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384B1 -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384B1
KR101915384B1 KR1020170020821A KR20170020821A KR101915384B1 KR 101915384 B1 KR101915384 B1 KR 101915384B1 KR 1020170020821 A KR1020170020821 A KR 1020170020821A KR 20170020821 A KR20170020821 A KR 20170020821A KR 101915384 B1 KR101915384 B1 KR 101915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noise
escalator
measuring bod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146A (ko
Inventor
김윤겸
박찬용
Original Assignee
한국승강기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승강기안전공단 filed Critical 한국승강기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17002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384B1/ko
Priority to PCT/KR2017/014908 priority patent/WO2018151403A2/ko
Priority to US16/314,157 priority patent/US20200317471A1/en
Publication of KR2018009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의해 작업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음과 진동 및 주행속도 등을 측정하여 승차감이나 주행상태 등을 분석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10) 또는 에스컬레이터(20)의 내부 바닥이나 디딤판(21) 상에 설치되는 측정본체(31)와; 상기 측정본체(31)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10)나 에스컬레이터(20)의 작동시에 가속도값을 측정하도록 된 가속도센서(32)와; 상기 측정본체(31)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10)의 내부나 에스컬레이터(20)의 디딤판(21)에 일정 높이의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소음정도를 감지하도록 된 소음센서(33)와; 상기 측정본체(31)의 일측에 내장되어 상기 가속도센서(32)와 소음센서(33)에 의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변환하도록 구비되고,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통신모듈(46)와, 상기 가속도센서(32)와 소음센서(33)에 의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된 메모리(47)를 포함한 제어유닛(34)과; 상기 측정본체(31)와는 별체로 이루어져 무선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속도, 진동수, 데시벨, 각도를 포함한 측정값을 수치 및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도록 된 표시장치(35)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Noise, vibration and driving speed testing system of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에 의해 작업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음과 진동 및 주행속도 등을 측정하여 승차감이나 주행상태 등을 분석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일정 높이 이상의 건물에 설치되어 원하는 층에 오르내리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장치의 원활한 작동이나 안전상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부품의 노화나 마모 등을 점검하기 위해 정기적인 안전검사를 행함은 물론 엘리베이터의 품질이나 성능 등을 진단하기 위해 주행중의 소음이나 진동 또는 주행속도 등을 측정하여 승차감 등에 분석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승차감 등을 분석하기 위한 종래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내에 설치되는 측정본체 상에 수평 및 수직방향에 때한 진동을 측정할 수 있는 진동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측정본체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본체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도록 된 표시장치 등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내에 측정본체와 표시장치를 설치한 상태로 측정자가 동승하여 측정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한정된 공간 내에 장치와 측정자가 동승함에 따른 설치나 측정작업 상의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과정에서 측정자가 엘리베이터 내에 탑승한 상태로 운행됨에 따라 안전상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일부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무선통신 등에 의해 측정본체와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측정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엘리베이터 내에 측정자가 직접적으로 탑승할 필요가 없어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무선통신의 장애 등으로 인해 데이터의 손실이나 전송실패 등이 발생되어 정확한 분석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7486호(2013. 02. 17)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무선통신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져 작업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음과 진동 및 주행속도 등을 용이하게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측정장치 자체의 구성이 단순하여 컴팩트한 구조로 제작 가능함에 따라 설치나 운반 및 보관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엘리베이터(10) 또는 에스컬레이터(20)의 내부 바닥이나 디딤판(21) 상에 설치되는 측정본체(31)와;
상기 측정본체(31)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10)나 에스컬레이터(20)의 작동시에 가속도값을 측정하도록 된 가속도센서(32)와;
