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857B1 -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방법 및 그 밀봉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방법 및 그 밀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857B1
KR101911857B1 KR1020120083586A KR20120083586A KR101911857B1 KR 101911857 B1 KR101911857 B1 KR 101911857B1 KR 1020120083586 A KR1020120083586 A KR 1020120083586A KR 20120083586 A KR20120083586 A KR 20120083586A KR 101911857 B1 KR101911857 B1 KR 101911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bag
turret
convey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052A (ko
Inventor
마나부 모리노
나미요시 다나카
마사카즈 세토자키
Original Assignee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 B65B7/06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e.g. to form a single fl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Abstract

(과제) 피포장물이 충전되어 리테이너(1)에 수용된 거세트 포대(2)를 리테이너별로 밀봉장치(4)에 공급하고, 밀봉장치의 그리퍼(18, 18)로 포대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하고, 입구를 한 쌍의 열판(21, 21)으로 협지하여 밀봉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리퍼에 의한 포대의 양 테두리부의 협지오류를 방지한다.
(해결수단) 거세트 포대(2)가 개구한 입구의 양측부를, 접기용 인너폴(8, 9, 10, 11)과 접기용 아우터폴(12, 13)로 접고, 양면으로부터 정형부재(6, 6, 7, 7)에 의하여 혐지하여 편평한 형상으로 지지하고, 그 상태를 유지한 채로 포대(2)를 리테이너별로 밀봉장치(4)의 공급위치(D)로 이송한다.

Description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방법 및 그 밀봉 시스템{THE METHOD TO SEAL THE INLET OF THE BAG CONTAINED IN THE RETAINER, AND THE SEAL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리테이너(retainer)에 수용되어 피포장물(被包裝物)이 충전(充塡)된 포대(包袋)를 리테이너별로 밀봉장치(密封裝置)에 공급하고, 상기 밀봉장치에 있어서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를 열판(熱板)에 의하여 협지하여 밀봉하는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포대라 함은 포대는 물론 자루, 봉지, 봉투 등을 총괄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다.
특허문헌1에는, 리테이너에 수용되어 피포장물이 충전된 포대를 상기 리테이너별로 밀봉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대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그리퍼의 간격을 넓혀 입구 근방을 포대폭 방향으로 당겨 팽팽하게 하고, 계속하여 팽팽한 상태의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밀봉전에 그리퍼에 의하여 입구를 팽팽하게 하는 것은, 주름 밀봉(밀봉불량의 일종)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8-82801호 공보
한편 특허문헌1에 기재된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리테이너내에 수용되어 피포장물이 충전된 포대는 입구가 개구된 채 밀봉장치에 공급되고, 밀봉장치에 있어서 입구 근방(밀봉예정장소의 조금 하방위치)의 양 테두리부가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된다. 그러나 포대는 일반적으로 유연한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대 내에서의 피포장물의 수용상태(충전상태)에 의하여 그 개구 형상이 변화되고, 입구의 폭방향 길이도 변화된다. 이 때문에 평포대나 자립포대와 같이 사이드 밀봉부를 구비하는 포대에서도 포대의 양 테두리부의 위치가 포대별로 불균일하고, 한편 그리퍼의 위치는 같기 때문에 일측 또는 양측의 그리퍼를 협지할 수 없거나, 얕게밖에는 협지하지 못하거나 하여 입구를 팽팽하게 하였을 때에 포대가 그리퍼로부터 빠지거나 하는 등의 협지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2)리테이너의 내주 사이즈는 포대의 외주 사이즈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중심이 리테이너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있을 경우가 있다. 이 어긋남이 특히 폭방향에 있어서 커지게 되면, 일측의 그리퍼에 의하여 얕게밖게 협지하지 못하여 상기 (1)과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3)밀봉장치의 그리퍼는 원형의 이동경로를 구비하고, 한편 리테이너내에 수용된 포대는 공급 콘베이어에 의하여 포대면과 평행하게 폭방향으로 반송되어, 그 반송경로는 상기 이동경로에 대하여 접선방향이다. 포대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하는 그리퍼의 이동경로와 포대의 반송경로가 일부에서 겹침으로써 그대로는 그리퍼와 포대가 간섭한다. 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리퍼의 이동경로와 포대의 반송경로가 겹치는 타이밍에서 그리퍼를 포대의 반송경로로부터 대피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그리퍼의 구조의 복잡화 및 비용상승을 피할 수 없다.
