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728B1 -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728B1
KR101914728B1 KR1020170003334A KR20170003334A KR101914728B1 KR 101914728 B1 KR101914728 B1 KR 101914728B1 KR 1020170003334 A KR1020170003334 A KR 1020170003334A KR 20170003334 A KR20170003334 A KR 20170003334A KR 101914728 B1 KR101914728 B1 KR 101914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rail
rail
rail cover
cove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2091A (ko
Inventor
김진일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호
Priority to KR1020170003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7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22B1/20Sintering; Agglomerating in sintering machines with movable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73Se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59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tracks, e.g. rails and wag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73Seals
    • F27D2099/0078Means to minimize the leakage of the furnace atmosphere during charging or dis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드 박스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웨이링바와 웨어링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소결 대차 사이의 틈을 실링할 수 있는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레일과 레일 커버가 서로 걸리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드 레일이 레일 커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드 레일과 레일 커버 사이로 외부 누풍이 유입되거나 소결 대차에 적재된 소결광의 분진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소결 대차의 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ceiling device of sinter trailer}
본 발명은 윈드 박스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웨이링바와 웨어링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소결 대차 사이의 틈을 실링할 수 있는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레일과 레일 커버가 서로 걸리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드 레일이 레일 커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드 레일과 레일 커버 사이로 외부 누풍이 유입되거나 소결 대차에 적재된 소결광의 분진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소결 대차의 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설비는 무한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소결대차와, 상기 소결대차에 배합원료를 공급하는 장입장치와, 상기 장입장치에 의해 장입된 배합원료 표면의 코크스를 점화시키는 점화로와, 상기 소결대차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인하는 윈드박스와, 상기 소결대차에서 배광된 소결광을 파쇄시키는 핫 크러셔 및 상기 핫 크러셔에서 배출된 소결광을 냉각시키는 쿨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소결설비에서는 상기 윈드박스에서 공기를 흡인할 때, 대기 공기가 소결대차와 공기흡입박스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윈드박스로 직접 흡입되는 누풍이 발생되게 된다.
이로 인해, 소결 대차에 장입된 배합원료를 통과하는 유효 풍량이 감소하여, 소결 시간이 지연되고, 생산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1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의 실링 장치(1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실링 장치(10)는 소결대차(a)의 양측 하단에 설치되는 레일 커버(11), 슬라이드 레일(12), 윈드 박스(b)의 상단에 소결대차(a)의 주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웨어링 바(13), 상기 슬라이드 레일(12)을 탄성 반발력으로 상기 웨어링 바(13)에 밀착시키는 스프링(14) 및 체결수단(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결 대차(a)와 웨어링 바(13) 사이의 틈을 통해 누풍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하지만, 종래의 실링 장치(10)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12)과 레일 커버(11) 사이로 외부 누풍이 유입(c)되거나, 소결 대차에 적재된 소결광 등의 분진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실링 장치(10)는 고열에 의해 상기 웨어링 바(13)가 변형되거나, 분진등의 이물질의 유입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레일(12) 또는 상기 웨어링 바(13)에 편마모가 발생되어, 레일 탈선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레일과 레일 커버가 서로 면접촉되도록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과 레일 커버 사이로 외부 누풍의 유입되거나, 분진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결 대차의 실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레일과 레일 커버가 서로 걸리도록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이 레일 커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결 대차의 실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윈드 박스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웨어링바와 상기 웨어링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소결 대차 사이의 틈을 실링하기 위한 소결 대차의 실링 장치로서,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상기 소결 대차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웨어링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레일 커버; 상기 레일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 커버와 함께 상기 웨어링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레일; 일측은 상기 레일커버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레이드 레일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웨어링바에 밀착되게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커버의 하부 양측 단부에는 가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레일 커버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부 단부에는 상기 레일 커버 돌출턱과 서로 걸리도록 연장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 커버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커버 돌출턱의 상측면은 하방을 향해 테이퍼지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 돌출턱의 하측면은 하방을 향해 테이퍼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하부 수직단면은 하방을 향해 테이퍼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이고, 