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932B1 -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932B1
KR101913932B1 KR1020170030404A KR20170030404A KR101913932B1 KR 101913932 B1 KR101913932 B1 KR 101913932B1 KR 1020170030404 A KR1020170030404 A KR 1020170030404A KR 20170030404 A KR20170030404 A KR 20170030404A KR 101913932 B1 KR101913932 B1 KR 101913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table
block
conveyor
molding machine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448A (ko
Inventor
김정웅
Original Assignee
김정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웅 filed Critical 김정웅
Priority to KR102017003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93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2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arranged side by side, e.g. for conveyance of flat articles in vertic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8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ceramic mou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테이블 위에 놓여진 파래트에 성형된 블록이 배출되고, 진동테이블 위에 새로이 공급되는 파래트가 서로 충돌되지 않게 구성된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며, 진동테이블 컨베이어는 구동축에 구비되어 있는 진동테이블 컨베이어용 풀리와 진동테이블의 우측에 구비되어 있는 피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동풀리를 연결하는 샤프트 가운데에는 피동풀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실린더의 피스톤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테이블 위에서 블록을 성형한 후 배출시키고, 다음 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파래트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블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블록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와, 블록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파손되어 흘러내리는 몰탈이 없기 때문에 진동테이블 주변이 항시 청결하여 블록성형기 관리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그로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적인 면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이득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Block molding machine vibration table transfer conveyor up-down system}
본 발명은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성형기의 진동테이블 위에 놓여진 파래트에서 블록을 성형한 후, 성형된 제품(블록)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서 블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하천의 경사진 제방, 절개지의 사면, 복토의 사면에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을 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블록들은 건식 몰탈로 성형된 블록과 습식 몰탈로 성형된 블록이 있다.
상기한 블록 중에 건식 몰탈로 성형된 블록의 경우에는,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 위에 파래트가 놓여지고, 상기 파래트 위에는 블록 성형용 몰드가 놓여진다.
상기 성형용 몰드의 내부에 건식 몰탈을 공급한 후, 진동장치에 의해서 진동테이블 위에 놓여진 파래트 및 블록 성형용 몰드가 진동하여 블록 성형용 몰드의 내부에 공급되어 있는 건식 몰탈 내부에 기포를 제거하는 동시에 건식 몰탈이 다져지도록 하여 블록을 성형하고 블록 성형용 몰드가 분리되는 것으로 블록이 성형된다.
그리고, 다음 건조공정을 위해 성형된 블록은 진동테이블에서 배출되고 다음 블록을 성형하기 위해 진동테이블 위에 새로운 파래트가 공급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블록을 진동테이블에서 배출하고, 다음 블록을 성형하기 위하여 진동테이블 위에 파래트를 공급하는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장치는, 진동테이블과 상기 진동테이블 사이에 벨트 컨베이어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진동테이블에 파래트를 공급하기 위한 파래트 공급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래트 공급장치는, 걸림구가 구비된 이송대가 실린더에 의해서 일정한 거리를 왕복하면서 측방에서 이송되어 오는 파래트를 진동테이블 컨베이어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진동테이블 위에 놓여진 파래트 및 블록 성형용 몰드를 진동시켜 블록 성형용 몰드의 내부에 공급되어 있는 건식 몰탈 내부에 기포를 제거하는 동시에 건식 몰탈이 다져지도록 하여 블록을 성형하고 나면 다음 블록을 성형하기 위하여 파래트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걸림구가 구비된 이송대가 실린더에 의해서 일정한 거리를 전진하여 걸림구가 파래트를 밀고 진동테이블 위에 블록이 성형되어 놓여진 파래트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충돌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면, 파래트 위에 건식 몰탈의 내부에 기포를 제거하는 동시에 건식 몰탈이 다져진 상태로 성형된 블록은, 양생되지 않은 상태이어서 약한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관계로 불량 블록을 생산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430343호(2006년10월31일.등록) 한국 등록실용: 제20-0276785호(2002년05월16일.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록성형기에서 블록이 연속적으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진동테이블 위에 놓여진 파래트에 성형된 블록이 배출되고, 진동테이블 위에 새로이 공급되는 파래트가 서로 충돌되지 않게 구성된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을 제공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서 블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은, 진동테이블을 중심으로 좌측에 성형된 블록이 놓여진 파래트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가 배치되어 있고, 우측으로는 파래트를 공급하기 위한 파래트 공급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진동테이블은 간격을 두고 받침대가 설치되어 구성되고, 진동테이블의 좌측에는 배출 컨베이어용 풀리와 진동테이블 컨베이어용 풀리가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진동테이블 컨베이어는 구동축에 구비되어 있는 진동테이블 컨베이어용 풀리와 진동테이블의 우측에 구비되어 있는 피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동풀리를 연결하는 샤프트 가운데에는 피동풀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실린더의 피스톤이 연결되어 있다.
