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560B1 - 유리 파쇄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파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560B1
KR101912560B1 KR1020180035621A KR20180035621A KR101912560B1 KR 101912560 B1 KR101912560 B1 KR 101912560B1 KR 1020180035621 A KR1020180035621 A KR 1020180035621A KR 20180035621 A KR20180035621 A KR 20180035621A KR 101912560 B1 KR101912560 B1 KR 10191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water nozzle
containe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균
Original Assignee
윤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균 filed Critical 윤석균
Priority to KR1020180035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 대상 폐유리를 수용하는 폐유리 수용부; 상기 폐유리 수용부의 배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낙하하는 폐유리를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에 의해 파쇄된 파쇄 유리를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파쇄 유리를 걸러내어 소정의 크기보다 작은 소경 파쇄입자는 통과시키고, 소정 크기 이상의 대경 파쇄입자를 걸러내는 분리부; 및 분리된 상기 대경 파쇄입자를 상기 폐유리 수용부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는 유리 파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리 파쇄 장치{APPARATUS FOR CRUSHING CLASSES}
본 발명은 유리 파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폐유리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 파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제품은 공간을 차폐시키면서도 투시성을 갖는 소재라는 장점으로 인해, 건축자재, 생활용품 등 의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사용량이 많은 만큼 사용과정에서 파손되거나 폐기되는 폐유리 또한 다량으로 발생된다.
그리고 폐유리는 간편한 융해처리에 의해 재활용할 수 있는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취급 및 처리과정이 위험하고 비교적 크기가 크다는 단점으로 인해, 주류 및 음료 보관용 유리병 정도를 제외하고는 재활용되지 않은 채 대부분 산업폐기물로 처리되므로, 자원이 낭비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되었다.
이에 따라, 폐유리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유리제품을 분쇄하는 유리 분쇄기들이 제안되어있고, 이러한 유리 분쇄기는 폐유리를 작은 입자로 분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유리제품은 사용, 설치, 및 조립을 위해 폐종이,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등과 같은 보조소재들이 함께 사용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유리제품의 분쇄과정에서 상기한 보조소재들이 다량의 이물질로 발생된다. 이러한 이물질은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 제거하여야 하므로 재활용을 어렵게 하고, 과다한 처리시간으로 인해 처리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03733호 공개일자 2012년01월11일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83538호 공고일자 2009년02월12일
본 발명은 폐유리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 파쇄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는, 파쇄 대상 폐유리를 수용하는 폐유리 수용부; 상기 폐유리 수용부의 배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낙하하는 폐유리를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에 의해 파쇄된 파쇄 유리를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파쇄 유리를 걸러내어 소정의 크기보다 작은 소경 파쇄입자는 통과시키고, 소정 크기 이상의 대경 파쇄입자를 걸러내는 분리부; 및 분리된 상기 대경 파쇄입자를 상기 폐유리 수용부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분리부를 통과한 소경 파쇄입자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분리부를 통과한 소경 파쇄입자를 상기 이물질 제거부로 이송하는 제4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진동에 의해 소경 파쇄입자를 고르게 분산시켜 낙하시는 진동망; 상기 진동망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경 파쇄입자의 낙하 방향의 측면으로 다수의 물줄기를 분사하는 워터 노즐; 상기 워터 노즐이 배치되는 용기로서, 상기 워터 노즐이 배치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물줄기를 관통시키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제1 용기; 및 상기 제1 분리 용기를 둘러싸는 형태로서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물줄기를 수용하는 제2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제1 용기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줄기를 통과하여 낙하한 소경 파쇄입자를 배출하는 배출 콘베이어; 상기 제2 용기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용기에 수용되는 물을 여과하는 이물질 여과 필터; 및 여과된 물을 상기 워터 노즐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워터 노즐은 제1 워터노즐 및 제2 워터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는 횡방향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워터노즐과 상기 제2 워터노즐은 상기 제1 용기에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워터 노즐이 배치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1 워터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를 관통시키는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워터 노즐이 배치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2 워터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를 관통시키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은 각각 상기 제1 워터 노즐 및 상기 제2 워터 노즐의 배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워터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와 상기 제2 워터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는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에 의하면,
첫째, 폐유리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파쇄작업의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되고, 폐유리의 재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물질 제거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노즐의 배치 형태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파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유리 파쇄 장치(1000)는 폐유리 수용부(100), 파쇄부(200), 제1 이송부(300), 분리부(400), 제2 이송부(500), 먼지 흡입부(600), 이물질 제거부(700), 제3 이송부(10) 및 제4 이송부(20)를 포함한다.