상기 측정본체(31)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10)의 내부나 에스컬레이터(20)의 디딤판(21)에 일정 높이의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소음정도를 감지하도록 된 소음센서(33)와;
상기 측정본체(31)의 일측에 내장되어 상기 가속도센서(32)와 소음센서(33)에 의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변환하도록 구비되고,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통신모듈(46)와, 상기 가속도센서(32)와 소음센서(33)에 의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된 메모리(47)를 포함한 제어유닛(34)과;
상기 측정본체(31)와는 별체로 이루어져 무선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속도, 진동수, 데시벨, 각도를 포함한 측정값을 수치 및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도록 된 표시장치(35)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34)과 표시장치(35)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측정상태를 표시하되, 통신장애에 의해 전송이 누락된 데이터는 통신복구 시점에서 상기 메모리(47)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전송하여 상기 표시장치(35)에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정본체(31)는 엘리베이터(10)의 바닥면이나 에스컬레이터(20)의 디딤판(21)에 3지점에서 지지하도록 3개의 숏레그(51)를 갖는 받침플레이트(50) 상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숏레그(51)는 상기 받침플레이트(50)로부터 엘리베이터(10)의 바닥면이나 에스컬레이터(20)의 디딤판(21)으로 점차 축소되는 단면적으로 갖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통신에 의해 측정본체(3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장치(35)에 의해 나타내도록 함에 따라, 작업자가 엘리베이터(10)나 에스컬레이터(20)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측정이 가능하여 안전상의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엘리베이터(10)의 내부공간이나 에스컬레이터(20)의 디딤판(21)에 장치를 설치하는 작업 등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의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측정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유닛(34)과 표시장치(35)가 구비되는데, 통신장애에 의해 전송이 누락된 데이터는 통신복구 시점에서 제어유닛(34)의 메모리(47)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전송하여 상기 표시장치(35)에 표시함에 따라, 통신상태에 무관하여 측정상태를 표시하여 정확한 데이터의 분석에 따른 측정상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본체(31)를 거치할 수 있도록 된 받침플레이트(50) 상에 3개의 숏레그(51)가 구비되고, 상기 숏레그(51)는 하단으로 점차 축소되는 단면적으로 갖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숏레그(51)에 의해 측정본체(31)의 하중을 집중하여 엘리베이터(10)의 바닥면이나 에스컬레이터(20)의 디딤판(21)에 지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측정본체(31)를 검사규정 등에 고지된 압력(대략 60kPa)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제작한 경우에도 응력집중에 의해 지지중량을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본체(31)를 경량으로 구비하여 운반이나 설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에 의한 프로세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에 의한 프로세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프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한 프로세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10)의 주행 중에 소음이나 진동 또는 주행속도 등을 측정하여 승차감이나 주행상태 등을 점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는 엘리베이터(10)의 주행 중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 및 속도 등과 같은 특정 물리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측정기기(30)와, 이 측정기기(30)에 의해 획득한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수신받아 분석 및 표시하도록 측정자가 휴대하도록 된 표시장치(35)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측정기기(30)는 엘리베이터(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진동과 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측정본체(31)와, 상기 측정본체(31)의 일측에 설치되는 삼각대(36) 상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소음센서(33)가 구비된 소음계(37)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측정본체(31)는 엘리베이터(10)의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진동이나 속도를 측정함에 따라 탑승자가 발로부터 전해오는 실제적인 진동이나 속도감을 진단할 수 있고, 상기 소음계(37)는 대략 1미터 이상의 위치에서 소음정도를 측정함에 따라 실제로 탑승자가 서서 느끼는 데시벨을 감지하여 측정상의 신뢰도를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35)는 통상의 테블릿 PC나 스마트 폰 등에 측정용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치하여 상기 측정본체(31)에 무선통신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하거나 측정작업의 개시 또는 종료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되는데, 측정자는 엘리베이터(10)에 직접적으로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표시장치(35)를 휴대하여 상기 측정기기(30)의 작동을 개시 및 종료함과 동시에 장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세부적인 구성과 설치상태 등을 