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183A -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183A
KR20160022183A KR1020140107999A KR20140107999A KR20160022183A KR 20160022183 A KR20160022183 A KR 20160022183A KR 1020140107999 A KR1020140107999 A KR 1020140107999A KR 20140107999 A KR20140107999 A KR 20140107999A KR 20160022183 A KR20160022183 A KR 20160022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edge
sensing
conductive material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850B1 (ko
Inventor
성유지
임창용
정준엽
천예슬
Original Assignee
성유지
천예슬
임창용
정준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유지, 천예슬, 임창용, 정준엽 filed Critical 성유지
Priority to KR1020140107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8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76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with various devices or method
    • A61F2013/8479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with various devices or method including electric or magnetic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체액 또는 배설물을 수용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체액 또는 배설물이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 체액 또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 여부를 무선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Real-time leakage detection device for absorbent article, and real-time leakage detection method for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체액 또는 배설물을 수용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체액 또는 배설물이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넘어 외부로 흐르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 체액 또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 여부를 무선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저귀, 실금용품, 여성용 위생용품 등의 흡수용품은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체액 또는 배설물을 흡수하여 밖으로 새지 아니하게 만든 것을 말한다.
상기 흡수용품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체에 직접 접촉되는 다공성의 액체 투과성 재질의 상면시트(11), 상기 상면시트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상면시트를 통과한 체액 또는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부재(12), 상기 흡수부재(12)의 저면에 위치하여 흡수된 체액 또는 배설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시트(13)로 구성된다.
상기 상면시트(11), 흡수부재(12), 배면시트(13)가 적층된 구조의 흡수용품을 착용하여 사용하면, 체액 또는 배설물이 상기 상면 시트를 거쳐 그 저면으로 적층된 흡수부재로 흡수되며 상기 배면 시트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흡수용품은 주로 평편한 형태로 속옷에 착용되기 때문에 배출량이 많은 경우 체액 또는 배설물이 흡수부재에 흡수되지 못하고 가장자리를 넘어 외부로 흐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취침시나 신체활동이 많은 경우에 체액 또는 배설물이 외부로 누설되어 이불이나 옷에 묻을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는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시로 옷이나 흡수용품을 체크하여야 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이 컸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액 또는 배설물이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넘어 외부로 흐르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함으로써, 흡수용품의 적절한 교체시기를 알 수 있으며 체액 또는 배설물이 이불이나 옷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액 또는 배설물을 수용하는 흡수용품(10)에 있어서, 상기 체액 또는 배설물이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흡수용품의 누설 감지장치로서,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 체액 또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감지부(100); 및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 여부를 무선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200);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 체액 또는 배설물과의 접촉에 의해 저항치가 가변하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전도성 물질이 상기 무선송신부(2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무선송신부(200)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을 사용시마다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도성 물질은 도선(110) 또는 전도성 섬유(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선(110) 또는 전도성 섬유(120)가 접착수단에 의하여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선(11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체액 또는 배설물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도선이 통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선(110) 또는 전도성 섬유(120)가 흡수용품을 구성하는 상면시트(11)와 흡수부재(12)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상면시트(11) 상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선(110)이 상면시트(11) 상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경우, 상기 도선(110)이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선(110) 상부에 보호커버(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보호커버(130)는 접착식 테이프 또는 샘 방지용 날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섬유(120)는 탄소 섬유, 금속 섬유, 전도성 중합체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송신부(200)가 상기 흡수용품 가장자리의 일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수용품 가장자리의 전방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송신부(200)는,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집하여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부(210); 상기 센서부(210)에서 검출된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 여부에 대한 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300)로 송출하는 송신부(220); 및 각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부(220)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는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다양한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방식에 의하여 휴대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230)는 