(4)거세트 포대(gusset bag)와 같이 양측부에 접기부를 구비하는 포대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이드 밀봉부가 존재하지 않고 리테이너내에 수용된 포대는 양측부의 접기부도 열려 있다. 이러한 포대에 대하여 특허문헌1의 밀봉방법 및 장치는 적용할 수 없다. 그리퍼에 의하여 포대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했을 때에, 동시에 양측부를 접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리테이너에 수용되고 피포장물이 충전된 포대를 상기 리테이너별로 밀봉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대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그리퍼의 간격을 넓혀 입구 근방을 포대폭 방향으로 당겨서 팽팽하게 하고, 계속하여 팽팽한 상태의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에 있어서, 그리퍼에 의한 포대의 협지오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리퍼의 구조의 복잡화 및 비용상승을 수반하지 않고 그리퍼와 포대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 거세트 포대와 같이 양측부에 접기부를 구비하는 포대에 대하여도 상기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각각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밀봉방법은, 리테이너에 수용되고 피포장물이 충전된 //포대가 개구하는 입구 근방을 정형부재에 의하여 협지하여 편평한 형상으로 지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포대를 리테이너별로 밀봉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정형부재에 의하여 협지한 위치를 벗어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상기 밀봉장치의 좌우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상기 정형부재를 열어서 상기 포대를 해방하고, 상기 좌우의 그리퍼의 간격을 넓혀서 입구를 팽팽하게 하고, 팽팽하게 된 입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형부재 자체에 의하여 입구 근방을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하고, 그대로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다른 부재에 의하여 입구 근방을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한 후에 정형부재에 의하여 협지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및 다른 부재에 의하여 입구 근방을 어느 정도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한 후에 정형부재에 의하여 협지하고 또한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포대가 개구하는 입구 근방을 정형부재에 의하여 협지하고 편평한 형상으로 지지함(입구를 닫음)으로써 입구의 폭방향의 길이가 일정하게 되고, 포대의 양 테두리부의 위치의 불균일의 정도가 입구가 개구한 채인 경우에 비하여 개선되어, 협지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봉방법은 예를 들면 다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밀봉장치가, 원형의 이동경로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는 복수조의 좌우의 그리퍼 및 대응하는 리테이너 지지대를 구비하고, 그것들의 정지위치의 하나인 공급위치에 상기 포대를 리테이너별로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공급위치에 있어서 상기 포대를 리테이너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하고 또한 상기 포대의 양 테두리부를 좌우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상기 좌우의 그리퍼와 리테이너 지지대의 간헐이동에 따라 상기 포대와 리테이너를 간헐적으로 이동시키고, 그 간헐이동의 과정에서 상기 포대의 입구를 밀봉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밀봉 시스템은, 이하에 설명하는 공급 콘베이어, 밀봉장치, 이송장치 및 정형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 콘베이어는, 피포장물이 충전된 포대를 수용한 리테이너를 소정의 반송경로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순차적으로 반송한다.
상기 밀봉장치는, 원형의 이동경로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이동경로상에서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복수조의 좌우의 그리퍼 및 대응하는 리테이너 지지대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밀봉위치 근방에 배치된 밀봉용의 한 쌍의 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의 하나인 공급위치에 있어서 포대를 수용한 리테이너의 공급을 받고, 상기 리테이너를 리테이너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하고 또한 상기 포대의 양 테두리부를 좌우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좌우의 그리퍼와 리테이너 지지대의 간헐이동에 따라 포대와 리테이너를 간헐적으로 이동시키고, 그 간헐이동의 과정에서 좌우의 그리퍼의 간격을 넓혀서 포대의 입구를 팽팽하게 하고, 상기 밀봉위치에 있어서 포대의 입구를 상기 열판에 의하여 협지하여 밀봉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반송경로상에 설정된 정지위치의 하나인 이송시작위치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시작위치로부터 상기 공급위치를 향하여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고, 상기 공급위치에 있어서 리테이너 지지대상에 재치하고, 그 후에 상기 이송시작위치로 복귀하는 리테이너 이송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정형장치는,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포대가 개구하는 입구 근방을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입구 근방을 편평한 형상으로 지지하는 정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정형부재는, 포대의 입구 근방을 협지한 채로 리테이너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이송되어 상기 공급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리테이너 이송부재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밀봉장치의 좌우의 그리퍼가 상기 공급위치에 있어서 포대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한 후에 열어서 포대를 해방하고, 계속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시스템에 의하면, 포대가 개구하는 입구 근방을 정형부재에 의하여 협지하고 편평한 형상으로 지지함(입구를 닫음)으로써 입구의 폭방향의 길이가 일정하게 되고, 포대의 양 테두리부의 위치의 불균일의 정도가 입구가 개구한 채인 경우에 비하여 개선되어, 협지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봉 시스템은 예를 들면 다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상기 정형부재는 포대의 폭방향 양측에 한 쌍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는, 상기 이송시작위치에서 대략 수직으로 상승한 후에 상기 밀봉장치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공급위치에 정지한 리테이너 지지대의 상방위치에 도달한 후에 대략 수직으로 하강한다.
(3)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리테이너 지지대와 상보형상을 구비한다.
(4)상기 공급 콘베이어의 반송경로는 직선 모양이고 그 연장선상에 상기 밀봉장치의 이동경로의 중심이 위치하고, 상기 공급 콘베이어에 의하여 반송되는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는 폭방향이 상기 반송경로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향하고, 상기 좌우의 그리퍼에 협지되는 포대의 폭방향은 상기 이동경로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포대를 수용한 리테이너를 밀봉장치에 공급할 때에, 통상의 로터리형 배깅 포장기(rotary型 bagging 包裝機)의 그리퍼에 포대를 공급하는 경우(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073777호 공보 참조)와 마찬가지로 그리퍼와 포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5)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는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자유회전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자유회전 롤러는 그 축방향이 상기 공급 콘베이어의 반송방향과 대략 평행하고, 상기 정형장치는, 서로 접리하고 또한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하는 한 쌍 또는 여러 쌍의 위치수정용 인너폴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수정용 인너폴은 상기 정형부재가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 근방을 협지하기 전에 서로 접근상태에서 상기 포대의 입구내로 들어가고, 계속하여 입구내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서로 이반하여 입구를 편평한 모양 또는 대략 다각형 모양으로 팽팽하게 하여,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한다. 리테이너내에서 포대의 위치가 폭방향으로 어긋나고 있었을 경우에, 포대에 어긋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하중이 걸리고, 포대는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상에서 리테이너와 함께 하중방향으로 이동하여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수정되어, 이 포대가 밀봉장치에 공급되었을 때에 좌우의 그리퍼에 의한 협지폭이 균등해지므로 협지오류가 방지된다.