도 2 내지 도 8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본체(31)는 대략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상면에 일정 크기의 표시패널(38)과 조작버튼(39) 및 커넥터(40) 등이 구비되어 장치의 온/오프나 셋팅 및 상기 소음계(37)와 같은 다른 구성의 유선연결 등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측정본체(31) 내에는 진동과 속도를 감지하도록 된 가속도센서(32)와 소음센서(33) 등이 연결되어 장비의 작동을 컨트롤하도록 된 제어유닛(34)과 가속도센서(32)가 내장되고, 상기 측정본체(31)의 하부에는 상기 가속도센서(32)가 끼워지는 설치공(42)이 형성된 하부패널(41)이 커버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유닛(34)은 회로기판 형태로 된 메인보드(43) 상에 상기 가속도센서(32)와 소음센서(33)에 의해 획득한 데이터를 검출하거나 검출된 데이터값을 연산 또는 변환처리할 수 있도록 된 컨버터(44)나 CPU(45) 등이 탑재되고, WI-FI 등과 같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통신모듈(46)와 상기 가속도센서(32)와 소음센서(33)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된 메모리(47) 등이 탑재된 것으로, 상기 통신모듈(46)는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35)에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과 작동제어 등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속도센서(32)는 수평방향으로 전후 및 좌우의 수평상태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하의 수직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3축센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가속도센서(32)는 엘리베이터(10)의 작동시에 가속도값을 측정하고, 그 가속도값에 의해 속도나 거리 및 진동수를 변환 처리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측정본체(31)는 별도로 구비되는 받침플레이트(50) 상에 거치되는데, 이를 도 3과 도 4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받침플레이트(50)의 저면에는 엘리베이터(10)의 바닥면에 3지점에서 지지하도록 된 3개의 숏레그(51)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숏레그(51)는 상기 받침플레이트(50)로부터 하단으로 점차 축소되는 단면적으로 갖도록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숏레그(51)는 작은 단면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10)의 바닥면이 접촉됨에 따라 그 접촉지점에 작용하는 응력집중에 의해 상기 측정본체(31)의 하중을 국부적으로 크게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측정본체(31)의 무게를 경량으로 형성하더라도 검사규정에서 요구하는 측정기기(30)의 무게(대략 60kg)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측정본체(31)의 하부패널(44) 상에는 대략 3~4개 정도의 자성체(52)가 구비되어 상기 측정본체(31)를 자성결합에 의해 받침플레이트(50) 상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며,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10)의 승강카의 진동이 측정본체(31) 상의 가속도센서(32)에 확실하게 전달될 뿐만 아니라 측정본체(31)와 받침플레이트(50) 사이에서 발생되는 간섭 등에 의한 별도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아 측정상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의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측정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통신장애 등이 발생되어 데이터의 전송이 누락되는 경우에도 통신복구 시점에서 데이터를 재전송하여 상기 표시장치(35)에 표시하여 전체의 측정과정을 완전하게 표시함에 따라 측정상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이를 도 5 내지 도 8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본체(31) 상에 제어유닛(34)로부터 표시장치(35)로부터 데이터 전송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측정이 개시되어 상기 가속도센서(32)와 소음센서(33)에 의해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유닛(34)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취득되어 컨버터(44)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데, 이 디지털 신호는 CPU(45)에 의해 상기 메모리(47)에 저장됨과 동시에 통신모듈(46)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35)로 전송되며, 상기 표시장치(35)에서는 그에 내장되는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데이터값에 의해 그래프 등으로 표시하여 나타내게 된다.
또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34)과 표시장치(35)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측정 시작시에 Wi-Fi와 같은 통신모듈(46) AP로 설정된 측정기기(30)의 접속정보를 저장하는데, 이 접속정보에는 AP의 주소, 이름이 포함됨.
2. 측정을 처음 시작하면 측정정보의 시점자료(Time Index)를 0으로 설정하고 연결중단 플래그(Flag)를 리셋(Reset)함.
3. 측정이 시작되면 데이터 수신감도(연결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함.
A. 연결 상태가 불량하면 현재까지 수신된 측정데이터의 시점자료(Time Index)를 보관하고, 연결중단 플래그(Flag)를 셋팅(Setting)하여 데이터 수신감도(연결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함.
B. 연결 상태가 양호할 때에는
a. 재연결이 필요한 경우(측정중 연결이 중단되어 연결을 다시 구축될 때)에는 저장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측정기기(30)와 재접속하고 연결이 중단된 시점 자료(Time Index)를 측정기기(30)에 전송하여 중단된 시점부터 측정데이터를 다시 수신하여 버퍼에 저장.
b. 재연결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고 측정 작업을 계속 수행함.
4.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데이터를 파일로 저장하고 측정과정 종료함.
