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338B1 - 기능성 반사 방지 필름 - Google Patents

기능성 반사 방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338B1
KR101915338B1 KR1020140136693A KR20140136693A KR101915338B1 KR 101915338 B1 KR101915338 B1 KR 101915338B1 KR 1020140136693 A KR1020140136693 A KR 1020140136693A KR 20140136693 A KR20140136693 A KR 20140136693A KR 101915338 B1 KR101915338 B1 KR 101915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reflection film
solvent
coating layer
graft polymer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191A (ko
Inventor
박세정
조홍관
김장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3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338B1/ko
Priority to US15/516,785 priority patent/US10545265B2/en
Priority to TW104133234A priority patent/TWI689557B/zh
Priority to PCT/KR2015/010669 priority patent/WO2016056861A1/ko
Priority to CN201580054666.8A priority patent/CN107001674B/zh
Publication of KR2016004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51/085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2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by surface treatment, e.g. by ir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Polysulf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1/06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51/08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08J24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44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무기 나노 입자; 폴리아크릴레이트 주쇄 및 실리콘 측쇄를 포함하는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반사방지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반사 방지 필름 {FUCTIONAL ANTIREFLECTION FILM}
기능성 반사 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가 각종 조명 및 자연광 등에 노출되는 경우 반사광에 의해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이미지가 눈에 선명하게 맺히지 못함에 따른 콘트라스트(contrast)의 저하로 화면 보기가 어려워질 뿐 아니라 눈이 피로감을 느끼거나 두통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반사 방지에 대한 요구도 매우 강해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향상을 위하여, 이러한 반사 방지 기능 외에도 무아레(moire) 현상이나 뉴튼링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에 관하여 개발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만, 광투과율 등의 광학 특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반사 방지 및 다양한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반사 방지 필름의 설계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광학 특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반사 방지 기능 및 뉴튼링 방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반사 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무기 나노 입자; 폴리아크릴레이트 주쇄 및 실리콘 측쇄를 포함하는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000 내지 약 2500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는 상기 실리콘 측쇄를 약 10 내지 약 3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의 실리콘 측쇄는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극성도(Polarity index)가 약 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벤젠류 용매, 케톤류 용매, 알코올류 용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5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평균 입경이 약 30㎚ 내지 약 60㎚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실리카 입자, 티타니아 입자, 산화지르코늄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의 총 표면적 대비 약 10% 내지 약 50%가 상기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OPTMS),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APTMS),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를 약 0.03 중량% 내지 약 0.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용매를 약 5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물은 상기 조성물을 약 200mJ 내지 약 400mJ의 광에너지로 광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약 25㎛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약 90㎚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접착층 및 이형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되어 우수한 광학 특성 및 반사 방지 기능을 확보하면서, 뉴튼링 방지 기능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무기 나노 입자; 폴리아크릴레이트 주쇄 및 실리콘 측쇄를 포함하는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반사 방지 필름은 디스플레이 등의 터치스크린패널로 입사한 광이 반사되어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재층에 반사 방지 기능을 가지는 코팅층이 적층된 구조이다.
한편, 디스플레이는 터치 시에 내부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두 기재가 맞닿아 공기층 눌림에 의한 빛의 간섭에 의하여 뉴튼링이라 불리는 무지개 색의 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뉴튼링은 시인성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뉴튼링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필름은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구조적으로 반사 방지 필름과 동일 위치에 존재해야 하는바, 두 필름을 함께 사용하여 동시에 표면에 노출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반사 방지 기능 및 뉴튼링 방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단일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우수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반사 방지 필름(100)은 기재층(10) 및 상기 기재층(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20)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20)은 반사 방지 기능 및 뉴튼링 방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무기 나노 입자; 폴리아크릴레이트 주쇄에 실리콘 측쇄가 그래프트된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주쇄에 실리콘 측쇄가 그래프트된 것으로, 뉴튼링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이나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이 경화되는 과정에서도 반응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하는 첨가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2500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가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짐으로써 상기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뉴튼링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는 상기 실리콘 측쇄를 약 10 내지 약 3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3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가 상기 실리콘 측쇄를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용매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슬립성을 부여할 수 있고, 우수한 뉴튼링 방지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가 상기 실리콘 측쇄를 약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코팅층 표면에서 슬립성을 부여하여 뉴튼링 방지 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의 실리콘 측쇄는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고, 이로써 슬립성을 부여하여 우수한 뉴튼링 방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는 상기 용매의 극성 정도에 따라 표면에 노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극성도(Polarity index)가 약 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극성도(Polarity index)'는 일반적으로 용매의 극성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비극성에서 극성을 0 내지 10으로 수치화한 것이다. 