(6)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는,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자유회전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자유회전 롤러는 그 축방향이 상기 공급 콘베이어의 반송방향과 대략 평행하고, 상기 정형장치는, 서로 접리하고 또한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에 대하여 승강하는 4개의 접기용 인너폴과, 서로 접리하는 한 쌍의 접기용 아우터폴을 구비하고, 상기 접기용 인너폴은 상기 밀봉장치의 좌우의 그리퍼의 협지장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홈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접기용 인너폴과 접기용 아우터폴은 상기 정형부재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정형부재가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 근방을 협지하기 전에, 상기 접기용 인너폴은 서로 접근상태에서 상기 포대의 입구내로 들어가고, 입구내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서로 이반하여 입구를 4각형상으로 팽팽하게 하고, 계속하여 상기 접기용 아우터폴이 상기 반송방향과 수직으로 서로 접근하여 상기 포대의 입구 근방의 측면을 내측에 압입하고 또한 상기 접기용 인너폴이 상기 반송방향과 평행하게 서로 접근하고, 이에 따라 포대의 입구 근방에 있어서 양 측면에 내측으로 접히는 접기부를 형성하고, 계속하여 상기 정형부재가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 근방을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상기 좌우의 그리퍼가 포대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하기 전에 접기용 아우터폴이 서로 이반하여 상기 포대로부터 이탈한다. 이 형태는, 상기(4)의 형태를 전제로 하여 거세트 포대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접기용 인너폴은, 상기 (5)에서 설명한 위치수정용 인너폴과 마찬가지로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하는 작용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테이너에 수용되어 피포장물이 충전된 포대를 상기 리테이너별로 밀봉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대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그리퍼의 간격을 넓혀 입구 근방을 포대폭 방향으로 당겨서 팽팽하게 하고, 계속하여 팽팽한 상태의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에 있어서, 그리퍼에 의한 포대의 협지오류의 발생을 방지하고, 주름 밀봉 등의 밀봉불량이 발생하거나 혹은 밀봉 자체를 할 수 없는 것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밀봉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밀봉방법 및 밀봉 시스템에 대해서 도1∼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밀봉 시스템은, 리테이너(1)에 수용되고 피포장물이 충전된 포대(2)를 상기 리테이너별로 밀봉장치로 이송하고, 동(同) 밀봉장치로 포대(2)의 입구를 밀봉하는 것으로서, 공급 콘베이어(3)와, 밀봉장치(4)와, 이송장치(리테이너 이송부재(5) 만을 나타낸다)와, 정형장치(정형부재(6, 6, 7, 7), 접기용 인너폴(8, 9, 10, 11), 접기용 아우터폴(12, 13) 만을 나타낸다)로 이루어진다. 14는 밀봉장치(4)로 밀봉된 포대를 반출하는 콘베이어이다.
리테이너(1)는 평평한 바닥판(15)과 사각형의 프레임(16)으로 이루어진다. 포대(2)는 거세트 포대로 이루어지고, 접기부가 열린 상태에서 리테이너(1)에 수용된다. 프레임(16)은 접기부가 열린 상태의 포대(2)보다 평면에서 볼 때에 약간 크게 제작되어 있다.
공급 콘베이어(3)는 수평으로 배치된 다수의 콘베이어 롤러로 이루어지고, 포대(2)를 수용한 리테이너(1)를 직선 모양의 반송경로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순차적으로 반송한다. 공급 콘베이어(3)상으로 반송되는 모든 리테이너(1)는, 폭방향(반송경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중심이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된다.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상에 리테이너(1)가 정지하는 복수의 정지위치가 등간격으로 설정되고, 그 하나인 포대공급위치(A)에서는 상방으로부터 접기부가 열린 거세트 포대(2)가, 폭방향이 상기 반송경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향하도록 리테이너(1)에 삽입된다. 다음의 정지위치는 충전위치(B)로서, 호퍼(17)를 통하여 피포장물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다음의 정지위치는 이송시작위치(C)이다. 이 이송시작위치(C)에서는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면의 중앙부에 공간(3a)이 형성되고, 이 공간(3a) 내에 상기 이송장치의 일부인 리테이너 이송부재(5)가 대기하고 있다. 공간(3a)의 전방측(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의 전방측)에는 콘베이어 롤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도5 참조). 또한 이송시작위치(C)의 위에는 상기 정형장치가 대기하고 있다.
