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208B1 -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208B1
KR101915208B1 KR1020170123105A KR20170123105A KR101915208B1 KR 101915208 B1 KR101915208 B1 KR 101915208B1 KR 1020170123105 A KR1020170123105 A KR 1020170123105A KR 20170123105 A KR20170123105 A KR 20170123105A KR 101915208 B1 KR101915208 B1 KR 10191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information
friction coefficient
golf course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영
Original Assignee
삼아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아항업(주) filed Critical 삼아항업(주)
Priority to KR102017012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에 관한 것이며,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를 포함하는 퍼팅 예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예정 골프장과 상기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이슬 형성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상기 예정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에 대한 예상 마찰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산출된 상기 예상 마찰계수를 퍼팅 연습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상기 예정 골프장과 상기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습도 변화 정보, 기온 변화 정보 및 강우 확률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for golf putting}
본원은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를 즐기는 인구의 증가로 스크린 골프장과 같은 실내 골프 연습장에서 골프를 연습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스크린 골프장의 퍼팅 연습 장치는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된 퍼팅용 인조잔디에 홀컵을 구비시킨 상태로 일정한 거리에서 골프채로 퍼팅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며 퍼팅 기술을 습득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스크린 골프장에서의 퍼팅 연습은 대부분 동일한 환경 조건(예를 들어, 단일한 퍼팅용 인공잔디가 이용되고 주변의 온도, 습도 등이 비교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상태의 환경 조건 등) 상에서 반복적으로 퍼팅 연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장에서 많이 연습하여 퍼팅 감각을 익혔다고 하더라도 실제 골프장의 그린에서 퍼팅을 수행하려 할 때에는 퍼팅 연습을 할 때의 환경 조건과는 다른 환경 조건(예를 들어, 다른 종류의 인공잔디, 실제 잔디 등 퍼팅 그린 잔디의 상태가 다르거나 주변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이 다른 경우 등)의 영향으로 인해 연습할 때 익혔던 퍼팅 감각이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여 연습할 때 만큼의 실력 발휘가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098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실제 특정 골프장에서 퍼팅을 하기 앞서 해당 골프장과 가장 유사한 상태의 환경에서 퍼팅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를 포함하는 퍼팅 예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예정 골프장과 상기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이슬 형성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상기 예정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에 대한 예상 마찰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산출된 상기 예상 마찰계수를 퍼팅 연습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상기 예정 골프장과 상기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습도 변화 정보, 기온 변화 정보 및 강우 확률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상 마찰계수는,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 및 퍼팅 그린 잔디의 종류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상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에 상기 이슬 형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습도 변화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및 온도 변화 정보에 대응하여 도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이고, 상기 예상 마찰계수는, 상기 이슬 형성 정보에 따른 마찰계수와 상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상기 예정 골프장의 과거 습도 변화, 과거 온도 변화 및 과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온도 변화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풍속 변화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은, (d) 상기 퍼팅 연습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퍼팅 연습시 발생된 퍼팅 이력 정보를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e)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 골프장의 퍼팅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필드에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위치와 관련하여 기 저장된 퍼팅 이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퍼팅 이력 정보는 가상 골프장에서의 퍼팅 위치, 퍼팅 강도 및 퍼팅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퍼팅 이력 정보에 대하여,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 및 현재의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퍼팅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퍼팅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은, (f) 상기 퍼팅 연습 장치의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골프장의 퍼팅 그린 라이(Lie)가 엘리베이션(elevation)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확대 배수만큼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제어 정보를 상기 퍼팅 연습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를 포함하는 퍼팅 예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예정 골프장과 상기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이슬 형성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상기 예정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에 대한 예상 마찰계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산출된 상기 예상 마찰계수를 퍼팅 연습 