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880B1 -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880B1
KR101912880B1 KR1020170003004A KR20170003004A KR101912880B1 KR 101912880 B1 KR101912880 B1 KR 101912880B1 KR 1020170003004 A KR1020170003004 A KR 1020170003004A KR 20170003004 A KR20170003004 A KR 20170003004A KR 101912880 B1 KR101912880 B1 KR 101912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uid tank
blocking unit
induction pipe
por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617A (ko
Inventor
이필승
정현
김용욱
김영수
김정호
이현경
정근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70119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6Temporary equipment for stopping leaks, e.g. collisi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8Control devices to avoid overheating, i.e. "dry" boiling, or to detect boiling of the water
    • A47J27/21141Control devices to avoid overheating, i.e. "dry" boiling, or to detect boiling of the water based on the weight of the water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63B17/0036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은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탱크의 출입구 내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하향 연장되다가 상기 유체탱크에서 파공이 생길 수 있는 면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유도관; 및 상기 출입구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유도관의 일측에 배치되다가 상기 유체탱크에 파공 발생시 상기 유도관을 따라 상기 유체탱크의 파공부 근접 위치까지 이동 후 낙하되어 상기 유체 속으로 투입되고, 상기 유체 내부에서 상기 파공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공부를 막는 파공봉쇄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BLOCKING OUTFLOW OF OIL OR FLUID IN VESSEL}
본 발명은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항해를 위해 연료탱크 내에 연료를 적재하고 있는바, 항해 중 다른 선박 또는 암초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선박에 적재되어 있던 연료가 외부로 유출되어 바다를 오염시킬 수 있다.
특히, 유조선은 원래의 용도에 맞게 많은 양의 원유를 적재하고 항해하기 때문에 유조선이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엄청난 환경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름 유출 사고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출시 해양을 오염시킬 수 있는 모든 화학물질을 운송하는 선박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해상에서 선박이 파손되는 경우 선박의 파손부를 용접기로 용접하거나 쐐기를 박아 삽입함으로써 선박 내부에 보관된 기름 또는 기타 화학물질 등이 해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기름 유출과 같이 심각한 해양 오염을 발생시키는 사고의 경우, 선박의 파공 부위를 긴급하게 차단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방법은 신속함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용접으로 파공 부위를 막기 때문에 폭발 및 화재의 위험이 있는 바, 특수 장비 및 고도로 숙련된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0815호 (2015. 05. 11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연료 또는 위험유해물질 등과 같은 유체가 적재된 선박에 파공이 발생될 때 유체 탱크 내부에서 장애물에 간섭되지 않고 신속하게 이동하여 파공을 봉쇄함으로써 유체가 선박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은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탱크의 출입구 내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하향 연장되다가 상기 유체탱크에서 파공이 생길 수 있는 면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유도관; 및 상기 출입구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유도관의 일측에 배치되다가 상기 유체탱크에 파공 발생시 상기 유도관을 따라 상기 유체탱크의 파공부 근접 위치까지 이동 후 낙하되어 상기 유체 속으로 투입되고, 상기 유체 내부에서 상기 파공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공부를 막는 파공봉쇄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관의 일측 내부에는 평상시 상기 파공봉쇄유닛을 지지하다가 상기 유체탱크에 파공 발생시 파괴되어 상기 파공봉쇄유닛이 낙하되도록 하는 연질의 지지막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관의 일측에는 상기 유도관의 내부를 개폐하며 상기 출입구 상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개폐도어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공봉쇄유닛은,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공부에 