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677B1 -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 Google Patents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677B1
KR101911677B1 KR1020140017191A KR20140017191A KR101911677B1 KR 101911677 B1 KR101911677 B1 KR 101911677B1 KR 1020140017191 A KR1020140017191 A KR 1020140017191A KR 20140017191 A KR20140017191 A KR 20140017191A KR 101911677 B1 KR101911677 B1 KR 10191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ing
driving
cover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189A (ko
Inventor
김이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Priority to KR102014001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6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빌랙, 즉 이동식 책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하부커버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전면을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모빌랙의 좌우구성을 해체하지 않고도 전면 구성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부의 수리나 전동식으로의 업그레이드 등이 용이하도록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A Mobile Rack having Rotable Open-and-Shut Structure of Front Panel}
본 발명은 모빌랙, 즉 이동식 책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하부커버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전면을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모빌랙의 좌우구성을 해체하지 않고도 전면 구성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부의 수리나 전동식으로의 업그레이드 등이 용이하도록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랙이라 함은 기존 보관 공간에 한계를 갖고 있는 고정식 책장에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의 책이나 서류 등의 물건을 보관하기 위하여 하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식 보관함을 말한다. 이러한 모빌랙의 활용으로 고밀도의 수납이 가능하고, 수납효율을 2-3배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료의 집중 보관이나 분산 보관을 막론하고 가장 효율적인 자료보관을 구현할 수 있어 공간절약, 환경개선, 사무능률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모빌랙에는 손잡이를 통해 구동기어를 돌려 랙(프레임부)을 이동시키는 수동식 모빌랙과 외부에서 전원공급을 받아 전기모터를 돌려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전동식 모빌랙이 있으며, 전동식 모빌랙의 경우는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힘을 들이지 않고 다수의 프레임부를 동시에 움직일 수 있으므로 편리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 수동식 모빌랙을 전동식 모빌랙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가 많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모빌랙(1)의 구동부(13)는 사용자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손잡이(132)와 함께 제1구동기어(133)가 연동하여 회전하고, 제1구동기어(133)에는 체인이나 벨트 등이 연결되어 제2구동기어(134)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2구동기어(134)와 연결된 제2회동축(135) 상에는 제3구동기어(136)가 형성되어 제2구동기어(134)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제3구동기어(136)에는 체인이나 벨트 등에 의해 모빌랙 하부의 휠과 연결된 휠기어(137)들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패널(111)은 측면에서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아래 특허문헌 참조), 구동부(13)의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부(13)의 구성들에 대한 교체나 수리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모빌랙의 전면패널(111)을 개폐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없고, 반드시 모빌랙의 선반에서 적재된 물건들을 이동시킨 후에, 측면의 볼트를 풀어 구동부(13) 후면의 패널과 같은 구성을 제거한 이후에라야 비로소 교체나 수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구동부(13)의 고장에 의하여 모빌랙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밀착되어 있는 인접한 랙으로 인해 측면 볼트를 풀 수 없어 전면패널(111)을 탈거 조차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구동부(13)의 구성들을 별도의 패널에 장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도 측면에서 볼트를 모두 풀어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은 해결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구동부에 대한 교체나 수리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특허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647호 "모빌랙용 전면 판넬"
또한,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구동부가 전면패널(111)에 고정되기 때문에, 구동부(13)의 모든 구성들의 하중이 전면패널(111)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손잡이의 회전시 회전력만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키다 보니 갑작스런 하중 전달로 인해 책 등이 수납되어 무거워진 모빌랙의 자중에 의한 관성으로 전면패널(111)이 뒤틀어져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모빌랙(1)에서 모빌랙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모빌랙을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12)에 포함되는 연결프레임(123)은 레일(12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지지프레임(124) 사이에 연결되어 다수의 이동지지프레임(124)이 함께 이동하도록 하며,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11)를(도 1 참조) 지지한다. 그러나, 종래 모빌랙(1)은 일측 이동지지프레임(124)에 설치되는 구동부(13)(도 2 참조)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므로, 이동지지프레임(124)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23)은 정지되어 있던 후면측 이동지지프레임(124)에 의해 비틀림 저항을 받게 된다. 따라서, 종래 연결프레임(123)은 오랜 사용에 의해 비틀어지게 되고 이동지지프레임(124) 간을 지지하지 못하여 모빌랙의 이동이 원활치 못하게 되며, 흔들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부(11)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며, 결국에는 모빌랙의 휠(122)이 레일(121)에서 이탈하여 전도되는 문제까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 연결프레임(123)은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음에도 손으로 위치조절을 하여 들고 있는 상태에서 볼트로 이동지지프레임(124)에 고정시켜야 했다. 따라서, 위치조절이 어렵고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어야 할 뿐만 아니라, 볼트로만 고정하기 때문에 프레임부(11)와 모빌랙(1)에 보관되는 물건들의 무게를 지지하기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연결프레임(123)이 처지거나 비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동식 모빌랙의 경우 구동모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들을 연결하게 되는데, 휠이 레일 위를 움직이는 모빌랙의 특성상 전선이 바닥으로 늘어지는 경우 휠이 전선에 걸려 움직이지 않거나, 전선이 단락되어 모빌랙이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동지지프레임에는 구동부의 연결스프라켓(138)이 설치되게 되는데 종래 모빌랙(1)에서는 연결스프라켓(138)이 용접에 의하여 이동지지프레임(124)에 부착되었다. 