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026B1 -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 Google Patents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026B1
KR101296026B1 KR1020087014253A KR20087014253A KR101296026B1 KR 101296026 B1 KR101296026 B1 KR 101296026B1 KR 1020087014253 A KR1020087014253 A KR 1020087014253A KR 20087014253 A KR20087014253 A KR 20087014253A KR 101296026 B1 KR101296026 B1 KR 101296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element
terminal
signal generator
chassis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956A (ko
Inventor
리차드 디. 모스바허
크리스토퍼 피. 올슨
로버트 슐라우피츠
앤드류 엠. 롱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8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는 신호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발생 장치는 의류 내에 체액이 존재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류는 내표면과 외표면을 갖는 외측 커버를 구비하는 섀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섀시는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의류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를 갖는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외측 커버, 섀시, 도전성 요소, 신호 발생 장치, 단자, 오리피스, 도전성 패드 부재, 흡수 구조물

Description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GARMENTS WITH EASY-TO-USE SIGNALING DEVICE}
본 발명은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garment)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 트레이닝 바지, 실금(incontinence) 제품, 여성용 위생 용품, 수영 속옷 등과 같은 흡수성 물품은 통상적으로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 액체 비투과성 외측 커버, 및 흡수성 코어를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는 통상 외측 커버와, 착용자에 의해 삼출(exudate)되는 액체(예를 들면, 소변)를 흡수 보유하기 위햐 라이너 사이에 배치된다.
흡수성 코어는 예를 들어 고흡수성 입자로 제조될 수 있다. 많은 흡수성 물품, 특히 고흡수성 물품은 액체 흡수에 매우 효과적이어서, 때로는 흡수성 물품이 체액으로 손상되었는지 여부를 말하기가 종종 곤란하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수분 또는 습도 표시계(indicator)가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습도 표시계는 부모나 도우미가 손상 시에 신속히 젖은 기저귀 상태를 파악하는 것을 돕도록 설계된 경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시각 또는 청각 신호를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흡수성 물품 내에 저렴한 도전성 실(conductive threads) 또는 도전성 포일(conductive foil)이 설치되었다. 도전성 재료는 신호 발생 장치용 도전성 리드(lead)로서 작용하며, 물품 내에 개방 회로를 형성하는 바, 이는 소변과 같은 체액이 회로를 폐쇄할 때 폐쇄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일 수 있지만, 신호 발생 장치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신호 발생 장치는 물품으로부터 분리되어 후속 물품에 재부착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그러나, 도전성 리드에 대한 신호 발생 장치의 신뢰성 높은 부착을 가능하게 하지만 흡수성 물품의 비용은 별로 증가시키지 않는 신호 발생 장치용 부착 기구를 설계하는데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고속 제조 공정 중에 흡수성 물품에 합체될 수 있는 부착 기구를 설계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갖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신호 발생 장치는 예를 들어 흡수성 물품 내에 체액이 존재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의류는 내표면과 외표면을 갖는 외측 커버를 구비하는 섀시를 구비한다. 상기 섀시는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한다.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은 함께 허리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의류는 섀시에 내장되는 제1 및 제2 도전성 요소를 구비한다. 상기 도전성 요소는 적어도 허리 영역에 배치된다. 이들 제1 및 제2 도전성 요소는 회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의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를 갖는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제1 및 제2 도전성 요소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신호 발생 장치는 적어도 세 방향으로 섀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제1 및 제2 도전성 요소와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의류는 내표면과 외표면을 갖는 외측 커버를 구비하는 섀시를 구비한다. 섀시는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한다.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은 함께 허리 영역을 형성한다. 의류는 또한 섀시에 내장되는 제1 및 제2 도전성 요소를 구비한다. 도전성 요소는 적어도 허리 영역에 배치된다. 이들 제1 및 제2 도전성 요소는 회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의류는 또한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신호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제1 표면과 제2 표면은 동일 평면상에 있지 않다. 제1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제2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단자는 제1 및 제2 도전성 요소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신호 발생 장치는 적어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의류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단자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제1 및 제2 도전성 요소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특징과 태양, 및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하기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발명 자체가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1은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3은 비체결(unfastened), 비절첩 및 편평 배치 상태에 있는 도1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로서, 착용자와 대면하지 않는 물품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4는 도3과 유사한 평면도로서, 착용 시에 착용자와 대면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을 도시하며, 기저(underlying) 특징부를 도시하기 위해 부분 절취된 도면이고,
도5는 신호 발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추가로 포함하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6은 비체결, 비절첩 및 편평 배치 상태에 있는 흡수성 물품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착용자와 대면하지 않는 물품 표면을 도시하고,
도7은 흡수성 물품에 신호 발생 장치용 부착 기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7A는 선 7A-7A를 따라서 바라본 도7의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고,
도8은 흡수성 물품에 신호 발생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9는 흡수성 물품에 신호 발생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10은 흡수성 물품에 신호 발생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11은 흡수성 물품에 신호 발생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의 반복적인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부재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가 단지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며, 본 발명의 광범위한 태양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 내의 체액의 존재 또는 흡수성 제품이나 착용자의 상태에 있어서의 다른 변화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는 신호 발생 장치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은 예를 들어, 기저귀, 트레이닝 바지, 실금 제품, 여성용 위생 용품, 의료용 의류 및 붕대 등일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한 쌍의 도전성 리드 사이에 체액과 같은 도전성 유체가 존재할 때 폐쇄되는 개방 회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흡수성 물품은 체액과 같은 유체가 존재할 때 개방되는 폐쇄 회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회로가 내장된 흡수성 물품이 일회용이라 함은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거나 복원되기보다는 제한적 사용 후 폐기되도록 설계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내장된 회로는 신호 발생 장치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신호 발생 장치는 회로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게 체액의 존재를 나타내는 일정 유형의 청각, 시각 및/또는 전자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 자체는 일회용일 수 있지만, 신호 발생 장치는 물품에 따라서 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특히 흡수성 물품 내의 회로와 신호 발생 장치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부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술했듯이, 신호 발생 장치와 조합되는 회로는 흡수성 물품에 수용되는 체액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한 표적 대상 체액은 흡수성 물품의 특정 형태에 따라서 또한 희망 용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흡수성 물품은 기저귀, 트레이닝 바지 등을 포함하며 신호 발생 장치는 소변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신호 발생 장치는 기저귀 발진의 존재를 나타낼 대사물질(metabolite)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반면에, 성인용 실금 제품 및 여성용 위생 용품에 있어서는, 신호 발생 장치는 다당류와 같은 소변이나 월경에서의 특정 성분, 또는 이스트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목적으로, 흡수성 물품(20)이 도시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20)은 일회용일 수도 아닐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기저귀, 트레이닝 바지, 수영 바지, 여성용 위생 용품, 실금 제품, 의료용 의류, 외과용 패드와 붕대, 기타 개인용 건강관리 또는 건강관리용 의류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 개인 착용 목적의 다양한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단지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여러 태양의 기저귀(20)와 같은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각종 재료와 방법이 1989년 1월 17일자로 메이어(Mey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798,603호, 1993년 1월 5일자로 블루머(Bruemmer) 등에게 허여 된 미국 특허 제5,176,672호, 1996년 4월 23일자로 한슨(Han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509,915호, 1999년 11월 30일자로 세인트 루이스(St. Loui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993,433호, 2001년 6월 19일자로 베이츠(Beitz)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248,097호, 2000년 6월 29일자로 공개된 에이. 플레쳐(A. Fletcher) 등의 PCT 특허출원 제WO 00/37009호, 1990년 7월 10일자로 반 곰펠(Van Gompe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40,464호, 1998년 6월 16일자로 브랜동(Brand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66,389호, 및 2003년 11월 11일자로 올슨(Ol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645,19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은 본 명세서에 모순되지 않는(즉, 상충되지 않는) 정도로 참조로서 합체되었다.
기저귀(20)는 도1에서 부분 체결된 상태로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기저귀(20)는 또한 개방된 비절첩 상태로 도3 및 도4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3은 기저귀(20)의 외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4는 기저귀(20)의 내측을 도시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20)는 착용 시에 물품의 전방으로부터 물품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종방향(48)을 형성한다. 종방향(48)을 가로지르는 방향이 횡방향(49)이다.