끼워져 상기 파공부를 막는 메인 봉쇄부; 및 다수개가 상기 메인 봉쇄부에서 기 설정 길이로 연장되어 파공시 발생하는 유동의 영향을 받아 상기 메인 봉쇄부를 상기 파공부로 안내하는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체는, 일단이 상기 메인 봉쇄부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실 형태로 이루어지는 유도사; 및 상기 유도사에서 상기 유도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며, 서로 다른 비중을 갖는 입체 도형으로 형성된 비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봉쇄부는 상기 유체가 가질 수 있는 비중 범위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중성부력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사는 상기 유체와 반응하지 않는 내화학성 재질의 유연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공봉쇄유닛은 상기 유도관 일측 내부에 1개 또는 2개 이상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관의 일측 내부에는 평상시 상기 파공봉쇄유닛을 지지하다가 상기 유체탱크에 파공 발생시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파공봉쇄유닛이 낙하되도록 하는 플랩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연료 또는 위험유해물질 등과 같은 유체가 적재된 선박에 파공이 발생될 때 유체 탱크 내부에서 출입구 주변의 장애물에 간섭되지 않고 신속하게 이동하여 파공을 봉쇄함으로써 유체가 선박에서 유출되는 것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가 유체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4는 도3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가 유체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어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를 유체탱크 내부로 낙하시킬 수 있는 플랩도어를 나타낸 도면.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에 의해 유체탱크의 파공부가 봉쇄되는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가 유체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4는 도3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가 유체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어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를 유체탱크 내부로 낙하시킬 수 있는 플랩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는 크게 유도관(100) 및 파공봉쇄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상적으로, 선박에는 항해에 필요한 연료 또는 화학적 반응성과 폭발성이 높은 위험유해물질과 같은 유체(이하, "유체"라고 통칭한다)를 저장하기 위한 유체탱크(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는 선박이 항해 도중 암초에 걸리거나 다른 선박과의 충돌에 의해 유체탱크(10)가 파손될 때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체탱크(10)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어 유체탱크(10)에 부분적으로 구멍(이하, "파공부"라 한다)이 생겼을 때 이 파공부(11)를 막아 유체의 외부 유출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상기 유도관(100)은 일측이 유체탱크(10)의 출입구(12) 내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유체탱크(10)의 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다가 유체탱크(10)에서 파공이 생길 수 있는 면(11a)을 향해 절곡 형성된다.
참고로, 외부 충격에 의해서 유체탱크(10)에 생길 수 있는 파공부(11)는 정확한 위치까지 예측할 수는 없어도 대략 어느 면에 파공부(11)가 생길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있는데, 이는 선박 내부에 설치될 유체탱크(10)의 위치는 거의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유체탱크(10)에서 충격을 받을 수 있는 대략적인 면은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도관(100)의 타측은 파공이 생길 수 있는 면(11a)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데, 유도관(100)의 타측이 이와 같이 절곡 형성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관(100)은 유체탱크(10)의 출입구(12)에서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 있도록 연질(Flexible)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관(100)은 출입구(12)에 한번 설치되면 통상적으로 제거가 불필요하지만, 유체탱크(10) 내부에 작업자가 들어가야 하는 경우 출입구(12)로부터 유도관(100)을 용이하게 빼내고 또 다시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도관은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공봉쇄유닛(200)은 유체탱크(10)의 출입구(12) 위치에 해당하는 유도관(100)의 일측에 배치되다가 유체탱크(10)에 파공 발생시 유도관(1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파공봉쇄유닛(200)은 유도관(100)의 타측을 따라 유체탱크(10)의 파공부(11)에 근접한 위치까지 이동된 후 낙하되어 유체 속으로 투입될 수 있다.