장치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상기 예정 골프장과 상기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습도 변화 정보, 기온 변화 정보 및 강우 확률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부는, 상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로서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 및 퍼팅 그린 잔디의 종류를 상기 이슬 형성 정보와 함께 고려하여 상기 마찰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습도 변화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및 온도 변화 정보에 대응하여 도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이고, 상기 예상 마찰계수는, 상기 이슬 형성 정보에 따른 마찰계수와 상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상기 예정 골프장의 과거 습도 변화, 과거 온도 변화 및 과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온도 변화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풍속 변화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이슬 형성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예정 일시에서의 예정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에 대한 예상 마찰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마찰계수가 퍼팅 연습 장치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특정 골프장에서 퍼팅을 하기 앞서 해당 골프장과 가장 유사한 상태의 환경에서 퍼팅 연습을 수행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와 퍼팅 그린 잔디의 종류를 고려하여 생성된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에 이슬 형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예상 마찰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마찰계수를 퍼팅 연습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가려고 하는 예정 골프장의 예정 일시에서의 환경과 가장 유사한 환경에서 퍼팅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예정 일시에 예정 골프장에서 실제 퍼팅시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 골프장의 퍼팅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필드에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위치와 관련하여 기 저장된 퍼팅 이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퍼팅 연습시 익혔던 퍼팅 감각을 실제 퍼팅시에 깨닫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 및 현재의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퍼팅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실제 퍼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퍼팅 연습 장치의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골프장의 퍼팅 그린 라이가 엘리베이션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확대 배수만큼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퍼팅 그린의 라이(Lie) 또는 퍼팅 그린의 경사도 파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에 의하여 스크린 상의 퍼팅 그린 라이가 확대되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퍼팅 연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 퍼팅 연습 장치(20), 사용자 단말(30), 데이터베이스(14) 및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5)를 포함할 수 있다.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 퍼팅 연습 장치(20) 및 사용자 단말(30)은 서로 간에 네트워크(40)로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40)의 일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는 서버일 수 있다.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는 수신부(11), 산출부(12) 및 제공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는 사용자로부터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를 포함하는 퍼팅 이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수신부(11)는 사용자로부터 퍼팅 연습 장치(20)를 통해 입력받은 퍼팅 이력 정보를 퍼팅 연습 장치(20)로부터 전달받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퍼팅 연습 장치(20)가 네트워크(4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로부터 퍼팅 이력 정보를 수신한 이후 이를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로 제공함으로써, 수신부(11)가 퍼팅 이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퍼팅 예정 정보와 퍼팅 연습 장치(20)의 식별번호를 함께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부(11)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전송된 퍼팅 예정 정보와 퍼팅 연습 장치(20)의 식별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1)는 예정 일시와 관련하여 날짜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11)는 예정 일시로서, 실제 골프장에서의 골프 시작 날짜와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신부(11)는 예정 골프장의 코스나 면적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수신한 실제 골프장에서의 골프 시작 날짜와 시간에 기초하여 실제 골프장에서의 퍼팅 예정 일시(달리 말해, 실제 골프장에서 퍼팅이 수행될 예정 일시)를 예측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11)는 예정 일시로서, 실제 골프장에서의 퍼팅 예정 날짜와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1)는 퍼팅 이력 정보와 관련하여 예정 골프장으로서 A 골프장을 수신하고, 퍼팅 예정 일시로서 현재로부터 1주일 후인 날짜에 오전 8시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산출부(12)는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이슬 형성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예정 일시에서의 예정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에 대한 예상 마찰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예상 마찰계수는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 및 퍼팅 그린 잔디의 종류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에 이슬 형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는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 및 퍼팅 그린 잔디의 종류를 고려한 정보일 수 있다.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는 퍼팅 그린 잔디의 평균 길이, 두께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퍼팅 그린 잔디의 종류는 인공 잔디인지 실제 잔디인지가 고려될 수 있으며, 특히 인공 잔디인 경우에는 제품의 종류가 고려될 수 있고, 실제 잔디인 경우에는 잔디의 품종이 고려될 수 있다.
