낙상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낙상을 판단하여 신속한 후속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낙상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저출산과 노령화 문제는 앞으로 여러 가지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이며, 국가의 의료복지 예산은 정부의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들이 겪을 수 있는 사고 중에 낙상 사고는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넘어지는 사고로서, 낙상으로 인해 각종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사고이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노인들의 낙상 사고에 대해 신속한 대처를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제품이 고안되고 있다.
이중 종래에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것은, 매트식 낙상 및 배회 감지장치이다. 상기 매트식 낙상 및 배회 감지장치는 현재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입원실이나 요양병원 등에 보급된 낙상 방지장치 중 가장 널리 보급된 형태이며, 각 침대에 전자식 접촉단자가 내장된 소형 매트 형태의 감지센서를 깔아 두어 환자가 침대에서 일어나거나 이동함에 따라 매트의 접촉 단자가 떨어지면 간호 스테이션에 낙상 경보를 발령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이는 환자가 단순히 일어서거나 밟기만 해도 경보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간호사 또는 요양사 등에게 스트레스를 야기하며 환자 케어 업무를 오히려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반적 카메라를 통한 낙상 방지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를 통한 낙상 방지장치는 소형 카메라와 동작감지센서(도플러센서)를 이용하여 낙상이나 배회를 경보해 주는 방식을 가지며, 각 침대마다 카메라와 동작감지센서가 내장된 감시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경우 간호 스테이션에 경보를 발생시키고 영상을 송출하도록 하여 간호사 또는 요양사 등이 화면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위급 상황일 경우 해당 환자에게 출동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낙상 방지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각종 경보 발생 조건들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제공하고 있으나, 환자의 모든 움직임에도 센서가 작동하여 경보 상황으로 발생시키게 되므로 경보의 발생 빈도가 오히려 더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침대 내에서 환자의 단순한 일상 활동이나 간호사의 접근, 침대 옆 보호자의 움직임, 취침 시 단순한 뒤척임 등과 같은 모든 사람의 움직임이 경보로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람의 움직임이 활발한 주간에는 거의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많은 곳에서는 프로그램 상에 내장된 스케쥴 기능을 통해 주간에는 낙상 방지장치의 작동 자체를 꺼 놓은 상태로 유지하고, 심야 시간대에만 작동되도록 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뿐만 아니라, 일반 영상을 촬영하는 실시간 카메라를 이용하기 때문에 환자의 프라이버시가 매우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환자가 옷을 갈아입거나 진료 등을 위해 탈의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낙상 방지장치의 작동을 매번 차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야간 또는 저조도 상황에서는 카메라의 영상 촬영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이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 조명이 구비될 수밖에 없으며,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보조 조명이 잦은 빈도로 발생하게 될 경우 환자의 취침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제 현장에서는 조명을 꺼 놓는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야간 또는 저조도 상황에서는 화면 인식이 매우 어려워 실질적으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900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높은 신뢰도로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낙상 발생 이후 보호자나 의료기관에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는,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용 침대가 위치된 거주실에 구비되며, 상기 환자용 침대가 위치된 침대영역 및 상기 거주실 내의 상기 환자용 침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외부영역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하는 열화상카메라, 상기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낙상판단데이터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낙상판단데이터를 수신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상기 환자가 상기 침대영역에서 상기 외부영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에 낙상주의경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메인서버에 낙상주의경보를 송신한 이후,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상기 환자가 상기 외부영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에 낙상경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배회감시 환자로 지정된 환자가 상기 침대영역에서 상기 외부영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에 배회경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상기 침대영역 및 상기 외부영역에 사람이 동시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에 경보가 전달되지 않도록 경보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의 낙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높은 신뢰도로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낙상 발생 이후 신속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함에 따라 저조도 또는 심야와 같은 환경에서도 정확한 낙상 상황의 감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환자의 장시간 부동 상태에 따른 욕창 경보, 치매 등 특정 환자에 대한 배회 활동 경보, 환자의 주기적 체온 체크 및 이상 체온 시 경보 등 유용하고 보조적인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장치를 통해 낙상을 감지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장치에 있어서, 낙상방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장치에 있어서, 낙상방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장치에 있어서, 낙상방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장치는 열화상카메라(100)와, 중앙처리부(미도시)와, 메인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열화상카메라(100)는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용 침대(10)가 위치된 거주실(R)에 구비되며, 상기 환자용 침대(10)가 위치된 침대영역(S1, 도 3 참조) 및 상기 거주실(R) 내의 상기 환자용 침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외부영역(S2, 도 3 참조)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열화상카메라(100)는 상기 거주실(R) 환경에 따라 다양한 사양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중환자실 또는 특실 등에는 열화상 촬영 및 일반 촬영이 겸용으로 가능한 열화상카메라(100)가 적용되도록 하는 등 상기 열화상카메라(100)의 사양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환자 또는 주요 관심환자의 경우에는 열화상 촬영을 통해 24시간 녹화가 되도록 하여 추후 의료사고에 대비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환자들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열화상카메라의 화면이 흑백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경보 상황에서 인식의 용이성을 위해 컬러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열화상카메라(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주실(R) 