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611B1 - 팩 용기 - Google Patents

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611B1
KR101913611B1 KR1020160064571A KR20160064571A KR101913611B1 KR 101913611 B1 KR101913611 B1 KR 101913611B1 KR 1020160064571 A KR1020160064571 A KR 1020160064571A KR 20160064571 A KR20160064571 A KR 20160064571A KR 101913611 B1 KR101913611 B1 KR 10191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orage portion
upper storage
fused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614A (ko
Inventor
김도훈
Original Assignee
김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훈 filed Critical 김도훈
Priority to KR102016006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61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7/00Standing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팩 용기가 개시된다.
두 겹의 합성수지(11,12)의 사이의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닫혀진 구조로서, 내부에 내용물이 있을 경우 기립 가능한 형태의 팩 몸체부(10)와;
상기 팩 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두 겹의 합성수지(11,12)가 소정의 폭으로 열융착됨으로써, 상기 팩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을 상부 저장부(13)와 하부 저장부(14)로 분리하는 제1 융착부(20)와;
상기 제1 융착부(20)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저장부(13)와 상기 하부 저장부(14)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밸브(30)와;
상기 상부 저장부(13)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2 융착부(40)와;
상기 제2 융착부(40)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저장부(13)와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2 밸브(50)를 포함하는 팩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팩 용기{pack}
본 발명은 발효식품을 담아서 후발효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품질을 높이고 안전하게 보관 유통할 수 있는 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효식품은 효모 등 유익한 미생물이 살아있는 상태로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유익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생물이 살아있는 발효식품은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잡균의 오염으로 부패하거나 변질하기 쉽기 때문에 멸균처리한 후 밀봉하여 보관 및 유통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발효식품은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혐기적환경에서 탄산가스를 발생시키며 후발효를 통하여 숙성되어 깊은 맛과 향, 약효를 내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숙성과정에서 특별히 손을 쓰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공기유입을 차단하여 혐기적환경이 조성되며 탄산가스를 배출하고 위생곤충이나 잡균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의도하는 대로 후발효를 제어함으로서 숙성을 촉진하고 안전하게 유통보관 할 수 있는 포장기술개발이 필요하였다.
막걸리 등 전통발효주는 유통과정에서 후발효로 발생하는 탄산가스 때문에 용기가 폭발하여 막걸리의 대중화에 걸림돌이 되어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직포의 미세한 틈새로 서서히 가스를 배출하는 병마개가 개발되어 시판 확대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부직포형 병마개는 기공이 불규칙하여 일정한 내부압력유지가 어렵고 부주의로 부직포에 용액이 접촉되면 내용물의 입자에 의하여 미세한 구멍이 막힐 수 있고 모세관현상으로 용액이 외부로 직접 누출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주로 서민이 이용하는 막걸리는 딱딱한 고형 합성수지제 병이 주로 사용되는데 접을 수 없어서 사용 전 후 병의 부피가 크고 부직포병마개가 비용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여 보다 저렴하고 실용적인 일체형용기의 개발이 요구되어왔다.
또한 고추장이나 된장 등 전통발효식품들도 유통과정에서 발효가 계속되기 때문에 용기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멸균처리가 불가피하여 유익한 미생물이 살아있는 발효식품을 섭취하기 어려웠다.
또한 김치포장용기 선행기술을 보면 내용물을 내외에 이중으로 포장하고 그 사이에 완충공간을 확보하여 직접유출방지 기능이 있으나 통기구가 평면 패널에 단순하게 펀칭된 구조로 구멍이 항상 열려있어서 충전물과 가스층이 분리되지 않아 밸브나 에어락 기능이 작동될 수 없는 구조이다. 또한 내측 포장지는 통기성소재로 되어 있는데다 외포장지는 미세하게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모세관현상으로 서서히 내부로부터 스며서 누출되는 용액을 근본적으로 막는 대는 미흡한 취약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시판 스파우트-팩은 접을 수 있고 내용물이 충전되면 단순히 기립할 수 있는 구조로 내용물과 가스층을 분리 할 수는 있으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는 차단하는 에어락 기능이 없어서 발효제품의 용기로서 부적합하다.
또한 기존의 비닐팩 제품은 기립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내용물과 가스층을 분리 할 수 없어서 에어락 기능을 장착하기 곤란하다.