일예로,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는 골프장 별로 기 저장된 잔디 관리 주기 정보에 기초한 잔디 종류별 성장 속도를 고려하여 추정된 값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A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로는 a 품종의 실제 잔디가 이용되고, A 골프장에서는 2주의 주기로 잔디를 깎는 관리가 수행되며, 현 시점으로부터 4일 전에 잔디를 깎는 관리가 수행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상태에서 퍼팅 예정 골프장 및 퍼팅 예정 일시가 A 골프장에서 1주일 후로 예정되어 있는 경우,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는 a 품종의 실제 잔디의 평균 성장 속도를 고려하여 현 시점으로부터 1주일간 자란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를 추정한 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인공 잔디는 잔디의 길이가 자라지 않을 것이므로, 예상 마찰계수 산출시 고려되는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로서 기 저장된 인공 잔디의 길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슬 형성 정보는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습도 변화 정보, 기온 변화 정보 및 강우 확률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슬 형성 정보는 풍속 변화 정보(또는 바람 세기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는 기상청 등으로부터 현재 날씨 정보 및 향후 날씨 정보(또는 날씨 예보 정보)를 획득하는 날씨 정보 획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는 날씨 정보 획득부(미도시)를 통해 습도 변화 정보, 기온 변화 정보, 강우 확률 정보 및 풍속 변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강우 확률 정보는 강설 확률 정보까지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골프의 경우 눈이 내리는 겨울은 일반적으로 오프 시즌으로 인식되므로, 강설 확률 정보는 다른 요소들(예를 들어, 습도 변화 정보, 기온 변화 정보 및 강우 확률 정보)에 비해 고려되는 비중이 적을 수 있다. 또한, 일예로, 비가 오지 않을 경우에는 습도 변화 정보와 기온 변화 정보를 고려하여 이슬 형성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며, 비가 오는 경우에는 강우량 등의 정보가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이슬 형성 정보는 습도 변화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14)를 기반으로,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및 온도 변화 정보에 대응하여 도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상 마찰계수는 이슬 형성 정보에 따른 마찰계수와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14)에는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즉, 퍼팅 그린 잔디의 종류,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 별로, 습도 변화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데이터베이스(14)에는 습도 변화 및 온도 변화에 따라 퍼팅 그린 잔디에 맺히거나 증발되는 이슬량이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습도 변화 및 온도 변화에 따라 퍼팅 그린 잔디에 대하여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마찰계수가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산출부(12)는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및 온도 변화 정보에 대응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를 예정 일시에서의 이슬 형성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추출된 이슬 형성 정보에 따른 마찰계수와 예정 골프장에서의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예상 마찰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4)에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가 저장되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슬량 및 마찰계수가 저장될 수 있다.
일예로, 온도가 상온 20도이고 상대습도가 60%인 상태에서 공기 1m3의 부피 속에 포함된 수증기량(즉, 공기중의 수증기량)이 9g이고, 이후 온도가 내려가서 상온 5도이고 상대습도가 80%로 변화되어 공기 1m3의 부피 속에 포함된 수증기량이 4.5g로 변화된 경우, 4.5g(9g-4.5g=4.5g)의 수증기가 이슬로 변화되어 4.5g의 이슬량이 퍼팅 그린 잔디의 표면에 맺힐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증기가 응결되어 생성되는 이슬량은 습도(또는 상대습도)의 변화, 기온(온도)의 변화, 풍속의 변화, 공기 중의 수증기량, 포화수증기량 등에 영향을 받아 그 양이 결정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4)에는 습도(또는 상대습도)의 변화, 기온(온도)의 변화, 풍속의 변화, 공기 중의 수증기량, 포화수증기량 등을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기 알려진 방법을 통해 산출된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가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향후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산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가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습도가 x11에서 x12로 변하고 온도가 x21에서 x22로 변할 때 a 품종의 퍼팅 그린 잔디에 맺히는 이슬량은 y1이고, 마찰계수는 y2인 것으로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가 x11에서 x12로 변하고 온도가 x21에서 x22로 변화된다는 날씨 예보 정보가 날씨 정보 획득부(미도시)를 통해 획득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산출부(12)는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에 대응하는 마찰계수 y2를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마찰계수(즉, 이슬 형성 정보에 따른 마찰계수)와 예정 골프장에서의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예상 마찰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에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가 풍속 변화 정보(또는 바람 세기 정보)와 연계되어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4)에는 습도가 x11에서 x12로 변화되고, 온도가 x21에서 x22로 변화되고, 풍속이 x31에서 x32로 변화될 때의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슬 형성 정보는 예정 