따라서, 오랜 사용에 의해 체인이 늘어나는 경우 구동부에 의한 구동력을 정상적으로 전달하지 못하여 체인을 다시 교체해 주어야만 했으며, 체인의 교체를 위해서는 모빌랙에 보관된 물건들을 모두 내리고 상부의 프레임부(11)를 해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모빌랙(1)의 경우 수동식 모빌랙을 전동식 모빌랙으로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서는 모빌랙에 보관된 물건을 모두 내리고 프레임부(11)를 모두 해체한 후, 이동부(12)를 뒤집은 상태에서 휠축(미도시)과 휠축연결프레임(125)을 모두 분해하여 구동모터(141)와 기어(143) 등을 설치해야만 했으며, 그렇지 않으면 수동식 모빌랙을 모두 철거하고 전동식 모빌랙으로 교체해야 했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고 오랜 공사기간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모빌랙의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다수의 휠의 휠축 상호 간을 연결시켜 다수의 휠이 동시에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휠축연결프레임에 있어, 휠축과 휠축연결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를 보면, 금속재 휠축연결프레임에 역시 금속재 휠축이 삽입되어 결합하기 때문에 양자 사이의 작은 비틀림이나 유동에도 심한 소음이 발생하고 결합부위가 쉽게 부식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휠축연결프레임(125)에 삽입부재(125a)를 삽입하여 휠축(122a)과의 연결을 견고히 하고자 하였으나, 휠축(122a)이 휠축연결프레임(125)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삽입부재(125a)에 형성되는 삽입공(125a-1)의 폭(W2)을 휠축(122a)의 폭(W1)보다 크게 할 수 밖에 없어, 역시 심한 소음이 발생하고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삽입부재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복수의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모빌랙을 확장한 경우, 앞쪽의 모빌랙과 뒷쪽의 모빌랙 사이의 이동이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지 못하고, 뒤쪽이 앞쪽보다 늦게 이동하는 Time lag(이동지연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하부커버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전면을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여, 회전식 개폐가 가능한 회동커버에 PCB(회로기판)를 부착함으로써 손쉽게 전동식 모빌랙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회동커버의 탈거에 의한 전선 단락의 우려 없이 A/S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골격을 형성하는 수직지지프레임과, 수직지지프레임과 결합하여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는 사이드패널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고정프레임은 사이드패널에 양측이 결합지지되도록 하여 모빌랙의 좌우구성을 해체하지 않고도 전면 구성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부의 수리나 전동식으로의 업그레이드 등이 용이하도록 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지지프레임과 결합하고, 구동부를 결합지지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며, 컨트롤패널은 패널상에 보강판을 추가로 부착하여 컨트롤패널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양측으로 손을 넣을 수 있는 손잡이홈을 갖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여 컨트롤패널의 조립, 분리시 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컨트롤패널을 손쉽게 파지할 수 있고, 컨트롤패널의 전면에 부착된 구동부의 구성들을 용이하게 결합,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결합공을 갖는 수직지지프레임과, 양 측에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끼움돌기를 갖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고, 끼움돌기는 내측으로 결합공의 하단부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컨트롤패널이 수직지지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이동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거치부와, 거치부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레일의 상단부 하부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전도방지부재를 포함하며, 거치부는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상부지지체와, 상부지지체에서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이동지지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측면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동지지프레임이 레일에 지지되어 모빌랙의 흔들림에도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고정브라켓의 일 측면에는 구동부의 연결스프라켓이 결합되어, 모빌랙의 계속적 사용으로 연결스프라켓에 연결된 체인이 느슨해 지는 경우 고정브라켓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여 체인을 팽팽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체인을 교체하지 않고도 정상적인 구동력을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결스프라켓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판과; 전면프레임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후면판과; 전면판과 후면판을 연결하며, 높이조절수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을 갖는 상부판;과 연결스프라켓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높이조절수단은 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높이조절수단이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연결스프라켓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높이조절수단의 간단한 조절만으로 체인의 장력을 정상으로 복구시킬 수 있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높이조절수단에 삽입되고, 상부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수단을 갖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높이조절수단의 회전을 통한 고정브라켓의 위치 조절 후 높이조절수단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여 체인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결스프라켓이 설치되는 전면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안내공을 갖는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전면판은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안내공에 삽입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지지편이 고정브라켓의 높이조절에 따라 안내공을 따라 이동하고, 안내공의 양측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브라켓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단부에서 "ㄱ"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후면판을 포함하고, 지지판은 이동지지프레임의 후면부 내측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고정브라켓이 전면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휠축을 수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휠축에 형성되어 전동식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종동스프라켓부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모빌랙을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전동구동부로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동식 모빌랙의 제조시 종동스프라켓부만 설치하면, 추후 설치환경의 변화에 따라 간단하게 구동모터를 연결하여 손쉽게 전동식 모빌랙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과; 구동브라켓에 지지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부와; 구동스프라켓부와 