밀봉장치(4)는, 수평으로 원형의 이동경로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는 8조의 좌우의 그리퍼(18, 18)와, 각 그리퍼(18, 18)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또한 그리퍼(18, 18)와 함께 원형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 지지대(19)를 구비한다. 각 그리퍼(18, 18)는 상기 이동경로상에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개폐하고, 또한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힌다. 리테이너 지지대(19)는 리테이너(1)를 수평으로 재치하고, 각 그리퍼(18, 18)는 리테이너(1)에 수용된 포대(2)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하고, 이에 따라 밀봉장치(4)에 공급된 리테이너(1)와 포대(2)는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그리퍼(18, 18)에 협지된 포대(2)는, 그 폭방향이 상기 이동경로에 대하여 접선방향(接線方向)을 향하고 있다. 이하, 그리퍼(18, 18) 및 리테이너 지지대(19)의 이동경로를 특히 구별하지 않고, 밀봉장치(4)의 이동경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각 그리퍼(18, 18)와 리테이너 지지대(19)는,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1회전 하는 사이에 8회 정지(정지위치(D∼K))한다. 최초의 정지위치(D)는 포대(2)를 수용한 리테이너(1)의 공급을 받는 공급위치 (이하, 정지위치(D)를 공급위치(D)라고도 한다)이다. 이 공급위치(D)에서 리테이너 지지대(19)의 위에 리테이너(1)가 재치되고, 그리퍼(18, 18)가 닫혀서 포대(2)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한다. 그리퍼(18, 18) 및 리테이너 지지대(19)가 이동하여 정지위치(F)에 도달하기 전에, 그리퍼(18, 18)가 상호간의 간격을 넓혀 포대(2)의 입구를 팽팽하게 한다.
정지위치(F)는 제1밀봉위치(이하, 정지위치(F)를 제1밀봉위치(F) 라고 한다)로서, 동 위치 근방에 입구밀봉용의 한 쌍의 열판(21, 21)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퍼(18, 18)가 제1밀봉위치(F)에 정지했을 때에, 열판(21, 21)이 닫히고 그리퍼(18, 18)에 협지된 포대(2)의 입구를 협지하여 밀봉한다. 정지위치(G)는 제2밀봉위치로서, 한 쌍의 열판(22, 22)이 배치되어, 그리퍼(18, 18)가 동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열판(22, 22)이 닫혀 입구의 2번째의 밀봉이 이루어진다. 정지위치(H)는 냉각위치로서, 입구를 냉각하는 냉각판(23, 23)이 배치되고, 그리퍼(18, 18)가 동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냉각판(23, 23)이 닫히고 입구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그리퍼(18, 18)가 정지위치(J)에 정지했을 때에, 그리퍼(18, 18)가 열려 포대(2)를 해방하고, 계속하여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이송수단에 의하여 포대(2)를 수용한 리테이너(1)가 콘베이어(14)상으로 이송되어 다음의 공정위치를 향하여 반송된다. 그리퍼(18, 18) 및 리테이너 지지대(19)가 공급위치(D)에 도달하기 전에, 그리퍼(18, 18)가 상호간의 간격을 좁힌다.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의 중심선(Co)의 연장선상에 그리퍼(18, 18)의 상기 이동경로의 축심(Ax)이 위치한다. 공급위치(D)에 정지한 좌우의 그리퍼(18, 18)의 중심위치(좌우의 그리퍼(18, 18)의 사이의 중앙위치)(Go)는, 상기 반송경로의 중심선(Co)과 상기 축심(Ax)을 포함하는 연직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가령 공급 콘베이어(3)에 의하여 반송되는 리테이너(1)에 수용된 포대(2)의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의 중심선(Co)상에 위치하고 있으면, 상기 포대(2)의 폭방향의 중심위치도 상기 연직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이송장치의 일부인 리테이너 이송부재(5)는 (도2참조), 프레임(24)과, 프레임(24)에 회전하도록 외팔보(cantilever)로 지지된 2개의 롤러(25, 26)로 이루어진다. 롤러(25, 26)는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때문에 리테이너(1)에 수평면내에서 상기 반송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하중이 걸리면, 리테이너(1)는 상기 하중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리테이너 이송부재(5)는,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의 이송시작위치(C)에 정지한 리테이너(1)를 수평으로 재치하여, 밀봉장치(4)의 이동경로의 공급위치(D)까지 이송한다. 리테이너 이송부재(5)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하여 이동하고, 그 이동경로(리테이너(1)의 이송경로)는, 상기 이송시작위치(C)에서의 연직상승,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와 평행한 수평직선이동, 상기 공급위치(D)에서의 연직하강이다.
리테이너 이송부재(5)는,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의 이송시작위치(C)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에 공급 콘베이어(3)와 상보형상(相補形狀)을 구비한다. 즉 리테이너 이송부재(5)는, 상기 이송시작위치(C)에 있어서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3a)에 삽입되고, 연직상승에 있어서 상기 공간(3a) 내로부터 콘베이어 롤러의 간섭을 받지 않고 이탈한다. 또한 공간(3a)은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반송경로를 따라 수평면내를 후퇴(복귀)하여 온 리테이너 이송부재(5)가, 콘베이어 롤러의 간섭을 받지 않고 공간(3a)으로 진입 가능하다.
또한 리테이너 이송부재(5)는 평면에서 볼 때에 리테이너 지지대(19)과 상보형상을 구비하고, 프레임(24) 및 롤러(25, 26)에 둘러싸인 공간(5a)은 그 이동경로의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봉장치(4)의 공급위치(D)를 향하여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수평면내를 직선으로 이동하여 온 리테이너 이송부재(5)는, 리테이너 지지대(19)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상기 리테이너 지지대(19)를 상기 공간(5a) 내로 진입시키고 또한 그 상태에서 연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정형장치는, 도2에 보다 명확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지지축(6a, 6a)을 중심으로 수평면내에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정형부재(6, 6)와, 마찬가지로 지지축(7a, 7a)을 중심으로 수평면내에서 회전하는 다른 한 쌍인 정형부재(7, 7)와, 각각 상기 이송경로에 대하여 수직자세로 배치되어 그 자세인 채로 서로 접리(接離)하고 또한 리테이너 이송부재(5)에 대하여 승강하는 4개의 판상의 접기용 인너폴(8∼11)과, 상기 이송경로에 대하여 수직자세로 배치되어 그 자세인 채로 서로 접리하는 한 쌍의 판상의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을 구비한다. 거세트 포대의 입구를 정형하는 이러한 부재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제418242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14277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5-7920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0-2539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것 자체는 공지의 것이다. 이들의 부재는 또한 리테이너 이송부재(5)의 이동경로(리테이너(1)의 이송경로)를 따라 리테이너 이송부재(5)과 함께 이동한다.
