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125B1 -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125B1
KR101912125B1 KR1020170041560A KR20170041560A KR101912125B1 KR 101912125 B1 KR101912125 B1 KR 101912125B1 KR 1020170041560 A KR1020170041560 A KR 1020170041560A KR 20170041560 A KR20170041560 A KR 20170041560A KR 101912125 B1 KR101912125 B1 KR 101912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id
far
cradle
drying chamb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105A (ko
Inventor
박형진
박상근
Original Assignee
박형진
박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진, 박상근 filed Critical 박형진
Priority to KR102017004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12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50Mollu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피를 탈피한 오징어를 800 ~ 1000℃의 열원을 받은 세라빅봉 주위에 거치한 후 열과 방사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피한 오징어를 원적외선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실(100)과;
건조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오징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프레임(300)과;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오징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500)와;
거치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오징어를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 방사봉(700)과;
건조실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SQUID DRYING APPARATUS WITH FAR INFRARED RADIATION HEATER}
본 발명은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피를 탈피한 오징어를 800 ~ 1000℃의 열원을 받은 세라빅봉 주위에 거치한 후 열과 방사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는 건조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게 되며, 이에 오징어를 건조하는 방식으로는 자연건조시키는 방식과 건조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물론 자연건조시키는 것이 쉽게 할 수 있으나,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건조 중에 이물질이 묻거나 세균에 의해 부패하여 맛과 질이 좋지 않게 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건조시키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세균에 의한 부패의 우려도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건조장치의 하나로 실용신안등록 제266479호의 "오징어 건조장치"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오징어 건조장치로는 다수 개의 오징어를 꿰어서 회전시키는 중에, 기름보일러를 통해 가열된 열풍을 오징어에 공급함으로써 오징어를 건조시키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오징어 건조장치는, 경유와 같은 기름보일러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름보일러의 연소과정에 발생되는 경유 연소 가스의 냄새가 오징어에서 냄새가 날 수 있어 맛과 질이 좋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고온의 열풍을 이용하기 때문에 오징어 겉 표면에 너무 높은 온도의 열풍이 닿게 되는 반면, 오징어 내부는 아직 초기 단계에서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게 된다. 이처럼 건조초기에는 건조되는 오징어의 겉과 속이 서로 다른 건조상태에 있음으로 인해서, 오징어의 질감이 좋지않게 될 뿐만 아니라 씹는 미식감도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처럼 열풍을 이용하는 종래의 오징어건조장치는, 고온의 열풍을 단순히 오징어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오징어의 색, 맛, 질감, 냄새, 씹는 맛 등이 불량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오징어건조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6647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피한 오징어를 800 ~ 1000℃의 열원을 받은 세라빅봉 주위에 거치한 후 열과 방사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징어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세라빅봉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름 연소연기와 같은 그을음 냄새가 없어 맛과 향이 좋게 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로 인하여 건조실 내부에 가열된 공기는 이물질과 수분이 제거되어 고온인 상태로 재순환되기 때문에 항상 신선한 고온의 공기 공급으로 건조상태가 양호하도록 하는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의 기름보일러보다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건조되도록 하고, 나아가 건조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건조실의 온도, 습도, 공기의 흐름 등을 감지하여 최적의 건조조건을 유지함으로써, 에너지소비를 절감시킴과 함께 오징어의 건조조건도 양호하도록 하여, 건조된 오징어의 맛이나 색깔, 씹는 정도 등이 양호하도록 하는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는
거치대에 탈피한 오징어를 거치한 후 원적외선 방사봉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의 온도를 고르게 유지하기 위한 공기순환기(110)가 구비되어 있는 건조실(100)과;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오징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프레임(300)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오징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500)와;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오징어를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 방사봉(700)과;
상기 건조실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300)은 건조실의 내부에 사각 또는 직사각의 육면체로 설치되며, 오징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면상하프레임(310) 및 배면상하프레임(330) 각각이 "n" 및 "u" 형상으로 레일(311, 331)이 형성되어 건조할 오징어의 수량에 따라 거치대 수 및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500)는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되어 오징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의 형성된 프레임(510)과:
메인프레임(300)의 전면상하프레임(310) 및 배면상하프레임(330) 각각에 형성된 레일(311, 331)에 체결할 수 있도록 "T"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봉(530)과;
체결봉을 프레임(510)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550)와;
전면, 배면 프레임(511, 513) 각각 양측에 다수구비되어 오징어가 꿰어진 봉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봉(5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봉(700)은 거치대(500)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오징어를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봉(710)과;
발열봉의 외측에 구비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봉(7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0)는 건조실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는 것으로, 건조하고자 하는 오징어의 양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봉(700)을 800 ~ 1000℃로 발열시켜,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하여 탈피한 오징어를 원적외선 오징어로 제조하되, 건조실 내부에 구비된 온도계를 통하여 계측된 정보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고, 공기순환기(110)를 작동시켜 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고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는 오징어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세라빅봉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름 연소연기와 같은 그을음 냄새가 없어 맛과 향이 좋게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로 인하여 건조실 내부에 가열된 공기는 이물질과 수분이 제거되어 고온인 상태로 재순환되기 때문에 항상 신선한 고온의 공기 공급으로 건조상태가 양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기름보일러보다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건조되도록 하고, 나아가 건조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온도, 습도, 공기의 흐름 등을 감지하여 최적의 건조조건을 유지함으로써, 에너지소비를 줄임과 함께 오징어의 건조조건도 양호하도록 하여, 건조된 오징어의 맛이나 색깔, 씹는 정도 등이 양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건조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봉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건조실에 오징어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하여 이해를 돕기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의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 도 5에 첨부한 도면과 같이 탈피한 오징어를 원적외선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실(100)과; 건조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오징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프레임(300)과;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오징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500)와; 거치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오징어를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 방사봉(700)과; 건조실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실(100)은 거치대에 탈피한 오징어를 거치한 후 원적외선 방사봉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의 온도를 고르게 유지하기 위한 공기순환기(1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에 따라 건조실(100)은 거치대에 탈피한 오징어를 거치한 후 원적외선 방사봉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하되, 공기순환기(110)는 온도계를 통하여 계측된 정보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내부의 온도를 고르게 유지한다.
상기 메인프레임(300)은 건조실의 내부에 사각 또는 직사각의 육면체로 설치되며, 오징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면상하프레임(310) 및 배면상하프레임(330) 각각이 "n" 및 "u" 형상으로 레일(311, 331)이 형성되어 건조할 오징어의 수량에 따라 거치대 수 및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 따라 메인프레임(300)은 건조실의 내부에 내설되어 거치대를 설치하되, 전면상하프레임(310) 및 배면상하프레임(330) 각각에 형성된 레일(311, 331)에 건조할 오징어의 수량에 따라 거치대 수 및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대(500)는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되어 오징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의 형성된 프레임(510)과: 메인프레임(300)의 전면상하프레임(310) 및 배면상하프레임(330) 각각에 형성된 레일(311, 331)에 체결할 수 있도록 "T"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봉(530)과; 체결봉을 프레임(510)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550)와; 전면, 배면 프레임(511, 513) 각각 양측에 다수구비되어 오징어가 꿰어진 봉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봉(570)으로 구성된다.
상기에 따라 거치대(500)는 상하프레임(515)에 형성된 체결공(517)에 체결봉의 나사부를 삽입한 후 메인프레임(300)의 전면상하프레임(310) 및 배면상하프레임(330) 각각에 형성된 레일(311, 331)에 "T"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봉(530)의 머리부를 체결한 후 너트를 이용하여 메인프레임(300)에 프레임(510)을 고정한다.
이후 전면, 배면 프레임(511, 513) 각각 양측에 다수구비되어 있는 거치봉(570)에 오징어가 꿰어진 봉을 거치하여 원적외선 방사봉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하여 원적외선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봉(700)은 거치대(500)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오징어를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봉(710)과; 발열봉의 외측에 구비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봉(730)으로 구성된다.