케이블(cable) 배터리 또는 커브드(curved)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플렉서블(flexible)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선송신부(200)의 외장커버는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감지부(100) 또는 무선송신부(200)는, 혈액과의 접촉은 감지하고 무선신호로 변환 송출하되, 수분 또는 땀과의 접촉은 감지하지 않거나 무선신호로 변환 송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액 또는 배설물이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신호로부터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여부를 판단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알림 메세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도성 물질의 저항치가 체액 또는 배성물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가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도성 물질의 저항치의 가변정도를 기 설정치와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물질의 저항치의 가변정도를 기 설정치와 비교함에 있어서, 혈액과의 접촉에 의한 가변정도는 검출하되, 수분 또는 땀과의 접촉에 의한 가변정도는 검출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단계에서, 상기 알림 메세지가 블루투스 방식에 의하여 휴대폰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은 체액 또는 배설물이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넘어 외부로 흐르는지 여부를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통하여 손쉽게 실시간으로 감지함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흡수용품을 교체하여 체액 또는 배설물이 이불이나 옷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착용자가 옷이나 흡수용품을 수시로 체크할 필요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도 1 - 일반적인 흡수용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
도 3~7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개념 사시도
도 8~9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개념 사시도
도 10 - 본 발명의 무선송신부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을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흡수용품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면시트(11), 흡수부재(12), 배면시트(13)가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흡수용품은 주로 평편한 형태로 속옷에 착용되기 때문에 배출량이 많은 경우 체액 또는 배설물이 흡수부재에 흡수되지 못하고 가장자리를 넘어 외부로 흐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수용품 가장자리의 감지부(100)에서 체액 또는 배성물의 누설을 감지한 후, 상기 감지결과를 무선송신부(200)에서 무선신호로 단말기(300)로 송출함으로써, 체액 또는 배성물의 누설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는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 체액 또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감지부(100); 및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 여부를 무선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100)는 단백질 검출센서, 항체-항원 응집센서 등 체액 또는 배설물의 종류에 따라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 체액 또는 배설물과의 접촉에 의해 저항치가 가변하는 전도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체액 또는 배설물이 흡수용품 가장자리의 어떠한 부분으로 누설되더라도 누설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전도성 물질은 분리형, 일체형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무선송신부(200)와 연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물질이 상기 무선송신부(200)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은 흡수용품 교체시마다 함께 교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무선송신부(200)는 상기 전도성 물질과 연결하여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도성 물질은 체액 또는 배설물과의 접촉에 의해 저항치가 가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 도 3 내지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선(110) 또는 전도성 섬유(12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선(110) 또는 전도성 섬유(120)는 접착제, 벨크로, 후크 등 다양한 접착수단에 의하여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선(110)은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 변화가 감지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체액 또는 배설물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도선이 통전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도선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선(110) 또는 전도성 섬유(120)가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배치됨에 있어서, 도 3, 5,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수용품을 구성하는 상면시트(11)와 흡수부재(12)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도 4, 6,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면시트(11) 상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도선(110)이 상면시트(11) 상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경우, 상기 도선(110)이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선(110) 상부에 보호커버(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130)는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도선(110) 부분만 덮을 수 있도록 접착식 테이프 방식으로 구현하거나, 도 5에서와 같이 샘 방지용 날개가 보호커버의 역할을 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악세사리와 같이 다양한 색, 모양,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도성 섬유(120)는 탄소 섬유, 금속 섬유,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는 중합체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전도성을 가지는 다양한 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섬유들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부직 웹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섬유는, 구리 섬유, 알루미늄 섬유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는 중합체 섬유는 전도성 물질로 피복된 열가소성 섬유 또는 전도성 물질로 함침되거나 또는 블렌딩된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소 섬유는 전적으로 탄소로부터 제조된 섬유 또는 섬유가 전기적으로 전도성을 가지기에 충분한 양의 탄소를 함유하는 섬유를 모두 포함하며, 일 실시예로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섬유를 가열, 산화 및 탄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산소 분위기에서 가열하면 중합체 내의 시아노 부위가 테트라히드로피리딘의 반복 시클릭 단위를 형성하게 되며, 가열이 지속되면서 중합체가 산화되어 탄소가 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섬유를 산소 