이하, 도2∼10을 참조하여 정형장치를 구성하는 이들의 부재의 기능과 작동 및 이동경로와, 앞에서 설명한 리테이너 이송부재(5)의 기능과 작동 및 이동경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도2∼10에는 각 부재의 작동기구 및 이동기구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이 생략되어 있다.
도2는,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의 이송시작위치(C)에, 리테이너(1) 및 포대(2)가 정지했을 때에 정형부재(6, 6, 7, 7), 접기용 인너폴(8, 9, 10, 11), 접기용 아우터폴(12, 13) 및 리테이너 이송부재(5)의 배치(초기위치)를 나타낸다.
리테이너 이송부재(5)의 상면(리테이너(1)를 재치하는 면)은, 이송시작위치(C)에 있어서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면의 약간 하방에 위치하고, 리테이너 이송부재(5)와, 이송시작위치(C)로 반송되는 리테이너(1) 및 포대(2)의 간섭이 방지되어 있다.
정형부재(6, 6) 및 정형부재(7, 7)는, 이송시작위치(C)에 있어서 상기 반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포대(2)의 양측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정형부재(6, 6) 및 정형부재(7, 7)는 각각 수평면내에서 회전하여 개폐하고, 닫혔을 때에 포대(2)의 입구 근방을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도2에서는, 정형부재(6, 6) 및 정형부재(7, 7)는 각각 열려서 대피위치에 와 있어, 상기 이송시작위치(C)로 반송되는 리테이너(1) 및 포대(2)와의 간섭이 방지되어 있다.
접기용 인너폴(8∼11)은 서로 접근하여 집합한 상태에서, 이송시작위치(C)에 정지한 포대(2)의 중앙부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접기용 인너폴(8∼11)은 각각 외측을 향한 홈(8a∼11a)을 구비한다.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포대(2)의 양측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기용 인너폴(8∼11)은 접기용 아우터폴(12, 1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은 정형부재(6, 6, 7, 7)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1)내에 수용된 포대(2)는, 본 예에서는 리테이너(1)의 폭방향(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지 않고, 폭방향으로 벗어난 위치(도2에서는 폭방향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수용되어 있다. 도2에, 포대(2)의 폭방향의 중심(Bo)과 리테이너(1)의 폭방향의 중심(Ro)이, 폭방향으로 거리(W)만큼 벗어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 콘베이어(3)상의 리테이너(1)는, 리테이너(1)의 폭방향의 중심(Ro)이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의 중심선(Co)상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포대(2)의 폭방향의 중심(Bo)은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의 중심선(Co)으로부터 거리(W)만큼 벗어나 있게 된다.
도3은, 리테이너 이송부재(5)가 리테이너(1)와 포대(2)를 재치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연직으로 상승하고, 한편 접기용 인너폴(8∼11)이 소정의 거리만큼 연직으로 하강하고, 접기용 인너폴(8∼11)이 포대(2)가 개구한 입구에서 입구 내부의 소정의 위치(포대(2)의 상단과 접기용 인너폴(8∼11)의 상단이 거의 같은 높이가 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정형부재(6, 6, 7, 7)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은 승강하지 않는다.
도4는, 계속하여 접기용 인너폴(8∼11)이 집합상태로부터 동시에 대략 방사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하여 서로 떨어지고, 소정의 위치로 분산되어서 정지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접기용 인너폴(8, 9)과 접기용 인너폴(10, 11)은,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의 중심선(Co)을 지나는 연직면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대칭성을 유지하면서 접리한다. 사방으로 분산된 접기용 인너폴(8∼11)은 입구 내면의 네 구석에 접촉하고, 개구한 입구는 내측으로부터 대략 방사방향으로 밀려 4각형상으로 팽팽한 상태가 된다.
이때에, 포대(2)는 리테이너(1)내에서 폭방향으로 거리(W)(도2 참조)만큼 벗어나서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접기용 인너폴(8∼11)이 포대(2)의 입구 내면에 접촉하여 입구를 팽팽하게 할 때에, 포대(2)에 대하여 이 폭방향의 어긋남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하중이 부가된다. 포대(2)에 걸리는 폭방향에 대한 상기 하중은 리테이너(1)에 전달되어, 리테이너(1)가 리테이너 이송부재(5)상을 상기 하중의 방향(리테이너(1)의 폭방향)으로 어긋난 만큼(거리(W)) 이동한다. 그 결과, 리테이너(1)는, 폭방향의 중심(Ro)이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의 중심선(Co)으로부터 폭방향으로 거리(W)만큼 벗어나고, 한편 포대(2)는 폭방향의 어긋남이 해소되어 폭방향의 중심(Bo)이 상기 중심선(Co)상에 겹치는 위치로 온다.