이상과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통신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통신복구 시점에서 메모리(47)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전송하여 측정의 전체과정을 표시장치(35)에서 완전하게 표시하게 되는데, 이를 도 8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자가 건물의 외부나 지층에서 표시장치(35)를 휴대한 상태로 측정이 이루어진다면 엘리베이터(10)가 상승주행함에 따라 측정기기(30)와의 거리가 멀어지는데, 이는 장치간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Wi-Fi 등의 통신감도가 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통신장애로 인해 데이터의 전송이 불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의 그래프는 엘리베이터(10)의 주행속도를 상승구간(U)과 하강구간(D)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으로, 상승구간(U)에서는 엘리베이터(10)의 작동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가속이 이루어진 후에, 정속도를 유지하여 진행하다가 정지시점에서 점차 감속되어 멈추게 되고, 하강구간(D)에서도 상승구간(U)에 유사하게 가속과 정속 및 감속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만약에, 엘리베이터(1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대략 2~3층의 높이로 상승되는 시점에서 지상의 표시장치(35)와의 통신이 두절되고, 엘리베이터(1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다시 2~3층의 위치에 도달할 때에 통신이 재개된다고 가정하면, 통상의 경우라면 표시장치(35)에는 통신이 두절된 상태에서의 데이터 전송이 누락되어 그래프로 표시가 되지 않을 것이나,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통신이 두절된 상태에서의 데이터가 복구시점에서 재전송이 이루어짐에 따라 점선부분과 같은 누락데이터를 정상적으로 표시하여 측정상의 신뢰도를 높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20)의 소음진동이나 주행속도 및 경사각도 등을 측정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각도측정의 일례를 도 9 내지 도 11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측정방법에 의해 에스컬레이터(20)에서의 진동이나 소음 또는 주행속도를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경사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측정기기(30)는 에스컬레이터(20)의 디딤판(21)에 안정되게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디딤판(21) 중에서 경사가 시작된 지점의 디딤판(21) 상에 상기 가속도센서(32)가 수평되게 위치된 상태로 설치하게 되며,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각도환산 프로세스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측정 알고리즘은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는 에스컬레이터(20)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측정되는 가속도센서(32)의 측정데이터를 경사이동량으로 환산하여 속도와 이동거리 및 각도를 산출하게 된다.
(1) 교정단계
- 가속도센서(32)를 에스컬레이터(20)의 디딤판(21) 상에 수평방향으로 올려놓고 가속도센서(32)에서 출력하는 수평방향의 아날로그 지시값을 기준값(OFFSET)으로 설정하고 저장장치(EEP ROM)에 저장.
- 가속도센서(32)를 에스컬레이터(20)를 이용하여 지정된 측정범위(Range)의 각도로 회전하는데, 이때에 가속도센서(32)에서 출력하는 수평방향의 아날로그 지시값을 교정 최대값(CALMAX)으로 설정.
- 다음식에 의하여 각도 스케일 값(SC)을 계산하여 저장장치(EEP ROM)에 저장.
Figure 112017015924733-pat00001
(2) 측정단계
- 가속도센서(32)에서 출력하는 수평방향의 아날로그 지시값(ACC)을 교정단계에서 저장된 값을 이용하여 다음 식을 이용하여 각도로 환산.
Figure 112017015924733-pat00002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엘리베이터 30: 측정기기
31: 측정본체 32: 가속도센서
33: 소음센서 34: 제어유닛
35: 표시장치 36: 삼각대
37: 소음계 38: 표시패널
39: 조작버튼 40: 커넥터
41: 하부패널 42: 설치공
43: 메인보드 44: 컨버터
45: CPU 46: 통신모듈
47: 메모리 50: 받침플레이트
51: 숏레그 52: 자성체

Claims (3)

  1. 엘리베이터(10) 또는 에스컬레이터(20)의 내부 바닥이나 디딤판(21) 상에 설치되는 측정본체(31)와;
    상기 측정본체(31)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10)나 에스컬레이터(20)의 작동시에 가속도값을 측정하도록 된 가속도센서(32)와;
    상기 측정본체(31)에 연결되는 별체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10)의 내부나 에스컬레이터(20)의 디딤판(21)에 일정 높이의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소음정도를 감지하도록 된 소음센서(33)와;
    상기 측정본체(31)의 일측에 내장되어 상기 가속도센서(32)와 소음센서(33)에 의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변환하도록 구비되고,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통신모듈(46)와, 상기 가속도센서(32)와 소음센서(33)에 의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된 메모리(47)를 포함한 제어유닛(34)과;
    상기 측정본체(31)와는 별체로 이루어져 무선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속도, 진동수, 데시벨, 각도를 포함한 측정값을 수치 및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도록 된 표시장치(35)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34)과 표시장치(35)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측정상태를 표시하되, 통신장애에 의해 전송이 누락된 데이터는 통신복구 시점에서 상기 메모리(47)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전송하여 상기 표시장치(35)에 표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측정본체(31)는 일정 면적으로 된 편평한 판형태의 받침플레이트(50) 상에 거치되되, 상기 받침플레이트(50)에는 엘리베이터(10)의 바닥면이나 에스컬레이터(20)의 디딤판(21)에 근접된 상태로 3지점에서 지지하도록 된 3개의 숏레그(51)가 구비되며, 상기 각 숏레그(51)는 상기 받침플레이트(50)의 저면으로부터 점차 축소되는 단면적을 갖도록 수직 하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70020821A 2017-02-16 2017-02-16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 KR101915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21A KR101915384B1 (ko) 2017-02-16 2017-02-16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