또한, 기존의 합성수지제 딱딱한 고형 막걸리병이나 스파우트팩은 단일용도로 밖에 타용도로 활용이 곤란하였으나 혐기적발효식품뿐만 아니라 양조식초제조와 같이 호기적발효환경이 요구되는 겅우 간편하게 바늘 등으로 핀홀을 천공하여 초파리 등 위생곤충의 침입을 막고 산소를 공급함으로서 같은 용기를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팩 용기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등록실용 제20-0185919호(개방이 용이한 팩용기)
본 발명은 평소에 접혀져 있다가 음식물을 넣으면 펼쳐지며, 거치대나 스파우트-팩 원리를 이용하여 기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용물과 가스층을 분리할 수 있어서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팩 몸체부 내에서 어느 정도의 압력이 되면 자동으로 배출되고, 팩 몸체부 내의 압력이 사라지면 자동으로 외부와 차단되며, 기포로 끓어오르거나 실수로 넘어져 용액이 넘치더라도 완충 저장부를 확보하여 용액의 직접유출을 방지하며 알코올발효나 숙성 등 저장유통과정에서 요구되는 오염방지와 혐기적발효환경이 유지되는 팩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혐기적발효식품뿐만 아니라 양조식초제조와 같이 호기적발효환경이 요구되는 겅우 간편하게 바늘 등으로 핀홀을 천공하여 초파리 등 위생곤충의 침입을 막고 산소를 공급함으로서 같은 용기를 사용하여 활용도가 높은 팩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두 겹의 합성수지(11,12)의 사이의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접혀진 구조로서, 내부에 내용물이 있을 경우 기립 가능한 형태의 팩 몸체부(10)와;
상기 팩 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두 겹의 합성수지(11,12)가 소정의 폭으로 열융착됨으로써, 상기 팩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을 상부 저장부(13)와 하부 저장부(14)로 분리하는 제1 융착부(20)와;
상기 제1 융착부(20)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저장부(13)와 상기 하부 저장부(14)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밸브(30)와;
상기 상부 저장부(13)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2 융착부(40)와;
상기 제2 융착부(40)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저장부(13)와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2 밸브(50)를 포함하는 팩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융착부(20)는 상기 팩 몸체부(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상부 저장부(13)의 내부를 구획하는 분할 융착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 융착부(60)에는, 상기 분할 융착부(60)로 나눠진 두 공간을 연결하는 제3 밸브(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평소에 접어진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되면 중력으로 팩의 하부가 펼쳐지며 기립되면서 용액은 하부에 안전하게 저장되며, 발생되는 탄산가스는 상부로 분리 결집시켜서 일정한 압력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밸브를 통하여 배출되고, 기포로 끓어오르거나 실수로 넘어져 용액이 넘치더라도 완충 저장부가 있어서 유출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팩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이 포장용기에 전통발효주를 담아 상부 공기층에 바늘 등 핀을 이용하여 미세한 통기 핀홀을 천공함으로서 초파리 등 위생해충의 침입을 막고 산소가 공급되는 호기적환경을 조성함으로서 초산균이 알코올을 섭취하여 초산발효를 할 수 있어서 간편하게 양조식초를 제조할 수 있는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평소에 접어서 보관하다 내용물이 충전되면 기립거치대나 스파우트-팩 원리를 이용하여 기립시킬 수 있어서 음식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팩 용기 몸체부 내에서 어느 정도의 일정한 압력이 되면 자동으로 배출되고, 팩 몸체부 내의 압력이 사라지면 자동으로 외부와 차단되며 완충 저장부를 확보하여 용액의 직접유출을 방지하는 팩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혐기적발효식품뿐만 아니라 양조식초제조와 같이 호기적발효환경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같은 용기를 사용할 수 잇어서 활용도가 높은 팩 용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팩용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의 밸브가 닫혀 있는 경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밸브가 열린 경우의 단면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팩용기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의 밸브가 닫혀 있는 경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밸브가 열린 경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팩 용기(100)는,
두 겹의 합성수지(11,12)의 사이의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접혀진 구조로서, 내부에 내용물이 있을 경우 기립 가능한 형태의 팩 몸체부(10)와;
상기 팩 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두 겹의 합성수지(11,12)가 소정의 폭으로 열융착됨으로써, 상기 팩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을 상부 저장부(13)와 하부 저장부(14)로 분리하는 제1 융착부(20)와;
상기 제1 융착부(20)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저장부(13)와 상기 하부 저장부(14)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밸브(30)와;
상기 상부 저장부(13)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제2 융착부(40)와;
상기 제2 융착부(40)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저장부(13)와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2 밸브(50)를 포함한다.