이와 같이 접기용 인너폴(8∼11)의 작동에 의하여, 리테이너(1)에 수용된 포대(2)의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수정되고, 그 결과, 이 포대(2)가 밀봉장치(4)의 공급위치(D)에 공급되었을 때에, 포대(2)의 폭방향의 중심(Bo)이 좌우의 그리퍼(18, 18)의 중심(Go)과 일치하여 그리퍼(18, 18)에 의한 협지오류가 방지된다.
계속하여 리테이너 이송부재(5)는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와 평행하게, 밀봉장치(4)의 공급위치(D)를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한다. 리테이너 이송부재(5)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정형부재(6, 6, 7, 7), 접기용 인너폴(8∼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은 리테이너 이송부재(5)를 추종하여 같이 수평으로 이동한다.
또한 리테이너 이송부재(5)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이 내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근하고, 포대(2)의 측부 중앙의 접기선(2a)에 접촉하여 내측을 향하여 압입하고, 동시에 접기용 인너폴(8, 9) 및 접기용 인너폴(10, 11)이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수평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근하고, 포대(2)의 측부를 접어 넣어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한다.
리테이너 이송부재(5)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포대(2)의 측부의 접기가 완료한 시점에서,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형부재(6, 6)와 정형부재(7, 7)가 수평면내에서 회전하여 닫혀, 포대(2)의 입구 근방이 주로 양측부가 접힌 곳를 외측으로부터 수평으로 협지하고,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함과 아울러 그 편평화된 형상을 유지한다. 이어서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이 외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여 서로 떨어진다. 이것은 상기 공급위치(D)에 있어서 그리퍼(18, 18)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이 사이에, 좌우의 그리퍼(18, 18)와 리테이너 지지대(19)가 상기 공급위치(D)에 접근하고, 계속하여 상기 공급위치(D)에 정지한다. 그 타이밍에서, 리테이너 이송부재(5)가 상기 공급위치(D)에 접근하고, 리테이너 지지대(19)가 상기 공간(5a) 내로 진입하기 시작한다. 계속하여 리테이너 이송부재(5)가 상기 공급위치(D)에 정지한다. 이 때의 상태를 도7에 나타낸다. 리테이너 지지대(19)가 상기 공간(5a) 내로 진입하고 있다. 리테이너 이송부재(5)가 상기 공급위치(D)에 정지하면 즉시 그리퍼(18, 18)가 닫혀,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된 포대(2)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한다(도8 참조). 또한, 그리퍼(18, 18)가 협지하는 위치는, 정형부재(6, 6, 7, 7)가 협지하는 위치를 벗어난 그 상방위치이다. 또한 입구가 접힌 곳에는 접기용 인너폴(8∼11)이 들어가 있지만, 그리퍼(18, 18)가 협지하는 장소에는 접기용 인너폴(8∼11)의 홈(8a∼11a)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퍼(18, 18)가 실제로 협지하는 것은 포대(2) 만이다.
계속하여 리테이너 이송부재(5)가 상기 공급위치(D)에서 연직으로 하강하고, 리테이너(1)를 리테이너 지지대(19)상에 재치하고,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거리 더 하강한다. 또한, 리테이너(1)의 하강거리(리테이너 지지대(19)가 상기 공급위치(D)에 정지한 시점에서의 리테이너(1)의 저면과 리테이너 지지대(19)의 상면의 높이의 차이)는 극히 작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계속하여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기용 인너폴(8, 9) 및 접기용 인너폴(10, 11)이 내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근하여 측부의 접기부로부터 벗어나고, 정형부재(6, 6) 및 정형부재(7, 7)가 열려서 포대(2)를 해방하여 원래의 대피위치로 온다. 한편 리테이너 이송부재(5)는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와 평행하게 후퇴를 시작한다.
또한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기용 인너폴(8∼11)이 연직으로 상승하여 포대(2)의 입구에서 빠져 나간다.
이 이후에는, 리테이너 이송부재(5)는 수평면내를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와 평행하게 후퇴하고, 상기 이송시작위치(C)에 있어서 공급 콘베이어(3)의 공간(3a) 내로 진입하여 상기 초기위치(도2 참조)로 복귀한다. 정형부재(6, 6, 7, 7), 접기용 인너폴(8∼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도 수평면내를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와 평행하게 후퇴하여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이상의 예 이외에도,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상기의 예에서는, 정형부재(6, 6, 7, 7)가 닫혀서 포대(2)의 입구를 협지하고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지지한 후에도, 접기용 인너폴(8∼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은, 리테이너 이송부재(5) 및 정형부재(6, 6, 7, 7)와 함께 밀봉장치(4)의 이동경로의 공급위치(D)까지 또는 그 근방위치까지 포대(2)의 입구의 접기부에 끼인 채 이동했지만, 정형부재(6, 6, 7, 7)가 닫혀서 포대(2)의 입구를 협지한 후에 즉시 상기 접기부로부터 빠져도 좋다.