상기에 따라 적외선 원적외선 방사봉(700)의 발열봉(710)은 전원을 인가받아 800 ~ 1000℃로 발열되어 외측에 구비된 세라믹봉(730)을 가열하여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900)는 건조실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는 것으로, 건조하고자 하는 오징어의 양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봉(700)을 800 ~ 1000℃로 발열시켜,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하여 탈피한 오징어를 원적외선 오징어로 제조하되, 건조실 내부에 구비된 온도계를 통하여 계측된 정보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고, 공기순환기(110)를 작동시켜 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고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한다.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건조실 110 : 공기순환기
300 : 메인프레임 310 : 전면, 상하프레임
330 : 배면, 상하프레임 311, 331 : 레일(311, 331)
500 : 거치대 510 : 프레임
530 : 체결봉 550 : 너트
570 : 거치봉
700 : 원적외선 방사봉 710 : 발열봉
730 : 세라믹봉
900 : 제어부

Claims (5)

  1. 거치대에 탈피한 오징어를 거치한 후 원적외선 방사봉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으로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의 온도를 고르게 유지하기 위한 공기순환기(110)가 구비되어 있는 건조실(100)과,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오징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프레임(300)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오징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500)로 구성된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300)은 전면상하프레임(310) 및 배면상하프레임(330) 각각에 "n" 및 "u" 형상으로 레일(311, 331)이 형성되어 건조할 오징어의 수량에 따라 거치대수 및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거치대(500)는 메인프레임(300)에 설치되어 오징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의 형성된 프레임(510)과, 메인프레임(300)의 전면상하프레임(310) 및 배면상하프레임(330) 각각에 형성된 레일(311, 331)에 체결할 수 있도록 "T"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봉(530)과, 체결봉을 프레임(510)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550)와, 전면, 배면 프레임(511, 513) 각각 양측에 다수구비되어 오징어가 꿰어진 봉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봉(570)으로 구성되며;
    건조실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는 것으로, 건조하고자 하는 오징어의 양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봉(700)을 800 ~ 1000℃로 발열시켜,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하여 탈피한 오징어를 원적외선 오징어로 제조하되, 건조실 내부에 구비된 온도계를 통하여 계측된 정보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고, 공기순환기(110)를 작동시켜 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고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제어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봉(700)은 거치대(500)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오징어를 건조하여 원적외선 오징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봉(710)과;
    발열봉의 외측에 구비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봉(7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
  5. 삭제
KR1020170041560A 2017-03-31 2017-03-31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 KR101912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60A KR101912125B1 (ko) 2017-03-31 2017-03-31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60A KR101912125B1 (ko) 2017-03-31 2017-03-31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105A KR20180111105A (ko) 2018-10-11
KR101912125B1 true KR101912125B1 (ko) 2018-10-29

Family

ID=6386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560A KR101912125B1 (ko) 2017-03-31 2017-03-31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7636B (zh) * 2019-09-27 2021-01-29 北京半导体专用设备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五研究所) 干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744B1 (ko) * 2010-10-26 2011-04-19 한석만 오징어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744B1 (ko) * 2010-10-26 2011-04-19 한석만 오징어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105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6141243A (ru) Пастеризация яиц в скорлупе
KR101912125B1 (ko) 원적외선 오징어 제조장치
TW201529024A (zh) 雙熱源炒菜設備及炒菜方法
KR20120069993A (ko) 건조오징어의 가공장치
KR101856843B1 (ko)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RU2459166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и обработки зерна и кормов
US594681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rying shaped ceramic bodies
JP2006262706A (ja) 魚肉や食肉の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KR101108593B1 (ko) 건조기
KR101347078B1 (ko) 농수산물 건조 장치
CN204949316U (zh) 一种三文鱼防粘烘干箱
CN205409415U (zh) 豆皮烘干机
CN204047850U (zh) 人工炒茶机
KR20160079244A (ko) 제습식 적외선 건조장치
KR20140034417A (ko) 농업용 전기 온풍기
KR200462684Y1 (ko) 열교환기를 이용한 간접가열방식의 해태건조기
CN104482744A (zh) 采用远红外加热的茶叶初烘机
JP2011106709A (ja) 常温除湿乾燥機及びなまこの乾燥方法
KR20180075150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풍식 수산물건조기
KR101440052B1 (ko) 숯가마를 이용한 훈제 장치 및 방법
KR101197224B1 (ko) 원적외선 및 열풍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RU1457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дыма
KR20200107607A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농작물 건조기
RU25785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перги в сотах
CN109186180A (zh) 一种柿干生产用旋转微波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