팩 몸체부(10)는 합성수지 재질이며, PE 재질일 수 있다. 팩 몸체부(10)가 식품용기로 사용될 경우 무독성 재질인 것이 좋다. 팩 몸체부(10)는 합성수지 재질이기 때문에 탄성력이 있다. 팩 몸체부(10)는 두 겹의 합성수지(11,12)로 구성된다. 두 겹의 합성수지(11,12)는 양측면과 저변의 테두리가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단이 열려 있어서, 내부 공간이 내용물을 담을 수 있게 된다. 팩 몸체부(10)에는 뚜껑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빼낼 수 있다. 또는, 팩 몸체부(10) 상단일부를 절개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빼낼 수도 있다.
제1 융착부(20)는 팩 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된다. 두 겹의 합성수지(11,12)가 소정의 폭으로 열융착됨으로써, 팩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이 상부 저장부(13)와 하부 저장부(14)로 분리된다. 열융착으로 제1 융착부(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융착부(20)는 팩 몸체부(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제1 융착부(20)은 열을 이용하여 두 겹의 합성수지(11,12)를 부분적으로 융착시킨다. 이때, 제1 융착부(20)의 폭은 2mm~6mm일 수 있다.
제1 밸브(30)는 제1 융착부(20)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밸브(30)는 상부 저장부(13)와 상기 하부 저장부(14)를 공간적으로 연결한다. 제1 밸브(30)의 폭은 1mm~5mm일 수 있다. 제1 밸브(30)는 제1 융착부(20)가 형성될 때, 제1 밸브(30)는 융착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밸브(30)에 의해서, 상부 저장부(13)와 하부 저장부(14)가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밸브(30)에는 터널형태로 길게 상부 저장부(13)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널형태란 팩 내부의 압력이 커지면 터널형태로 부풀어오르며 가스를 순간적으로 배출시키고 압력이 줄어들면 원상으로 회복되어 닫히는 구조를 말하며 제1 밸브(30)의 터널 길이에 의해서, 전체 제1 밸브(30)의 성능이 좌우된다. 여기서 성능이라 함은 밀폐의 능력을 의미한다. 즉, 제1 밸브(30)의 터널은 폭이 좁고 길수록 밀폐차단효과도 커짐으로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빠져나오기 힘들다.
팩 몸체부(10)의 재질이 합성수지이기 때문에, 평상시 제1 밸브(30)는 도 3과 같이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서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저장부(14)의 공기가 이 부분에서 차단되어 상부 저장부(13)로 이동할 수 없다. 그러나, 하부 저장부(14)의 내부 압력(기체압력)이 증가할 경우, 제1 밸브(30)가 기체 압력에 의해서 도 4와 같이 터널형태로 부풀어오르며 개방되어 하부 저장부(14) 내부의 기체가 상부 저장부(13)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막걸리와 같이 효모의 활동으로 이산화탄소가 생성될 경우, 어느 정도의 압력이 되면 제1 밸브(30)를 통하여 하부 저장부(14)에서 상부 저장부(13)로 이산화탄소가 이동할 수 있다. 하부 저장부(14)의 압력이 해소되면, 터널형태의 제1 밸브(30)가 합성수지의 탄력으로 원상으로 회복되면서 다시 닫혀진다. 제1 밸브(30)는 일종의 밸브의 역할을 한다.
제1 밸브(30)는 제1 융착부(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아울러, 제1 융착부(20)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팩 용기(100)는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일반적으로 수용 한다. 실수로 팩 용기(100)가 넘어지면, 제1 밸브(30)를 통하여 액체의 일부가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다. 미량의 액체가 상부 저장부(13)로 흘러나온 후, 팩 용기(100)를 바로 세울 경우, 흘러나온 액체는 상부 저장부(13)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융착부(20)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상부 저장부(13)에 위치하는 액체는 상부 저장부(13)의 바닥부에 위치한다. 상부 저장부(13)의 액체가 다시 역류하여 제1 밸브(30)를 통하여 하부 저장부(14)로 흘러들어올 경우, 미생물에 의해서 오염된 액체가 다시 하부 저장부(14)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한번 하부 저장부(14)에서 빠져나온 액체는 기압차이 때문에 상부저장부(13)에서 다시 하부 저장부(14)로 흘러들어갈 수 없게 된다. 발효가 지속되는 한 상부 저장부(13)의 기압이 하부 저장부(14)의 기압보다 낮기 때문이다.
