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848Y1 -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848Y1
KR200278848Y1 KR2020020005995U KR20020005995U KR200278848Y1 KR 200278848 Y1 KR200278848 Y1 KR 200278848Y1 KR 2020020005995 U KR2020020005995 U KR 2020020005995U KR 20020005995 U KR20020005995 U KR 20020005995U KR 200278848 Y1 KR200278848 Y1 KR 200278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water
waste
impurities
imp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용
Original Assignee
윤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용 filed Critical 윤일용
Priority to KR2020020005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8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848Y1/ko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수거장치는 건축폐기물을 침수시켜 상기 건축폐기물에 포함된 부유불순물을 띄워 분리해내기 위한 분리수조를 구비하는 부유불순물 분리수거 유닛에 있어서, 유체펌프와; 유체펌프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물을 수면위로 부상된 부유불순물에 분사하여 한쪽으로 수거하기 위한 복수의 물분사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물분사노즐은 수면위의 부유불순물을 분리수조에 형성된 배출통로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배출통로를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유체펌프와 물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수면위의 부유불순물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수면위로 부상된 부유불순물을 한쪽방향으로 수거할 수 있다. 특히, 수거된 부유불순물을 배출통로를 향해 강제로 이동시킴으로써, 부유분순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고, 제 3이송컨베이어로부터 부유불순물을 격리 및 이격시켜줌으로써 폐기물로부터 분리된 부유불순물이 제 3이송컨베이어에 실려 폐콘크리트 덩어리와 다시 섞이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