종동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는 전동구동부를 포함하여 수동식으로 작동하는 구동부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부에 구동브라켓과 구동스프라켓부, 체인부를 연결하여 용이하게 전동구동부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2열로 형성되어 제1,2열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구동스프라켓부와, 양측의 휠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종동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종동스프라켓부와, 제1열스프라켓과 제1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1체인과, 제2열스프라켓과 제2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2체인을 포함하는 체인부를 포함하여, 체인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체인이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구동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을 포함하여 구동브라켓의 자유로운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수동식 모빌랙에 구동브라켓을 손쉽게 부착하여 전동식 모빌랙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전동구동부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설치하여 모빌랙의 다양한 시공과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지지프레임과 맞닿는 판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구동스프라켓부에 삽입되는 지지축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과 맞닿는 판의 반대측 판에 결합되고, 구동스프라켓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공을 갖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구동브라켓을 포함하여 구동스프라켓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구동브라켓이 설치된 상태에서 구동스프라켓부와 구동모터 등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동식 모빌랙으로의 업그레이드가 용이하도록 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은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부커버와 고정프레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은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부커버와 고정프레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은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하부커버와 고정프레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수직골격을 형성하는 수직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는 사이드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사이드패널에 양측이 결합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직지지프레임과 결합하고, 상기 구동부를 결합지지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패널은 패널상에 보강판을 추가로 부착하여 상기 컨트롤패널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양측으로 손을 넣을 수 있는 손잡이홈을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패널의 조립, 분리시 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양 측에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돌기는 내측으로 상기 결합공의 하단부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컨트롤패널이 수직지지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레일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이 레일로부터 이탈하여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전도방지부재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레일의 상단부 하부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상부지지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에서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측면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레일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은 상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 측면에는 상기 구동부의 연결스프라켓이 결합되어, 상기 모빌랙의 계속적 사용으로 상기 연결스프라켓에 연결된 체인이 느슨해 지는 경우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여 상기 체인을 팽팽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연결스프라켓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판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연결하며, 높이조절수단이 삽입되는 체결공을 갖는 상부판;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연결스프라켓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스프라켓이 설치되는 전면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안내공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은 하단부에서 "ㄱ"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후면부 내측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전면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휠과 휠축을 수용하는 이동지지프레임과, 상기 휠축 사이를 연결하는 휠축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휠축을 수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휠축에 형성되어 전동식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종동스프라켓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빌랙을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전동구동부로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전동구동부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과; 상기 구동브라켓에 지지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부와;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와 종동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여, 수동식으로 작동하는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부에 상기 구동브라켓과 구동스프라켓부, 체인부를 연결하여 용이하게 전동구동부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프라켓부는 2열로 형성되어 제1,2열스프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부는 양측의 상기 휠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종동스프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부는 상기 제1열스프라켓과 제1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1체인과, 상기 제2열스프라켓과 제2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2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과 맞닿는 판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에 삽입되는 지지축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과 맞닿는 판의 반대측 판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공을 갖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하부커버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전면을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부커버의 상단과 하부커버의 하단은 고정프레임의 끼움부에 끼워지고, 상부커버의 하단과 하부커버의 상단은 고정프레임에 접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프레임에 