수직 단면 형상이 역삼각형 형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레일 커버부 하나를 기준으로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소정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각각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하부 단부면에는 양측에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상된 슬라이드 레일 하부돌출턱이 더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커버의 상부에서 상기 레일 커버 및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소결 대차의 실링 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드 레일과 레일 커버가 서로 면접촉되도록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과 레일 커버 사이로 외부 누풍의 유입되거나, 분진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소결 대차의 실링 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드 레일과 레일 커버가 서로 걸리도록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이 레일 커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종래의 씰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슬라이드 레일의 다양한 형상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소결 대차(20)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100)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100)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100)는 윈드 박스(10)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웨어링 바(30)와 상기 웨어링 바(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소결 대차(20) 사이의 틈을 실링하기 위한 장치로서, 레일 커버(110), 슬라이드 레일(120), 탄성 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 커버(110)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상기 소결 대차(20)의 하단 양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일 커버(110)는 '
Figure 112017002774934-pat00001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웨어링 바(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은 상기 레일 커버(110)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 커버(110)와 함께 상기 웨어링 바(3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은 상기 레일 커버(110) 하나를 기준으로 복수 개(121-1, 12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소결 대차(20)의 이동 중에 순간적인 진동이나 흔들림 발생시,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과 상기 웨어링 바(30)의 접촉 상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 부재(130)는 일측은 상기 레일 커버(110)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이 상기 웨어링 바(30)에 밀착되게 하는 탄성 수단이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부재(130)는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수직 단면 형상이 역삼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진 등의 이물질들이 상기 스프링 사이에 끼이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레일 커버(110)의 하부 양측 단부에는 가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레일 커버 돌출턱(1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의 상부 단부에는 상기 레일 커버 돌출턱(111)과 서로 걸리도록 연장형성된 슬라이드 레일 돌출턱(121)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레일 커버 돌출턱(111)은 상기 레일 커버(110)의 하부 양측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 돌출턱(121)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부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걸리도록 구비된다.
이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이 상기 레일 커버(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레일 탈선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 돌출턱(111)은 상기 레일 커버(110)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과 상기 레일 커버(110) 사이로 외부 누풍의 유입되거나, 분진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 커버 돌출턱(111)의 상측면(111a)는 하방을 향해 테이퍼지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 돌출턱(121)의 하측면은 하방을 향해 테이퍼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100)의 슬라이드 레일(120)의 형상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 돌출턱(121)이 형성된 영역을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의 슬라이드 레일(120)의 상부로 설명하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 돌출턱(121)을 기준으로 하단부까지를 슬라이드 레일(120)의 하부로설명한다.
일 예로,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121)의 하부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120-1).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의 하부 수직 단면은 하방을 향해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소정 각도(θ)로 테이퍼져 형성될 수 있다(120-2).
이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었을 경우에도, 테이퍼진 면을 따라 용이하게 흘러내리도록 하여, 틈(α)을 통해 이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레일 커버(110)의 상하 이동 시,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의 하부 수직 단면은 상단부에서 소정 영역까지는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고, 소정 영역부터 하단부까지는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120-5).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의 하단부에는 양측에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상된 슬라이드 레일 하부돌출턱(12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120-3, 120-4, 120-6).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 하부돌출턱(122)은 이송 중 하중에 의해 상기 레일 커버(110)가 눌려져 상기 틈(α)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 레일 커버 돌출턱(111)의 하부단면에 걸려 상기 틈(α)이 차폐되게 함으로써,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소정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홈(120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120a)에는 상기 탄성부재(13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을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의 홈(120a) 내부에서 전달되게 하여,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이 슬라이딩 되는 상기 웨어링 바(30)와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레일 커버(110)의 상부에서 상기 레일 커버(110) 및 상기 탄성 부재(13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 볼트(140)는 상기 레일 커버(110)와 상기 슬라이드 레일(120)이 함께 이동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윈드 박스