골프장의 과거 습도 변화, 과거 온도 변화 및 과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14)를 기반으로,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온도 변화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일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14)에는 예정 골프장과 관련하여 과거 습도 변화, 과거 온도 변화 및 과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가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와 연계되어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에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가 과거 풍속 변화 정보와 함께 연계되어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산출부(12)는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온도 변화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와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를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이슬 형성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에는 골프장에서 실제로 측정된 마찰계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정 골프장과 관련하여 과거 습도 변화가 x11에서 x12로 변화되면서 과거 온도 변화가 x33에서 x34로 변화될 때, 또는 과거 습도 변화가 x13에서 x15로 변화되면서 과거 온도 변화가 x31에서 x32로 변화될 때 등 각각에 대하여 a 품종의 그린 잔디에 맺히는 이슬량 또는 해당 그린 잔디에 대한 마찰계수가 연계되어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산출부(12)는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정보 중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습도 변화 정보에 대응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를 추출할 수 있다. 일예로,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가 x11 에서 x12로 변화되면서 온도 변화 정보가 x33에서 x34 변화된다는 날씨 예보 정보가 날씨 정보 획득부(미도시)를 통해 획득된 경우, 산출부(12)는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정보 중 습도 변화 정보가 x11 에서 x12로 변화되면서 온도 변화 정보가 x33에서 x34 변화될 때의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를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이슬 형성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부(12)는 데이터베이스(14)에서 저장된 현 시점으로부터 과거 미리 설정된 기간 범위(예를 들어, 1달)에 속한 마찰계수 중 예정 일시에서의 날씨 예보 정보와 같거나 가장 유사한 날씨 정보에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식별하고, 이를 예측 마찰계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제공부(13)는 산출부(12)에서 산출된 예상 마찰계수를 퍼팅 연습 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실제 골프장의 A 위치에서 1의 힘 크기(퍼팅 강도)로 골프공을 치더라도 퍼팅 그린의 잔디가 젖어 있는 상태이면 0.6 내지 0.8 정도의 힘 크기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만 골프공이 이동되고, 퍼팅 그린 잔디가 매말라 있는 상태이면 1의 힘 크기에 가까운 힘 크기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 골프공이 이동될 수 있다. 이는 퍼팅 그린 잔디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도 그 값이 달리 나타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원은 이슬 형성 정보와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예정 일시에서의 예정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에 대한 예상 마찰계수를 산출하고, 이를 퍼팅 연습 장치(20)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로 예정 골프장에서 예정 일시에 퍼팅을 수행할 때와 유사한 환경에서 퍼팅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퍼팅 연습 장치(20)는 제공부(13)로부터 제공된 예상 마찰계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예상 마찰계수에 기반한 퍼팅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퍼팅 연습 장치(20)는 실내에 구비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퍼팅 연습 장치(20)는 일예로 스크린 골프장과 같은 실내 골프 연습장에 구비되거나 가정 등의 실내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는 퍼팅 연습 장치(20)를 통한 사용자의 퍼팅 연습시 발생된 퍼팅 이력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 가상 골프장의 퍼팅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필드에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위치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위치와 관련하여 기 저장된 퍼팅 이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퍼팅 이력 정보는 가상 골프장에서의 퍼팅 위치, 퍼팅 강도(달리 말해, 골프공이 퍼팅 연습 장치의 스크린을 타격하는 충격의 크기, 힘의 크기) 및 퍼팅 방향(힘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퍼팅 이력 정보는 퍼팅 궤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퍼팅 이력 정보는 퍼팅 연습 장치(20)에 적용되는 물리엔진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는 퍼팅 연습 장치(20)를 통한 가상 골프장에서의 퍼팅 이력이 위치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가상 골프장에 대한 퍼팅 이력이 위치 정보와 연계되어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될 때, 골프공이 퍼팅 연습 장치(20)의 스크린을 타격하는 충격의 크기(힘의 크기) 및 방향(힘의 방향), 즉 퍼팅 강도 및 퍼팅 방향을 정량화하여 스크린 타격 후 물리엔진을 통해 계산되어 공을 진행시킨 퍼팅 궤적이 함께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퍼팅 궤적 정보에는 성공 궤적과 실패 궤적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원은 사용자가 실제 골프장의 필드에서 퍼팅을 수행하기 전에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퍼팅 이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퍼팅 연습 장치(20)를 통한 퍼팅 연습시 익혔던 퍼팅 감각을 실제 퍼팅시에 깨닫게 할 수 잇다.