상기 용매의 극성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가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노출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우수한 슬립성을 확보할 수 있고, 뉴튼링 방지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펜탄(Pentane), 1,1,2-트리클로로트리플로오로에탄(1,1,2-Trichlorotrifluoroethane), 시클로펜탄(Cyclopentane), 헵탄(Heptane), 헥산(Hexane), 이소옥탄(Iso-oct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알칸류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용매;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등의 벤젠류 용매;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용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벤젠류 용매, 케톤류 용매 및 알코올류 용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가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하기 용이하며, 뉴튼링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벤젠류 용매, 케톤류 용매 및 알코올류 용매의 혼합물이며, 상기 혼합물의 극성도(Polarity index)가 5.0 이하일 수 있고, 이로써 우수한 뉴튼링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우수한 광학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는 올리고머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5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가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짐으로써 무기 나노 입자를 함께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의 광경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적절한 경화도를 갖는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는 다가 알코올; 다가 카르복실산 및 그 무수물; 및 아크릴산을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올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의 적합한 가교 밀도 확보를 위하여, 가교성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적정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분산성 및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무기 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실리카 입자, 티타니아 입자, 산화지르코늄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은 약 30㎚ 내지 약 60㎚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이 광간섭을 일으키기 적합한 두께로 코팅되기 용이하며, 이로써 반사율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상기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층이 적절한 입자 밀도를 확보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가 이러한 표면 처리를 통하여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와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우수한 분산성 및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입자의 표면적 대비 약 10% 내지 약 50%의 표면적이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조성물이 균일한 분산성 및 우수한 투명성을 가지는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OPTMS),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APTMS),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가 이러한 실란계 화합물에 의하여 표면 처리됨으로써 우수한 분산성 및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고, 투명성 등의 광학 특성을 향사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를 뉴튼링 방지 기능 확보를 위한 첨가제로서 포함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약 0.03 중량% 내지 약 0.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반사 방지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뉴튼링 방지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가 약 0.03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뉴튼링 방지 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약 0.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팅층 제조 후 내부에 잔존하여 광경화 효율을 저하시키고, 코팅층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결합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용매를 약 5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상기 용매를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를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노출시키기 유리하며 뉴튼링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를 약 1 중량% 내지 약 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무기 나노 입자를 약 5 중량% 내지 약 4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및 무기 나노 입자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반사 방지 기능 및 뉴튼링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우수한 광학 특성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광경화 가능한 것으로,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광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그 함량은 약 0.5 중량% 내지 약 1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α-히드록시케톤계 화합물, 페닐글리옥실레이트(phenylglyoxylate)계 화합물, 벤질디메틸케탈계 화합물, α-아미노케톤계 화합물, 모노아실포스핀(MAPO)계 화합물, 비스아실포스펜(BAPO)계 화합물, 포스핀옥시드계 화합물, 메탈로센계 화합물, 아이오도늄염(iodonium sal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화물은 상기 조성물을 약 200mJ 내지 약 400mJ의 광에너지로 광경화시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상기 범위의 광에너지로 경화됨으로써 반사 방지 기능 및 뉴튼링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적절한 경화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반사 방지 필름(100)은 기재층(10)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20)은 상기 기재층(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0)은 투명한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재질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코팅층과 합착력이 우수하여 기계적인 물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재층(10)의 두께는 약 