폐유리 수용부(100)는 파쇄 대상 폐유리를 보관하도록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 통 형상의 수용수단으로서, 판형부재에 의해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파쇄부(200)는 폐유리 수용부(100) 배출측에 구성되어 폐유리 수용부(100) 자유낙하되는 폐유리를 파쇄하는 수단으로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커터를 구비한 파쇄기를 포함한다.
분리부(400)는 제1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된 파쇄 유리를 걸러내어 소정의 크기보다 작은 소경 파쇄입자는 통과시키고, 소정 크기 이상의 대경 파쇄입자를 걸러낸다. 즉, 소정 크기 이상의 입도를 갖는 대경 파쇄입자와 폐종이, 실리콘, 고무와 같은 이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리부(400)는 파쇄유리를 분리하는 분리망(420), 분리망(420)에 형성되는 이송스크류(440)와 이송편(460) 및 분리망(420)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시키는 분리망구동수단(480)을 포함한다.
분리망(420)은 제1 이송부(300)의 배출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소경 파쇄입자가 통과되는 크기의 유통공을 갖는 메시망에 의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분리망(420)에는 내부 중심에 복수의 지지부재(450)에 의해 지지되는 회동축(470)과, 입구측에 설치되어 제1 이송부(300)로부터 낙하되는 파쇄유리를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판(410)을 더 구비한다.
분리망(420)은 유통공의 크기가 서로 다른 메시망에 의해 입구측으로부터 제1 분리망(420a)과 제2 분리망(420b)으로 분리 형성하되, 제1 분리망(420a)의 유통공이 제2 분리망(420b)의 유통공 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한다.
예를들어, 제1 분리망(420a)의 메시 크기는 12×12mm로 형성하고, 제2 분리망(420b)의 메시 크기는 15×15mm로 형성하여, 제1 분리망(420a)에서 제2 분리망(420b)에 비해 입도가 작은 소경 파쇄입자를 먼저 분리하여 보다 양질의 파쇄유리를 얻을 수 있다.
이송스크류(440)는 잔류되는 대경 파쇄입자와 이물질을 이송, 배출시키도록 파이프와 같은 선형부재를 이용하여 분리망(420)의 내주면상에 나선상으로 결합한다.
이송편(460)은 이물질의 배출속도를 증가하기 위해 분리망(420)의 내주면상에 구성하는 것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선형부재를 이용하여 이송스크류(440)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이송스크류(44)와 접한 내외측에 설치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갖도록 다수 개로 구성한다. 이러한, 이송편(460)은 분리망(420)의 회전으로 이송스크류(440)에 의해 나선궤도를 따라 이송되는 이물질이 이송스크류(440)와 상호작용에 의해 충돌되면서 튕겨지도록 하여 이물질의 배출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분리망구동수단(480)은 구동모터, 감속기를 포함하고, 감속기의 출력축에 결합된 스프로켓과 분리망(402)의 회동축(470)상에 결합된 스프로켓이 체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분리망(420)을 회동시키게 된다.
제1 이송부(300) 및 제2 이송부(500)는 벨트 컨베이어장치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제1 이송부(300)는 파쇄부(200)의 배출측과 분리부(400)의 유입측 사이에 설치되어 파쇄부(200)로부터 배출되는 파쇄유리를 분리부(400)상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제2 이송부(500)는 분리부(400)와 폐유리 수용부(100) 사이에 설치되어 분리부(400)의 배출측으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대경 파쇄입자를 폐유리 수용부(100)상으로 이송하게 된다.
제1 이송부(300)에는 파쇄유리에 포함된 금속 성분을 제거하는 금속 제거기(310)가 더 구비된다. 금속 제거기(310)는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을 롤 형태로 구현하여 자력에 의해 금속 성분을 흡착할 수 있도록 롤의 외주면이 벨트의 표면에 근접되도록 제1 이송부(300)의 프레임상에 설치된다.