특히,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 퍼팅 강도는 정량화된 값이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퍼팅 이력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실제 퍼팅을 수행함에 있어서 퍼팅 이력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이 사용했던 힘의 크기값(퍼팅 강도) 대비 상대적으로 큰 힘 또는 작은 힘으로의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부(13)는 사용자 단말(30)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퍼팅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보다 정확한 퍼팅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기 알려지거나 향후 개발될 위치 보정 기술을 통해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GPS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GPS 오차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진 경우, 보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기 설정된 거리 범위에 대응하여 퍼팅 이력 정보로서 정량화된 퍼팅 강도 및 퍼팅 방향에 따른 퍼팅 궤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공부(13)는 사용자 단말(30)로 제공되는 퍼팅 이력 정보에 대하여,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 및 현재의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퍼팅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퍼팅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는 골프장의 퍼팅 그린에 대응하는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 및 이슬 형성 정보를 고려하여 산출된 예정 골프장의 예정 일시에서의 예상 마찰계수를 퍼팅 연습 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퍼팅 연습 장치(20)에 예상 마찰계수가 적용된 상태로 사용자는 퍼팅 연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퍼팅 연습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퍼팅 이력 정보는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의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제공부(13)를 통한 퍼팅 가이드 정보의 제공시에는, 퍼팅 이력 정보가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될 때의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 및 날씨 정보를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시점에서의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 및 날씨 정보를 대비하여,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되어 있는 퍼팅 이력 정보 및 마찰계수를 현 시점에서의 실제 골프장의 상황에 맞게 수정(변경)한 퍼팅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는 가상 골프장 A의 b위치에서 65의 정량화된 퍼팅 강도(힘)로 퍼팅하면 되는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조건 및 날씨 조건으로 저장되어 있었으나,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실제 골프장 A'의 b' 위치(이는 가상의 b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범위에 속하는 실제 위치를 나타냄)에 대하여 현재의 실제 골프장 A'의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 및 날씨 정보(즉, 습도 변화 정보, 기온 변화 정보, 강우 확률 정보, 풍속 변화 정보)를 고려하면 잔디의 길이가 더 길어지고 아침 이슬이 많이 맺힌 상태인 경우 마찰계수가 상승되는 쪽으로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공부(13)는 일예로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 기 저장되어 있는 65의 정량화된 퍼팅 강도를 10% 정도 향상시켜 보정한 약 72%의 정량화된 퍼팅 강도 정보를,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퍼팅 그린 상에서 퍼팅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퍼팅 가이드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공부(13)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퍼팅 연습 장치(20)의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골프장의 퍼팅 그린 라이(Lie)가 엘리베이션(elevation)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확대 배수 만큼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퍼팅 연습 장치(20)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제어 정보(또는 명령,신호)를 퍼팅 연습 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일예로 퍼팅 연습 장치에 포함된 스크린 나이 확대 조작부에 대한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스크린 나이 확대 조작부에 의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퍼팅 연습 장치(20)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후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한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제어 정보를 퍼팅 연습 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퍼팅 연습 장치(20)는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제어 정보에 따라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린은 그린 라이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확대 이전의 상태인 축소 상태로 그린 라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퍼팅 그린 라이의 엘리베이션 방향으로의 확대는 에이프런(apron)를 기준으로 하여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퍼팅 그린 라이의 엘리베이션 방향으로의 확대는 칼라(collar) 또는 에지(edge)를 기준으로 하여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다.