Description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WATER INJECTION TYPE LIGHT WASTE MATERIALS COLLECTOR}
본 고안은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위로 부상된 부유불순물을 한쪽방향으로 수거하기 위한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축물의 개축과 증축,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은 대형 건축물의 재건축, 재개발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건축폐기물이 발생되고 있다. 이같은 건축폐기물은 환경오염의 주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자원의 낭비를 부추겨 건설골재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건축폐기물을 처리하여 양질의 재생골재로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극소화시키고, 건설골재의 구입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건축폐기물속의 불순물질로부터 폐콘크리트 덩어리만을 분리한 다음, 이를 세척하고,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여 양질의 골재로 재생한다.
이와 같은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건축폐기물(이하, "폐기물"이라 약칭함)을 도입하는 호퍼(10)와, 도입된 폐기물을 1차로 파쇄하는 1차 파쇄유닛(20)을 갖는다. 1차 파쇄유닛(20)은 강력한 파쇄능력을 갖는 조 크러셔(jaw crusher)로 구성되며, 건축폐기물에 포함된 폐콘크리트 덩어리, 철근조각, 나무조각, 폐종이, 폐비닐, 폐플라스틱 등을 거칠게 부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건축물 처리 시스템은 1차로 파쇄된 폐기물을 이송하는 제 1이송컨베이어(30)와, 이송되는 폐기물 속의 금속성불순물을 분리하는 금속성불순물 분리수거 유닛(40)을 구비한다. 금속성불순물 분리수거 유닛(40)은 전자석을 이용하는 자선기(magnetic separator)로서, 제 1이송컨베이어(30)상에 설치되며, 제 1이송컨베이어(30)를 따라 이송되는 폐기물 속의 철근조각, 못 등과 같은 금속성불순물을 끌어당겨 분리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폐기물 속에 포함된 크기가 작고 무게가 무거운 미세불순물, 예를 들어 흙, 모래 등을 분리하는 미세불순물 분리수거 유닛 (50)을 구비하며, 아울러 폐기물 속에 포함된 무게가 가벼운 부유불순물, 예를 들어 나무조각, 폐스티로폼, 폐종이, 폐비닐, 폐플라스틱 등을 분리하는 부유불순물 분리수거 유닛(60)을 갖추고 있다. 미세불순물 분리수거 유닛(50)은 진동 걸름망 (52)을 이용하는데, 이 진동 걸름망(52)은 제 1이송컨베이어(30)로부터 이송된 폐기물을 진동시키면서 그 속에 포함된 흙과 모래 등을 하부로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물론, 하부로 떨어진 미세불순물은 제 2이송컨베이어(5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부유불순물 분리수거 유닛(60)은 진동 걸름망(52)으로부터 이송된 폐기물을 침수시키는 분리수조(62)를 갖추고 있다. 분리수조(62)는 폐기물을 물에 침수시킴으로써 폐기물 속에 포함된 나무조각, 폐스티로폼, 폐종이, 폐비닐, 폐플라스틱 등을 수면위로 띄워 분리해내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분리수조(62)는 부유불순물이 분리된 콘크리트를 세척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여기서, 수면위로 부상된 부유불순물은 분리수조(62) 후면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불순물질이 분리된 콘크리트를 분리수조 (62)로부터 이송시키는 제 3이송컨베이어(64)와, 이송된 폐콘크리트를 2차로 파쇄하는 2차 파쇄유닛(70)을 구비한다. 제 3이송컨베이어(64)는 분리수조(62)의 밑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되어 분리수조(64)에 침전된 콘크리트 덩어리를 외부로 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2차 파쇄유닛(70)은 조 크러셔로 구성되며, 콘크리트를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2차 파쇄유닛(70)은 폐콘크리트를 충분히 파쇄할 수 있도록 2열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파쇄된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제 4이송컨베이어(72)와, 이송된 콘크리트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유닛(80)을 구비한다. 특히, 선별유닛(8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제 1, 제 2, 제 3진동 걸름망(서로 겹쳐져 보임:82, 84, 86)을 이용하여 대략, 5mm이하의 작은 입자 재생골재(G1)와, 5∼25mm의 중간 입자 재생골재(G2)와, 25∼40mm의 큰 입자 재생골재(G3)로 선별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선별된 재생골재(G1, G2, G3)들은 제 5, 제 6 제 7이송컨베이어(82a, 84a, 86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선별되지 않은, 거칠고 큰 입자의 콘크리트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컨베이어(90)와, 바이패스된 콘크리트를 다시 파쇄하는 3차 파쇄유닛(92)과, 파쇄된 콘크리트를 다시 제 4이송컨베이어(72)로 리턴시키는 리턴컨베이어(94)를 갖추고 있다. 특히, 3차 파쇄유닛(92)은 콘 크러셔(cone crusher)로 구성되어 거칠고 큰 콘크리트의 잘게 파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의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도입된 폐기물을 1차로 파쇄한 다음, 폐기물 속의 금속성불순물과 미세불순물 그리고 부유불순물을 차례로 분리수거 하고, 이를 다시 2차로 잘게 파쇄한 후, 최종적으로 파쇄된 콘크리트를 크기에 따라 선별함으로써, 건축폐기물을 양질의 골재로 재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부유불순물 분리수거 유닛을 통하여 부유불순물을 분리수거하는 과정에서 부유불순물의 분리효율이 낮아 양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폐기물 속에 포함된 부유불순물을 분리수조(62)를 통하여 분리하였다. 그러나 분리수조(62)로 폐기물을 침수시키는 과정에서, 수면으로 부상된 폐종이, 폐스티로폼 등의 부유불순물이 상기 제 3이송컨베이어(64)에 실려 콘크리트와 다시 섞여 이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분리수조(62)내에 물분사노즐을 설치한 다음, 물분사노즐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을 통하여 물 흐름을 조성함으로써 제 3이송컨베이어(64)로부터 부유불순물을 이격시키고, 상기 부유불순물을 분리수조(62)로부터 밀어 배출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이같은 방법으로는 제 3이송컨베이어(64)로부터 부유불순물을 완전히 이격, 분리시키기에는 부족한 단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분리된 부유불순물이 다시 콘크리트 덩어리와 섞이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폐종이, 폐비닐, 폐플라스틱은 콘크리트 덩어리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채, 콘크리트 덩어리와 섞여 파쇄되면서 재생골재에 혼입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폐기물로부터 분리된 부유불순물을 한쪽방향으로 수거 분리함으로써 폐콘크리트 덩어리와 다시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폐콘크리트 덩어리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해내기 위한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부유불순물 분리수거 유닛 62: 분리수조
62a: 저수실 62b: 배출통로
100: 유체펌프 102: 물분사노즐
104: 연결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건축폐기물을 침수시켜 상기 건축폐기물에 포함된 부유불순물을 띄워 분리해내기 위한 분리수조를 구비하는 부유불순물 분리수거 유닛에 있어서, 유체펌프와; 상기 유체펌프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물을 수면위로 부상된 부유불순물에 분사하여 한쪽으로 수거하기 위한 복수의 물분사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분사노즐은 수면위의 부유불순물을 상기 분리수조에 형성된 배출통로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배출통로를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2를 참고로하여 부유불순물 분리수거 유닛(60)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에 따르면, 부유불순물 분리 유닛 (60)은 폐기물을 침수시킬 수 있는 분리수조(62)를 갖추고 있다. 분리수조(62)는 상부가 트인 저수실(62a)을 갖추고 있으며, 저수실(62a)의 트인 상단의 일측으로는 저수실(62a)에 저장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통로(6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리수조(62)는 미세불순물 분리수거 유닛(50)의 진동 걸름망(52)을통해 이송되는 폐기물을 물에 침수시킴으로써 폐기물 속에 포함된 나무조각, 폐스티로폼, 폐종이, 폐비닐, 폐플라스틱 등과 같은 부유불순물을 수면위로 띄워 분리해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분리수조(62)에는 급수펌프(62c)에 의해 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됨은 물론이고, 공급된 물은 배출통로(62b)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분리수조(62)의 저수실(62a)에는 배출통로(62b)의 반대방향을 향해 제 3이송컨베이어(64)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저수실(62a)의 바닥으로 가라앉은 폐콘크리트 덩어리를 저수실(62a)로부터 이송시켜 준다.
한편, 본 고안의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펌핑하기 위한 유체펌프(100)를 갖추고 있으며, 아울러 유체펌프 (100)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물을 수면위로 분사하는 물분사노즐(102)과, 유체펌프(100)와 물분사노즐(10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104)을 갖추고 있다. 특히, 물분사노즐(102)은 배출통로(62b)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수면위의 부유불순물(W)에 물을 직접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물분사노즐(10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수면위로 부상된 부유불순물(W)을 한쪽으로 수거함과 동시에 저수실(62a)의 배출통로(62b)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한편, 각 물분사노즐(102)들은 연결관(104)에 의해 연결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는 유체펌프(100)를 통하여 물을 펌핑한 후, 펌핑된 고압의 물을 물분사노즐(102)로 부유불순물(W)에 직접 분사함으로써, 수면위로 부상된 부유불순물(W)을 한쪽방향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수거된 부유불순물(W)을 배출통로(62b)를 향해 강제로 이동시킴으로써, 부유분순물 (W)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는 수면위의 부유불순물 (W)을 배출통로(62b)를 향해 수거함으로써, 배출통로(62b)와 반대되는 방향의 제 3이송컨베이어(64)로부터 부유불순물을 격리 및 이격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폐기물로부터 분리된 부유불순물이 제 3이송컨베이어(64)에 실려 폐콘크리트 덩어리와 다시 섞이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는, 유체펌프와 물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수면위의 부유불순물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수면위로 부상된 부유불순물을 한쪽방향으로 수거할 수 있다. 특히, 수거된 부유불순물을 배출통로를 향해 강제로 이동시킴으로써, 부유분순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고, 제 3이송컨베이어로부터 부유불순물을 격리 및 이격시켜줌으로써 폐기물로부터 분리된 부유불순물이 제 3이송컨베이어에 실려 폐콘크리트 덩어리와 다시 섞이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