제1 이송부(300)에는 파쇄부(200)로부터 배출되는 파쇄유리에 부압을 작용시켜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는 먼지 흡입부(600)를 더 포함한다. 먼지 흡입부(600)는 제1 이송부(300)의 상측에 설치되어 폐종이, 고무, 기타 이물질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610), 흡입구(610)측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송풍기(620) 및 흡입구(610)를 통해 흡인된 먼지가 수집되는 수집조(63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물질 제거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물질 제거부(700)는 분리부(400)를 통과한 소경 파쇄입자에 포함된 이물질(P)을 제거한다. 분리부(400)를 통과한 소경 파쇄입자는 이물질(P)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다.
소경 파쇄된 유리(G)는 비중이 2.0 ~ 2.5이며 이물질(P)은 비중이 1.0 내외이다. 이물질 제거부(700)는 유리(G)와 이물질(P)의 비중 차이 및 물이 가지는 점성에 의해 이물질(P)이 쉽게 부착되는 점에 착안하여 유리(G)와 이물질(P)을 분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부(700)는 진동망(710), 워터 노즐(720a, 720b), 제1 용기(740), 제2 용기(750), 배출 콘베이어(760), 이물질 여과 필터(780) 및 순환 펌프(790)를 포함한다.
분리부(400)를 통과한 소경 파쇄입자는 제4 이송부(20)를 통해 이물질 제거부(700)로 이송된다.
진동망(710)은 제4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되온 소경 파쇄입자를 진동에 의해 고르게 분산시켜 낙하시킨다. 진동망(710)은 제1 분리망(420a)의 메시 크기와 동일한 12×12mm 크기의 메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터 노즐(720a, 720b)은 진동망(7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소경 파쇄입자의 낙하 방향의 측면으로 다수의 물줄기(W1)를 분사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워터 노즐(720a, 720b)은 각각 3개씩 구비되어 3개의 물줄기를 분사하는 것을 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실시 형태에 따라 워터 노즐(720a, 720b)의 개수, 배치 간격 및 분사되는 물줄기의 유량 및 압력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1 용기(740)는 워터 노즐(720a, 720b)이 배치되는 용기로서, 각 워터 노즐(720a, 720b)이 배치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물줄기(W1)를 관통시키는 관통공(730a, 730b)을 포함한다.
제1 용기(740)는 이물질(P)이 분리된 유리(G)를 배출하기 위해 하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제2 용기(750)는 제1 용기(740)를 둘러싸는 형태로서 각 관통공(730a, 730b)을 통과한 물줄기(W1)를 수용한다.
배출 콘베이어(760)는 제1 용기(730)의 하측에 배치되어 물줄기(W1)를 통과하여 낙하한 소경 파쇄입자, 즉 유리(G)를 배출한다.
종이, 플라스틱 및 고무와 같은 이물질(P)은 비중이 1.0 내외이며, 물이 가지는 점성으로 인해 물줄기(W1)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각 관통공(730a, 730b)을 통과하여 제2 용기(750)로 이동한다.
유리(G)는 비중이 2.0 내지 2.5로서 이물질(P)과 비교하여 비중이 높으며, 물에 젖지 않는 성질로 인하여 물의 점성에 의해 부착되는 정도가 낮다. 따라서 일정 크기 이상의 유리(G)는 물줄기(W1)에 부착되지 않고 낙하하게 된다. 낙하된 유리(G)는 배출 콘베이어(760)에 의해 이물질 제거부(7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 콘베이어(760)의 폭은 제1 용기(740)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줄기(W1)는 유리(G)와 충돌로 인해 비산될 수 있으나, 이물질(P)은 비산된 물줄기와 함께 제1 용기(740)의 내벽을 따라 흘러내려 제2 용기(750)로 이동할 수 있다. 유리(G)는 제1 용기(740)의 내벽에서 튕겨져 나와 배출 콘베이어(760) 상에 안착된다.