기저귀(20)는 본 명세서에서 전방 영역(22)과 후방 영역(24)으로 지칭되는 한 쌍의 종방향 단부 영역, 및 상기 전방 영역(22)과 후방 영역(24) 사이에서 이들을 상호 연결하며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들 영역을 연결하며 본 명세서에서 가랑이 영역(26)으로 지칭되는 중심 영역을 형성한다. 기저귀(20)는 또한 사용시에 착용자를 향해서 배치되도록(예를 들면, 물품(20)의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 배치되도 록) 구성된 내표면(28), 및 상기 내표면과 대향하는 외표면(30)을 규정한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영역(22, 24)은 착용시에 착용자의 허리 또는 중하부 몸통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커버하거나 둘러싸는 기저귀(20) 부분이다. 가랑이 영역(26)은 일반적으로, 착용시에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하부 몸통과 가랑이를 커버하는 기저귀(20) 부분이다. 흡수성 물품(20)은 한 쌍의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부 에지(36), 및 각각 전방 허리 에지(38) 및 후방 허리 에지(39)로 지칭되는 한 쌍의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허리 에지를 구비한다.
도시된 기저귀(20)는 본 실시예에서 전방 영역(22), 후방 영역(24), 및 가랑이 영역(26)을 둘러싸는 섀시(32)를 구비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섀시(32)는 외측 커버(40) 및 접착제, 초음파 접합, 열 접합 또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해 상기 외측 커버(40)에 대해 중첩 관계로 접합될 수 있는 신체측 라이너(42)(도1 및 도4)를 구비한다. 도4를 참조하면, 라이너(42)는 전방 허리 시임(seam)(62) 및 후방 허리 시임(64)을 형성하도록 섀시(32)의 주연부를 따라서 외측 커버(40)에 적절하게 접합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42)는 전방 영역(22)과 후방 영역(24)에 한 쌍의 측부 시임(61)을 형성하도록 외측 커버(40)에 적절하게 접합될 수 있다. 라이너(42)는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즉 물품(20)의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섀시(32)는 착용자로부터 삼출된 액상체를 흡수하기 위해 외측 커버(40)와 신체측 라이너(42) 사이에 배치되는 도4에 도시된 흡수 구조물(44)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신체 삼출물의 측방 유동을 방 지하기 위해 신체측 라이너(42)에 고정되는 한 쌍의 구속 플랩(flap)(4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탄성 구속 플랩(46)은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기저귀(20)의 가랑이 영역(26)에서 직립 구조를 취하는 부분적으로 미부착된 에지를 형성한다. 구속 플랩(46)은 섀시(32)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섀시의 길이를 따라서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다. 구속 플랩(46)에 대한 적합한 구조 및 배열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며, 1987년 11월 3일자로 엔로이(Enloe)에게 허여되고 본원에 참조로서 합체된 미국 특허 제4,704,116호에 기재되어 있다. 신체 삼출물의 구속 및/또는 흡수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기저귀(20)는 또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레그 탄성 부재(58)(도4)를 적절하게 구비할 수도 있다. 레그 탄성 부재(58)는 외측 커버(40)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42)에 작동적으로 접합될 수 있으며, 흡수성 물품(20)의 가랑이 영역(26)에 배치될 수 있다.
레그 탄성 부재(58)는 임의의 적절한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듯이, 적절한 탄성 재료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의 시트, 스트랜드 또는 리본을 포함한다. 탄성 재료는 신장되어 기부에 부착되거나, 주름진 기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기부에 부착된 후 예를 들어 가열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어서, 기부에 탄성 수축력이 가해진다. 특정한 일 태양에서, 예를 들어, 레그 탄성 부재(58)는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Wilmington, Delaware, U.S.A.) 소재의 인비스타(Invista)에 의해 상표명 라이크라(LYCRA)로 판 매되는 다수의 건조-당김 합체된(dry-spun coalesced) 멀티필라멘트 스판덱스 탄성중합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흡수성 물품(20)은, 경우에 따라 흡수 구조물(44) 근처에 배치될 수 있고 접착제 사용과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흡수 구조물(44) 또는 신체측 라이너(42)와 같은 물품(20)내 여러 구성 요소에 부착될 수 있는 서지(surge) 관리 층(도시되지 않음)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서지 관리 층은 물품의 흡수 구조물에 급격하게 유입될 수 있는 액체의 서지나 분출을 감속 및 확산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바람직하게, 서지 관리 층은 흡수 구조물의 저장 또는 보유 부분에 액체가 배출되기 전에 액체를 신속히 수용하여 일시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적절한 서지 관리 층의 예가 미국 특허 제5,486,166호 및 미국 특허 제5,490,846호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적합한 서지 관리 재료가 미국 특허 제5,820,973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특허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순되지 않는 정도로 원용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20)은 섀시(32)의 후방 영역에 부착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탄성 측부 패널(34)을 추가로 구비한다. 도1 및 도2에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패널(34)은 의류를 적소에 고정하기 위해 착용자의 허리 및/또는 골반부 주위에서 신장될 수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측부 패널은 한 쌍의 대향하는 종방향 에지(37)를 따라서 섀시에 부착된다. 측부 패널(34)은 임의의 적절한 접합 기술을 사용하여 섀시(32)에 부착되거나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 패널(34)은 접착제, 초음파 접합, 열 접합 또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해 섀시에 접합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탄성 측부 패널은 또한 섀시(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 패널(34)은 신체측 라이너(42), 외측 커버(40) 또는 신체측 라이너(42)와 외측 커버(40) 양자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부 패널(34)은 물품을 사용자의 적소에 고정할 때 흡수성 물품(20)의 후방 영역에 연결되며 물품의 전방 영역에 대해 연장된다. 그러나 측부 패널(34)은 대안적으로 물품이 착용될 때 물품(20)의 전방 영역에 연결되며 후방 영역에 대해 연장될 수도 있다.
도1 및 도2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20)이 체결 상태일 때, 탄성 측부 패널(34)은 허리 개구(50)와 한 쌍의 레그 개구(52)를 갖는 3차원 기저귀 구성을 형성하도록 체결 시스템(8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물품(20)의 허리 개구(50)는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는 허리 에지(38, 39)에 의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부 패널은 체결 시스템에 의해 물품(20)의 전방 영역(22)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측부 패널은 각 단부에서 섀시(32)에 영구적으로 접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트레이닝 바지나 흡수성 수영복을 형성할 때 측부 패널들은 영구적으로 함께 접합될 수도 있다.
탄성 측부 패널(34)의 각각은 종방향 외측 에지(68), 기저귀(20)의 종방향 중심을 향하여 배치된 레그 단부 에지(70), 및 흡수성 물품의 종방향 단부를 향해 배치된 허리-단부 에지(72)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20)의 레그 단부 에지(70)는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보다 양호한 끼워맞춤(fit)을 제공하도록 횡방향(49)에 대해 적절하게 만곡 및/또는 경사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후방 영역(24)의 레그 단부 에지와 같은 레그 단부 에지(70) 중 하나만이 만곡되거나 경사질 수도 있거나 또는 레그 단부 에지의 어느 것도 만곡되거나 경사지지 않을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에지(68)는 대체로 종방향(48)에 대해 평행하며 허리 단부 에지(72)는 대체로 횡축(49)에 대해 평행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외측 에지(68) 및/또는 허리 에지(72)는 필요에 따라 경사지거나 굴곡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궁극적으로, 측부 패널(34)은 대체로 섀시의 허리 영역(90)과 정렬된다.