내에 구비된 상기 환자용 침대(10)의 베드 콘솔마다 매립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거주실(R)의 천장면 등에 설치되어 상기 거주실(R) 전체를 촬영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양측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중앙처리부(미도시)는 상기 열화상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된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낙상판단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화상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된 상기 촬영데이터와, 이에 의해 생성된 상기 낙상판단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메인서버(200)는 간호 스테이션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장치는 상기 메인서버(200)와의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단말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는 간호사 또는 요양사 등이 휴대한 스마트폰, 휴대용 경보장치 등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는 상기 메인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간호사 또는 요양사 등이 간호 스테이션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에도 경보 등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장치를 통해 낙상을 감지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화상카메라(100)는 거주실(R)내에서 상기 환자용 침대(10)가 위치된 침대영역(S1) 및 상기 거주실(R) 내의 상기 환자용 침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외부영역(S2)을 구분하여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도 4와 같이 상기 환자가 상기 침대영역(S1)에서 상기 외부영역(S2)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200)에 낙상주의경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호사 또는 요양사 등은 상기 낙상주의경보를 통해 해당 환자의 상태를 주목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메인서버(200)에 낙상주의경보를 송신한 이후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상기 환자가 상기 외부영역(S2)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200)에 낙상경보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환자가 상기 침대영역(S1)으로부터 벗어난 직후 상기 외부영역(S2)에 일정 시간 동안 벗어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머물러 있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낙상 상태인 것으로 간주하고, 이에 따라 낙상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배회감시 환자로 지정된 환자가 상기 침대영역(S1)에서 상기 외부영역(S2)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에 배회경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배회감시 환자의 경우 일반 환자에 비해 보다 높은 관심도를 요구하기 때문으로, 낙상주의경보와는 다른 종류의 경보를 발생시켜 보다 주목도를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환자가 상기 침대영역(S1)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 없이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200)에 욕창경보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환자의 낙상 상태뿐 아니라 환자의 장시간 부동 상태에 따른 욕창 경보, 치매 등 특정 환자에 대한 배회 활동 경보, 환자의 주기적 체온 체크 및 이상 체온 시 경보 등 유용하고 보조적인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상기 침대영역(S1) 및 상기 외부영역(S2)에 사람이 동시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200)에 경보가 전달되지 않도록 경보를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외부영역(S2)에 간호사 또는 보호자가 방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경보를 발생시키기 않기 위함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메커니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장치에 있어서, 낙상방지유닛(5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측 방향으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환자용 침대(10)의 침대 콘솔 내에 매립된 보조 열화상카메라(100')와, 환자의 낙하 발생 시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침대 프레임(12)의 하부에 구비된 낙상방지유닛(5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낙상방지유닛(50)은, 상기 보조 열화상카메라(100')를 통해 사용자가 낙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에어가 주입되어 환자용 침대(10)의 측 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는 에어쿠션(56)과, 상기 에어쿠션(56)이 접힌 상태에서 수용되는 쿠션수용부(54)와, 상기 쿠션수용부(54)를 상기 침대 프레임(12)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쿠션수용부(54)는 상기 침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52)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쿠션수용부(54)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2)는 상기 쿠션수용부(54)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쿠션수용부(54)에는 복수 개의 에어쿠션(56)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쿠션수용부(54)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쿠션(56)이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구간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쿠션수용부(54)에는 상기 에어쿠션(56)이 돌출되는 쿠션전개홀(5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열화상카메라(100')가 환자의 낙하를 감지하게 될 경우, 상기 낙상방지유닛(50)의 에어쿠션(56)에 에어가 주입되며 환자용 침대(10)의 측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환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쿠션수용부(54)는 상기 고정부(52)에 의해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환자가 상기 에어쿠션(56)에 낙하한 이후 일정 각도 회전됨에 따라 충격을 완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수용부(54)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52)에는 유압 서스펜션 등의 회전 완화 구조가 내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장치에 있어서, 낙상방지유닛(5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조 열화상카메라(100')와, 에어쿠션(56)이 구비된 낙상방지유닛(50)을 포함한다는 점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낙상방지유닛(50)은 이중 구조를 형성하여, 상하 레이어를 이루도록 구비된다는 점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에어쿠션(56a)이 수용되는 상부 쿠션수용부(54a) 및 하부 에어쿠션(56b)이 수용되는 하부 쿠션수용부(54b)가 구비되며, 또한 이들을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부(52a) 및 하부 고정부(52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보다 하중이 무거운 환자에 대해서도 충분한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장치에 있어서, 낙상방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조 열화상카메라(100')와, 에어쿠션(56)이 구비된 낙상방지유닛(50)을 포함하며, 낙상방지유닛(50)이 이중 구조를 형성하여, 상하 레이어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기 설정된 로직에 의해 상기 상부 에어쿠션(56a)과 상기 하부 에어쿠션(56b)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처리부(60)가 더 구비된다는 점이 다르다.
