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318B1 -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318B1
KR101912318B1 KR1020180002270A KR20180002270A KR101912318B1 KR 101912318 B1 KR101912318 B1 KR 101912318B1 KR 1020180002270 A KR1020180002270 A KR 1020180002270A KR 20180002270 A KR20180002270 A KR 20180002270A KR 101912318 B1 KR101912318 B1 KR 101912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ttern
sheet
secre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철
Original Assignee
(주)크레이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이더스 filed Critical (주)크레이더스
Priority to KR102018000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318B1/ko
Priority to PCT/KR2018/006217 priority patent/WO201913545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 용품는 분비물을 흡수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분비물을 감지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도전성 재질의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부는 상기 시트부의 외면 가운데에 장착되고, 상기 시트부의 외면 가운데에 장착된 상기 단말부는 상기 패턴에 물리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패턴에 상기 감지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여성용 생리대는 월경시 생리혈이 새지 않게 생리혈을 흡수하는 패드의 일종으로서, 평상시 혹은 운동이나 수면 중에도 생리혈이 잘 흡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생리대는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된 패드, 팬티에 패드를 부착시키는 접착제로 이루어져 잇다.
생리대를 착용하고자 할 때는 팬티의 소정 부분에 패드가 상면을 향하도록 패드를 부착시킨 후 팬티를 입으면 된다.
생리대 사용시 주요 관심 사항은 생리대의 가장자리를 통해 생리혈이 누설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생리혈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한 상태의 생리대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3246호에는 둔열에 밀착되고 후방 부분이 만곡 상태를 유지하는 생리대가 개시되고 있으나, 생리대의 가장자리까지 생리혈이 전파된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3246호
본 발명은 시트부에 대한 분비물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흡수 용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는 분비물을 흡수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분비물을 감지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도전성 재질의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부는 상기 시트부의 외면 가운데에 장착되고, 상기 시트부의 외면 가운데에 장착된 상기 단말부는 상기 패턴에 물리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패턴에 상기 감지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은 시트부의 외면 가운데에 단말기가 착탈되므로, 단말기의 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단말기의 설치 위치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으며, 특정 위치에 설치된 단말기에서 분비물이 감지되면, 해당 특정 위치에 분비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위치의 조절을 통해 분비물의 감지하고자 하는 시트부의 영역이 특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는 분비물의 존재 여부를 부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흡수 용품에 존재하는 분비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주 관심사이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패턴과 감지 신호를 이용해서 시트부의 어느 위치에 분비물이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패턴 중 시트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사이드 패턴을 이용하면, 시트부의 가장자리까지 전파된 분비물이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는 지정된 위치까지 분비물이 전파된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기로 해당 사실을 송신함으로써 흡수 용품의 교체 시기가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비물이 누설되기 전에 누설 위험이 사용자에게 안내되므로, 사용자는 분비물이 누설될 것을 염려하여 수시로 흡수 용품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단말부는 시트부에 대한 회전 각도에 상관없이 각 단자가 각 패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와 패턴 간의 정렬 난이도가 완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흡수 용품와 팬티 사이에 배치되는 단말부가 사용자의 활동 중에 일부 회동되더라도, 항상 단자와 패턴 간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 용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흡수 용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수 용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시트부에 장착된 단말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착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착탈부의 회전 각도에 따른 단자와 패턴 간의 접촉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단말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 용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흡수 용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수 용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흡수 용품는 분비물을 흡수하는 시트부(100), 시트부(100)의 외면에 장착되고 분비물을 감지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비물은 사용자가 분비하는 대변, 소변, 땀, 생리혈, 눈물, 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배설물을 받기 위해 시트부(100)는 대소변을 받는 기저귀 또는 패드, 사용자 신체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고 땀을 받는 패드 또는 패치, 생리혈을 받는 생리대, 눈물을 받는 안대, 침 등을 받는 마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에 반대되는 시트부(100)의 하부면, 다시 말해 외면에는 내의에 부착되는 접착부(109)가 마련될 수 있다. 시트부(100)의 측면에는 날개 형상의 플랩(101)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랩(101)은 내의의 가랑이 부분 외측에서 접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의에 접착될 수 있도록 플랩(101)의 하부면에 접착부(109)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단말부(500)는 시트부(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시트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시트부(100)에는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도전성 재질의 패턴(200)이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패턴은 사용자의 신체에 대면되는 시트부(100)의 내면 측에 형성되거나, 시트부(10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말부(500)는 시트부(100)의 외면 가운데에 장착될 수 있다.