체결 시스템(80)은 대응하는 제2 체결 구성 요소(84)에 재체결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체결 구성 요소(82)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체결 구성 요소(82)는 탄성 측부 패널(34)에 배치되며 제2 체결 구성 요소(84)는 섀시(32)의 전방 영역(22)에 배치된다. 일 태양에서, 체결 구성 요소(82, 84) 각각의 전방 또는 외측 표면은 다수의 결합 요소를 포함한다. 제1 체결 구성 요소(82)의 결합 요소는 물품(20)을 3차원 구조로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2 체결 구성 요소(84)의 대응 결합 요소와 반복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체결 구성 요소(82, 84)는 접착성 체결구, 점착성 체결구, 기계적 체결구 등과 같은 흡수성 물품에 적합한 임의의 체결가능한 체결구일 수 있다. 특정 태양에서 체결 구성 요소는 성능 향상을 위해 기계적 체결 요소를 포함한다. 적절한 기계적 체결 요소는 후크, 루프, 벌브(bulb), 머시룸(mushroom), 화살촉, 스템상 볼(balls on stems), 암수 결합 구성 요소, 버클, 스냅 등과 같은 상호 체결 형상 재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태양에서, 제1 체결 구성 요소(82)는 후크 체결구를 포함하고 제2 체결 구성 요소(84)는 상보적인 루프 체결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체결 구성 요소(82)는 루프 체결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2 체결 구성 요소(84)는 상보적인 후크 체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태양에서, 체결 구성 요소(82, 84)는 접착성 체결구와 접착제-수용 랜딩 영역 또는 재료 등과 같은 접착성 및 점착성 체결 요소 또는 상호 체결식 유사 표면 체결구일 수 있다. 당업자는 후크 및 루프의 형상, 밀도 및 폴리머 조성이 체결 구성 요소(82, 84) 사이의 바람직한 결합 레벨을 얻기 위해 선택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적절한 체결 시스템은 또한 전술한 2000년 6월 29일자로 에이. 공개된 플레쳐 등의 PCT 국제공개 제WO 00/37009호, 및 2003년 11월 11일자로 올슨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645,190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결 구성 요소(82)는 에지(68)를 따라서 측부 패널(34)에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체결 구성 요소(82)는 탄성적이지 않거나 또는 연장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체결 구성 요소는 측부 패널(34)과 일체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성 요소는 표면상에서 측부 패널(34)에 대해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탄성 측부 패널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한 흡수성 물품(20)은 허리 개구 주위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허리 탄성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 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20)은 전방 허리 탄성 부재(54) 및/또는 후방 허리 탄성 부재(56)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은 특히 습도 표시(indicating) 시스템과 같은 체액 표시 시스템을 흡수성 물품(20)에 합체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20)은 제2 도전성 요소(102)에서 이격되는 제1 도전성 요소(10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전성 요소는 흡수성 물품의 전방 영역(22)으로부터 후방 영역(24)으로 교차없이 연장된다. 도전성 요소(100, 102)는 도전성 실 또는 도전성 포일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일렉트로사이언스 래버러토리즈 인크(Electroscience Laboratories, Inc.)로부터 시판되는 112-S 실버 금속 도전성 페이스트(잉크) 및 2002년 7월 9일자로 진(Zei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417,455호에 기재된 도전성 포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성 요소(100)는 예를 들어 도전성 요소들 사이에 도전성 유체가 배치될 때 폐쇄될 수 있는 개방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2 도전성 요소(102)와 교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요소(100)와 제2 도전성 요소(102)는 섀시 내의 센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센서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사물질과 같은 특정 물질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전성 요소(100, 102)는 흡수성 물품(20)의 전장에 걸쳐서 연장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도전성 요소는 가랑이 영역(26)까지만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체액이 감지되도록 의도된 흡수성 물품 내의 임의의 특정 개소까지 연장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전성 요소(100, 102)는 흡수성 물품(20)에 의해 흡수되는 체액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한 어떠한 적절한 위치에서든 섀시(32)에 합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전성 요소(100, 102)는 일반적으로 외측 커버(40) 내부에 놓인다. 실제로,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요소(100, 102)는 흡수성 구조물(44)과 대면하는 외측 커버(40)의 내표면에 부착되거나 적층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도전성 요소(100, 102)는 흡수 구조물(44) 상에 배치되거나 라이너(42)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전성 요소(100, 102)는 직접 또는 간접 접촉을 통해서 신호 발생 장치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전성 요소(100)는 제1 도전성 패드 부재(104)에 부착될 수 있는 반면, 제2 도전성 요소(102)는 제2 도전성 패드 부재(106)에 연결될 수 있다. 패드 부재(104, 106)는 소비자 또는 제조업자에 의해 섀시에 설치되도록 의도된 신호 발생 장치에 대해 도전성 요소에 의해 형성된 개방 회로 사이에 확실한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패드 부재(104, 106)는 신호 발생 장치와 도전성 리드 또는 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타겟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도전성 패드 부재(104, 106)는 도전성 요소(100, 102)에 대해 비교적 큰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패드 부재(104, 106)는 적어도 1㎠, 또는 적어도 2㎠의 표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3㎠의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각 패드 부재의 표면적은 약 2㎠ 내지 약 4㎠일 수 있다.
흡수성 물품(20) 상의 도전성 패드 부재(104, 106) 위치는 신호 발생 장치를 장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 도3 및 도4에서, 도전성 패드 부재(104, 106)는 물품의 허리 개구를 따라서 전방 영역(22)에 배치된다. 반면에 도2에서는, 도전성 패드 부재(104, 106)는 물품의 허리 개구를 따라서 후방 영역(24)에 배치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흡수성 물품(20)은 각 도전성 요소(100, 102)의 각 단부에 배치되는 도전성 패드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패드 부재는 물품의 측부를 따라서 또는 물품의 가랑이 영역을 향해서 배치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섀시(32)의 복수 층 내에서의 도전성 패드 부재(104, 106)의 위치는 또한 신호 발생 장치를 연결하고자 하는 위치 및 신호 발생 장치와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착 기구의 형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전술했듯이, 패드 부재(104, 106)는 도전성 요소(100, 1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패드 부재(104, 106)는 외측 커버(40)의 적어도 한 층 아래에(신체측을 향해서) 배치된다. 패드 부재(104, 106)를 재료의 적어도 한 층 아래에 배치하는 것은 일부 실시예에서 여러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 부재(104, 106)를 섀시(32) 내에서 재료의 적어도 한 층 아래에 배치하게 되면 패드 부재가 출하 및 보관 중에 보호되며, 특히 패드 부재가 상호 인접하여 배치될 경우 사용 중에 단락 발생이 방지된다. 패드 부재를 재료의 적어도 한 층 아래에 배치하는 것의 다른 이점은 흡수성 물품(20)을 빠른 가공 속도로 쉽게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도전성 패드 부재(104, 106)는 섀시(32)의 외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패드 부재(104, 106)는 필요에 따라 외측 표면 상에 또는 내측 표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목적으로 도5를 참조하면, 도전성 패드 부재(104, 106)에는 신호 발생 장치(110)(도면부호 112, 114로 표시됨)가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신호 발생 장치(110)는 일반적으로 송신기(112)와 수신기(114)를 구비한다. 송신기(112)는 대응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대향 단자를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20) 내에 체액이 존재할 때, 도전성 요소(100, 102)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 회로는 폐쇄되어, 다시 신호 발생 장치(110)를 작동시킨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 송신기(112)는 수신기(114)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며, 그 후 수신기는 다시 사용자에게 흡수성 물품 내에 체액이 존재함을 알린다.
신호 발생 장치(110)는 회로가 폐쇄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청각 신호 또는 시각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청각 신호는 예를 들어 아마도 음조(musical tune)를 방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비프와 같이 간단한 것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 발생 장치(110)가 시각 신호를 방출할 경우, 시각 신호는 몇 가지 광 또는 쌍방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발생 장치(110)의 수신기(114)는 흡수성 물품 내의 회로가 폐쇄될 때 진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신호 발생 장치(110)는 송신기(112)와 수신기(114)를 조합하여 구비한다. 그러나 신호 발생 장치(110)는 흡수성 물품(20)에 부착 유지되는 단일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신호 발생 장치는 흡수성 물품에 장착되어 물품 자체로부터 시각 신호 및/또는 청각 신호를 방출할 수도 있다.
이제, 각 실시예에서 도전성 패드 부재 또는 도전성 요소와 신호 발생 장치 사이의 부착 기구 및 패드 부재의 특정 구조에 대해 도7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신호 발생 장치(110)는 여러가지 다른 방식으로 섀시(40)에 연결될 수 있다. 흡수성 물품(20)은 신호 발생 장치(110)를 흡수 섀시(4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신호 발생 장치 리셉터클(receptacle)(140)을 구비할 수 있다. 신호 발생 장치(110)는 접착제, 점착제, 자석, 후크와 루프, 클립 또는 스냅을 사용하여 섀시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호 발생 장치(110)는 신호 발생 장치(1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켓 내에 포획시킴으로써 또는 신호 발생 장치(110) 주위를 감싸서 이를 적소에 유지시키는 탄성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섀시(14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신호 발생 장치(110)는 제1 단자(116, 116')와 제2 단자(118, 118')를 포함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116, 116')와 제2 단자(118, 118')는 신호 발생 장치(110)의 주면 상에 위치된다. 더 상세하게는, 신호 발생 장치(110)의 주면은 대략적인 사각형 형상이며, 제1 단자(116, 116')는 제1 단자(116)가 사각형의 좌측 상부 사분면에 위치되고 다른 제1 단자(116')은 사각형의 우측 하부 사분면에 위치되도록 서로 대각으로 대향하여 위치된다. 또한, 제2 단자(118, 118')는 제2 단자(118)가 사각형의 우측 상부 사분면에 위치되고 다른 제2 단자(118')은 사 각형의 좌측 하부 사분면에 위치되도록 서로 대각으로 대향하여 위치된다. 또한, 단자(116, 116', 118, 118')는 신호 발생 장치(110)의 에지들에서 유사하게 위치된다.