결합하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여, 회전식 개폐가 가능한 회동커버에 PCB(회로기판)를 부착함으로써 손쉽게 전동식 모빌랙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회동커버의 탈거에 의한 전선 단락의 우려 없이 A/S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직골격을 형성하는 수직지지프레임과, 수직지지프레임과 결합하여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는 사이드패널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고정프레임은 사이드패널에 양측이 결합지지되도록 하여 모빌랙의 좌우구성을 해체하지 않고도 전면 구성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부의 수리나 전동식으로의 업그레이드 등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직지지프레임과 결합하고, 구동부를 결합지지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며, 컨트롤패널은 패널상에 보강판을 추가로 부착하여 컨트롤패널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양측으로 손을 넣을 수 있는 손잡이홈을 갖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여 컨트롤패널의 조립, 분리시 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컨트롤패널을 손쉽게 파지할 수 있고, 컨트롤패널의 전면에 부착된 구동부의 구성들을 용이하게 결합,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결합공을 갖는 수직지지프레임과, 양 측에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끼움돌기를 갖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고, 끼움돌기는 내측으로 결합공의 하단부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컨트롤패널이 수직지지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이동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거치부와, 거치부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레일의 상단부 하부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전도방지부재를 포함하며, 거치부는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상부지지체와, 상부지지체에서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이동지지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측면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동지지프레임이 레일에 지지되어 모빌랙의 흔들림에도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고정브라켓의 일 측면에는 구동부의 연결스프라켓이 결합되어, 모빌랙의 계속적 사용으로 연결스프라켓에 연결된 체인이 느슨해 지는 경우 고정브라켓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여 체인을 팽팽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체인을 교체하지 않고도 정상적인 구동력을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스프라켓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판과; 전면프레임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후면판과; 전면판과 후면판을 연결하며, 높이조절수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을 갖는 상부판;과 연결스프라켓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높이조절수단은 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높이조절수단이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연결스프라켓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높이조절수단의 간단한 조절만으로 체인의 장력을 정상으로 복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높이조절수단에 삽입되고, 상부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수단을 갖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높이조절수단의 회전을 통한 고정브라켓의 위치 조절 후 높이조절수단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여 체인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스프라켓이 설치되는 전면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안내공을 갖는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전면판은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안내공에 삽입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지지편이 고정브라켓의 높이조절에 따라 안내공을 따라 이동하고, 안내공의 양측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브라켓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단부에서 "ㄱ"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후면판을 포함하고, 지지판은 이동지지프레임의 후면부 내측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고정브라켓이 전면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휠축을 수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휠축에 형성되어 전동식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종동스프라켓부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모빌랙을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전동구동부로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동식 모빌랙의 제조시 종동스프라켓부만 설치하면, 추후 설치환경의 변화에 따라 간단하게 구동모터를 연결하여 손쉽게 전동식 모빌랙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과; 구동브라켓에 지지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부와; 구동스프라켓부와 종동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는 전동구동부를 포함하여 수동식으로 작동하는 구동부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부에 구동브라켓과 구동스프라켓부, 체인부를 연결하여 용이하게 전동구동부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2열로 형성되어 제1,2열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구동스프라켓부와, 양측의 휠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종동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종동스프라켓부와, 제1열스프라켓과 제1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1체인과, 제2열스프라켓과 제2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2체인을 포함하는 체인부를 포함하여, 체인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체인이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구동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을 포함하여 구동브라켓의 자유로운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수동식 모빌랙에 구동브라켓을 손쉽게 부착하여 전동식 모빌랙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전동구동부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설치하여 모빌랙의 다양한 시공과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지지프레임과 맞닿는 판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구동스프라켓부에 삽입되는 지지축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과 맞닿는 판의 반대측 판에 결합되고, 구동스프라켓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공을 갖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구동브라켓을 포함하여 구동스프라켓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구동브라켓이 설치된 상태에서 구동스프라켓부와 구동모터 등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동식 모빌랙으로의 업그레이드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빌랙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모빌랙의 전면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모빌랙의 하부대차구조의 사시도