시트부(100)의 외면 가운데에 장착된 단말부(500)는 패턴(200)에 물리적으로 접촉되고, 패턴(200)에 감지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단말부(50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패턴(200) 중 선택된 위치에 형성된 특정 패턴(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530)가 마련될 수 있다.
단말부(500)는 특정 패턴(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530) 및 감지 신호를 이용해서 특정 패턴(200)이 형성된 위치에 흡수된 분비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패턴(200)은 시트부(100)의 제1 위치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된 2개의 패턴(200), 예를 들어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부(500)에는 제1 패턴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제1 단자(351), 제2 패턴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제2 단자(352)가 마련될 수 있다.
시트부(100)의 특정 위치로부터 흡수 전파되는 분비물이 제1 위치까지 전파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위치에 마련된 2개의 패턴(200)에 단말부(500)의 제1 단자(531) 및 제2 단자(532)를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위치까지 분비물이 전파되지 않은 경우, 서로 이격된 2개의 패턴(200)에 연결된 제1 단자(531)와 제2 단자(532)는 서로 단절된 상태이므로, 감지 신호가 소통되지 않는다.
제1 위치까지 분비물이 전파되고, 해당 분비물이 2개의 패턴(200) 사이에 걸치게 되면 제1 단자(531)로 인가된 감지 신호는 분비물을 타고 제2 단자(532)로 유입될 수 있다. 단말부(500)는 제1 단자(531)와 제2 단자(532) 사이에 감지 신호가 소통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경고 신호를 확인한 사용자는 제1 위치까지 분비물이 전파된 것을 인지하고, 흡수 용품를 교체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부(100)의 가장자리가 아닌 시트부(100)의 외면 가운데에 단말부(500)가 설치되므로, 단말부(500)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분비물의 누설은 일반적으로 시트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발생될 수 있다.
분비물의 누설 위험을 감지하는 동시에 패턴(200)에 맞춰 단말부(500)의 단자(530)를 정렬시키는 어려움을 완화시키기 위해 패턴(200)은 시트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패턴(200)은 시트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단말부(50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패턴(200) 중 선택된 위치에 형성된 2개의 특정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530)가 마련될 수 있다.
단말부(500)는 특정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530) 및 감지 신호를 이용해서 특정 패턴이 형성된 위치에 흡수된 분비물을 감지할 수 있다.
시트부(100)의 외면을 형성하는 제1 시트(110)의 외면에 패턴이 형성된 경우, 단말부(500)는 제1 시트(110)의 외면에 장착되고, 단말부(500)의 단자(530)는 제1 시트(110) 외면에 형성된 패턴(200)에 접촉될 수 있다. 만약, 제1 시트(110)의 외면에 형성된 패턴(200)이 부직포 등으로 덮인 경우, 단자는 시트부(100)의 외면을 형성하는 부직포를 관통해서 제1 시트(110) 외면에 형성된 패턴(200)에 접촉될 수 있다.
패턴(200)이 시트부(100)의 내면 측에 형성되는 경우 역시 단말부(500)는 시트부(100)의 외면을 관통해서 시트부(100)의 내면 측에 형성된 패턴(200)에 접촉될 수 있다.
단자(530)는 감지 신호가 소통되는 제1 단자(531) 및 제2 단자(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531) 및 제2 단자(532)는 복수의 패턴(200) 중 선택된 2개의 패턴(2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단말부(500)는 시트부(100)의 폭 방향 상으로 제1 단자(531)에 연결된 패턴(200)으로부터 제2 단자(532)에 연결된 패턴(200)까지의 선택 구간에 흡수된 분비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패턴(200)은 시트부(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사이드 패턴(21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부(500)는 사이드 패턴(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530) 및 감지 신호를 이용해서 시트부(100)의 가장자리를 통해 누설되려는 분비물을 감지할 수 있다.