파공봉쇄유닛(200)은 낙하에 의해 유체 속으로 투입된 후에는 유체 내부에서 파공부(11) 쪽으로 이동하여 파공부(11)를 막음으로써 유체탱크(10)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관(100)의 일측 내부에는 파공봉쇄유닛(200)을 지지하기 위한 연질의 지지막(110)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막(110)은 평상시에 파공봉쇄유닛(200)이 유체탱크(10)의 출입구(12) 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파공봉쇄유닛(200)을 지지하다가 유체탱크(10)의 일측면에 파공 발생시 유체탱크(10) 내부에서 생성되는 음압에 의해 파괴되어 상기 파공봉쇄유닛(200)이 아래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유체탱크(10)의 내부 압력은 평상시에는 고압 상태가 되지만, 파공이 발생하여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면 내부 압력이 저하되어 음압 상태가 되는바, 상기 지지막(110)은 연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음압에 의해 찢어지면서 지지하고 있던 파공봉쇄유닛(200)을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도3을 참조하면, 유도관(100)의 일측에는 유도관(100) 내부를 개폐하며 유체탱크(10)의 출입구(12) 상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개폐도어부(120)가 제공될 수 있다. 개폐도어부(120)가 적용된 유도관(100)은 유체탱크(10)에 설치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출입구(12)의 뚜껑(12a) 대신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도관(100)의 일측 공간을 더욱 증가시켜 복수 개의 파공봉쇄유닛(200)을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공봉쇄유닛(200)은 필요에 따라 유도관(100) 일측 내부에 1개 또는 2개 이상 보관될 수 있다. 외부 충격에 의해 유체탱크(10)에 생기는 파공부(1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하나의 파공봉쇄유닛(200)으로 파공부(11)를 막을 수 있지만 파공부(1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2개 이상의 파공봉쇄유닛(200)을 통해 파공부(11)를 막을 수 있다.
한편, 도5를 참조하면, 유도관(100)의 일측 내부에는 파공 발생시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파공봉쇄유닛(200)이 낙하되도록 하는 플랩도어(300)가 설치될 수 있다. 플랩도어(300)는 평상시 파공봉쇄유닛(200)이 출입구(12) 쪽에 배치되도록 파공봉쇄유닛(200)을 지지하다가 파공이 발생하면 하방으로 회동되어 파공봉쇄유닛(200)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랩도어(300)는 힌지(310)를 매개로 하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유체탱크(10)의 출입구(12) 일측에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출입구(12)의 타측에 설치된 전자석부(320)에 의해 폐쇄되어 파공봉쇄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파공이 발생하면 외부의 제어신호, 예컨대 스위치(330) 또는 파공감지센서(미도시)의 신호를 받아 전자석부(320)의 자력이 해제되면서 자중에 의해 플랩도어(300)가 개방되고 파공봉쇄유닛(200)이 낙하될 수 있다.
한편, 파공봉쇄유닛(200)은 메인 봉쇄부(210)와 유도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봉쇄부(210)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파공 발생시 파공부(11)에 끼워져 파공부(11)를 막아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파공부(11) 대부분의 면적은 메인 봉쇄부(2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유도체(220)는 다수개가 메인 봉쇄부(210)에서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유도체(220)는 메인 봉쇄부(210)에서 소정 길이로 연장되기 때문에 파공봉쇄유닛(200)이 유체 속에 투입되었을 때 파공에 의해 발생하는 유체 유출에 의한 유체 흐름(유동)의 영향을 메인 봉쇄부(210)만 있을 때에 비해 보다 폭 넓게 받아 메인 봉쇄부(210)가 보다 신속하게 파공부(1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봉쇄부(210)는 유체 속으로 투입되었을 때 쉽게 뜨거나 쉽게 가라앉지 않고 유체 내부에서 신속하게 파공부(11)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중성부력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중성부력은 유체탱크(10)에 저장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체가 가질 수 있는 비중 범위의 중간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어떠한 유체 속에서라도 뜨거나 가라앉지 않고 잠긴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도체(220)는 유도사(221) 및 비중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사(221)는 일단이 메인 봉쇄부(210)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실 형태로 이루어져 자유롭게 펴지거나 구부러지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유도사(221)는 