신호 발생 장치(110)는 한 방향, 두 방향, 세 방향, 네 방향, 다섯 방향, 여섯 방향, 일곱 방향, 여덟 방향 또는 그 이상의 개별 방향으로 물품(20)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 발생 장치(110), 섀시(40) 및 리셉터클(140)(사용되는 경우)의 설계는 제1 단자(116, 116') 및 제2 단자(118, 118')가 한 방향, 두 방향, 세 방향, 네 방향, 다섯 방향, 여섯 방향, 일곱 방향, 여덟 방향 또는 그 이상의 개별 방향으로 제1 도전성 요소(110) 및 제2 도전성 요소(102)에 작동적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신호 발생 장치(110)와 섀시(40) 간의 이러한 호환성으로 인해 신호 발생 장치(110)가 더 빠르고 덜 복잡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저귀 또는 트레이닝 바지를 활동적인 아기에게 착용시킬 때 또는 어두운 밤중에 기저귀를 착용할 때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요소(100)는 리셉터클(140)의 좌측 상부 사분면에 배치되고, 제2 도전성 요소(102)는 리셉터클(140)의 우측 상부 사분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방향(110), 제2 방향(110') 및 제3 방향(110'')으로 도시된 신호 발생 장치(110)가 도7에 도시되며, 제2 방향(110')은 제1 방향(110)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된 것이며, 제3 방향(110'')은 제2 방향(110')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된 것이다.
제1 방향으로 리셉터클(140) 내에 배치된 신호 발생 장치(110)에 있어서, 상 향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116)는 제2 도전성 요소(102)와 접촉하고 제2 단자(118)는 제1 도전성 요소(100)와 접촉한다. 신호 발생 장치(110)를 90°회전시키면, 우향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110')이 되어, 제2 단자(118')는 제2 도전성 요소(102)와 접촉하고, 제1 단자(116)는 제1 도전성 요소(100)와 접촉한다. 신호 발생 장치(110')를 90°더 회전시키면, 하향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제3 방향(110'')이 되어, 제1 단자(116')는 제2 도전성 요소(102)와 접촉하고, 제2 단자(118')는 제1 도전성 요소(100)와 접촉한다. 신호 발생 장치가 좌향 화살표와 함께 제4 방향으로 배향된 것은 도시되지 않았다. 이 실시예는 네 방향으로 물품(20)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신호 발생 장치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단자(116, 116', 118, 118')는 각각의 네 방향으로 제1 및 제2 도전성 요소(100, 102)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도7에 도시된 리셉터클(140)에 연결될 수 있는 신호 발생 장치(110)의 후방에서의 나란한 전방도가 도7A에 도시된다. 도7A는 신호 발생 장치(110)의 주면(X) 및 이에 대향하는 부면(Y)을 도시한다. 제1 표면(X)은 도7의 단자를 포함하는 표면과 유사하다. 또한, 제2 면(Y)은 제1 면(X) 상에서와 유사하게 위치에 배치된 제1 및 제2 단자를 포함한다. 도7A의 표면(Y)은 제1 단자(116'', 116''')와 제2 단자(118'', 118''')를 포함한다. 도7A에 도시된 신호 발생 장치(110)는 여덟 방향, 즉 제1 표면(X) 상의 네 방향(90°회전)과 제2 표면(Y) 상의 네 방향(90°회전)으로 리셉터클(140)에 연결될 수 있다. 신호 발생 장치(110)는 리셉터클(140)에 신호 발생 장치를 연결할 때, 특히 표면(X) 또는 표면(Y)이 외부 커버를 향해 배치될 때에도, 사용자가 신호 발생 장치(140)의 방향에 관여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8은 제1 도전성 요소(100)는 리셉터클(140)의 좌측 두 사분면에 배치되고 제2 도전성 요소(102)는 리셉터클(140)의 우측 두 사분면에 배치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도전성 요소(100)는 리셉터클 내에서 리셉터클의 좌측 에지에 인접하여 사실상 상기 좌측 에지의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도전성 요소(102)는 리셉터클 내에서 리셉터클의 우측 에지에 인접하여 사실상 상기 우측 에지의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110), 제2 방향(110') 및 제3 방향(110'')으로 도시된 신호 발생 장치가 도8에 도시되며, 제2 방향(110')은 제1 방향(110)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것이며, 제3 방향(110'')은 제2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116)와 제2 단자(118)는 신호 발생 장치(110)의 주면 상에 위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 발생 장치(110)의 주면은 대략적인 사각형이며, 제1 단자(116)와 제2 단자(118)는 제1 단자(116)가 사각형의 좌측 상부 사분면에 위치되고 제2 단자(118)가 사각형의 우측 하부 사분면에 위치되도록 서로 대각으로 대향하여 위치된다. 또한, 단자(116, 118)는 신호 발생 장치(110)의 에지들에서 유사하게 위치된다. 단자(116, 118)는 대향 주면(X, Y) 양면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 리셉터클(140) 내에 배치된 신호 발생 장치(110)에 있어서, 상 향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116)는 제2 도전성 요소(102)와 접촉하고 제2 단자(118)는 제1 도전성 요소(100)와 접촉한다. 신호 발생 장치(110)를 90°회전시키면, 우향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110')이 되어, 제1 단자(116)는 제1 도전성 요소(100)와 접촉하고, 제2 단자(118)는 제2 도전성 요소(102)와 접촉한다. 신호 발생 장치(110')를 90°더 회전시키면, 하향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제3 방향(110'')이 되어, 제1 단자(116)는 제1 도전성 요소(100)와 접촉하고 제2 단자(118)는 제2 도전성 요소(102)와 접촉한다. 신호 발생 장치가 좌향 화살표와 함께 제4 방향으로 배향된 것은 도시되지 않았다. 이 실시예는 네 방향으로 물품(20)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신호 발생 장치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단자(116, 118)는 각각의 네 방향으로 제1 및 제2 도전성 요소(100, 102)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도9는 신호 발생 장치 리셉터클(140)과 신호 발생 장치(110)를 도시한다. 리셉터클(140)은 리셉터클(140)의 에지를 따라 위치되는 제1 도전성 요소(100), 제2 도전성 요소(102), 제3 도전성 요소(150) 및 제4 도전성 요소(160)를 포함하며, 이들 요소(100, 102, 150, 160)는 균일하게 이격된다. 신호 발생 장치(110)는 제1 단자(116, 116'), 제2 단자(118, 118'), 제3 단자(142, 142', 142'', 142''') 및 제4 단자(144, 144', 144'', 144''')를 포함한다. 제1 단자(116, 116')와 제2 단자(118, 118')는 도7에 따라 설명된 바와 같이 대체로 신호 발생 장치(110)의 코너에 위치된다. 또한, 제3 단자 및 제4 단자는 각 에지를 따라 제1 단자(116, 116')와 제2 단자(118, 118') 사이에 위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단자, 제2 단자, 제3 단자 및 제4 단자는 각 에지를 따라 대체로 동일하게 이격된다.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에지 상의 제1 위치 및 마지막 위치에 배치되고, 제3 단자 및 제4 단자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 위치된다.
상향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방향의 신호 발생 장치(110)에 있어서, 제1 단자(116')는 제1 도전성 요소(100)와 접촉하고, 제2 단자(118')는 제2 도전성 요소(102)와 접촉한다. 또한, 제3 단자(142)는 제4 도전성 요소(160)와 접촉하고, 제4 단자(144)는 제3 도전성 요소(144)와 접촉한다. 도7을 참조로 상술된 바와 같이 신호 발생 장치를 회전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연결부가 생성될 것이다. 또한, 신호 발생 장치를 연속적으로 90°회전시켜서 생성되는 네 방향 각각으로, 제3 도전성 요소(150)는 제4 단자(144, 144', 144'' 또는 144''')에 접촉할 것이며, 제4 도전성 요소(160)는 제3 단자(142, 142', 142'' 또는 142''')와 접촉할 것이다.