패턴(200)이 시트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경우, 사이드 패턴(210)은 시트부(100)의 폭 방향 향상으로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시트부(100)에는 분비물의 통과가 제한되는 재질의 제1 시트(110), 제1 시트(110)에 적층되고 분비물이 통과되는 재질의 제2 시트(120),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 사이에 삽입되고 제2 시트(120)를 통과한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재(1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패턴(200)은 제1 시트(110)와 흡수재(15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패턴(200)은 흡수재(150)에 대면되는 제1 시트(110)의 일면(제1 시트의 내면)에 프린팅 또는 코팅되는 도전성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시트부(100)에 장착된 단말부(5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시트(110)와 흡수재(150) 사이에 형성된 패턴(200)에 단말부(500)의 단자(530)를 연결시키는 작업 편의를 개선하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단말부(500)가 흡수 용품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에 배치시키지 않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패턴(200)이 제1 시트(110)의 일면(제1 시트의 내면) 측에 형성될 때, 단말부(500)에는 제1 시트(110)의 타면(제1 시트의 외면)에 대면되는 착탈부(5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시트(110)에 대면되는 착탈부(510)의 일면에는 접착제가 형성될 수 있다. 착탈부(510)는 시트부(100)와 내의(속옷) 사이에 배치되므로, 작은 크기의 동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단자(530)는 제1 시트(110)에 대면되는 착탈부(510)의 일면에 돌출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510)는 시트부(100)의 복수의 위치 중 선택된 위치에 착탈될 수 있다.
선택된 위치에 배치된 특정 패턴(200)에 단자(530)가 정렬되도록 착탈부(510)가 제1 시트(110)에 밀착되면, 핀은 제1 시트(110)를 뚫고 들어가 특정 패턴(200)에 접촉될 수 있다. 단말부(500)는 착탈부(510)가 밀착된 위치에 흡수된 분비물(170)을 감지할 수 있다.
시트부(100)에 흡수재(150)가 마련될 때, 평면상으로 패턴(200)은 흡수재(150)의 단부에 형성된 사이드 패턴(210), 사이드 패턴(210)으로부터 이격되게 흡수재(150)의 가운대에 형성된 센터 패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이드 패턴(210)은 흡수재(150)의 모서리에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단말부(500)에는 사이드 패턴(210)에 연결되는 제1 단자(531) 및 센터 패턴(230)에 연결되는 제2 단자(532)가 마련될 수 있다.
단말부(500)는 제1 단자(531)와 제2 단자(532) 중 어느 하나로 감지 신호를 인가하고, 제1 단자(531)와 제2 단자(532)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해 입수된 감지 신호를 분석해서 흡수재(150)의 단부에 흡수된 분비물을 감지할 수 있다.
평소, 사이드 패턴(210)에 접촉된 제1 단자(531) 및 센터 패턴(230)에 접촉된 제2 단자(532)는 전기적으로 단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자(531)로 인가된 감지 신호는 제2 단자(532)로 입수되지 못하는 단절 상태가 되고, 단말부(500)는 감지 신호의 단절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경고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센터 패턴(230) 측으로부터 사이드 패턴(210) 측을 향해 전파되는 분비물이 사이드 패턴(210)까지 도달되면, 제1 단자(531) 및 사이드 패턴(210)에 인가된 감지 신호는 분비물을 타고 센터 패턴(230) 및 제2 단자(532)로 입수되는 소통 상태가 될 수 있다. 단말부(500)는 감지 신호의 소통 상태가 파악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시트부(100)의 가장자리 내의 선택 위치까지 전파된 분비물을 감지하고자 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센터 패턴(23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 패턴(210)과 센터 패턴(230)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턴(200)은 설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단자(531)와 제2 단자(532)는 각 패턴(200) 간의 설정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수재(150)에서 원하는 위치에 단말부(500)를 부착시키기만 하면, 분비물이 단말부(500)의 부착 위치까지 전파된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1 시트(110)의 일면에 흡수재(150)가 설치될 때 제1 시트(110)의 타면 측에서 패턴(200)이 육안으로 보이도록, 제1 시트(110)는 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턴(200)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깔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시트(110)를 투과해서 비친 패턴(200)을 확인한 후 단자(530)가 패턴(200)에 정렬되게 단말부(500)를 제1 시트(110)에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마련된 2개의 패턴(200)에 제1 단자(531)와 제2 단자(532)가 각각 정렬되게 착탈부(510)를 제1 시트(110)에 붙일 수 있다.
복수의 단자(530)는 착탈부(510)의 중심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각 패턴(200)의 가운데에 착탈부(510)의 중심을 정렬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착탈부(510)의 회전 각도만 잘 맞추면 각 단자(530)는 각 패턴(200)에 정렬될 수 있다.