퍼팅은 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골프 경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취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많은 골퍼들은 그린에서 퍼팅을 하기 전에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라이를 파악하기 위해 그린 위에 눕거나 엎드려 그린의 라이를 분석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린의 특성상 단색(예를 들어, 녹색)으로 되어있어 눈으로 라이를 분석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경사가 한 방향이 아니라 굴곡이 있기 때문에 골프공의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경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한편, 스크린 골프장과 같은 실내 골프 연습장에서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골프장을 보면서 퍼팅 연습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보았을 때 인지 가능한 시각(또는 화각) 범위와 스크린을 통해 보여지는 화각의 범위 간에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통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그린 라이에 대한 화면을 통해서는 사용자가 실제 골프장의 필드에서 눈으로 보았을 때 느끼게 되는 그린 라이의 굴곡 정도 만큼 느끼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시각(또는 화각)의 범위는 약 700인치 정도인 반면, 일반적으로 실내에 구비되는 퍼팅 연습용 스크린은 약 30 내지 70인치 정도이고, 대형 스크린의 경우에는 약 200인치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이처럼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화각 범위와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시각 범위 간의 차이 정도를 고려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는 스크린의 그린 라이를 엘리베이션 방향으로 10배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린 라이의 굴곡 정도가 실제의 그린 라이의 굴곡 정도와 유사하게 느끼도록 제공할 수 있다. 확대 배수의 설정은 10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는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장에서 스크린을 보면서 퍼팅 연습 수행시 그린 라이의 굴곡 정도가 실제 필드에서 직접 눈으로 보았을 때 느끼는 체감상의 굴곡 정도와 유사하게 느낄 수 있도록(즉, 그린 라이가 현실감있게 보여질 수 있도록), 퍼팅 연습 장치(20)의 그린 라이가 엘리베이션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확대 배수 만큼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에 의하여 스크린 상의 퍼팅 그린 라이가 확대되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예로, 그린 라이의 확대 제어가 이루어진 경우, 퍼팅 연습 장치(20)의 스크린(21) 상에는 확대 이전의 제1 그린 라이(L2)가 에이프린(L1)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확대 배수만큼 엘리베이션 방향으로 확대되어 제2 그린 라이(L3)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앞선 일예에서는 스크린의 그린 라이의 확대 제어가 제공부(13)로부터 제공되는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크린의 그린 라이의 확대 제어는 퍼팅 연습 장치(2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퍼팅 연습 장치(20)에 포함된 스크린 나이 확대 조작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퍼팅 연습 장치(2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그린 라이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거나 확대 이전의 상태로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퍼팅 연습 장치(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퍼팅 연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 장치(20)는 스크린(21), 퍼팅 매트(22) 및 가상 디스플레이 수단(24)을 포함할 수 있다.
퍼팅 연습 장치(20)는 실내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스크린(21)은 가상의 골프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퍼팅 매트(22)는 스크린(21)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퍼팅 매트(22) 상에는 골프공(23)이 놓일 수 있다.
골프공(23)에 대한 퍼팅 매트(22)의 마찰계수는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의 제공부(13)로부터 제공되는 예상 마찰계수로 적용될 수 있다.적용된 예상 마찰계수에 기반하여 퍼팅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퍼팅 매트(22)는 일예로 1m 이하의 길이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원은 퍼팅 매트(22)를 1m 이하의 길이로 짧게 형성함으로써 퍼팅 연습 장치(20)를 설치함에 있어서 넓은 공간의 필요없이 소정의 좁은 공간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소정의 공간 내에서의 퍼팅 연습이 가능하다.
가상 디스플레이 수단(24)은 퍼팅 매트(22)와 스크린(21)의 사이에 구비되고, 퍼팅 매트(22)와는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가상 디스플레이 수단(24)은 사용자가 퍼팅 매트(22) 상에 놓인 골프공(23)을 골프채로 타격한 경우, 타격된 골프공(23)의 이동을 가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타격된 골프공(23)은 퍼팅 매트(22)와 가상 디스플레이 수단(24) 사이의 공간으로 빠져 경로 R 을 따라 사용자가 위치한 곳(또는 골프공이 놓인 곳)으로 다시 되돌아올 수 있다. 이를 위해, 퍼팅 연습 장치(20)는 골프공 수거 수단(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골프공(23)이 타격되는 경우 타격된 골프공(23)은 경로 R을 따라 사용자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되고, 가상 디스플레이 수단(24)은 골프공(23)이 경로 R을 따라 이동되기 이전의 시점부터의 골프공(23)의 이동 경로를 가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가상 디스플레이 수단(24)은 LCD, 강화필름 및 강화 유리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상 디스플레이 수단(24)은 골프공(23)의 이동을 가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다른 일예로 가상 디스플레이 수단(24)은 벽 등에 세워 놓음으로써 디지털 액자와 같은 실내 장식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 장치(20)는 퍼팅 매트(22)의 앞단에 타격된 골프공(23)의 퍼팅 강도 및 퍼팅 방향을 측정하는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격된 골프공(23)은 경로 R을 따라 이동되기 이전에 센서부(미도시)에 의하여 퍼팅 강도 및 퍼팅 방향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 장치(2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HMD(Head Mounted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퍼팅 연습 장치(20)는 사용자가 착용한 HMD의 기울어진 각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각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퍼팅을 위해 고개를 숙인 것으로 판단하여 퍼팅 매트(22)에 놓인 골프공(23)이 증강현실로 보이도록 HMD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퍼팅 연습 장치(20)는 사용자가 골프공(23)을 타격함에 따라 HMD의 기울어진 각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골프공(23)의 이동 상태를 고려하여 골프공(23)이 증강현실에서 가상현실로 바뀌어 보이도록 HMD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골프공(23)이 타격된 이후 사용자의 고개가 골프공이 진행되는 전방향으로 회전 및 이동되는 경우, HMD는 이러한 사용자의 고개의 회전 및 이동을 감지하여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이 결합된 상태로 골프공(23)의 이동 상태가 보여지도록 HMD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은 펴팅 연습을 수행함에 있어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이 