25㎛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10)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투명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내구성 확보를 위한 지지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20)의 두께는 약 90㎚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20)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광학 특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반사 방지 기능 및 뉴튼링 방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접착층 및 이형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이형필름층, 접착층, 기재층 및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유통이 용이하며, 간단히 이형필름층을 제거한 후에 피착제에 부착되기 용이한바,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적용됨에 있어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이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접착층은 투명한 점착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반사 방지 기능 및 뉴튼링 방지 기능을 동시에 확보하면서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반사율이 약 5% 이하이고, 예를 들어 약 1.1% 이하이고, 예를 들어 약 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반사율'은 상기 반사 방지 필름에 광을 조사하여 투과되지 않고 반사되는 광의 비율을 측정한 것으로, 상기 반사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우수한 반사 방지 기능을 확보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광투과율이 약 90%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9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이 상기 범위의 광투과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광학 특성 및 반사 방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OPTMS)으로 총 표면적의 18%가 표면 처리된 실리카 입자 10 중량%, 폴리실록산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인 광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수지 1 중량%, 광개시제(Ciba사, Irgacure-184) 0.94 중량%를 혼합하고 케톤류 용매, 벤젠류 용매 및 알코올류 용매의 혼합물인 극성도 1.8의 용매를 88 중량% 혼합하고,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를 0.06 중량% 첨가하여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5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을 준비하고, 상기 코팅층용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 일면에 코팅한 후 300mJ의 광에너지로 경화하여 두께 100㎚의 코팅층을 제조함으로써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케톤류 용매, 벤젠류 용매 및 알코올류 용매의 혼합물인 극성도 7.3의 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OPTMS)으로 총 표면적의 18%가 표면 처리된 실리카 입자 10.055 중량%, 폴리실록산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or 공중합체)인 광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수지 1.005 중량%, 광개시제(Ciba사, Irgacure-184) 0.94 중량%를 혼합하고 케톤류 용매, 벤젠류 용매 및 알코올류 용매의 혼합물인 극성도 1.8의 용매를 88 중량% 혼합하여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5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을 준비하고, 상기 코팅층용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 일면에 코팅한 후 300mJ의 광에너지로 경화하여 두께 100㎚의 코팅층을 제조함으로써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구분 무기나노입자 광경화형 수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 광개시제 용매
함량 극성도
실시예 1 10 1 0.06 0.94 88 1.8
실시예 2 10 1 0.06 0.94 88 7.3
비교예 1 10.055 1.005 0 0.94 88 1.8
상기 표 1은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코팅층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 성분의 함량을 중량%로 기재한 것이다.
<평가>
실험예 1: 반사율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반사 방지 필름에 대하여, 가로 x 세로 = 50㎜ x 50㎜ 크기의 샘플을 제작하여, 투과반사율 측정장비(KONICA MINOLTA, Spectrophotometer CM-5)를 이용해 반사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2: 광투과율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반사 방지 필름에 대하여, 가로 x 세로 = 50㎜ x 50㎜ 크기의 샘플을 제작하여, 투과반사율 측정장비(KONICA MINOLTA, Spectrophotometer CM-5)를 이용해 광투과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3: 뉴튼링 방지 기능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반사 방지 필름에 대하여, 가로 x 세로 = 80㎜ x 120㎜ 크기의 샘플을 제작하여, 편광 필름에 샘플을 압착한 후에 생성된 뉴튼링이 제거되는 시간을 육안평가를 통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구분 반사율[%] 광투과율[%] 뉴튼링 방지 기능
실시예1 0.98 95.25 2 sec
실시예2 1.09 95.3 15 sec
비교예1 1.17 95.35 제거되지 않음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할 때, 상기 실시예 1 및 2의 반사 방지 필름은 우수한 반사 방지 기능, 광학 특성 및 뉴튼링 방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인 반면, 비교예 1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를 첨가제로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서, 뉴튼링 방지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100: 반사 방지 필름
10: 기재층
20: 코팅층

Claims (19)

  1.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무기 나노 입자; 폴리아크릴레이트 주쇄 및 실리콘 측쇄를 포함하는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를 0.03 중량% 내지 0.1 중량%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 내지 2500인
    반사 방지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는 상기 실리콘 측쇄를 10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중합체의 실리콘 측쇄는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노출되는
    반사 방지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극성도(Polarity index)가 5.0 이하인
    반사 방지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벤젠류 용매, 케톤류 용매, 알코올류 용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50 내지 300인
    반사 방지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평균 입경이 30㎚ 내지 60㎚인
    반사 방지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실리카 입자, 티타니아 입자, 산화지르코늄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반사 방지 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 입자의 총 표면적 대비 10% 내지 50%가 상기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반사 방지 필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OPTMS),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APTMS),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용매를 50 중량%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은 상기 조성물을 200mJ 내지 400mJ의 광에너지로 광경화시켜 형성되는
    반사 방지 필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25㎛ 내지 200㎛인
    반사 방지 필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90㎚ 내지 120㎚인
    반사 방지 필름.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접착층 및 이형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반사 방지 필름.