그런데, 제1 시트(110)에 대면되는 착탈부(510)의 일면에 마련된 제1 단자(531) 및 제2 단자(532)는 착탈부(510)를 제1 시트(110)에 붙이는 과정 중에 착탈부(51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각 단자(530)가 착탈부(510)에 가려진 시점부터 사용자는 감각에 의존해서 각 단자(530)를 각 패턴(200)에 정렬시켜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착탈부(510)의 회전 각도를 맞추는 과정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는 각 패턴(200)의 가운데에 착탈부(510)의 중심을 정렬시키기만 하면, 착탈부(510)의 회전 각도에 상관없이 각 패턴(200)에 각 단자(530)가 정렬되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착탈부(5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착탈부(510)의 회전 각도에 따른 단자(530)와 패턴(200) 간의 접촉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착탈부(510)로부터 제1 시트(110)를 향해 돌출되는 단자(530)의 돌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을 정의한다.
가상선을 중심으로 하는 착탈부(510)의 회전 각도에 상관없이 착탈부(510)에 대면되는 2개의 패턴(200) 각각에 단자(530)가 적어도 하나씩 접촉되도록, 단자(530)는 사각형 이상의 가상의 정다각형(가성선을 중심으로 함)의 꼭지점 위치마다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가상의 정사각형의 꼭지점 위치마다 단자(530)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었다. 이 경우, 단자(530)는 좌상의 제1 꼭지점에 배치된 제1 단자(531), 위상의 제2 꼭지점에 배치된 제2 단자(532), 좌하의 제3 꼭지점에 배치된 제3 단자(533), 우하의 제4 꼭지점에 배치된 제4 단자(53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패턴(200)은 동일한 폭 w를 가질 수 있다. 폭 w를 고려한 각 패턴(200) 간의 최단 거리를 L1으로 정의하고, 폭 w를 고려한 각 패턴(200) 간의 최장 거리를 L2로 정의한다.
L1은 각 패턴(200)에서 서로 마주보는 최단 거리의 변 간의 거리일 수 있다. L2는 L2에 각 패턴(200)의 폭 w를 두 번 합산한 값일 수 있다.
각 단자(530) 간의 최단 거리 k1이 L1 이상이 되고, 각 단자(530) 간의 최장 거리 k2가 L2 이하가 되게 각 단자(53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상의 정사각형의 각 꼭지점마다 단자(530)가 배치된 실시예의 경우, 동일한 변 상에 위치한 2개의 단자(530) 간의 거리가 각 단자(530) 간의 최단 거리 k1일 수 있다. 대각선 위치에 배치된 2개의 단자(530) 간의 거리가 각 단자(530) 간의 최장 거리 k2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의 (a)와 같이 착탈부(510)의 회전 각도가 0도일 때에도 각 패턴(200)에 적어도 한 개씩의 단자(530)가 접촉될 수 있으며, 도 6의 (b)와 같이 착탈부(510)의 회전 각도가 45도일 때에도 각 패턴(200)에 적어도 한 개씩의 단자(530)가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부(510)의 회전 각도에 상관없이 2개의 패턴(200)에 단자(530)가 각각 접촉되도록 4개 이상의 단자(53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4개 이상의 단자(530)가 형성되면, 착탈부(5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도 6의 (a)와 같이 동일한 하나의 패턴(200)에 복수의 단자(530)가 함께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하나의 패턴(200)에 함께 접촉된 복수의 단자(530)는 감지 신호의 소통 상태가 되므로, 분비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분비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서 제1 단자(531)와 제3 단자(533)는 동일한 사이드 패턴(210)에 접촉되고 있다. 이때, 제1 단자(531)와 제3 단자(533)는 분비물의 유무와 상관없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단자(531)와 제3 단자(533)를 이용해서 분비물을 감지하는 경우, 분비물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분비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4개 이상의 단자(530)가 형성되면, 착탈부(5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도 6의 (b)와 같이 일부 단자(530)가 패턴(200)에 접촉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패턴(200)에 접촉되지 못한 단자(530)로 감지 신호를 인가하면, 분비물이 제1 패턴(200)과 제2 패턴(200)에 걸쳐 존재하더라도, 분비물을 거친 감지 신호를 다른 단자(530)에서 받을 수 없다. 그 결과, 분비물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분비물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b)에서 제2 단자(532)와 제3 단자(533)는 패턴(200)에 접촉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2 단자(532) 또는 제3 단자(533)로 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분비물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분비물이 감지되지 못할 수 있다.