결합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은 골프공이 타격되는 경우 HMD를 통해 골프장에서 골프공이 실제로 비행하는 것과 같은 3D 영상의 제공이 가능함에 따라 실제 퍼팅을 할 때와 같은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사용자의 시각이 변화될 때 특정 시각에서 바라보는 골프장의 영상이 HMD에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실제 골프장에서 퍼팅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골퍼가 실제 특정 골프장에서 퍼팅을 하기에 앞서 해당 골프장에서 퍼팅을 할 때와 유사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실제 퍼팅을 할 때의 그린 상태와 유사한 상태의 골프 연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은 앞서 설명된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1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를 포함하는 퍼팅 예정 정보를 수신하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42에서는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이슬 형성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예정 일시에서의 예정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에 대한 예상 마찰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슬 형성 정보는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습도 변화 정보, 기온 변화 정보 및 강우 확률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슬 형성 정보는 풍속 변화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예상 마찰계수는,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 및 퍼팅 그린 잔디의 종류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에 이슬 형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이슬 형성 정보는 습도 변화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및 온도 변화 정보에 대응하여 도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일 수 있으며, 예상 마찰계수는, 이슬 형성 정보에 따른 마찰계수와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이슬 형성 정보는 예정 골프장의 과거 습도 변화, 과거 온도 변화 및 과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온도 변화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43에서는 단계S42에서 산출된 예상 마찰계수를 퍼팅 연습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은 퍼팅 연습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퍼팅 연습시 발생된 퍼팅 이력 정보를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 골프장의 퍼팅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필드에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위치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위치와 관련하여 기 저장된 퍼팅 이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퍼팅 이력 정보는 가상 골프장에서의 퍼팅 위치, 퍼팅 강도 및 퍼팅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퍼팅 이력 정보에 대하여,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 및 현재의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퍼팅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퍼팅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은, 퍼팅 연습 장치의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골프장의 퍼팅 그린 라이(Lie)가 엘리베이션(elevation)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확대 배수만큼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제어 정보를 퍼팅 연습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 내지 S4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11: 수신부
12: 산출부
13: 제공부
14: 데이터베이스
15: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20: 퍼팅 연습 장치
30: 사용자 단말
40: 네트워크

Claims (14)

  1.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를 포함하는 퍼팅 예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예정 골프장과 상기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이슬 형성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상기 예정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에 대한 예상 마찰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산출된 상기 예상 마찰계수를 퍼팅 연습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상기 예정 골프장과 상기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습도 변화 정보, 기온 변화 정보 및 강우 확률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마찰계수는,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 및 퍼팅 그린 잔디의 종류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상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에 상기 이슬 형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되는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습도 변화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및 온도 변화 정보에 대응하여 도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이고,
    상기 예상 마찰계수는, 상기 이슬 형성 정보에 따른 마찰계수와 상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되는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상기 예정 골프장의 과거 습도 변화, 과거 온도 변화 및 과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온도 변화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인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풍속 변화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퍼팅 연습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퍼팅 연습시 발생된 퍼팅 이력 정보를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e)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퍼팅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 골프장의 퍼팅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필드에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위치와 관련하여 기 저장된 퍼팅 이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퍼팅 이력 정보는 가상 골프장에서의 퍼팅 위치, 퍼팅 강도 및 퍼팅 방향을 포함하는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퍼팅 이력 정보에 대하여,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 및 현재의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퍼팅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퍼팅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f) 상기 퍼팅 연습 장치의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골프장의 퍼팅 그린 라이(Lie)가 엘리베이션(elevation)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확대 배수만큼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제어 정보를 상기 퍼팅 연습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방법.