결핍 분위기에서 더 가열하면(약 1,300~1,800 ℃) 인접한 중합체 사슬들이 서로 결합하여 거의 순수한 탄소의 라멜라 저면 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도성 섬유는 제조공정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다른 비전도성 섬유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면, 아바카, 양마, 사바이 그래스, 아마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천연 또는 합성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온,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 등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성 섬유에 열가소성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섬유가 인접 구조체에 열적으로 결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100)와 연결되는 무선송신부(200)는 도 3,5,8 같이 상기 흡수용품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4,6,9와 같이 감지부(100)와 함께 상기 흡수용품 가장자리의 일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체액 또는 배설물이 가장 누설되기 쉬운 부분인 흡수용품 가장자리의 측면과 후방 부분이 아닌 전방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송신부(20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집하여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부(210), 상기 센서부(210)에서 검출된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 여부에 대한 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300)로 송출하는 송신부(220), 및 각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부(220)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는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다양한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방식에 의하여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230)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착용시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케이블 배터리 또는 커브드 배터리 등의 플렉서블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무선송신부(200)의 외장커버는 다양한 소재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용품은 착용시 땀이 쉽게 찰 수 있는 위치에 있으므로, 작동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부(100) 또는 무선송신부(200)가 체액 또는 배설물과의 접촉은 감지하고 무선신호로 변환 송출하되, 땀과의 접촉은 감지하지 않거나 무선신호로 변환 송출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흡수용품이 여성용 위생용품인 경우, 상기 감지부(100) 또는 무선송신부(200)가 혈액과의 접촉은 감지하고 무선신호로 변환 송출하되, 수분 또는 땀과의 접촉은 감지하지 않거나 무선신호로 변환 송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은 체액 또는 배설물이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신호로부터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여부를 판단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알림 메세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단계는 단백질 검출센서, 항체-항원 응집센서 등 다양한 감지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서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도성 물질의 저항치가 체액 또는 배성물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가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도성 물질의 저항치의 가변정도를 기 설정치와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성 물질의 저항치의 가변정도를 기 설정치와 비교함에 있어서, 혈액 등의 체액이나 배설물과의 접촉에 의한 가변정도는 검출하되, 수분 또는 땀과의 접촉에 의한 가변정도는 검출하지 않도록 조절함으로써 작동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단계는 알림메세지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다양한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루투스 방식에 의하여 휴대폰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흡수용품 11: 상면시트
12 : 흡수부재 13 : 배면시트
100 : 감지부 110 : 도선
120 : 전도성 섬유 200 : 무선송신부
210 : 센서부 220 : 송신부
230 : 전원부

Claims (22)

  1. 체액 또는 배설물을 수용하는 흡수용품(10)에 있어서, 상기 체액 또는 배설물이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넘어 외부로 흐르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흡수용품의 누설 감지장치로서,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 체액 또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감지부(100); 및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 여부를 무선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200);
    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 체액 또는 배설물과의 접촉에 의해 저항치가 가변하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전도성 물질이 상기 무선송신부(20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이 상기 무선송신부(200)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이 도선(110) 또는 전도성 섬유(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110) 또는 전도성 섬유(120)가 접착수단에 의하여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110)이 한 쌍으로 구성되며, 체액 또는 배설물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도선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110) 또는 전도성 섬유(120)가 흡수용품을 구성하는 상면시트(11)와 흡수부재(12)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상면시트(11) 상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110)이 상면시트(11) 상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경우, 상기 도선(110)이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선(110) 상부에 보호커버(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30)가 접착식 테이프 또는 샘 방지용 날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누설 감지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섬유(120)가 탄소 섬유, 금속 섬유, 전도성 중합체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부(200)가 상기 흡수용품 가장자리의 일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부(200)가 상기 흡수용품 가장자리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부(200)는,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집하여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부(210);
    상기 센서부(210)에서 검출된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 여부에 대한 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300)로 송출하는 송신부(220); 및