PCT/KR2017/014908 WO2018151403A2 (ko) 2017-02-16 2017-12-18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
US16/314,157 US20200317471A1 (en) 2017-02-16 2017-12-18 System for measuring noise, vibration and running speed of elevator and esca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21A KR101915384B1 (ko) 2017-02-16 2017-02-16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146A KR20180095146A (ko) 2018-08-27
KR101915384B1 true KR101915384B1 (ko) 2018-11-06

Family

ID=6316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821A KR101915384B1 (ko) 2017-02-16 2017-02-16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17471A1 (ko)
KR (1) KR101915384B1 (ko)
WO (1) WO201815140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516A (ko) 2021-01-18 2022-07-26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진동모니터링 무선센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22967A1 (en) * 2018-10-19 2020-04-23 Otis Elevator Company Continuous quality monitoring of a conveyance system
US20200122968A1 (en) * 2018-10-22 2020-04-23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for tracking elevator ride quality
CN109534122B (zh) * 2019-01-11 2023-07-21 福建省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电梯运行质量测试仪
US11724911B2 (en) 2019-11-12 2023-08-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coustic integrity check
JP7108647B2 (ja) * 2020-02-25 2022-07-2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診断装置固定治具
CN111703993A (zh) * 2020-06-18 2020-09-25 猫岐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电梯内危险事件判断方法及系统
CN112506435B (zh) * 2020-12-12 2024-04-02 南京地铁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于自动扶梯的数据分级存储方法及系统
CN113213294B (zh) * 2021-04-20 2022-08-02 广东工业大学 一种电梯轿厢运行振动冲击检测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220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쿼터글래스 장착구조
KR20040106077A (ko) * 2003-06-10 2004-12-17 (주)나다에스앤브이 휴대용 승강기 성능진단기와 이를 이용한 승강기 성능측정방법
KR20080074414A (ko) * 2007-02-09 2008-08-13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카메라를 포함하는 측정장치 및 그 케이스
KR101277486B1 (ko) 2013-02-15 2013-06-21 (재)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 승강기 품질 성능 진단 장치
KR101674719B1 (ko) * 2014-07-24 2016-11-10 주식회사 레니븐테크놀로지 방사성동위원소 추적장치 데이터 누락 방지를 위한 추적장치-관제서버 간 데이터 누적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16197012A (ja) * 2015-04-02 2016-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加速度センサ取付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516A (ko) 2021-01-18 2022-07-26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진동모니터링 무선센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146A (ko) 2018-08-27
US20200317471A1 (en) 2020-10-08
WO2018151403A3 (ko) 2018-10-11
WO2018151403A2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384B1 (ko)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진동 및 주행속도 측정시스템
US9441963B2 (en) Multifunction laser leveling tool
US9033114B2 (en) Determining elevator car position
JP2011506222A (ja) エレベータ昇降路を測量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9941859B (zh) 电梯轿厢绝对位置的测量方法及其测量系统
KR20160105975A (ko) 올웨이즈 온 기압계를 통한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128381B (zh) 电梯曳引机组件和测量电梯组件中载荷的方法
AU2012384009A1 (en) Position and load measurement system for an elevator
JP4658716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据付精度測定装置
JP2011063346A (ja) クレーン装置における位置検出装置
CN108291955B (zh) 对工具在电梯竖井中的位置的监控和/或记录
KR20090120800A (ko)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층 운행정보 알림, 표시장치
JP2006117435A (ja) 携帯形異常診断機器、昇降機異常診断システム及び昇降機異常診断方法
JP2001270668A (ja) ガイドレールの据付精度測定装置及び据付精度測定方法
US6484849B2 (en) Elevator speed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reflective signal technology for making speed determinations
KR20170078941A (ko) 스마트 무선속도계
CN115594041A (zh) 基于振动信号的电梯称重方法、电梯称重系统及电梯
CN115009951A (zh) 一种电梯轿厢运行监测装置及方法
CN108689273B (zh) 电梯超行程测试系统和方法
CN112591572A (zh) 电梯平层精度验证系统、方法及装置、控制器
KR20170050897A (ko)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초고층 건물의 횡변위 계측 시스템 및 방법
CN110733949A (zh) 一种采用压力感应的称重系统及方法
CN115479539A (zh) 电梯的塔内尺寸自动测量装置
WO2022254630A1 (ja) エレベーターのカメラの校正システム
JP2022020116A (ja) エレベーター警報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警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