도10은 신호 발생 장치 리셉터클(140)과 신호 발생 장치(10)의 측단면도이다. 리셉터클(140)은 제1 도전성 요소(100) 및 제2 도전성 요소(102)와 제2 재료(158)에 결합된 제1 재료(156)를 포함한다. 제1 재료(156)는 외부 커버(40)의 제1 층일 수 있으며, 제2 재료는 외부 커버(40)의 제2 층일 수 있다. 다르게는, 제1 재료(156)는 외부 커버(40)일 수 있으며, 제2 재료는 외부 커버(40)에 결합한 재료의 추가편일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요소(100)는 제1 재료(156)에 연결되고, 제2 도전성 요소는 제2 재료(158)에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도전성 요소(100) 및 제2 도전성 요소(102)는 리셉터클(140)의 내벽 상에서 그리고 적어도 리셉터클(140)의 중심부에서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다.
신호 발생 장치(110)는 제1 단자(116) 및 제2 단자(118)를 포함한다. 제1 단자(116)는 신호 발생 장치(110)의 제1 표면(X)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단자(118)는 신호 발생 장치(110)의 제2 표면(Y)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단자(116)와 제2 단자(118)는 신호 발생 장치(110)가 리셉터클(140) 내에 위치될 때 제1 단자(100) 및 제2 단자(102)와 접촉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제1 재료(156)와 대면하는 제1 표면(X)에 있어서, 제1 단자(116)는 제1 도전성 요소(100)에 연결되고, 제2 단자(118)는 제2 도전성 요소(102)에 연결된다. 신호 발생 장치(110)는 연결성을 유지하면서 두 단자들 사이에 위치된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사각형 신호 발생 장치(110)는 이러한 연결성과 함께 제1 방향, 제2 방향, 제3 방향 및 제4 방향을 가질 것이다.
제1 재료(156)와 대면하는 제2 표면(Y)에 있어서, 제1 단자(116)는 제2 도전성 요소(102)에 연결되고, 제2 단자(118)는 제1 도전성 요소(100)에 연결된다. 신호 발생 장치(110)는 연결성을 유지하면서 두 단자들 사이에 위치된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사각형 신호 발생 장치(110)는 이러한 연결성과 함께 제5 방향, 제6 방향, 제7 방향 및 제8 방향을 가질 것이다.
신호 발생 장치(110)와 리셉터클(140)의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상부 에지에 대한 후방 또는 임의의 회전 위치로부터 신호 발생 장치(110)의 전방을 결정할 필요가 없다. 신호 발생 장치(110)는 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원형 또는 사용자가 원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도11은 개방 에지(166)를 갖는 포켓을 형성하는 신호 발생 장치 리셉터클(140)을 도시한다. 신호 발생 장치는 리셉터클(140)에 진입하기 위해 개방 에지(166)를 통과할 수 있다. 포켓을 형성하는 리셉터클(140)은 포켓을 생성하기 위해 자신에게 절첩된 단일 피스의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포켓을 규정하는 리셉터클(140)은 포켓을 생성하도록 함께 접합되는 두 피스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140)의 개방 에지(166)는 신호 발생 장치(110)를 리셉터클(140) 내에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탄성화될 수 있다. 개방 에지(166)는 허리 탄성 부재 구성 요소(54 또는 56)에 의해 탄성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방 에지(166)는 포켓을 형성하는 재료들 중 하나에 의해 신장될 수도 있다. 개방 에지(166)는 폭(168)을 가질 수 있으며, 포켓은 개방 에지에 평행한 최대 폭(170)을 가질 수 있다. 신장 이전의 개방 에지 폭(168)은 최대 폭(170)보다 작을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신장 이전의 개방 에지 폭(168)은 최대 폭(170)의 90% 미만, 또는 75%일 수 있다. 최대 폭(170)은 특정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신호 발생 장치보다 약간 작거나 약간 크다. 이 특징은 신호 발생 장치(110)를 사용 중에 포켓 내로 밀어넣음으로써 신호 발생 장치(110)가 밖으로 떨어져 비작동 상태로 될 우려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흡수성 물품(2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성 요소(100) 및 제2 도전성 요소(102)에 부가하여, 흡수성 물품은 제3 도전성 요소(150)와 제4 도전성 요소(16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요소(100)는 흡수성 물품의 전장에 걸쳐서 연장된다. 제2 도전성 요소(102)는 그러나 섀시의 전방 영역에 주로 위치한다. 제3 도전성 요소(150)는 전방 영역을 통과하며, 섀시의 가랑이 영역에 주로 위치한다.
마지막으로, 제4 도전성 요소(160)는 전방 영역과 가랑이 영역을 통해서 연장되며, 이후 섀시의 후방 영역에 주로 위치한다.
도전성 요소(100, 102)와 마찬가지로, 제3 도전성 요소(150)는 제3 도전성 패드 부재(15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4 도전성 요소(160)는 제4 도전성 패드 부재(162)에 연결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체액의 존재를 나타낼 뿐 아니라 체액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추가적인 도전성 요소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체액이 전방 영역에 위치하면, 제1 도전성 요소(100)와 제2 도전성 요소(102) 사이의 회로가 폐쇄된다. 반면에 체액이 가랑이 영역에 수용되면, 제3 도전성 요소(150)와 제1 도전성 요소(100) 사이에 형성된 회로가 폐쇄된다. 마찬가지로, 체액이 후방 영역에 위치하면, 제4 도전성 요소(160)와 제1 도전성 요소(100) 사이의 회로가 폐쇄된다.
도6에 도시된 실시예는 네 개의 도전성 패드 부재 각각에 대한 네 개의 대응 단자를 구비하는 신호 발생 장치와 함께 배치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따라서, 신호 발생 장치는 체액이 존재할 때를 나타낼 뿐 아니라 어느 회로가 폐쇄되는지를 나타냄으로써 단지 체액이 존재하는 것뿐 아니라 체액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 발생 장치 리셉터클(140)을 둘러싸는 흡수성 물품(2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잔여 재료는 특정 용도 및 제조되는 특정 제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외측 커버(40)는 예를 들어 통기성일 수 있거나 및/또는 액체 비투과성일 수 있다. 외측 커버(40)는 탄성중합 재료 또는 폴리머 재료에 의해 제공되는 단일 층, 복수 층, 적층체, 스펀본드 직물(spunbond fabric), 필름, 멜트블로운(meltblown) 직물, 탄성 그물망, 미세다공성 웨브, 접합된 카드(bonded card) 웨브 또는 발포체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커버(40)는 예를 들면 액체 비투과성 재료의 단일 층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층이 액체 비투과성인 다층 적층체 구조물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외측 커버는 액체 투과성일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흡수성 물품은 내부 액체 차단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측 커버(40)는 적층 접착제, 초음파 접합, 열 접합 등에 의해 적절하게 접합되는 액체 투과성 외층과 액체 비투과성 내층을 구비할 수 있다. 비드, 스프레이, 평행 와류 등으로서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도포될 수 있는 적절한 적층 접착제를 미국 위스콘신주 와우와토사(Wauwatosa, Wisconsin, U.S.A.) 소재의 보스틱 파인들리 어드헤시브스 인크.(Bostik Findley Adhesives, Inc.)로부터 또는 미국 뉴저지주 브릿지워터(Bridgewater, New Jersey U.S.A.) 소재의 내쇼널 스타치 앤드 케미컬 컴패니(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mpany)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외층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으며, 대체로 천과 같은 질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의 일 예가 20 gsm(제곱 미터당 그램수)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이다. 외층은 또한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42)를 형성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외측 커버(40)의 내층은 액체 및 기체 양자에 대해 비투과성일 수 있거나, 또는 액체 비투과성 및 기체 비투과성일 수 있다. 상기 내층은 플라스틱 박막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다른 가요성 액체 비투과성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내층 또는 단일층인 경우 액체 비투과성 외측 커버(40)는 폐기물이 베드 시트 및 옷과 같은 물품뿐 아니라 착용자 및 간병인/보모가 젖는 것을 방지한다. 액체 비투과성 내층 또는 단일층의 액체 비투과성 외측 커버(40)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액체 비투과성 필름은 미국 일리노이즈주 샤움버그(Schaumburg, Illinois, U.S.A.) 소재의 플라이언트 코포레이션(Pliant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한 0.02mm 폴리에틸렌 필름이다.