하나의 동일한 패턴(200)에 복수의 단자(530)가 접촉되는 상황 및 일부 단자(530)가 패턴(200)에 접촉되지 못한 상황에 상관없이 정상적으로 분비물을 감지하기 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부(500)는 일시점에서 복수의 단자(530) 중 어느 하나의 단자(530)에만 감지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단말부(500)는 복수의 단자(530) 중 나머지 단자(530)로부터 입수된 감지 신호를 분석해서 분비물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부(500)는 감지 신호가 인가된 단자(530)와 동일한 패턴(200)에 연결된 단자(530)로부터 입수된 바이패스 신호를 다른 패턴(200)에 연결된 단자(530)로부터 입수된 정상적인 감지 신호와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부(500)는 바이패스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도 6의 (a)에서 제1 단자(531)로 감지 신호가 인가되는 상황을 가정한다. 제1 단자(531)에 인가된 감지 신호는 제1 단자(531)에 접촉된 사이드 패턴(210)을 타고 제3 단자(533)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 패턴(210)을 타고 제3 단자(533)로 전달된 감지 신호에 해당하는 바이패스 신호는 제1 단자(531)와 제3 단자(533) 사이 구간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턴(210)의 저항값이 반영된 상태일 수 있다.
사이드 패턴(210)과 센터 패턴(230)에 걸쳐 분비물이 존재하면, 제1 단자(531)를 통해 사이드 패턴(210)에 인가된 감지 신호는 분비물을 타고 센터 패턴(230)으로 전달되고, 센터 패턴(230)에 접촉된 제2 단자(532) 또는 제4 단자(534)를 통해 단말부(500)에 입수될 수 있다.
이때, 분비물을 거쳐 제2 단자(532) 또는 제4 단자(534)로 전달된 정상적인 감지 신호는 사이드 패턴(210)의 저항값과 다른 분비물의 저항값 R이 반영된 상태일 수 있다.
사이드 패턴(210)의 저항값과 분비물의 저항값 R 간의 차이로 인해 바이패스 신호와 정상적이 감지 신호는 전류값, 전압값, 진폭, 주파수 등에서 차이를 갖게 되며, 단말부(500)는 이 차이를 이용해서 바이스패스 신호와 정상적인 감지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단말부(500)는 바이패스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바이패스 신호를 무시함으로써 바이패스 신호가 분비물의 존재 유무 파악에 관여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단말부(500)는 설정 시간이 경과될 때마다 감지 신호가 인가되는 단자(530)를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 제3 단자(533)로만 감지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제3 단자(533)에 인가된 감지 신호는 제3 단자(533)로부터 이격된 사이드 패턴(210) 및 센터 패턴(230)으로 인가되지 못한다. 따라서, 사이드 패턴(210)과 센터 패턴(230)에 걸쳐 분비물이 존재하더라도 해당 감지 신호는 나머지 제1 단자(531), 제2 단자(532), 제4 단자(534)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단말부(500)는 분비물을 감지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감지 신호가 인가되는 단자(530)가 제3 단자(533)에서 제1 단자(531)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단자(531)는 사이드 패턴(210)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제1 단자(531)로 인가된 감지 신호는 사이드 패턴(210)에 인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단말부(500)는 나머지 모든 단자(530)를 감시하고, 각 단자(530)마다 감지 신호의 입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나머지 단자(530)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530)에서 감지 신호가 입수되면 단말부(500)는 사이드 패턴(210)과 센터 패턴(230)에 걸쳐 분비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자(531)로 감지 신호가 인가될 때, 단말부(500)는 제2 단자(532), 제3 단자(533), 제4 단자(534) 각각에 대해 감지 신호의 입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제3 단자(533)로부터 정상적인 감지 신호가 입수되면, 단말부(500)는 분비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200)에 단자(530)를 정렬시키기 위해 착탈부(5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의 활동으로 인해 시트부(100)에 장착된 착탈부(510)의 회전 각도가 일부 변경되더라도 패턴(200)에 대한 단자(530)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단말부(500)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말부(500)에는 감지 신호를 이용해서 분비물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550), 휴대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90)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590)이 마련될 수 있다.