제2 용기(750)는 제1 용기(740)를 둘러싸는 형태로서, 각 관통공(730a, 730b)을 통과한 물줄기(W1)를 수용하기 위해 하측이 밀폐된 형태를 가진다. 즉, 제2 용기(750)는 이물질(P)이 부착된 물(W2)을 수용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물질 여과 필터(780)는 제2 용기(750)의 하측에 연결되어 제2 용기(750)에 수용되는 물(W2)을 여과한다. 물(W2)에는 걸러진 이물질(P)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물의 순환에 앞서 이물질 여과 필터(780)를 통해 이물질(P)를 여과한다.
순환 펌프(790)는 여과된 물을 워터 노즐(720a, 720b)로 공급하여, 물줄기(W1)에 의한 이물질(P) 제거가 지속되도록 한다.
한편, 제1 용기(740)는 횡방향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워터 노즐(720a, 720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기(740)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워터 노즐(720a)이 배치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워터 노즐(720a)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를 관통시키는 관통공(730a)이 구비되고, 워터 노즐(720b)이 배치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워터 노즐(720b)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를 관통시키는 관통공(730b)이 구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워터 노즐(720a)는 제1 워터 노즐(720a), 워터 노즐(720b)는 제2 워터 노즐(720b), 관통공(730a)을 제1 관통공(730a), 관통공(730b)를 제2 관통공(730b)으로 호칭하도록 한다.
다시 설명하면, 제1 워터 노즐(720a)이 배치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제1 워터 노즐(720a)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를 관통시키는 제1 관통공(730a)이 구비되고,
제2 워터 노즐(720b)이 배치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제2 워터 노즐(720b)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를 관통시키는 제2 관통공(730b)이 구비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워터 노즐(720a)이 제1 용기(740)의 상측에 배치되고, 그 아래 제2 워터 노즐(720b)이 배치되어 물줄기(W)가 상하층으로 나뉘어 엇갈리게 분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 가능한 형태 중의 하나일 뿐으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노즐의 배치 형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관통공(730a) 및 제2 관통공(730b)은 각각 제1 워터 노즐(720a) 및 제2 워터 노즐(720b)의 배열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워터 노즐(720a)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와 제2 워터 노즐(720b)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는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분출될 수 있다.
도시된 형태 외에도 실시자에 따라 제1 관통공(730a) 및 제2 관통공(730b), 제1 워터 노즐(720a) 및 제2 워터 노즐(720b)의 배열은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제거부(700)에서 물줄기(W1) 분사를 위해 사용되는 세척수는 거품 형성을 위한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 첨가에 의하면, 물줄기(W1) 분사 및 물줄기(W1)와 유리(G)와의 충돌에 따라 거품이 제1 용기(740)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밀도가 낮은 이물질(P)는 거품에 흡착되는 형태로 제1 용기(740) 내측면을 따라 흘러 내려 제2 용기(750)의 하측에 수용되고, 밀도가 높은 유리(G)는 거품을 뚫고 그대로 하강하여 배출 콘베이어(760) 상에 안착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유리 파쇄 장치
100 : 폐유리 수용부 200 : 파쇄부
300 : 제1 이송부 400 : 분리부
500 : 제2 이송부 600 : 먼지 흡입부
700 : 이물질 제거부

Claims (6)

  1. 파쇄 대상 폐유리를 수용하는 폐유리 수용부;
    상기 폐유리 수용부의 배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낙하하는 폐유리를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에 의해 파쇄된 파쇄 유리를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파쇄 유리를 걸러내어 소정의 크기보다 작은 소경 파쇄입자는 통과시키고, 소정 크기 이상의 대경 파쇄입자를 걸러내는 분리부;
    분리된 상기 대경 파쇄입자를 상기 폐유리 수용부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분리부를 통과한 소경 파쇄입자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분리부를 통과한 소경 파쇄입자를 상기 이물질 제거부로 이송하는 제4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진동에 의해 소경 파쇄입자를 고르게 분산시켜 낙하시키는 진동망;
    상기 진동망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경 파쇄입자의 낙하 방향의 측면으로 다수의 물줄기를 분사하는 워터 노즐;
    상기 워터 노즐이 배치되는 용기로서, 상기 워터 노즐이 배치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물줄기를 관통시키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제1 용기;