제2 융착부(40)는 상부 저장부(13)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융착부(40)는 열로 두 겹의 합성수지(11,12)를 융착하여 형성된다. 제2 밸브(50)는 제2 융착부(40)에 형성된다. 제2 밸브(50)는 상부 저장부(13)와 외부 공간을 연결한다. 상부 저장부(13)의 내부 압력이 충분해지면, 제2 밸브(5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부 저장부(13)의 압력이 해소되면, 제2 밸브(50)는 닫혀지고 외부의 기체가 상부 저장부(13)로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외부의 기체가 하부 저장부(14)로 유입되는 확률을 줄이기 위하여, 상부 저장부(13)의 공간을 복수로 분할할 수 있고, 각각의 공간은 밸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상부 저장부(13)의 내부를 구획하는 분할 융착부(60)가 형성되어 제1 상부 저장부(131)와 제2 상부 저장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 융착부(60)에는, 제1 상부 저장부(131)와 제2 상부 저장부(132)를 연결하는 제3 밸브(70)가 형성된다.
이렇게, 상부 저장부(13)의 내부를 복수로 분할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하부 저장부(14)로 유입될 가능성이 줄어든다. 특히, 제1 상부 저장부(131)와 제2 상부 저장부(132)의 바닥면의 깊이가 달라, 제1 상부 저장부(131)를 흘러 넘친 액체는 제2 상부 저장부(132)로 흘러들어가고 그 결과 수위도 서로 다를 수 있다.
제2 밸브(50)는 제2 상부 저장부(132)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와 연결된다.
또한 제2 밸브(50)와 제3 밸브(70)도 제1 밸브(30)와 같이 터널식으로 폭이 좁고 긴 합성수지 패널 밀폐 차단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유출과 파손위험이 없는 안전한 팩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안전을 더욱 보장하기 위하여 제2 밸브(50)와 제3 밸브(70)도 제1 밸브(30)가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유출과 파손위험이 없는 안전한 팩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실제 제품생산 공정에서는 제1 융착부(20)와 제2 융착부(40), 제1 밸브(30), 제2 밸브(50), 제3 밸브(70) 등이 하나의 열판에 양각되어 좌우로 한 쌍을 이루어 열접착 밀봉 겸 밸브 완충공간 칸막이를 원터치로 하게 된다. 빈 팩용기의 상단을 벌여서 내용물을 충전하고 이어서 팩의 상단 미충전층을 상기 좌우 열판의 사이에 끼워 넣고 압착하며 순간가열을 함으로서 봉합 겸 밸브 완충공간 칸막이 공정을 원터치로 마감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게 된다. 여기서 편의상 좌우 열판이라 포현한 것을 실예를 들면 한편에는 탄력있고 평탄한 실리콘판을 한편에는 융착선이 양각된 전열판으로 한쌍을 이루게 된다.
한편, 팩 몸체부(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치대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효용기는 내용물이 충전되었을 때에는 반드시 기립되야 내용물(L)은 중력으로 저변에 모이고 탄산가스(G)는 상부로 포집되어 내용물(L)은 보존되고 탄산가스(G)만 배출되는 에어락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 밸브가 내용물에 의하여 잠기면 탄산가스(G) 대신 내용물(L)이 밸브를 통하여 유출되거나 막혀서 파열한는 사고가 발생할 수있다.