감지 모듈(550)에 의해 시트부(100)의 가장자리를 통해 누설되려는 분비물이 감지되면, 통신 모듈(590)은 사용자 단말기(90)로 분비물의 누설을 경고하는 경고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분비물의 누설 위험을 수시로 확인할 필요없이, 사용자 단말기(90)를 통해 표시되는 경고 신호를 통해 분비물의 누설 위험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90...사용자 단말기 100...시트부
101...플랩 109...접착부
110...제1 시트 120...제2 시트
150...흡수재 170...분비물
200...패턴 210...사이드 패턴
230...센터 패턴 500...단말부
510...착탈부 530...단자
531...제1 단자 532...제2 단자
533...제3 단자 534...제4 단자
550...감지 모듈 590...통신 모듈

Claims (15)

  1. 분비물의 통과가 제한되는 재질의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에 적층되고 상기 분비물이 통과되는 재질의 제2 시트,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시트를 통과한 상기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재,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흡수재의 사이에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패턴이 구비된 시트부;
    상기 제1 시트에 장착되고, 상기 분비물을 감지하는 감지 신호를 상기 패턴에 인가하는 단자가 구비된 단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이 상기 제1 시트의 일면 측에 형성될 때, 상기 단말부에는 상기 제1 시트의 타면에 대면되는 착탈부가 마련되며,
    상기 단자는 상기 제1 시트에 대면되는 상기 착탈부의 일면에 돌출된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 시트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흡수재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착탈부가 상기 제1 시트의 타면에 밀착되면, 상기 핀은 상기 제1 시트를 뚫고 들어가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흡수재 사이에 형성된 상기 패턴에 접촉되고,
    상기 패턴은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재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3개 이상 형성되고,
    3개 이상의 상기 패턴은 상기 시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재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단자는 서로 인접한 2개의 패턴 중 어느 하나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제1 단자, 나머지 하나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부는 상기 흡수재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시트의 타면에 부착되고, 부착된 위치상에 존재하는 상기 분비물을 감지하는 흡수 용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흡수재에 대면되는 상기 제1 시트의 일면에 프린팅 또는 코팅되는 도전성 잉크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 상으로 상기 흡수재의 단부에 형성된 사이드 패턴, 상기 사이드 패턴에 인접한 센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부에는 상기 사이드 패턴에 연결되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센터 패턴에 연결되는 상기 제2 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단말부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감지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해 입수된 상기 감지 신호를 분석해서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 상으로 상기 흡수재의 단부에 흡수된 상기 분비물을 감지하는 흡수 용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접촉 대상이 되는 상기 패턴의 연장 길이는 상기 단말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단자 간의 간격보다 크고,
    상기 단자의 돌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착탈부의 회전 각도에 상관없이 상기 착탈부에 대면되는 2개의 패턴 각각에 상기 단자가 적어도 하나씩 접촉되도록, 상기 단자는 상기 가상선을 중심으로 하는 사각형 이상의 가상의 정다각형의 꼭지점 위치마다 형성된 흡수 용품.
  13. 제12항에 있어서,
    각 패턴은 동일한 폭을 갖고,
    상기 폭을 고려한 각 패턴 간의 최단 거리를 L1으로 정의하고, 상기 폭을 고려한 각 패턴 간의 최장 거리를 L2로 정의할 때,
    각 단자 간의 최단 거리가 상기 L1 이상이 되고, 각 단자 간의 최장 거리가 상기 L2 이하가 되게 각 단자가 형성된 흡수 용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는 일시점에서 복수의 상기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만 상기 감지 신호를 인가하고, 나머지 단자로부터 입수된 감지 신호를 분석해서 상기 분비물을 감지하며,
    상기 단말부는 설정 시간이 경과될 때마다 상기 감지 신호가 인가되는 단자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흡수 용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는 일시점에서 복수의 상기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만 상기 감지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단말부는 복수의 상기 단자 중 나머지 단자로부터 입수된 신호의 전류값, 전압값, 진폭,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며,
    상기 단말부는 분석 결과를 이용해서 상기 감지 신호가 인가된 단자와 동일한 패턴에 연결된 단자로부터 입수된 바이패스 신호와, 다른 패턴에 연결된 단자로부터 입수된 정상적인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바이패스 신호를 무시하는 흡수 용품.