(2)상기의 예에서는, 정형 및 이송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리테이너 이송부재(5)의 이동 중에, 정형부재(6, 6, 7, 7), 접기용 인너폴(8∼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이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의 이동에 추종하면서 정형작동을 하였지만, 예를 들면 공급 콘베이어(3)의 반송경로의 이송시작위치(C) 또는 그 바로 위의 위치에서만 동일한 정형작동을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모두 상기(1)의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3)상기의 예는 특히 거세트 포대에 적용되는 형태로서, 포대(2)의 측부를 접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정형장치는 4개의 접기용 인너폴(8∼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을 구비하고 있었다. 한편 평포대나 자립포대와 같이 양쪽 테두리에 사이드 밀봉이 형성되어 있어서, 측부의 접기가 원래 필요하지 않은 포대의 경우에 정형장치는 이들의 부재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평포대나 자립포대와 같은 포대에서도, 정형부재에 의하여 입구를 협지하여 편평한 형상으로 지지하기 전에, 포대(2)의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 위치 어긋남을 수정하는 부재(위치수정용 인너폴)로서, 접기용 인너폴(8∼11)과 마찬가지로 서로 접리하고 또한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하는 한 쌍 또는 여러 쌍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위치수정용 인너폴은,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내에 서로 접근상태로 되고, 계속하여 입구내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서로 이반하여 입구를 편평한 모양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팽팽하게 한다. 위치수정용 인너폴이 한 쌍이면 폭방향으로 이반하고, 폭방향 양단의 사이드 밀봉부에 접촉하여 입구를 팽팽하게 하면 된다.
(4)상기의 예는 특히 거세트 포대에 적용되는 형태로서, 접기용 인너폴(8∼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이 개구한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하는 작용을 구비하고, 정형부재(6, 6, 7, 7)는 주로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된 입구의 형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를 들면 평포대나 자립포대와 같이, 양쪽 테두리에 사이드 밀봉이 형성되고 있어서 측부의 접기가 필요하지 않은 포대의 경우에, 정형부재 자체에 의하여 개구한 입구를 협지하여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하고 또한 그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1 : 리테이너
2 : 포대(거세트 포대)
3 : 공급 콘베이어
4 : 밀봉장치
5 : 리테이너 이송부재
6, 6, 7, 7 : 정형부재
8∼11 : 접기용 인너폴
12, 13 : 접기용 아우터폴
18, 18 : 좌우의 그리퍼
19 : 리테이너 지지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피포장물이 충전된 포대를 수용한 리테이너를 소정의 반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순차적으로 반송하는 공급 콘베이어와,
    원형의 이동경로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이동경로상에서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복수조의 좌우의 그리퍼 및 대응하는 리테이너 지지대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밀봉위치 근방에 배치된 밀봉용의 한 쌍의 열판(熱板)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의 하나인 공급위치에 있어서 상기 포대를 수용한 리테이너의 공급을 받고, 상기 리테이너를 리테이너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하고 또한 상기 포대의 양 테두리부를 좌우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좌우의 그리퍼와 리테이너 지지대의 간헐이동에 따라 상기 포대와 리테이너를 간헐적으로 이동시키고, 그 간헐이동의 과정에서 좌우의 그리퍼의 간격을 넓혀서 상기 포대의 입구를 팽팽하게 하고, 상기 밀봉위치에 있어서 상기 포대의 입구를 상기 열판에 의하여 협지하여 밀봉하는 밀봉장치와,
    상기 반송경로상에 설정된 정지위치의 하나인 이송시작위치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시작위치로부터 상기 공급위치를 향하여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고, 상기 공급위치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지지대상에 재치하고, 그 후에 상기 이송시작위치로 복귀하는 리테이너 이송부재를 구비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가 개구하는 입구 근방을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입구 근방을 편평한 형상으로 지지하는 정형부재를 구비하는 정형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형부재는, 상기 포대의 입구 근방을 협지한 채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이송되어 상기 공급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밀봉장치의 좌우의 그리퍼가 상기 공급위치에 있어서 상기 포대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한 후에 열어서 상기 포대를 해방하고, 계속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부재는, 상기 포대의 폭방향 양측에 한 쌍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는, 상기 이송시작위치에서 대략 수직으로 상승한 후에 상기 밀봉장치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공급위치에 정지한 리테이너 지지대의 상방위치에 도달한 후에 대략 수직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는, 상기 이송시작위치에서 대략 수직으로 상승한 후에 상기 밀봉장치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공급위치에 정지한 리테이너 지지대의 상방위치에 도달한 후에 대략 수직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리테이너 지지대와 상보형상(相補形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리테이너 지지대와 상보형상(相補形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 시스템.
  9. 제3항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콘베이어의 반송경로는 직선 모양이고 그 연장선상에 상기 밀봉장치의 이동경로의 중심이 위치하고, 상기 공급 콘베이어에 의하여 반송되는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는 폭방향이 상기 반송경로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향하고, 상기 좌우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되는 포대의 폭방향은 상기 이동경로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 시스템.