신체측 라이너(42)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느낌이면서 착용자의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 것이 적합하다. 신체측 라이너(42)는 또한 액상 신체 삼출물이 라이너의 두께를 통해서 흡수성 구조물(44)로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히 액체 투과성이다. 적합한 신체측 라이너(42)는 다공성 발포체, 망상 발포체, 개구형 플라스틱 필름, 직포 및 부직포 또는 임의의 이러한 재료의 조합과 같은 웨브 재료들 중의 광범위한 선택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체측 라이너(42)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그 조합체로 구성되는 멜트블로운 웨브, 스펀본딩형 웨브, 또는 접합-카드형 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42)는 실질적으로 소수성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수성 재료는 경우에 따라 계면활성제로 처리될 수 있거나 아니면 소정 레벨의 습윤성 및 친수성을 부여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흡수 구조물(44)은 외측 커버(40)와 신체측 라이너(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수 구조물(44)은 대체로 압축성이고 정합식이며 착용자의 피부를 자극하지 않으며 액체 및 특정 신체 폐기물을 흡수 보유할 수 있는 구성 요소들의 임의의 구조물 또는 조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 구조물(44)은 셀룰로스 섬유(예를 들면, 목재 펄프 섬유), 기타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직조 또는 부직 시트, 스크림 망(scrim netting) 또는 기타 안정화 구조물, 고흡수성 재료, 결합제 재료, 계면활성제, 선택된 소수성 재료, 안료, 로션, 악취방지제 등뿐 아니라 그 조합체로 이루어진 흡수성 웨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태양에서, 흡수성 웨브 재료는 셀룰로스 면모(綿毛: fluff)와 고흡수성 히드로겔-형성 입자의 매트릭스이다. 셀룰로스 면모는 목재 펄프 면모의 혼합체(blend)를 포함할 수 있다. 면모의 바람직한 한 형태는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그린빌(Greenville, South Carolina, USA) 소재의 보워터(Bowater)로부터 입수가능한 상표명 CR 1654로 식별되며, 이는 남부의 연질 목재 섬유를 주로 함유하는 표백된 고흡수성 황산 목재 펄프이다. 흡수성 재료는 다양한 종래의 방법과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웨브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웨브는 건식 성형(dry forming) 기술, 에어 포밍(air forming) 기술, 습식 성형 기술, 발포 성형 기술 등과 이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은 자체로 Z방향으로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층은 예를 들어 저용량 흡수 재료층을 라이너(42) 근처에 배치하고 고용량 흡수 재료층을 외측 커버층(40) 근처에 배치함으로써 흡수 용량의 차이를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흡수성 단일층 구조물의 개별 부분들이 고용량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조물의 다른 개별 부분들은 저용량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고흡수성 재료는 흡수성 웨브 내에서 웨브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약 0 내지 약 90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웨브는 약 0.10 내지 약 0.60 g/㎤ 범위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고흡수성 재료는 공지되어 있으며, 천연, 합성 및 변성된 천연 폴리머 및 재료에서 선택될 수 있다. 고흡수성 재료는 실리카겔과 같은 무기 재료일 수 있거나, 또는 가교결합된 폴리머와 같은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통상, 고흡수성 재료는 그 중량의 적어도 약 10배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그 중량의 약 25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다. 적절한 고흡수성 재료는 다양한 공급업자로부터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구싸 수퍼옵서버스(DeGussa Superabsorbers)로부터 SXM 9394 및 Favor 9543 고흡수제를 구입할 수 있다.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절단된 후, 흡수성 웨브 재료는 흡수 구조물(44)의 일체성 및 형상 유지를 도와주는 적절한 티슈 또는 멜트블로운 웨브 또는 유사 랩 시트(wrap sheet)에 의해 래핑되거나 둘러싸일 수 있다.
흡수성 웨브 재료는 또한 코폼(coform) 재료일 수 있다. "코폼 재료"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섬유와 제2 비열가소성 재료의 혼합물 또는 안정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지칭한다. 일 예로서, 코폼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다이 헤드가 활대(chute) 근처에 배치되고 그 형성 중에 다른 재료가 상기 활대를 통해서 웨브에 첨가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다 른 재료에는 면, 레이온, 재생지, 펄프 면모와 같은 목재 또는 비목재 펄프와 같은 섬유상 유기 재료뿐 아니라 고흡수성 입자, 무기 흡수성 재료, 처리된 고분자 단섬유(staple fiber) 등이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코폼 재료의 멜트-스펀(melt-spun) 구성 요소로서는 각종 합성 폴리머 중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태양에서는 열가소성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열가소체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일 태양에서, 열가소성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이다. 이러한 코폼 재료의 일부 예가 앤더슨(Ander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100,324호, 에버하트(everhart)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5,284,703호 및 조저(Georger) 등에게 허여된 제5,350,62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문서는 본 명세서에 모순되지 않는 정도로 원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변형예 및 수정예는 청구범위에 개시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의 태양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호 대체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전술한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알 것이다.

Claims (16)

  1. 내표면과 외표면을 갖는 외측 커버를 포함하고,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을 포함하고,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은 함께 허리 영역을 형성하는 섀시;
    섀시에 내장되고, 적어도 허리 영역에 배치되고,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도전성 요소 및 제2 도전성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제1 도전성 요소 및 제2 도전성 요소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신호 발생 장치
    를 포함하고,
    신호 발생 장치는 적어도 제1, 제2 및 제3 방향으로 섀시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방향이고, 제3 방향은 제2 방향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방향이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제1, 제2 및 제3 방향 각각으로 제1 도전성 요소 및 제2 도전성 요소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도전성 패드 부재와 제2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성 패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패드 부재들은 섀시의 재료의 적어도 한 층 아래에 위치되고 각각 단자들에 도전성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의류.
  3. 내표면과 외표면을 갖는 외측 커버를 포함하고,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을 포함하고,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은 함께 허리 영역을 형성하는 섀시;
    섀시에 내장되고, 적어도 허리 영역에 배치되고,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도전성 요소 및 제2 도전성 요소; 및
    다른 평면상에 존재하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포함하며, 제1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제2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제1 도전성 요소 및 제2 도전성 요소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신호 발생 장치
    를 포함하고,
    신호 발생 장치는 적어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의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방향이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제1 도전성 요소 및 제2 도전성 요소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의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도전성 패드 부재 및 제2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성 패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패드 부재 각각은 도전성 요소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의류.
  5. 제3항에 있어서, 신호 발생 장치는 제1 표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와 제2 표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를 더 포함하며,
    제1 표면상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제1 방향으로 제1 도전성 요소 및 제2 도전성 요소에 연결되고, 제2 표면상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제2 방향으로 제1 도전성 요소 및 제2 도전성 요소에 연결되는 의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외측 커버의 내표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흡수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의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신호 발생 장치는 회로가 완성될 때 청각 신호, 시각 신호를 생성하거나 진동하는 의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신호 발생 장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고, 송신기는 신호 발생 장치가 작동될 때 청각 신호 또는 시각 신호를 생성하는 수신기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의류.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섀시의 후방 영역으로 연장하는 제3 도전성 요소와, 섀시의 전방 영역으로 연장하는 제4 도전성 요소를 더 포함하고,
    신호 발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4 단자를 더 포함하고, 제3 단자 및 제4 단자는 제3 도전성 요소 및 제4 도전성 요소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물질이 섀시의 후방 영역에 존재할 때, 제1 도전성 요소 및 제3 도전성 요소 는 폐쇄 회로를 형성하고,
    물질이 전방 영역에 존재할 때, 제4 도전성 요소 및 제1 도전성 요소가 폐쇄 회로를 형성하는 의류.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요소 및 제2 도전성 요소는 허리 영역으로부터 가랑이 영역까지 교차 없이 연장되는 의류.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요소 및 제2 도전성 요소는 개방 회로를 형성하고, 제1 도전성 요소와 제2 도전성 요소 사이에 체액이 존재할 때, 체액은 신호 발생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회로를 폐쇄하는 의류.
  12. 제11항에 있어서, 개방 에지 폭은 최대 폭의 90% 미만인 의류.