도 4는 종래 전동식 모빌랙의 구동부의 사시도
도 5는 종래 모빌랙의 휠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전면패널의 개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도 6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컨트롤패널이 수직지지프레임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6의 컨트롤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의 이동부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15는 도 12의 전선수용홈에 전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6은 도 12의 전도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8은 도 12의 고정브라켓이 설치된 이동지지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2의 고정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2의 고정브라켓의 높이조절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의 하이브리드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전동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도 23은 도 21의 구동브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축연결프레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휠축과 커플링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도 24의 휠축과 수용공의 폭을 비교하기 위한 단면도
도 27은 도 24의 휠축이 커플링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을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모빌랙은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3)와; 상기 프레임부(3)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3)를 지지하는 이동부(5)와; 상기 이동부(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7);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3)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하부커버(371,375)와, 상기 상부커버(371)와 하부커버(375)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3)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회동커버(373)를 포함하는 전면패널(37)과; 상기 프레임부(3)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37)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35);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373)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3)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하부커버(371,375)와 고정프레임(35)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3)는 모빌랙 전체의 형태를 형성하는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수직골격을 형성하는 수직지지프레임(31)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과 결합하여 상기 고정프레임(35)을 지지하는 사이드패널(33)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35)은 상기 사이드패널(33)에 양측이 결합지지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3)는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 사이에서 수직 칸막이 형태의 분리막을 형성하는 수직칸막이패널과, 상기 수직칸막이패널 사이사이에 수평으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바닥면을 형성하는 선반 등을 포함하나, 본 발명에서는 모빌랙의 전면을 형성하는 수직지지프레임(31), 사이드패널(33), 고정프레임(35), 전면패널(37)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빌랙의 수직골격을 형성하고,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설치환경에 따른 모빌랙의 확장에 따라 그 숫자의 가감이 가능하다.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에는 상술한 수직칸막이패널, 선반 등이 설치되어 서류, 책 등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나, 모빌랙의 가장 전면에 설치되는 수직지지프레임(31)에는 상기 사이드패널(33), 후술할 컨트롤패널(39) 등이 설치되어 상기 전면패널(37)이 탈착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는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에 전면패널이 직접 연결되어 설치되거나 측면에서의 나사 결합에 의해 설치되어, 구동부의 수리, 교체시 전면패널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다른 구성까지 모두 해체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 모빌랙의 전면을 개폐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결합공(311)(도 10 참조)을 포함하여, 후술할 컨트롤패널(39)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 역시 후술한다.
상기 사이드패널(33)은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전면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패널(33)은 끼움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도록 결합할 수도 있으며,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사이드패널(33)에는 상기 전면패널(37)을 지지하는 상기 고정프레임(35)이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전면패널(37)이 전면에서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35)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이 상기 사이드패널(33)과 결합하여 고정되며, 상기 전면패널(37)과 결합하여 상기 전면패널(37)을 전면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35)은 후술할 상기 전면패널(37)의 상부커버(371)와 결합하는 상부프레임(351)과 전면패널(37)의 하부커버(375)와 결합하는 하부프레임(35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351)은 상기 전면패널(37)의 상부커버(371)가 전면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부커버(371)의 상단이 끼워지는 제1상부프레임(351a)과 상기 상부커버(371)의 하단이 결합되는 제2상부프레임(351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상부프레임(351b)은 상기 상부커버(371)와 체결수단(355)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프레임(351a)은 양측이 상기 사이드패널(33)의 상단과 결합하여 상기 고정프레임(35) 중 가장 윗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커버(371)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절곡되는 끼움부(351a-1)를 갖는다. 상기 끼움부(351a-1)는 상기 상부커버(371)의 "ㄱ" 형상으로 절곡된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 형상으로 상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커버(371)의 절곡된 상단이 상기 끼움부(351a-1)를 둘러싸도록 끼워짐으로써 상기 상부커버(371)가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끼움부(351a-1)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상부커버(371)의 상단의 형상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371)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상부프레임(351a)은 상기 전면패널(37)의 상부커버(371)가 끼움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전면에서 손쉽게 상기 전면패널(37)을 개폐하도록 하여 상기 구동부(7)의 수리나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프레임(351b)은 양측이 상기 사이드패널(33)과 결합하여 지지되며, 상기 상부커버(371)의 하단과 결합한다. 