  10. 제3항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는,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자유회전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자유회전 롤러는 그 축방향이 상기 공급 콘베이어의 반송방향과 대략 평행하고, 상기 정형장치는 서로 접리(接離)하고 또한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에 대하여 승강하는 한 쌍 또는 여러 쌍의 위치수정용 인너폴(位置修正用 inner pawl)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수정용 인너폴은 상기 정형부재가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 근방을 협지하기 전에 서로 접근상태에서 상기 포대의 입구내로 들어가고, 계속하여 입구내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서로 이반하여 입구를 편평한 모양 또는 대략 다각형 모양으로 팽팽하게 하여,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는,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자유회전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자유회전 롤러는 그 축방향이 상기 공급 콘베이어의 반송방향과 대략 평행하고, 상기 정형장치는 서로 접리(接離)하고 또한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에 대하여 승강하는 한 쌍 또는 여러 쌍의 위치수정용 인너폴(位置修正用 inner pawl)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수정용 인너폴은 상기 정형부재가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 근방을 협지하기 전에 서로 접근상태에서 상기 포대의 입구내로 들어가고, 계속하여 입구내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서로 이반하여 입구를 편평한 모양 또는 대략 다각형 모양으로 팽팽하게 하여,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는 거세트 포대(gusset bag)이며,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는 리테이너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자유회전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자유회전 롤러는 그 축방향이 상기 공급 콘베이어의 반송방향과 대략 평행하고, 상기 정형장치는, 서로 접리하고 또한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에 대하여 승강하는 4개의 접기용 인너폴과, 서로 접리하는 한 쌍의 접기용 아우터폴을 구비하고, 상기 접기용 인너폴은 상기 밀봉장치의 좌우의 그리퍼의 협지장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홈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접기용 인너폴과 접기용 아우터폴은 상기 정형부재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정형부재가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 근방을 협지하기 전에, 상기 접기용 인너폴은 서로 접근상태에서 상기 포대의 입구내로 들어가고, 입구내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서로 이반하여 입구를 4각형상으로 팽팽하게 하고, 계속하여 상기 접기용 아우터폴이 상기 반송방향과 수직으로 서로 접근하여 상기 포대의 입구 근방의 측면을 내측에 압입하고 또한 상기 접기용 인너폴이 상기 반송방향과 평행하게 서로 접근하고, 이에 따라 포대의 입구 근방에 있어서 양 측면에 내측으로 접히는 접기부를 형성하고, 계속하여 상기 정형부재가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 근방을 협지하고, 상기 좌우의 그리퍼가 포대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하기 전에, 상기 접기용 아우터폴이 서로 이반하여 상기 포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 시스템.
KR1020120083586A 2011-10-19 2012-07-31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방법 및 그 밀봉 시스템 KR101911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9512 2011-10-19
JP2011229512A JP5749134B2 (ja) 2011-10-19 2011-10-19 リテーナに収容された袋の袋口のシール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052A KR20130043052A (ko) 2013-04-29
KR101911857B1 true KR101911857B1 (ko) 2018-10-25

Family

ID=4844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586A KR101911857B1 (ko) 2011-10-19 2012-07-31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방법 및 그 밀봉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49134B2 (ko)
KR (1) KR101911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124B1 (ko) * 2014-06-27 2016-04-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자동 포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포장방법
CN109927980B (zh) * 2019-05-08 2021-03-12 长沙民政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包装加工线的多方位自动旋转式封口装置
KR102318435B1 (ko) * 2021-01-21 2021-11-03 주식회사 모던엠텍 담배 보루 적재 및 필름 포장 장치
CN115432244B (zh) * 2021-06-03 2024-01-23 哈尔滨博实自动化股份有限公司 卧式多工位二次包装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003A (ja) * 2001-11-16 2003-05-27 Toyo Jidoki Co Ltd 袋受渡し装置
WO2004014729A1 (de) 2002-08-06 2004-02-19 Krones Ag Vorrichtung zum befüllen von standbodenbeuteln
JP2004067177A (ja) 2002-08-07 2004-03-04 Toyo Jidoki Co Ltd 超音波シール装置を用いた袋の真空包装方法及び超音波シール装置を備えた真空包装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2801A (ja) * 1981-10-30 1983-05-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包装袋の高速充填装置
JP2000302106A (ja) * 1999-02-15 2000-10-31 Toyo Jidoki Co Ltd 袋詰め包装機に供給する自立型包装袋のリテー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003A (ja) * 2001-11-16 2003-05-27 Toyo Jidoki Co Ltd 袋受渡し装置
WO2004014729A1 (de) 2002-08-06 2004-02-19 Krones Ag Vorrichtung zum befüllen von standbodenbeuteln
JP2004067177A (ja) 2002-08-07 2004-03-04 Toyo Jidoki Co Ltd 超音波シール装置を用いた袋の真空包装方法及び超音波シール装置を備えた真空包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052A (ko) 2013-04-29
JP5749134B2 (ja) 2015-07-15
JP2013086849A (ja)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0382B2 (en) Container packaging apparatus
US7712290B2 (en) Container packaging apparatus
US7568328B2 (en) Container packaging apparatus
EP2282943B1 (en)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a sealed wrapping about an article
KR101911857B1 (ko)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방법 및 그 밀봉 시스템
JPH0571443B2 (ko)
JPH1059306A (ja) ピロータイプ包装装置及びテープ貼付装置
KR20130083364A (ko) 제품봉지 취출장치
KR101913231B1 (ko) 포장방법 및 포장 시스템
EP2248723B1 (en) A sytem for packaging products in stick packs
IT201800009078A1 (it) Metodo per confezionare articoli, e relativa macchina di confezionamento.
CN111094134B (zh) 包装系统和包装物体的方法
KR101784223B1 (ko) 봉지의 탈기, 밀봉방법 및 장치
JP5199372B2 (ja) 折りたためるタイプの容器の充填方法及び装置
KR101824941B1 (ko) M자형 파우치 포장장치
RU2741650C1 (ru) Наполняющая машина для заполнения гибкой упаковки типа пакета
JPH1045103A (ja) 包装装置
GB2074972A (en) Bag loader for packaging machine
US11780616B2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making a pouch type container
TWM626368U (zh) 口罩包裝機
JP6667964B2 (ja) 袋内の被包装物の整形方法並びに袋詰め包装方法及び袋詰め包装機
JP2021187497A (ja) 物品袋詰装置
JP4358047B2 (ja) 包装装置
US20230242294A1 (en) Machine and methods for forming, erecting, and loading a pouch with a product
JP2017159925A (ja) ロール紙積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