  1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섀시는 신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신호 발생 장치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개방 에지를 갖는 포켓을 형성하며, 개방 에지는 탄성화되는 의류.
  14. 제13항에 있어서, 개방 에지는 의류의 허리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화되는 의류.
  1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섀시는 신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신호 발생 장치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개방 에지 폭을 갖는 개방 에지를 갖는 포켓을 형성하며, 포켓은 개방 에지에 평행한 최대 폭을 가지며, 개방 에지 폭은 상기 최대 폭보다 작은 의류.
  1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신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신호 발생 장치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제1 재료, 및 제1 재료에 결합되는 제2 재료를 포함하며, 제1 도전성 요소는 제1 재료에 연결되고, 제2 도전성 요소는 제2 재료에 연결되는 의류.
KR1020087014253A 2005-12-15 2006-11-30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KR101296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03,222 2005-12-15
US11/303,222 US8304598B2 (en) 2005-12-15 2005-12-15 Garments with easy-to-use signaling device
PCT/US2006/046071 WO2007070266A1 (en) 2005-12-15 2006-11-30 Garments with easy-to-use signa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956A KR20080084956A (ko) 2008-09-22
KR101296026B1 true KR101296026B1 (ko) 2013-08-12

Family

ID=3787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253A KR101296026B1 (ko) 2005-12-15 2006-11-30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04598B2 (ko)
EP (1) EP1968514B1 (ko)
JP (1) JP4912412B2 (ko)
KR (1) KR101296026B1 (ko)
CN (1) CN101325937B (ko)
AU (1) AU2006324407B2 (ko)
BR (1) BRPI0619862A2 (ko)
RU (1) RU2423960C2 (ko)
WO (1) WO200707026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318B1 (ko) * 2018-01-08 2018-10-26 (주)크레이더스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KR101997672B1 (ko) * 2018-07-02 2019-07-09 (주)크레이더스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KR20190103705A (ko) * 2018-02-28 2019-09-05 (주)크레이더스 단말부가 구비된 흡수 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7529B2 (en) 2004-11-03 2011-07-12 Fred Bergman Healthcare Pty Ltd.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nd diaper
US7595734B2 (en) * 2006-04-26 2009-09-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monitoring systems with power management
US7489252B2 (en) * 2006-04-26 2009-02-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monitoring systems with status notification system
US8299317B2 (en) * 2007-03-29 2012-10-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external access to internal conductors
US20090062756A1 (en) * 2007-08-31 2009-03-05 Andrew Mark Long Signaling Device For Disposable Products
US7760101B2 (en) * 2008-06-20 2010-07-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reducing sensor corrosion in absorbent articles
US8274393B2 (en) * 2008-12-31 2012-09-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mote detection systems for absorbent articles
GB201022028D0 (en) * 2010-12-23 2011-02-02 Sca Hygiene Prod Ab Tool for analysing liquid discharge data in an absorbent article, an absorbent article adapted for liquid dicharge data collection and a control unit
US9907707B2 (en) 2011-06-03 2018-03-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systems comprising auxiliary articles
GB2578841B (en) 2013-08-08 2020-09-30 Procter & Gamble Sensor systems for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sensor gates
ES2747261T3 (es) 2014-12-11 2020-03-10 Essity Hygiene & Health Ab Sensores de impedancia para detectar y supervisar humedad en artículos absorbentes
US10285871B2 (en) 2016-03-03 2019-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sensor
US10722405B2 (en) * 2016-10-13 2020-07-28 Verily Life Sciences Llc Smart diaper for detecting and differentiating feces and urine
JP2020524805A (ja) * 2017-06-05 2020-08-20 クレイダー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端末部を有する吸収用品
WO2019120429A1 (en) 2017-12-22 2019-06-27 Coloplast A/S Data collection schemes for an ostomy appliance and related methods
WO2019120425A1 (en) 2017-12-22 2019-06-27 Coloplast A/S Ostomy appliance system, monitor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an ostomy appliance
US10799385B2 (en) 2017-12-22 2020-10-13 Coloplast A/S Ostomy appliance with layered base plate
US11986418B2 (en) 2017-12-22 2024-05-21 Coloplast A/S Medical system and monitor device with angular leakage detection
CN111447897B (zh) 2017-12-22 2022-07-29 科洛普拉斯特公司 具有角形泄漏检测的造口术器具
US11590015B2 (en) 2017-12-22 2023-02-28 Coloplast A/S Sensor assembly part and a base plate for a medical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nsor assembly part and a base plate
US10500084B2 (en) 2017-12-22 2019-12-10 Coloplast A/S Accessory devices of an ostomy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communicating leakage state
AU2018391316B2 (en) 2017-12-22 2024-05-02 Coloplast A/S Ostomy appliance with selective sensor points and related methods
US11865029B2 (en) 2017-12-22 2024-01-09 Coloplast A/S Monitor device of a medical system having a connector for coupling to both a base plate and an accessory device
US10575390B2 (en) 2018-05-04 2020-02-25 Verily Life Sciences Llc Color sensing using pulsed light
EP3787583A1 (en) 2018-05-04 2021-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devic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the basic needs of an infant
US11051996B2 (en) 2018-08-27 2021-07-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devic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the basic needs of an infant
US11612512B2 (en) 2019-01-31 2023-03-28 Coloplast A/S Moisture detecting base plate for an ostomy appliance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moisture propagation in a base plate and/or a sensor assembly part
US11607143B2 (en) 2019-04-12 2023-03-21 Verily Life Sciences Llc Sen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through an art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8023A (en) 1987-03-12 1988-08-30 Xie Alex J Diaper wetness signalling system
WO1996020681A1 (en) 1995-01-03 1996-07-11 Gerstenzang, William, C. Moisture detecting liner for a diaper and a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US20030011479A1 (en) 2001-07-13 2003-01-16 Yves Bluteau Sensor device and an analyzing device specifically adapted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diapers for incontinent patients detecting the presence of urine or fecal matter, and other physiological or biochemical data emanating from the patient
WO2006118913A1 (en) 2005-04-29 2006-11-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nection mechanisms in absorbent articles for body fluid signal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2685A (en) * 1970-04-29 1974-05-08 Nat Res Dev Incontinence measurement
US3864676A (en) * 1973-09-10 1975-02-04 Helene Macias Moisture detector
US4100324A (en) * 1974-03-26 1978-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171950A (en) * 1977-05-10 1979-10-23 Allis-Chalmers Corporation Apparatus for re-aiming a coal burner pipe in a rotary kiln
US4106001A (en) * 1977-05-12 1978-08-08 Kurt Mahoney Moisture detector
US4205672A (en) * 1977-11-28 1980-06-03 Karel Dvorak Conductivity sensing device for diapers
US4191950A (en) 1978-02-09 1980-03-04 Levin Anne F Anti-bed-wetting device
US4356818A (en) * 1979-12-03 1982-11-02 Helene Macias Diaper with moisture detecting apparatus
US4539559A (en) * 1982-03-29 1985-09-03 Hugh Kelly Portable, disposable warning device for detecting urine-wet undergarments
NL8203901A (nl) 1982-10-07 1984-05-01 Piet Bergveld Inrichting tot het meten van de aanwezigheid van geleidende vloeistoffen, gekenmerkt door het toepassen van minstens twee elektrisch geleidende en vochtdoorlatende elektroden, aangebracht op een vocht absorberende laag.
US4653491A (en) * 1984-06-20 1987-03-31 Nippon Kodoshi Corporation Water content sensing and informing system for a disposable diaper
CA1341430C (en) * 1984-07-02 2003-06-03 Kenneth Maynard Enloe Diapers with elasticized side pockets
JPH0330099Y2 (ko) * 1985-09-26 1991-06-26
US4798603A (en) * 1987-10-16 1989-01-17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hydrophobic transport layer
US4940464A (en) * 1987-12-16 1990-07-10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incontinence garment or training pant
US5176672A (en) * 1990-11-13 1993-01-05 Kimberly-Clark Corporation Pocket-like diaper or absorbent article
FR2669217A1 (fr) 1990-11-26 1992-05-22 Tekung Lee Couche jetable comportant une alarme de detection de l'humidite.