20 : 소결 대차
30 : 웨어링 바
110 : 레일 커버
111 : 레일커버 돌출턱
120 : 슬라이드 레일
121 : 슬라이드 레일 돌출턱
130 : 탄성 부재
140 : 체결 수단

Claims (8)

  1. 윈드 박스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웨어링바와 상기 웨어링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소결 대차 사이의 틈을 실링하기 위한 소결 대차의 실링 장치로서,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상기 소결 대차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웨어링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레일 커버;
    상기 레일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 커버와 함께 상기 웨어링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레일;
    일측은 상기 레일커버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웨어링바에 밀착되게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커버의 하부 양측 단부에는 가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레일 커버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부 단부에는 상기 레일 커버 돌출턱과 서로 걸리도록 연장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레일 커버가 서로 걸려 상기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레일 커버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레일 커버 돌출턱의 상측면은 하방을 향해 테이퍼지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 돌출턱의 하측면은 하방을 향해 테이퍼지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하부 수직단면은 하방을 향해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이고, 수직 단면 형상이 역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레일 커버 하나를 기준으로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소정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하부 단부면에는 양측에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상된 슬라이드 레일 하부돌출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커버의 상부에서 상기 레일 커버 및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KR1020170003334A 2017-01-10 2017-01-10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KR101914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334A KR101914728B1 (ko) 2017-01-10 2017-01-10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334A KR101914728B1 (ko) 2017-01-10 2017-01-10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091A KR20180082091A (ko) 2018-07-18
KR101914728B1 true KR101914728B1 (ko) 2018-11-05

Family

ID=6304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334A KR101914728B1 (ko) 2017-01-10 2017-01-10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7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527B1 (ko) * 2013-06-13 2014-08-22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소결기 대차
JP6089415B2 (ja) * 2012-03-06 2017-03-08 富士電機株式会社 逆阻止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415B2 (ja) * 1987-11-13 1994-11-09 川崎製鉄株式会社 焼結機パレットエアシール装置の漏風診断方法
KR20000012462A (ko) * 1999-12-06 2000-03-06 장률관 지문인식 신용카드, 전자화계 및 통장
KR100435484B1 (ko) * 1999-12-28 2004-06-10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 대차의 슬라이딩 씰 장치
KR100560806B1 (ko) * 2001-06-29 2006-03-14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 대차용 누풍 방지장치
KR101110518B1 (ko) * 2004-09-06 2012-03-13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 실 바 장치
KR100868906B1 (ko) * 2007-04-30 2008-11-17 동양주공주식회사 소결대차의 슬라이드형 씰링장치
KR20090021550A (ko) * 2007-08-27 2009-03-04 동양주공주식회사 소결대차의 슬라이드형 씰링장치
KR100931980B1 (ko) * 2009-06-08 2009-12-15 미래산업 주식회사 스프링 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9415B2 (ja) * 2012-03-06 2017-03-08 富士電機株式会社 逆阻止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433527B1 (ko) * 2013-06-13 2014-08-22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소결기 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091A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1471A (en) Conveyor skirtboard apron
KR101914728B1 (ko) 소결 대차의 실링장치
KR20130125646A (ko)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 장치
JP6869806B2 (ja) エアシール装置、焼結機のパレット
EA019692B1 (ru) Охладитель агломерата со сменными уплотнениями
CA2914010A1 (en) Solid particulate pump having flexible seal
KR100931980B1 (ko) 스프링 씰
KR20090021550A (ko) 소결대차의 슬라이드형 씰링장치
EA020678B1 (ru) Охладитель агломерат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 уплотнением для охлаждающего газа
CA2914870C (en) Sealing device for a belt transfer location
CN216158287U (zh) 用于对块状材料进行热处理的机器及其密封系统
KR101315572B1 (ko) 투명 투시창이 부착된 클린타입 직선로봇
CN109051539A (zh) 皮带输送机双层密封导料槽
US1840029A (en) Sifter control
KR20190134119A (ko) 벨트 컨베이어용 지퍼형 커버장치
CN205771765U (zh) 一种迎料板装置
CN203199554U (zh) 全封闭式导料槽
KR100868906B1 (ko) 소결대차의 슬라이드형 씰링장치
US1197199A (en) Apparatus for roasting and sintering ores.
KR200159521Y1 (ko) 소결기 대차 측벽 간의 누풍 방지장치
KR100798000B1 (ko) 요철형 씰 바를 구비한 소결기 대차
KR101433527B1 (ko)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소결기 대차
JP7493135B2 (ja) 製鉄原料の流量制御装置
CN219525638U (zh) 一种悬浮式自除尘裙边
KR200313697Y1 (ko) 소결기공기흡입박스의외부공기밀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