  9.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예정 골프장과 예정 일시를 포함하는 퍼팅 예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예정 골프장과 상기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이슬 형성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상기 예정 골프장의 퍼팅 그린 잔디에 대한 예상 마찰계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산출된 상기 예상 마찰계수를 퍼팅 연습 장치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상기 예정 골프장과 상기 예정 일시에 대응하는 습도 변화 정보, 기온 변화 정보 및 강우 확률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로서 퍼팅 그린 잔디의 길이 및 퍼팅 그린 잔디의 종류를 상기 이슬 형성 정보와 함께 고려하여 상기 마찰계수를 산출하는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습도 변화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및 온도 변화 정보에 대응하여 도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이고,
    상기 예상 마찰계수는, 상기 이슬 형성 정보에 따른 마찰계수와 상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되는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상기 예정 골프장의 과거 습도 변화, 과거 온도 변화 및 과거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예정 일시에서의 습도 변화 정보, 온도 변화 정보 및 퍼팅 그린 잔디 속성 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이슬량 또는 마찰계수인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 형성 정보는 풍속 변화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인,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123105A 2017-09-25 2017-09-25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및 방법 KR101915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105A KR101915208B1 (ko) 2017-09-25 2017-09-25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105A KR101915208B1 (ko) 2017-09-25 2017-09-25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208B1 true KR101915208B1 (ko) 2018-11-05

Family

ID=6432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105A KR101915208B1 (ko) 2017-09-25 2017-09-25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2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305A (ko) * 2020-01-21 2021-07-29 나경화 전자 캐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1288A (ko) * 2021-02-24 2022-09-01 주식회사 에스지엠 플레이 타이밍을 선택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476431B1 (ko) * 2021-09-07 2022-12-12 박재성 스마트 골프 어드레스 자세 교정장치
KR102485580B1 (ko) * 2021-09-07 2023-01-06 박재성 스마트 골프 어드레스 자세 교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904A (ja) 2001-06-13 2002-12-24 Sigma Solutions:Kk ゴルフ情報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904A (ja) 2001-06-13 2002-12-24 Sigma Solutions:Kk ゴルフ情報管理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305A (ko) * 2020-01-21 2021-07-29 나경화 전자 캐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44415B1 (ko) * 2020-01-21 2021-12-28 나경화 전자 캐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1288A (ko) * 2021-02-24 2022-09-01 주식회사 에스지엠 플레이 타이밍을 선택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551375B1 (ko) * 2021-02-24 2023-07-05 주식회사 에스지엠 플레이 타이밍을 선택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476431B1 (ko) * 2021-09-07 2022-12-12 박재성 스마트 골프 어드레스 자세 교정장치
KR102485580B1 (ko) * 2021-09-07 2023-01-06 박재성 스마트 골프 어드레스 자세 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208B1 (ko) 골프 퍼팅 연습 환경 조성 장치 및 방법
US102932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atically generating non-stereoscopic images for presentation and 3D viewing in a physical gaming and entertainment suite
US20080293464A1 (en) Electronic game utilizing photographs
US113088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sis of movement of a piece of sports equipment
JP7097624B2 (ja) ハイブリッドゴルフガイドシステム
CN103354761B (zh) 虚拟高尔夫仿真装置及方法
US201402742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ed gameplay based on a geospatial position
JP7467581B2 (ja) ユーザに対しゴルフショットをシミュレートする方法及び装置
CA27860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imaging mini map
US11615539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dicting whether an object moving across a surface will reach a target destination
KR2011004025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스크린골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1833404B2 (en) Personalized adjusted yardage recommendation systems
KR20230154002A (ko) 로봇 카메라 교정 시스템 및 방법
CN111228771B (zh) 高尔夫球娱乐系统和高尔夫球训练方法
TWI464009B (zh) 虛擬高爾夫模擬裝置及方法
KR20230058331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US10776929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etermining region of interest for photographing ball images
US20210228943A1 (en) Skill level determin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1282241A (zh) 虚拟现实系统及高尔夫球运动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641311B1 (ko) 골프공의 낙하 지점을 예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25668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골프경기 관련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230165939A (ko) 증강현실 기반의 스마트 골프장 라운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20133700A (ko) 증강 현실을 이용해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골프 경기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동일 방법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
KR20230051778A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골프공의 타격결과를 예측하는 시스템
KR20230017093A (ko)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