CA2048905C (en) * 1990-12-21 1998-08-11 Cherie H. Everhart High pulp content nonwoven composite fabric
ZA92308B (en) * 1991-09-11 1992-10-28 Kimberly Clark Co Thin absorbent article having rapid uptake of liquid
US5459452A (en) * 1992-03-30 1995-10-17 Deponte; Dominic A. Wet bed and patient wander alarm system with snap-on and magnet transmitter assembly
US5838240A (en) * 1992-05-29 1998-11-17 Johnson Research & Development Company, Inc. Wet diaper detector
US5266928A (en) * 1992-05-29 1993-11-30 Johnson Lonnie G Wet diaper detector
US5790036A (en) * 1992-07-22 1998-08-04 Health Sense International, Inc. Sensor material for use in detec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fluids
ATE199604T1 (de) * 1992-07-22 2001-03-15 Health Sense Int Inc System zur erfassung elektrisch leitender flüssigkeiten
US5350624A (en) * 1992-10-05 1994-09-27 Kimberly-Clark Corporation Abrasion resistant fibrous nonwoven composite structure
US5392032A (en) * 1993-11-23 1995-02-21 Little Acorn Ventures Apparatus for sensing wet diaper including circuit breaker
US5486166A (en) * 1994-03-04 1996-01-23 Kimberly-Clark Corporation Fibrous nonwoven web surge layer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and the like
DE69510707T2 (de) * 1994-03-04 1999-11-04 Kimberly Clark Co Vliesstoff mit verbesserten Flüssigkeits-Strömungs-Eigenschaften für absorbierende Artikel der persönlichen Pflege und dergleichen
US5808554A (en) * 1995-01-03 1998-09-15 Shuminov; Asher Moisture detecting liner for a diaper and a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US5959535A (en) * 1995-12-20 1999-09-28 Remsburg; Ralph Electrogalvanic-powered diaper wetness sensor
US5766389A (en) * 1995-12-29 1998-06-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gistered graphic and process for making
US6200250B1 (en) * 1996-05-07 2001-03-13 Knox Security Engineering Corporation Diapers with moisture detection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m
US5760694A (en) * 1996-05-07 1998-06-02 Knox Security Engineering Corporation Moisture detecting devices such as for diapers and diapers having such devices
CN1083331C (zh) 1996-05-07 2002-04-24 科诺克斯安全工程公司 尿布及其制造方法以及制造该尿布的装置
US5845644A (en) * 1996-08-26 1998-12-08 Hughes; Charles B. Bladder and bowel training system
WO1998012997A1 (en) 1996-09-25 1998-04-02 Oppenhejm & Jansson Aps A transducer pad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enuresis nocturna, sheets comprising the transducer pad, methods of producing the transducer pad and the sheets, and use thereof
US5820973A (en) * 1996-11-22 1998-10-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eterogeneous surge material for absorbent articles
JPH10151154A (ja) 1996-11-25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濡れ検知センサー付き使い捨てオムツ
US6075178A (en) * 1997-09-29 2000-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wetness indicator
US5993433A (en) * 1997-10-20 1999-11-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enhanced elastic design for improved aesthetics and containment
US7772455B1 (en) * 1997-11-14 2010-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rticle providing improved management of bodily exudates
JP3242358B2 (ja) * 1997-12-22 2001-12-25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おむつ濡れ感知器
ES2135354B1 (es) 1998-04-06 2000-05-16 Vittorio Bonacini Mejoras introducidas en pañales desechables.
US6097297A (en) * 1998-05-28 2000-08-01 Fard; Safieh Bahramian Wetness awareness training device
US6246330B1 (en) * 1998-05-29 2001-06-12 Wyn Y. Nielsen Elimination-absorber monitoring system
US6399853B1 (en) * 1998-06-29 2002-06-04 The Procto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rticle having fecal component sensor
US6248097B1 (en) * 1998-08-06 2001-06-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more conformable elastics
CA2255414A1 (en) 1998-12-09 2000-06-09 Wu, Ber-Lin A urine detecting and signalling device for use in a diaper
US6645190B1 (en) * 1999-11-22 2003-1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irritating refastenable seams
US6761711B1 (en) 1998-12-18 2004-07-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CA2296953A1 (en) * 1999-01-28 2000-07-28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mateable in a plurality of orientations
SE513206C2 (sv) * 1999-03-12 2000-07-31 Ber Lin Wu Urindetekterande och signalerande anordning för användning i en blöja
DE19914907C1 (de) * 1999-04-01 2000-11-02 Bosch Gmbh Robert Leiterfolie
NL1011837C2 (nl) 1999-04-20 2000-10-23 Nedap Nv Vochtsignaleringssysteem voor luiers.
US6501002B1 (en) * 1999-06-29 2002-12-31 The Proctor & Gamble Company Disposable surface wipe article having a waste contamination sensor
US6603403B2 (en) * 2000-12-12 2003-08-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mote, wetness signaling system
US6583722B2 (en) * 2000-12-12 2003-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signaling device
US20020135489A1 (en) * 2001-03-20 2002-09-26 Chin-Chen Chen Automatic diaper wetness warning device
WO2002101679A1 (en) 2001-06-11 2002-12-19 Nielsen Wyn Y Elimination-absorber monitoring system
US6559772B2 (en) * 2001-07-24 2003-05-06 Farnaz Zand Moisture sensing apparatus
US6580013B1 (en) * 2002-01-10 2003-06-17 Gregorio M. Belloso Inexpensive diaper wetness monitoring system
JP3717068B2 (ja) * 2002-08-23 2005-11-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体検知センサおよび液体検知装置
EP1398014A2 (en) 2002-08-27 2004-03-17 Chien-Tung Huang Diaper having an electronic wetness indicator syste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7174774B2 (en) * 2002-08-30 2007-02-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of detecting pooling of fluid in disposable or non-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7053781B1 (en) * 2003-05-19 2006-05-30 Glen Haire Apparatus for incontinence detection and notification
JP4037807B2 (ja) * 2003-08-07 2008-01-23 クラレメディカル株式会社 濡れ検出可能なおむつシステム
US7834234B2 (en) * 2005-04-07 2010-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wetness event counter
US7394391B2 (en) * 2005-04-29 2008-07-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nection mechanisms in absorbent articles for body fluid signaling devices
US7915476B2 (en) * 2005-08-31 2011-03-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or interactive toilet training
US20070142797A1 (en) * 2005-12-15 2007-06-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arments with easy-to-use signal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8023A (en) 1987-03-12 1988-08-30 Xie Alex J Diaper wetness signalling system
WO1996020681A1 (en) 1995-01-03 1996-07-11 Gerstenzang, William, C. Moisture detecting liner for a diaper and a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US20030011479A1 (en) 2001-07-13 2003-01-16 Yves Bluteau Sensor device and an analyzing device specifically adapted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diapers for incontinent patients detecting the presence of urine or fecal matter, and other physiological or biochemical data emanating from the patient
WO2006118913A1 (en) 2005-04-29 2006-11-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nection mechanisms in absorbent articles for body fluid signaling devi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318B1 (ko) * 2018-01-08 2018-10-26 (주)크레이더스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KR20190103705A (ko) * 2018-02-28 2019-09-05 (주)크레이더스 단말부가 구비된 흡수 용품
KR102121920B1 (ko) 2018-02-28 2020-06-11 (주)크레이더스 단말부가 구비된 흡수 용품
KR101997672B1 (ko) * 2018-07-02 2019-07-09 (주)크레이더스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68514A1 (en) 2008-09-17
RU2423960C2 (ru) 2011-07-20
CN101325937A (zh) 2008-12-17
US8304598B2 (en) 2012-11-06
JP2009519751A (ja) 2009-05-21
KR20080084956A (ko) 2008-09-22
WO2007070266A1 (en) 2007-06-21
BRPI0619862A2 (pt) 2011-10-25
AU2006324407B2 (en) 2012-08-02
US20070142796A1 (en) 2007-06-21
RU2008128299A (ru) 2010-01-20
JP4912412B2 (ja) 2012-04-11
AU2006324407A1 (en) 2007-06-21
CN101325937B (zh) 2012-02-22
EP1968514B1 (en)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026B1 (ko)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KR101295963B1 (ko) 사용하기 쉬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의류
US7394391B2 (en) Connection mechanisms in absorbent articles for body fluid signaling devices
US7477156B2 (en) Connection mechanisms in absorbent articles for body fluid signaling devices
US9138356B2 (en) Wetness indicator with hydrophanous element for an absorbent article
EP2091488A1 (en)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a body fluid signaling device
AU2007245335B2 (en) Absorbent article with integrated the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