또한, 절곡된 상기 상부커버(371)의 하단이 상기 제2상부프레임(351b)의 하측에 밀착하게 되며, 상기 제2상부프레임(351b)과 상기 상부커버(371)의 절곡된 하단에는 상하로 연통되는 제1관통공(351b-1,371a)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355)에 의해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351b-1,371a)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체결수단(355)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상부프레임(351b)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커버(373)의 일측 상단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37)의 개방시 후술할 전면 패널(37)의 회동커버(373)를 회전식으로 열고, 상기 제1관통공(351b-1,371a)에 체결되어 있는 상기 체결수단(355)을 해제함으로써 손쉽게 상부커버(371)를 전면에서 분리해낼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37)의 상세한 결합, 분리 과정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하부프레임(353)은 상기 전면패널(37)의 하부커버(375)가 전면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하부커버(375)의 하단이 끼워지는 제1하부프레임(353a)과 상기 하부커버(375)의 상단이 결합되는 제2하부프레임(353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하부프레임(353b)은 상기 하부커버(375)와 체결수단(355)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프레임(353a)은 양측이 상기 사이드패널(33)의 상단과 결합하여 상기 고정프레임(35) 중 가장 아랫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커버(375)의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절곡되는 끼움부(353a-1)를 갖는다. 상기 끼움부(353a-1)는 상기 하부커버(375)의 "ㄱ" 형상으로 절곡된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 형상으로 상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커버(375)의 절곡된 하단이 상기 끼움부(353a-1)를 둘러싸도록 끼워짐으로써 상기 하부커버(371)가 고정된다. 상기 제1하부프레임(353a)은 상기 제1상부프레임(351a)과 같은 기능을 가진 구성으로 상기 하부커버(375)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하여 전면에서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 제1하부프레임(353a)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1상부프레임(351a)에 관한 설명과 같다.
상기 제2하부프레임(353b)은 상기 제2상부프레임(351b)과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양측이 상기 사이드패널(33)과 결합하여 지지되며, 상기 하부커버(375)의 상단과 결합한다. 또한, 절곡된 상기 하부커버(375)의 상단이 상기 제2하부프레임(353b)의 상측에 밀착하게 되며, 상기 제2하부프레임(353b)과 상기 하부커버(375)의 절곡된 상단에는 상하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353b-1,375a)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355)에 의해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353b-1,375a)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체결수단(355)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하부프레임(353b)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커버(373)의 일측 하단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37)의 개방시 후술할 전면 패널(37)의 회동커버(373)를 회전식으로 열고, 상기 제2관통공(353b-1,375a)에 체결되어 있는 상기 체결수단(355)을 해제함으로써 손쉽게 하부커버(375)를 분리해낼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37)의 상세한 결합, 분리 과정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체결수단(355)은 상기 제1관통공(351b-1,371a)과 제2관통공(353b-1,375a)에 삽입되어 상기 제2상부프레임(351b)과 상부커버(371)의 하단, 상기 제2하부프레임(353b)과 하부커버(375)의 상단을 결합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통공(351b-1,371a)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제2관통공(353b-1,375a)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회동커버(373)를 열고 손쉽게 상기 상부커버(371)와 하부커버(375)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수단(355)은 나사와 볼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밖에 양 측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37)은 전면부에서 모빌랙을 보았을 때 인지되는 부분으로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하부커버(371,375)와, 상기 상부커버(371)와 하부커버(375)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3)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회동커버(37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커버(371)는 전면패널(37)의 세 부분 중 상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프레임(351)과 결합한다. 상기 상부커버(371)의 상단은 상기 제1상부프레임(351a)의 끼임부(351a-1)에 끼워질 수 있도록 "ㄱ"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끼임부(351a-1)에 끼워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371)의 하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상부프레임(351b)과 접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371)의 하단과 상기 제2상부프레임(351b)에는 상하로 연통되는 제1관통공(371a,351b-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355)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관통공(371a,351b-1)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체결수단(355)이 체결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371)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커버(373)는 일측의 상단은 상기 제2상부프레임(351b)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하고, 일측의 하단은 상기 제2하부프레임(353b)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하여 회전식으로 상기 모빌랙의 전면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커버(373)를 열고 간단하게 상기 상부커버(371)와 하부커버(375)를 탈거하여 구동부(3)의 수리 등을 실시할 수 있으며, 회전식 개폐가 가능한 상기 회동커버(373)에 PCB(회로기판)를 부착함으로써 수동식 모빌랙을 전동식 모빌랙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회동커버의 탈거에 의한 전선 단락의 우려 없이 A/S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빌랙이 구동모터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커버(373)에 PCB(회로기판)가 부착되고, 이와 연결된 전선이 구동모터까지 이어지는데, 상기 회동커버(373)가 탈부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회동커버(373)를 탈거하는 과정에서 전선까지 당겨지게 되어 단락의 위험이 있고, 상기 회동커버(373)를 분리해내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상기 회동커버(373)를 회전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단락의 위험 없이 상기 회동커버(373)가 부착된 채로 A/S 및 업그레이드를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커버(375)는 전면패널(37)의 세 부분 중 하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하부프레임(353)과 결합한다. 