막걸리나 김치 등과 같이 발효 음식물은 효모와 같은 미생물의 활동으로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를 발생하며, 이러한 기체는 적절히 배출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팩 용기(100)는 간단한 밸브구조로서 음식물을 외부 공기와 차단을 할 수도 있고, 내부 압력을 적절히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평소에 접어진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되면 기립거치대나 스파우트-팩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력으로 팩의 하부가 펼쳐지며 기립되면서 용액은 하부에, 발생되는 탄산가스는 상부로 분리 결집시켜서 일정한 압력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밸브를 통하여 배출되고, 기포로 끓어오르거나 실수로 넘어져 용액이 넘치더라도 완충 저장부가 있어서 유출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팩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이 포장용기에 전통발효주를 담아 상부 공기층에 직경 0.2-1.0mm미세한 통기 핀홀을 천공함으로서 초파리 등 위생곤충의 침입은 막아주고 초산균과 공기는 공급되는 호기적환경을 조성함으로서 초산균이 알코올을 섭취하여 초산발효를 할 수 있어서 간편하게 양조식초를 제조할 수 있는 용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합성수지(11,12) 팩 몸체부(10)
상부 저장부(13) 제1 상부 저장부(131)
제2 상부 저장부(132) 하부 저장부(14)
제1 융착부(20) 제1 밸브(30)
제2 융착부(40) 제2 밸브(50)

Claims (3)

  1. 두 겹의 합성수지(11,12)의 사이의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접혀진 구조로서, 내부에 내용물이 있을 경우 기립 가능한 형태의 팩 몸체부(10)와;
    상기 팩 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두 겹의 합성수지(11,12)가 소정의 폭으로 열융착됨으로써, 상기 팩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을 상부 저장부(13)와 하부 저장부(14)로 분리하는 제1 융착부(20)와;
    상기 제1 융착부(20)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저장부(13)와 상기 하부 저장부(14)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밸브(30)와;
    상기 상부 저장부(13)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제2 융착부(40)와;
    상기 제2 융착부(40)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저장부(13)와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2 밸브(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밸브(30)는 터널형태이며,
    상기 제1 융착부(20)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저장부(13)의 내부를 구획하는 분할 융착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 융착부(60)에는, 상기 분할 융착부(60)로 나눠진 두 공간을 연결하는 제3 밸브(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팩 몸체부(10)의 기립을 지지하는 거치대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용기.


KR1020160064571A 2016-05-26 2016-05-26 팩 용기 KR10191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571A KR101913611B1 (ko) 2016-05-26 2016-05-26 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571A KR101913611B1 (ko) 2016-05-26 2016-05-26 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614A KR20170133614A (ko) 2017-12-06
KR101913611B1 true KR101913611B1 (ko) 2018-10-31

Family

ID=6092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571A KR101913611B1 (ko) 2016-05-26 2016-05-26 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6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023A (ja) * 2003-05-29 2005-02-17 Itou Seibaku:Kk 発酵用容器および発酵飼料製造方法
KR101059499B1 (ko) * 2010-09-30 2011-08-25 대상 주식회사 발효식품 포장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4450U (ko) * 1987-03-13 1988-09-22
JP4184506B2 (ja) * 1998-11-17 2008-1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路付き小袋
KR200165507Y1 (ko) * 1999-08-12 2000-02-15 롯데상사주식회사 김치 포장재의 가스배출 구조
KR101458084B1 (ko) * 2013-01-29 2014-11-05 (주)씨에스이 발효식품용 포장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023A (ja) * 2003-05-29 2005-02-17 Itou Seibaku:Kk 発酵用容器および発酵飼料製造方法
KR101059499B1 (ko) * 2010-09-30 2011-08-25 대상 주식회사 발효식품 포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614A (ko)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4927C (en) Medication mixer, dual hard ports, and soft intravenous bag
CN105342850B (zh) 单针混药器、硬双接口及输液软袋
JP2005323588A (ja) 培養二重容器および培養方法
US4902521A (en) Fermentation pressure pack
KR20000012681A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숨쉬는 발효식품 용기
KR20160064863A (ko)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101913611B1 (ko) 팩 용기
CN105232329B (zh) 混药器、硬双接口及输液软袋
CN202542055U (zh) 一种用于饮料或培养基配制的新型封闭混合容器
KR20110055085A (ko)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EP2225165B1 (en) Bottle with cap which keeps the liquid contained in it effervescent and fresh even after partial consumption of the liquid
CN105232330B (zh) 混药器、硬双接口及输液软袋
CN211337209U (zh) 一种可制热或制冷流食包装物的装置
TWI326666B (en) Airtight regulating composite film for food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96835Y1 (ko) 가스 배출 통로를 갖는 용기 뚜껑용 패킹
CN205339560U (zh) 单针混药器、硬双接口及输液软袋
KR20110011568U (ko) 방사형 미로구조의 기능성 포장재
CN205549013U (zh) 混药器、硬双接口及输液软袋
CN205499850U (zh) 自加热包装连体座
CN105691878A (zh) 一种饮料容器及其封盖
KR200202659Y1 (ko) 발효식품 포장용 기능성 배기 포장재
KR200386535Y1 (ko) 주류 포장용 파우치
KR20020024166A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JP3008090U (ja) 食品用包装容器
CN206751777U (zh) 酿酒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