KR1020180002270A 2018-01-08 2018-01-08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KR101912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270A KR101912318B1 (ko) 2018-01-08 2018-01-08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PCT/KR2018/006217 WO2019135453A1 (ko) 2018-01-08 2018-05-31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270A KR101912318B1 (ko) 2018-01-08 2018-01-08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622A Division KR101997672B1 (ko) 2018-07-02 2018-07-02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318B1 true KR101912318B1 (ko) 2018-10-26

Family

ID=6409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270A KR101912318B1 (ko) 2018-01-08 2018-01-08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2318B1 (ko)
WO (1) WO2019135453A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903B1 (ko) * 2004-03-08 2007-03-08 장동욱 기저귀용 소변감지센서
KR20080084956A (ko) * 2005-12-15 2008-09-2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KR20080085834A (ko) * 2005-12-15 2008-09-2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KR20110030499A (ko) * 2008-06-30 2011-03-2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용품용 다기능 모니터링 기기
KR20110107598A (ko) * 2010-03-25 2011-10-04 (주)아이티헬스 다수의 전극을 가진 정전용량형 대소변 감지기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시스템
KR101163246B1 (ko) 2004-05-27 2012-07-05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생리대
KR20130141401A (ko) * 2012-06-15 2013-12-26 (주)아이티헬스 전도성 섬유형의 도선을 이용한 대소변 감지센서 및 감지장치
KR20160022183A (ko) * 2014-08-19 2016-02-29 성유지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JP2016032520A (ja) * 2014-07-31 2016-03-10 花王株式会社 排液センサーシート、排液センサーシートを有する着用物品、及び排液センサー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70099471A (ko) * 2016-02-24 2017-09-01 (주)크레이더스 스마트 패드
JP2017189348A (ja) * 2016-04-13 2017-10-19 花王株式会社 センサー付き着用物品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903B1 (ko) * 2004-03-08 2007-03-08 장동욱 기저귀용 소변감지센서
KR101163246B1 (ko) 2004-05-27 2012-07-05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생리대
KR20080084956A (ko) * 2005-12-15 2008-09-2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KR20080085834A (ko) * 2005-12-15 2008-09-2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KR101296026B1 (ko) * 2005-12-15 2013-08-1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KR20110030499A (ko) * 2008-06-30 2011-03-2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용품용 다기능 모니터링 기기
KR20110107598A (ko) * 2010-03-25 2011-10-04 (주)아이티헬스 다수의 전극을 가진 정전용량형 대소변 감지기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시스템
KR20130141401A (ko) * 2012-06-15 2013-12-26 (주)아이티헬스 전도성 섬유형의 도선을 이용한 대소변 감지센서 및 감지장치
JP2016032520A (ja) * 2014-07-31 2016-03-10 花王株式会社 排液センサーシート、排液センサーシートを有する着用物品、及び排液センサー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60022183A (ko) * 2014-08-19 2016-02-29 성유지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KR20170099471A (ko) * 2016-02-24 2017-09-01 (주)크레이더스 스마트 패드
JP2017189348A (ja) * 2016-04-13 2017-10-19 花王株式会社 センサー付き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5453A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1988B1 (en) Smart absorbent article and components
EP2374435B1 (en) Urine receiver and wearing article
RU2373911C2 (ru) Впитывающая прокладка с индикатором улучшенны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US8822753B2 (en) Absorbent article
JP2015500068A (ja) 水分検出器を備える吸収性物品
KR20150092189A (ko) 그래픽이 있는 흡수 용품과 신호 장치를 구비하는 액체 검출 시스템
US20020138060A1 (en) Disposable diaper
AU2005247465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fit guide
WO2014192978A1 (ja) 吸収性物品
KR102263809B1 (ko)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및 용변 감지 장치
KR101912318B1 (ko)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KR101997672B1 (ko)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CN114324502A (zh) 一种电容式传感膜及相关的智能纸尿裤与检测系统装置
JP6249515B2 (ja) 吸収性物品
AU2018454396B2 (en) A hygiene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 sensing panel
JP7443371B2 (ja) 着用可能な吸収性衛生用品と衛生監視デバイスとを備えるシステム
EP3906907B1 (en) Detection device for smart absorbent articles
US20120022484A1 (en) Absorbent article
KR102121920B1 (ko) 단말부가 구비된 흡수 용품
KR20190103707A (ko)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US20220211551A1 (en) Hygiene monitoring device with narrow data logging unit
JP2020524805A (ja) 端末部を有する吸収用品
JP2020078473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