메인 봉쇄부(210)가 파공부(11)의 대부분을 폐쇄하고 남은 틈새를 막아서 유체의 미세한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유도사(221)는 유체에 의해 녹거나 그 특성이 변하지 않도록 유체와 반응하지 않는 내화학성 재질의 유연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중체(222)는 다수개가 마련되어 유도사(221)에서 유도사(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비중체(222)는 서로 다른 비중을 갖는 입체도형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종류의 유체에 대응하며 유체 속에서 쉽게 뜨거나 가라앉지 않고 유도사(221)의 이동을 도울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기 비중체(222)가 작은 구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여기에 국한되지 않고 육면체나 원기둥, 타원기둥 등 다양한 입체 도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어 유체탱크(10)에 파공부(11)가 발생하면 유도관(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던 파공봉쇄유닛(200)이 하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파공봉쇄유닛(200)은 파공부(11) 쪽으로 절곡 형성된 유도관(100)을 따라 안내되기 때문에 최대한 파공부(11)가 인접해 있는 곳으로 낙하되는데, 파공봉쇄유닛(200)이 낙하될 때 유도관(100)의 타측이 절곡 형성되어 있어서 유체탱크(10)의 출입구(12) 근처에 장애물(예컨대, 사다리 또는 펌프)(15)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이 장애물(15)과 간섭되지 않고 장애물(15)을 피해 유체 속으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공봉쇄유닛(200)이 유체 속으로 투입된 후에는 유도체(220)에 의하여 파공봉쇄유닛(200)은 파공부(1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유체탱크(10)에 파공부(11)가 생기면 유체는 파공부(1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유체탱크(10) 내부의 유체는 파공부(11) 쪽으로 이동하는 흐름(유동)이 자연스럽게 발생하고, 이와 함께 유체탱크(10) 내부의 압력은 저하되어 음압이 된다.
유체탱크(10) 내부에 유동이 발생하면 그 유동의 영향은 메인 봉쇄부(210)로부터 길게 형성되어 있는 유도체(220)에 가해져 메인 봉쇄부(210)를 파공부(11) 쪽으로 끌어당기게 되는바, 이에 따라 파공봉쇄유닛(200)은 파공부(1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공봉쇄유닛(200)이 유체 속에서 이동하다가 파공부(11)에 도달하면 메인 봉쇄부(210)가 파공부(11)를 막아 유체의 유출을 대부분 차단하게 되고, 메인 봉쇄부(210)와 파공부(11) 사이에 생기는 미세한 틈새는 유도체(220)가 막아 미세한 유체의 유출 역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유체탱크 11 : 파공부
11a : 파공이 생길 수 있는 면 12 : 출입구
15 : 장애물
100 : 유도관 110 : 지지막
120 : 개폐도어부 200 : 파공봉쇄유닛
210 : 메인 봉쇄부 220 : 유도체
221 : 유도사 222 : 비중체
300 : 플랩도어 310 : 힌지
320 : 전자석부 330 : 스위치

Claims (9)

  1. 일측은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탱크의 출입구 내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하향 연장되다가 상기 유체탱크에서 파공이 생길 수 있는 면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유도관;
    상기 출입구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유도관의 일측에 배치되다가 상기 유체탱크에 파공 발생시 상기 유도관을 따라 상기 유체탱크의 파공부 근접 위치까지 이동 후 낙하되어 상기 유체 속으로 투입되고, 상기 유체 내부에서 상기 파공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공부를 막는 파공봉쇄유닛; 및
    평상시 상기 파공봉쇄유닛을 지지하다가 상기 유체탱크에 파공 발생시 파괴되어 상기 파공봉쇄유닛이 낙하되도록 상기 유도관의 일측 내부에 제공되는 연질의 지지막;
    을 포함하는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의 일측에는 상기 유도관의 내부를 개폐하며 상기 출입구 상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개폐도어부가 제공되는,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공봉쇄유닛은,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공부에 끼워져 상기 파공부를 막는 메인 봉쇄부; 및
    다수개가 상기 메인 봉쇄부에서 기 설정 길이로 연장되어 파공시 발생하는 유동의 영향을 받아 상기 메인 봉쇄부를 상기 파공부로 안내하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일단이 상기 메인 봉쇄부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실 형태로 이루어지는 유도사; 및