상기 하부커버(375)의 하단은 상기 제1하부프레임(353a)의 끼임부(353a-1)에 끼워질 수 있도록 "ㄱ"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끼임부(353a-1)에 끼워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375)의 상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하부프레임(353b)과 접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375)의 상단과 상기 제2하부프레임(353b)에는 상하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375a,353b-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355)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관통공(375a,353b-1)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체결수단(355)이 체결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375)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37)의 개폐방법을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면패널(37)의 결합시에는 상기 상부커버(371)의 상단과 하부커버(375)의 하단을 각각 상기 제1상부프레임(351a)의 끼움부(351a-1)와 제1하부프레임(353a)의 끼움부(353a-1)에 끼우고, 상기 상부커버(371)의 절곡된 하단과 상기 제2상부프레임(351b), 상기 하부커버(375)의 절곡된 상단과 상기 제2하부프레임(353b)을 접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수단(355)을 체결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반면 상기 전면패널(37)의 분리시에는 상기 회동커버(373)를 회전식으로 열고, 상기 체결수단(355)을 해체한 후 상기 상부커버(371)의 상단과 하부커버(375)의 하단을 상기 끼움부(351a-1,353a-1)에서 빼내도록 한다. 따라서, 전면에서 좌우의 다른 구성을 해체하지 않고도 상기 전면패널(37)을 분리할 수 있으며, 간단한 체결수단(355)의 해제만으로 손쉽게 상기 전면패널(37)을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부(3)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3)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과 결합하고, 상기 구동부(7)를 결합지지하는 컨트롤패널(39)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패널(39)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상에 보강판(391a)을 추가로 부착하여 상기 컨트롤패널(39)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39)은 양측으로 손을 넣을 수 있는 손잡이홈(391b)을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패널(39)의 조립, 분리시 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결합공(311)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39)은 양 측에 상기 결합공(311)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끼움돌기(391c)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돌기(391c)는 내측으로 상기 결합공(311)의 하단부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391c-1)을 형성하여 상기 컨트롤패널(39)이 수직지지프레임(3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39)은 모빌랙의 전면에서 상기 전면패널(37)과는 독립적으로 수직지지프레임(31)에 결합지지되면서, 후술할 구동부(7)의 각 구성들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부(7)의 각 구성들이 상기 전면패널(37)이 아닌 별도의 상기 컨트롤패널(39)에 실질적으로 결합지지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동부(7)의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상황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37)만을 개폐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39)은 상기 구동부(7)의 작동시 작용하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에 양단이 결합지지되는 제1컨트롤패널(391)과,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컨트롤패널(391)의 전방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컨트롤패널(391)에 결합지지되는 제2컨트롤패널(39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과 제2컨트롤패널(393)에 결합지지되는 구동부(7)의 구성들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보강판(391a)은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의 패널 상에 부착되며, 상기 컨트롤패널(39)에 결합지지되는 상기 구동부(7)의 작동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판(391a)은 후술하게 될 구동부(7)의 구성 중 제2회동축(75)과 제2구동기어(74)가 설치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제2회동축(75)이 상기 보강판(391a) 상에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의 비틀림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391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마름모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의 비틀림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홈(391b)은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의 양 측에 형성되며, 손을 넣을 수 있도록 관통되어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컨트롤패널(39)의 결합이나 분리시 상기 컨트롤패널(39)을 쉽게 파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에 결합된 제2컨트롤패널(393), 구동부(7)의 구성들, 그리고 상기 부착판(391a)등을 수리나 교체등의 이유로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상기 손잡이홈(391b)을 통해 손을 넣어 너트 등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391c)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의 양측에 후면측으로 돌출되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391c)는 상기 결합공(311)에 삽입되며, 내측으로 상기 결합공(311)의 하단부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391c-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311)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끼움돌기(391c)는 상기 결합공(311)의 상부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홈(391c-1)이 상기 결합공(311)의 하단부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구동부(7)가 결합되어 무거운 무게를 가지고 있는 상기 컨트롤패널(39)을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부(5)(도 12 참조)는 상기 프레임부(3)의 하부에서 프레임부(3)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모빌랙 전체의 골격을 이루는 상기 프레임부(3)를 포함한 모빌랙은 후술한 구동부(7)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바탕으로 상기 이동부(5)가 이동함으로써 조작에 따라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부(2)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7)는 상기 이동부(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접근과 조작이 용이한 모빌랙의 전면에 위치하여 구동부(7)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동부(5)에 전달시켜 이동부(5)를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37)을 전면에서 손쉽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구동부(7)의 교체나 수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7)는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1)에 결합지지되는 컨트롤패널(39)에 독립적으로 결합지지되며, 상기 구동부(7)의 각 구성들은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과 제2컨트롤패널(393)에 나뉘어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패널(39)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상기 구동부(7)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컨트롤패널(393)에 고정되는 제1회동축(71)의 일단에 결합하는 손잡이(72); 상기 제1회동축(71)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구동기어(73); 