상기 처리부(60)는 환자의 낙하 시 우선적으로 상기 상부 에어쿠션(56a)을 구동시키고, 상기 상부 에어쿠션(56a)에 인가되는 에너지에 따라 상기 상부 에어쿠션(56a)만으로 완전한 충격 흡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순차적으로 상기 하부 에어쿠션(56b)을 구동시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상기 처리부(60)는 상기 상부 에어쿠션(56a)만으로 충분히 지지되는 상황에서는 상기 하부 에어쿠션(56b)을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교체 또는 보수 비용이 소요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처리부(60)가 상기 상부 에어쿠션(56a)에 인가되는 에너지를 감지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부 고정부(52a)에 하중감지센서 또는 충격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환자의 낙하 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환자용 침대(10)의 침대 콘솔 내에 매립된 무게측정부(미도시)를 통해 환자의 무게 정보를 미리 획득하고, 상기 상부 에어쿠션(56a)의 작동 시 상면의 높이와 상기 환자용 침대(10)의 상면 높이 차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위치에너지로부터 전환되는 운동에너지를 미리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낙상방지유닛(50)은 상기 환자용 침대(10)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 중 일 형태의 전자석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낙상방지유닛(50)이 작동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침대(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낙상방지유닛(50)이 침대(1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간호사 또는 요양사 등에게 자동적으로 알려주는 알림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분리된 상태의 낙상방지유닛(50)의 에어쿠션(56)을 이용하여 그대로 침대 위나 다른 장소로 환자의 이동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용이한 이동수단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쿠션(56) 양측으로는 손잡이부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10: 환자용 침대
50: 낙상방지유닛
52: 고정부
54: 쿠션수용부
56: 에어쿠션
60: 처리부
100: 열화상카메라
100': 보조 열화상카메라
200: 메인서버
300: 사용자단말기

Claims (5)

  1.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용 침대가 위치된 거주실에 구비되며, 상기 환자용 침대가 위치된 침대영역 및 상기 거주실 내의 상기 환자용 침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외부영역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하는 열화상카메라; 상기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낙상판단데이터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촬영데이터 및 상기 낙상판단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상기 침대영역 및 상기 외부영역에 사람이 동시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에 경보가 전달되지 않도록 경보를 차단하는 낙상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촬영데이터를 통해 상기 환자가 상기 침대영역에서 상기 외부영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에 낙상주의경보를 송신하는 낙상 감지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61850A 2018-05-30 2018-05-30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 KR101916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50A KR101916631B1 (ko) 2018-05-30 2018-05-30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50A KR101916631B1 (ko) 2018-05-30 2018-05-30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631B1 true KR101916631B1 (ko) 2018-11-08

Family

ID=6432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850A KR101916631B1 (ko) 2018-05-30 2018-05-30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6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964B1 (ko) * 2020-05-06 2021-01-21 주식회사 스위트케이 듀얼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낙상 예방 시스템 및 낙상 예방 방법
KR20220060037A (ko) 2020-11-02 2022-05-11 주식회사 큐버 스마트 미러의 열화상 카메라와 스켈레톤 분석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20240011512A (ko) 2022-07-19 2024-01-26 주식회사 럭스로보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객체 행동 감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218B1 (ko) * 2015-06-25 2017-03-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60062B1 (ko) * 2017-01-06 2018-05-23 한국과학기술원 낙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218B1 (ko) * 2015-06-25 2017-03-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60062B1 (ko) * 2017-01-06 2018-05-23 한국과학기술원 낙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964B1 (ko) * 2020-05-06 2021-01-21 주식회사 스위트케이 듀얼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낙상 예방 시스템 및 낙상 예방 방법
KR20220060037A (ko) 2020-11-02 2022-05-11 주식회사 큐버 스마트 미러의 열화상 카메라와 스켈레톤 분석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20240011512A (ko) 2022-07-19 2024-01-26 주식회사 럭스로보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객체 행동 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81659A1 (en) Image transmission or recording triggered by bed event
KR101916631B1 (ko)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
JP6520831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5128967A (ja) 医療用動き検出装置、医療用動き検出方法、医療用動き検出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101715218B1 (ko)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12191B1 (ko) 환자 낙상예방 모니터링 장치
JP5858940B2 (ja) 離床監視システム
EP3103385A1 (en) Image transmission or recording triggered by bed event
US20210142643A1 (en) Patient-fall scenario detector and systems and methods for remediating fall scenarios
JP6519166B2 (ja) 監視制御プログラム、監視制御装置、および監視制御方法
KR101702574B1 (ko)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장치가 포함된 침대
JP7403132B2 (ja) 介護記録装置、介護記録システム、介護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介護記録方法
JP2005151540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20170096901A (ko) 영유아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JP2000271098A (ja) 介護システム
US11513007B2 (en) Notification control device, notification control system, and notification control method
KR102155955B1 (ko) 인체감지용 스마트알람시스템
JP5517285B2 (ja) 起床監視装置
KR101519469B1 (ko) 건강 감시 베개
KR102604548B1 (ko)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4971B1 (ko) 환자의 낙상 감시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
KR20050090947A (ko) 실버텔 운영 시스템
JP7095870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655969B1 (ko)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7044217B1 (ja) 見守りシステム及び見守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