    상기 유도사에서 상기 유도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며, 서로 다른 비중을 갖는 입체 도형으로 형성된 비중체를 포함하는,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봉쇄부는 상기 유체가 가질 수 있는 비중 범위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중성부력을 갖도록 제공되는,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사는 상기 유체와 반응하지 않는 내화학성 재질의 유연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공봉쇄유닛은 상기 유도관 일측 내부에 1개 또는 2개 이상 보관되는,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9. 일측은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탱크의 출입구 내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하향 연장되다가 상기 유체탱크에서 파공이 생길 수 있는 면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유도관;
    상기 출입구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유도관의 일측에 배치되다가 상기 유체탱크에 파공 발생시 상기 유도관을 따라 상기 유체탱크의 파공부 근접 위치까지 이동 후 낙하되어 상기 유체 속으로 투입되고, 상기 유체 내부에서 상기 파공부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공부를 막는 파공봉쇄유닛; 및
    평상시 상기 파공봉쇄유닛을 지지하다가 상기 유체탱크에 파공 발생시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파공봉쇄유닛이 낙하되도록 상기 유도관의 일측 내부에 제공되는 플랩도어;
    를 포함하는,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KR1020170003004A 2016-04-19 2017-01-09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KR101912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47846 2016-04-19
KR1020160047846 2016-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617A KR20170119617A (ko) 2017-10-27
KR101912880B1 true KR101912880B1 (ko) 2018-10-30

Family

ID=6030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004A KR101912880B1 (ko) 2016-04-19 2017-01-09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391B1 (ko) 2018-12-27 2019-07-18 정사교 유출 방지능이 우수한 선박용 연료 저장 설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5396A1 (en) * 1990-04-11 1991-10-17 Lars Stub Olsen Sealing of leaks in a tan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5396A1 (en) * 1990-04-11 1991-10-17 Lars Stub Olsen Sealing of leaks in a tan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391B1 (ko) 2018-12-27 2019-07-18 정사교 유출 방지능이 우수한 선박용 연료 저장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617A (ko) 201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489B1 (ko)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Bačkalov Safety of autonomous inland vessels: An analysis of regulatory barriers in the present technical standards in Europe
KR101912880B1 (ko) 선박의 유체 유출 자동차단장치
KR101845072B1 (ko)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 장치
JP2008201308A (ja) 船舶の復原力回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運搬船
KR101293480B1 (ko) 선박 침몰 방지장치
KR101964834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0310898B1 (ko) 제수형격벽을구비한유조선
US7748338B2 (en) Method of intercepting and yawing a sailing vessel
KR102403084B1 (ko) 수중 글라이더를 이용한 파공봉쇄장치
KR101386693B1 (ko) 침몰선 탱크 내에 담겨 있는 오염 유체를 복구하는 플랜트
KR20150119587A (ko) 소형선박 자동 복원 시스템
KR20110046723A (ko) 선박 사고 시 유체 유출 차단 장치 및 방법
KR100758478B1 (ko)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KR101520815B1 (ko) 선박 사고 시 유체 유출차단장치 및 방법
US5199454A (en) Valve structure
CN101348160A (zh) 船用重力伸缩式导流排水阀箱
KR10244908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00016895A (ko) 선박 보수장치
KR101898983B1 (ko) 잠수함의 오물 배출기
KR20130115506A (ko) 무인 잠수기
KR200480864Y1 (ko) 선박용 유류 저장탱크의 기름유출 차단장치
EP0553922A1 (en) System for control of oil leakage from damaged tanker
Cheek et al. The use of geosynthetic containers for disposal of dredged sediments–a case history
KR20240099978A (ko) 모듈형 구성을 이용한 어뢰 및 무인잠수정 혼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