    각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220)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가 블루투스 방식에 의하여 전송되며,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단말기(300)가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230)가 케이블(cable) 배터리 또는 커브드(curved)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플렉서블(flexible)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부(200)의 외장커버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00) 또는 무선송신부(200)가,
    혈액과의 접촉은 감지하고 무선신호로 변환 송출하되, 수분 또는 땀과의 접촉은 감지하지 않거나 무선신호로 변환 송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18. 체액 또는 배설물이 흡수용품의 가장자리를 넘어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신호로부터 체액 또는 배설물의 누설여부를 판단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알림 메세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가,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도성 물질의 저항치가 체액 또는 배성물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가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가, 상기 흡수용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도성 물질의 저항치의 가변정도를 기 설정치와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의 저항치의 가변정도를 기 설정치와 비교함에 있어서, 혈액과의 접촉에 의한 가변정도는 검출하되, 수분 또는 땀과의 접촉에 의한 가변정도는 검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에서, 상기 알림 메세지가 블루투스 방식에 의하여 휴대폰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KR1020140107999A 2014-08-19 2014-08-19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KR10164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99A KR101648850B1 (ko) 2014-08-19 2014-08-19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99A KR101648850B1 (ko) 2014-08-19 2014-08-19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83A true KR20160022183A (ko) 2016-02-29
KR101648850B1 KR101648850B1 (ko) 2016-08-17

Family

ID=5544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999A KR101648850B1 (ko) 2014-08-19 2014-08-19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8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842A1 (en) * 2017-04-05 2018-10-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arment for detecting absorbent article leakage and methods of detecting absorbent article leakage utilizing the same
KR101912318B1 (ko) * 2018-01-08 2018-10-26 (주)크레이더스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KR101997672B1 (ko) * 2018-07-02 2019-07-09 (주)크레이더스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KR20190103705A (ko) * 2018-02-28 2019-09-05 (주)크레이더스 단말부가 구비된 흡수 용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499A (ko) * 2008-06-30 2011-03-2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용품용 다기능 모니터링 기기
KR101316276B1 (ko) * 2004-04-21 2013-10-08 블루 스파크 테크놀러지스, 인크. 얇고 인쇄 가능한 플렉시블 전기화학 셀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39941A (ko) * 2012-09-25 2014-04-02 실버레이 주식회사 용변 감지기능을 갖춘 기저귀
KR101382138B1 (ko) * 2013-10-04 2014-04-17 조영숙 스마트 기저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276B1 (ko) * 2004-04-21 2013-10-08 블루 스파크 테크놀러지스, 인크. 얇고 인쇄 가능한 플렉시블 전기화학 셀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30499A (ko) * 2008-06-30 2011-03-2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용품용 다기능 모니터링 기기
KR20140039941A (ko) * 2012-09-25 2014-04-02 실버레이 주식회사 용변 감지기능을 갖춘 기저귀
KR101382138B1 (ko) * 2013-10-04 2014-04-17 조영숙 스마트 기저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842A1 (en) * 2017-04-05 2018-10-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arment for detecting absorbent article leakage and methods of detecting absorbent article leakage utilizing the same
KR20190121403A (ko) * 2017-04-05 2019-10-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 누출 검출 의복 및 이를 이용한 흡수 용품 누출 검출 방법
US11013641B2 (en) 2017-04-05 2021-05-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arment for detecting absorbent article leakage and methods of detecting absorbent article leakage utilizing the same
KR101912318B1 (ko) * 2018-01-08 2018-10-26 (주)크레이더스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KR20190103705A (ko) * 2018-02-28 2019-09-05 (주)크레이더스 단말부가 구비된 흡수 용품
KR101997672B1 (ko) * 2018-07-02 2019-07-09 (주)크레이더스 패턴이 구비된 흡수 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850B1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0960B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CN101977572B (zh) 吸尿装置
ES2543614T3 (es) Método y sistema para detectar humedad en un artículo absorbente
KR101648850B1 (ko)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KR101498112B1 (ko) 전도성 섬유형의 도선을 이용한 대소변 감지센서 및 감지장치
CN101977573B (zh) 自动尿处理装置
CN101217923B (zh) 尿传感器
KR102252697B1 (ko)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CN102573714A (zh) 排便检测设备
CN102573713A (zh) 排便/排尿确定设备
CN101394817A (zh) 泄漏传感器
SG188910A1 (en) Urine receiver and wearing article
CN101336857A (zh) 一次性电子感湿尿布及可分离再用的尿湿报警器装置
KR101912749B1 (ko) 스마트 패드
KR20210034375A (ko)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KR102594746B1 (ko) 디지털 요소를 갖는 개인용 위생 제품을 위한 커넥터 및 외장물
CN109481153A (zh) 一种电子感湿吸收用品
JP2007296024A (ja) 電子おむつシステム
JP2004177120A (ja) 水分検知装置
JP2011022121A (ja) オムツセンサ及び水分検知センサ
CN210144921U (zh) 一种用于检测设备的谐振频率的床垫罩及检测水分的系统
CN111508208A (zh) 智能纸尿片及纸尿片更换提醒系统
KR101819552B1 (ko) 스마트 기저귀
US20210236346A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for Detecting Moisture at an Absorbent Article
CN208591209U (zh) 一种新型纸尿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