진동테이블 및 진동테이블 컨베이어에 파래트를 공급하기 위한 파래트 공급부는 실린더의 피스톤에 이송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송대에는 걸림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무게 중심에 의해서 걸림구가 세워지도록 구성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에 의하면, 진동테이블 위에서 블록을 성형한 후 배출시키고, 다음 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파래트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블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블록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파손되어 흘러내리는 몰탈이 없기 때문에 진동테이블 주변이 항시 청결하여 블록성형기 관리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그로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적인 면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이득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성형기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성형기에서 블록을 성형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성형기에서 블록을 배출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성형기에서 블록을 배출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성형기의 진동테이블이 하강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성형기의 진동테이블이 상승하는 상태의 측면도
본 발명에 의한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에 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은, 진동테이블(1)을 중심으로 좌측에 성형된 블록이 놓여진 파래트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10)가 배치되어 있고, 우측으로는 파래트를 공급하기 위한 파래트 공급부(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진동테이블(1)은 간격을 두고 받침대(2)가 설치되어 구성되고, 진동테이블(1)의 좌측에는 배출 컨베이어용 풀리(3)와 진동테이블 컨베이어용 풀리(4)가 구동축(5)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진동테이블 컨베이어(6)는 구동축(5)에 구비되어 있는 진동테이블 컨베이어용 풀리(4)와 진동테이블(1)의 우측 인근에 구비되어 있는 피동풀리(7)와 벨트(8)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동풀리(7)를 연결하는 샤프트(9)에 가운데에는 구동축(5)을 중심으로 벨트(8)와 피동풀리(7)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실린더의 피스톤(9')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진동테이블(1) 및 진동테이블 컨베이어(6)에 파래트를 공급하기 위한 파래트 공급부(20)는 실린더(21)의 피스톤(22)에 이송대(23)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송대(23)에는 걸림구(24)가 설치되어 있는데 무게의 중심에 의해서 걸림구(24)가 항시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50은 블록, 51은 파래트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록성형기에서 블록을 성형하기 위하여 진동테이블(1) 위에 공급되어 놓여진 파래트(51)에 블록성형용 몰드(도시하지 않음)가 놓여지고 몰탈공급부(도시하지 않음)에서 블록성형용 몰드에 몰탈을 공급한 후, 진동테이블(1)을 진동시켜 블록을 성형하고 탈형하는 것은 일반적인 작용에 관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작용에 의해서 진동테이블(1) 위에 놓여진 파래트(51) 위에 블록(50)이 성형되면, 파래트(51)와 블록(50)을 배출 컨베이어(10) 쪽으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진동테이블(1) 위에 새로이 파래트를 공급하는 작용을 본 발명에 의한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하게 된다.
먼저, 진동테이블(1) 위에 놓여진 파래트(51) 위에 블록(50)이 블록성형기의 일반적인 작용에 의해서 성형되면, 실린더의 피스톤(9')이 작동하여 샤프트(9) 및 피동풀리(7)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진동테이블 컨베이어용 풀리(4)가 연결되어 있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벨트(8) 및 피동풀리(7)가 상승하여 벨트(8)가 파래트(51)의 밑면에 닿게 됨으로써, 구동축(5)에 의해서 작동하는 벨트(8)가 성형된 블록이 놓여진 파래트(51)를 이동시켜 배출 컨베이어(10)를 통해 배출시킨다.