    상기 제1 용기를 둘러싸는 형태로서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물줄기를 수용하는 제2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노즐은 제1 워터노즐 및 제2 워터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는 횡방향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워터노즐과 상기 제2 워터노즐은 상기 제1 용기에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워터 노즐이 배치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1 워터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를 관통시키는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워터 노즐이 배치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2 워터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를 관통시키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은 각각 상기 제1 워터 노즐 및 상기 제2 워터 노즐의 배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워터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와 상기 제2 워터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는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분출되고,
    상기 물줄기 분사를 위해 사용되는 세척수는 거품 형성을 위한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제1 용기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줄기를 통과하여 낙하한 소경 파쇄입자를 배출하는 배출 콘베이어;
    상기 제2 용기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용기에 수용되는 물을 여과하는 이물질 여과 필터; 및
    여과된 물을 상기 워터 노즐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80035621A 2018-03-28 2018-03-28 유리 파쇄 장치 KR10191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621A KR101912560B1 (ko) 2018-03-28 2018-03-28 유리 파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621A KR101912560B1 (ko) 2018-03-28 2018-03-28 유리 파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560B1 true KR101912560B1 (ko) 2018-10-26

Family

ID=6409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621A KR101912560B1 (ko) 2018-03-28 2018-03-28 유리 파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165B1 (ko) * 2019-02-20 2019-11-08 장수남 유리 파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리 파쇄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848Y1 (ko) * 2002-02-28 2002-06-21 윤일용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
KR100883538B1 (ko) 2007-07-05 2009-02-12 조동현 유리 파쇄시스템
KR20120003733A (ko) 2010-07-05 2012-01-11 이창석 폐유리 재활용 시스템
KR20120061263A (ko) * 2010-12-03 2012-06-13 박근수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 골재 생산 방법 및 장치
KR20170108396A (ko) * 2016-03-17 2017-09-2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유리 재활용을 위한 필름-유리 회수 플랜트의 회수물 세척-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848Y1 (ko) * 2002-02-28 2002-06-21 윤일용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
KR100883538B1 (ko) 2007-07-05 2009-02-12 조동현 유리 파쇄시스템
KR20120003733A (ko) 2010-07-05 2012-01-11 이창석 폐유리 재활용 시스템
KR20120061263A (ko) * 2010-12-03 2012-06-13 박근수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 골재 생산 방법 및 장치
KR20170108396A (ko) * 2016-03-17 2017-09-2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유리 재활용을 위한 필름-유리 회수 플랜트의 회수물 세척-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165B1 (ko) * 2019-02-20 2019-11-08 장수남 유리 파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리 파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1141B1 (en) A magnetic decontamination device
TWI675695B (zh) 過濾切屑輸送機、用於過濾切屑輸送機的過濾器單元及在過濾切屑輸送機中過濾切削液的方法
US201602718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plastic in the course of plastic recycling
US58949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laiming plastic
KR101912560B1 (ko) 유리 파쇄 장치
JP5317887B2 (ja) 洗浄装置
CN113798161A (zh) 硅石的水洗筛选分离设备
KR102264439B1 (ko) 향상된 자성 밀도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0883538B1 (ko) 유리 파쇄시스템
JP2003291144A (ja) 廃petボトルの再生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16087952A (ja) リサイクル処理装置
JP2012254516A (ja) 濾過機、当該濾過機が搭載されたチップコンベヤ装置、及び濾過機に使用するフィルター
KR101736400B1 (ko) 비산먼지 제거용 벌크호퍼
KR100918426B1 (ko) 분류 장치
JP6096526B2 (ja) 研磨機及びこれを用いた汚染物質除去システム並びに汚染物質除去方法
KR20150001928A (ko) 폐전선의 구리 분리장치
KR100425746B1 (ko) 워터젯에 사용된 연마재의 회수와 재생하는 시스템
KR101310021B1 (ko) 플라스틱 폐재의 세정 장치
JP3636205B1 (ja) 濾材洗浄選別装置
JP2004267043A (ja) 食品洗浄装置および食品洗浄方法
JP2006239595A (ja) 微粉除去装置及び微粉除去方法
KR102472879B1 (ko) 벨트컨베이어의 습식 벨트세정장치
KR100464790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RU22780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абразивной среды при абразивно-струйной обработке
KR101992435B1 (ko) 필터드럼과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미세칩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