KR1020140136693A 2014-10-10 2014-10-10 기능성 반사 방지 필름 KR10191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93A KR101915338B1 (ko) 2014-10-10 2014-10-10 기능성 반사 방지 필름
US15/516,785 US10545265B2 (en) 2014-10-10 2015-10-08 Functional antireflection film
TW104133234A TWI689557B (zh) 2014-10-10 2015-10-08 功能性防反射膜
PCT/KR2015/010669 WO2016056861A1 (ko) 2014-10-10 2015-10-08 기능성 반사 방지 필름
CN201580054666.8A CN107001674B (zh) 2014-10-10 2015-10-08 功能防反射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93A KR101915338B1 (ko) 2014-10-10 2014-10-10 기능성 반사 방지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191A KR20160043191A (ko) 2016-04-21
KR101915338B1 true KR101915338B1 (ko) 2018-11-06

Family

ID=5565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693A KR101915338B1 (ko) 2014-10-10 2014-10-10 기능성 반사 방지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45265B2 (ko)
KR (1) KR101915338B1 (ko)
CN (1) CN107001674B (ko)
TW (1) TWI689557B (ko)
WO (1) WO2016056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71154A1 (en) * 2016-12-20 2018-06-21 Ppg Industries Ohio, Inc. Anti-reflective coated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4693A1 (ja) * 2005-12-27 2007-07-05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減反射性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2009014917A (ja) * 2007-07-03 2009-01-22 Fujifilm Corp 光学機能層形成用組成物、光学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1741A (en) * 1963-09-11 1967-01-31 Minnesota Mining & Mfg Adhesive sheet and method of making
US6210858B1 (en) * 1997-04-04 2001-04-03 Fuji Photo Film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U2002222659A1 (en) * 2000-12-18 2002-07-01 Bridgestone Corporation Film-reinforced glasses
KR100756818B1 (ko) * 2006-01-31 2007-09-07 제일모직주식회사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방지 필름 및 이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
JP4866811B2 (ja) * 2007-08-24 2012-02-01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
CN101504467A (zh) * 2008-02-05 2009-08-12 山太士股份有限公司 自行结构化光学膜结构及其制造方法
US9896557B2 (en) * 2010-04-28 2018-02-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ilicone-based material
KR101351625B1 (ko) * 2010-12-31 2014-01-15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사 방지 필름
JP5712100B2 (ja) * 2011-09-29 2015-05-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塗布組成物
JP6360764B2 (ja) * 2014-09-30 2018-07-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と清掃用布を含むキ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4693A1 (ja) * 2005-12-27 2007-07-05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減反射性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2009014917A (ja) * 2007-07-03 2009-01-22 Fujifilm Corp 光学機能層形成用組成物、光学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1674A (zh) 2017-08-01
TW201619306A (zh) 2016-06-01
TWI689557B (zh) 2020-04-01
US20170307784A1 (en) 2017-10-26
US10545265B2 (en) 2020-01-28
KR20160043191A (ko) 2016-04-21
CN107001674B (zh) 2020-08-28
WO2016056861A1 (ko)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9623B (zh) 包含烷氧基化的多(甲基)丙烯酸酯单体和经表面处理的纳米粒子的硬质涂膜
JP4508635B2 (ja) 画像表示装置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N106030479B (zh) 电子板
CN104487494A (zh) 硬涂膜及其制备方法
CN104736613A (zh) 层压硬涂膜
EP3144327A1 (en) Resin composition for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ame
JP2009013384A (ja) 易滑性アンチブロッキング光硬化性樹脂組成物、それを基材上に被覆硬化した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構造体およびその製法
CN107526122A (zh) 中间基材膜和触控面板传感器
TW201834845A (zh) 透明樹脂基板
JP6575191B2 (ja) 指滑り層形成用樹脂組成物、指滑り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5152691A (ja) インサート成形用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樹脂成形品
JP2010241937A (ja) ハードコート層用硬化性樹脂組成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透過型光学表示装置
JP4266623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5003516A (ja) 保護コート層付フィルム
KR101915338B1 (ko) 기능성 반사 방지 필름
KR102618670B1 (ko) 적층 필름
JP4351450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5147369A (ja) インサート成形用防眩性フィルム
JP6364719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積層体、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
JP6288666B2 (ja) ハードコート転写媒体
KR20190062267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794883B2 (ja) 射出成形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射出成形体
TW202313334A (zh) 硬塗薄膜、光學構件及影像顯示裝置
JP2003080644A (ja) ハードコート層を有する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ハードコート層を有するフィルムを適用した製品
JP6187099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積層体、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