한편, 파래트 공급부(20)를 구성하는 실린더(21)의 피스톤(22)이 작동하여 이송대(23)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구(24)가 파래트(51)를 밀어서 진동테이블(1)의 일측까지 이동시켜 진동테이블 컨베이어(6)를 구성하는 벨트(8)에 도달하면서 벨트(8)에 의해서 진동테이블(1) 위에 파래트가 놓여지게 되므로 파래트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블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실린더의 피스톤(9')이 작동하여 샤프트(9) 및 피동풀리(7)를 하강시키고, 벨트(8)가 진동테이블 컨베이어용 풀리(4)를 중심으로 하강하여 벨트(8)가 파래트(51)의 밑면에서 이격됨으로써, 파래트(51)가 진동테이블 위에 정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진동테이블(1) 위에 공급되어 놓여진 파래트(51)에 블록성형용 몰드(도시하지 않음)가 놓여지고 몰탈공급부(도시하지 않음)에서 블록성형용 몰드에 몰탈을 공급한 후, 진동테이블(1)을 진동시켜 블록을 성형하고 탈형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파래트 공급부(20)를 구성하는 실린더(21)의 피스톤(22)이 작동하여 이송대(23)를 최초의 상태로 이동시키면 걸림구(24)가 대기하고 있는 파래트(51)의 밑면에 부딪쳐서 걸림구가 내려가고 파래트를 지나면 걸림구의 무게 중심에 의해서 걸림구(24)가 세워지고 다시 전진하면 걸림구가 대기하고 있는 파래트에 부딪쳐 파래트를 밀고 진동테이블 위로 파래트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1: 진동테이블 2: 받침대
3: 배출 컨베이어용 풀리 4: 진동테이블 컨베이어용 풀리
5: 구동축 6: 진동테이블 컨베이어
7: 피동풀리 8: 벨트
9: 샤프트 9': 실린더의 피스톤
10: 배출 컨베이어

Claims (2)

  1. 진동테이블(1)을 중심으로 좌측에 성형된 블록이 놓여진 파래트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10)가 배치되어 있고, 우측으로는 파래트를 공급하기 위한 파래트 공급부(20)가 구비되며,
    진동테이블(1)의 좌측에는 배출 컨베이어용 풀리(3)와 진동테이블 컨베이어용 풀리(4)가 회전할 수 있게 구동축(5)에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진동테이블(1)에 구비되어 있는 진동테이블 컨베이어(6)로 성형된 블록을 배출 컨베이어(10)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축(5)에 구비되어 있는 진동테이블 컨베이어용 풀리(4)와 진동테이블(1)의 우측에 구비되어 있는 피동풀리(7)와 벨트(8)로 연결시켜 구성되며,
    상기 구동축(5)을 중심으로 진동테이블 컨베이어(6)를 구성하는 벨트(8)와 피동풀리(7)의 일측을 업 다운 시킬 수 있도록 피동풀리(7)를 연결하는 샤프트(9) 가운데에 실린더의 피스톤(9')이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테이블 컨베이어(6)를 구성하는 벨트(8)는 진동테이블(1)을 구성하는 받침대(2)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
KR1020170030404A 2017-03-10 2017-03-10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 KR101913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04A KR101913932B1 (ko) 2017-03-10 2017-03-10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04A KR101913932B1 (ko) 2017-03-10 2017-03-10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48A KR20180103448A (ko) 2018-09-19
KR101913932B1 true KR101913932B1 (ko) 2018-10-31

Family

ID=6371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404A KR101913932B1 (ko) 2017-03-10 2017-03-10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9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785Y1 (ko) 2002-02-18 2002-05-27 이병국 황토벽돌 제조장치
KR200430343Y1 (ko) 2006-08-21 2006-11-10 박석순 콘크리트 블록성형기의 진동발생장치
JP4156983B2 (ja) 2003-06-17 2008-09-24 株式会社タイガーマシン製作所 ブロック加工刃、ブロック加工機及びブロック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785Y1 (ko) 2002-02-18 2002-05-27 이병국 황토벽돌 제조장치
JP4156983B2 (ja) 2003-06-17 2008-09-24 株式会社タイガーマシン製作所 ブロック加工刃、ブロック加工機及びブロック加工方法
KR200430343Y1 (ko) 2006-08-21 2006-11-10 박석순 콘크리트 블록성형기의 진동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48A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341B1 (ko) 건축용 보드 제조 장치 및 방법
CN112356257A (zh) 一种混凝土砌块用脱模装置
CN107263699B (zh) 一种混凝土预制品生产线
KR101913932B1 (ko) 블록성형기 진동테이블의 제품 이송 컨베이어 업 다운 시스템
KR101699150B1 (ko)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US20030086993A1 (en) Tire vulcanizing machine
CN105437355A (zh) 一种人造石的干湿成型方法及其干湿成型装置
KR100718564B1 (ko) 턴테이블형 펄프 몰드 제조장치
KR920008673B1 (ko) 주형방법 및 주형장치
CA2676473A1 (en) Molding apparatus with deformable mold
KR20130087108A (ko) 사형의 연속 자동화 제조장치
EP0443287B1 (en) A horizontally parted molding machine of stationary drag core box type
CN206351483U (zh) 一种新型砖机的模压成型装置
KR101765028B1 (ko)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KR100449541B1 (ko) 테트라포드 성형장치
DK2301692T3 (en) METHOD AND DEVICE FOR Unpacking and sand broadcast mold pieces
US3411171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2477266A (en) Cement block machine
EP3488945B1 (en) Mold forming method
KR100675340B1 (ko) 턴테이블형 펄프 몰드 제조방법
KR101760508B1 (ko) 회전금형 가열 냉각 수단이 구비된 원심주조장치
KR20040053762A (ko) 호안블록 제조장치
CN106738193B (zh) 一种混凝土模卡砌块制造机
JP2527294B2 (ja) 複合ブロックの製造装置
CN111231092B (zh) 环保再生砖智能生产线的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