Claims (2)

  1. 건축폐기물을 침수시켜 상기 건축폐기물에 포함된 부유불순물을 띄워 분리해내기 위한 분리수조를 구비하는 부유불순물 분리수거 유닛에 있어서,
    유체펌프와;
    상기 유체펌프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물을 수면위로 부상된 부유불순물에 분사하여 한쪽으로 수거하기 위한 복수의 물분사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노즐은 수면위의 부유불순물을 상기 분리수조에 형성된 배출통로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배출통로를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
KR2020020005995U 2002-02-28 2002-02-28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 KR200278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995U KR200278848Y1 (ko) 2002-02-28 2002-02-28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995U KR200278848Y1 (ko) 2002-02-28 2002-02-28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848Y1 true KR200278848Y1 (ko) 2002-06-21

Family

ID=7307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995U KR200278848Y1 (ko) 2002-02-28 2002-02-28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8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966B1 (ko) 2010-02-25 2012-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면정화 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912560B1 (ko) * 2018-03-28 2018-10-26 윤석균 유리 파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966B1 (ko) 2010-02-25 2012-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면정화 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912560B1 (ko) * 2018-03-28 2018-10-26 윤석균 유리 파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00586590C (zh) 煤灰资源化处理方法
KR100533738B1 (ko) 건설폐기물 습식 이물질 분류 장치
KR100521764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부순모래 제조방법
JPH044083A (ja) 構築廃材の水力利用選別方法及び構築廃材の水力利用選別装置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CN213559097U (zh) 一种建筑垃圾的分类处理系统
KR200278848Y1 (ko) 물 분사식 부유불순물 수거 장치
KR20010007706A (ko) 건설폐재류의 와류인양식 선별세척장치 및 그 방법
KR101528308B1 (ko) 물 분사방식을 이용한 골재 선별시스템 및 방법
KR100485532B1 (ko) 건축폐기물의 부유불순물 분리수거 유닛
KR100850372B1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CN108855588A (zh) 一种建筑渣土分类系统
KR102283646B1 (ko)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순환잔골재로 재활용하거나, 부순 모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장치를 부착시켜 양질의 모래를 안전하게 회수하는 장치
KR20100128212A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31471B1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74006B1 (ko) 건설폐기물 재생용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050051428A (ko)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KR102197340B1 (ko)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KR100314386B1 (ko) 건설폐재류의 선별세척장치 및 그 방법
KR200278847Y1 (ko) 부유불순물 분리수조의 수류 형성 장치
KR200278850Y1 (ko)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용 2단 스크린 타입의 수분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