상기 제1구동기어(73)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에 고정되는 제2회동축(75)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2구동기어(74); 상기 제2회동축(75)의 타단에 결합하여 휠기어(77)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구동기어(7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72), 제1구동기어(73)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회동축(71)은 상기 제2컨트롤패널(393)에 결합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2구동기어(74), 제3구동기어(76)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회동축(75)은 상기 제1컨트롤패널(39)에 결합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부(7)의 각 구성들이 상기 제1컨트롤패널(391)과 제2컨트롤패널(393)에 양분되어 결합지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5)를 도 12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5)는 레일(59)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59)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지지프레임(53)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51)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51)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측면에 접하는 수직부(511)와, 상기 수직부(511)의 말단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에 접하는 수평부(513)와, 상기 수평부(513)의 말단에서 하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 사이에 끼워지는 수직절곡부(515)와, 상기 수직절곡부(515)의 말단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 사이에 끼워지는 수평절곡부(517)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5)는 상기 프레임부(3)의 하부에서 프레임부(3)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모빌랙 전체의 골격을 이루는 상기 프레임부(3)를 포함한 모빌랙은 후술한 구동부(7)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바탕으로 상기 이동부(5)가 이동함으로써 조작에 따라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부(5)는 레일(59)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59)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지지프레임(53)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51)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프레임(51)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일(59)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지지프레임(53)과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이동지지프레임(53) 사이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51)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측면에 접하는 수직부(511)와, 상기 수직부(511)의 말단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에 접하는 수평부(513)와, 상기 수평부(513)의 말단에서 하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 사이에 끼워지는 수직절곡부(515)와, 상기 수직절곡부(515)의 말단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 사이에 끼워지는 수평절곡부(51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51)은 상기 수평절곡부(517)의 말단에서 상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수직절곡부(515) 및 수평절곡부(517)와 함께 상기 구동부(7)와 연결된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수용홈(519a)을 형성하는 상향절곡부(51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511)는 양 끝단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측면과 접하는 부분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돌기수용홈(535)에 삽입되는 고정돌기(511a)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511a)를 돌기수용홈(535)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51)과 이동지지프레임(53)을 결합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511a)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선으로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511a)의 내측 끝부분이 상기 돌기수용홈(535)의 하단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51)이 이동지지프레임(53)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511a)는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기수용홈(535)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고정돌기(511a)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돌기수용홈(53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513)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511)의 상측 말단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에 접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상면돌기(531)를 수용하는 안착홈(513a-1)을 가지는 제1수평부(513a)와, 상기 제1수평부(513a)의 말단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제1수평부(513a)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지는 제2수평부(513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평부(513a)는 상기 수직부(511)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3)와 결합하는 상면돌기(5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안착홈(513a-1)을 갖는다. 상기 제1수평부(513a)는 안착홈(513a-1)을 가짐으로써 상기 상면돌기(531)에 걸리지 않고,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수평부(513b)는 상기 제1수평부(513a)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수평부(513a)보다 양 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끝단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상면에 얹혀져 나사 등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수평부(513b)로 인해 상기 연결프레임(51)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에 걸쳐진 상태가 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부(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직절곡부(515)는 상기 수평부(513)의 말단에서 하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2수평부(513b)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상태에서 절곡되며, 상기 수평절곡부(517)는 상기 수직절곡부(515)의 말단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연결프레임(51)은 이동지지프레임(53)의 이동에 의하여 비틀림 저항을 받게 되고, 반복되는 비틀림에 의하여 변형되어 후면측에 형성되는 이동지지프레임(53)이 동시에 이동하지 못하는 이동지연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수직절곡부(515)와 수평절곡부(517)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51)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향절곡부(519)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절곡부(517)의 말단에서 상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수직절곡부(515) 및 수평절곡부(517)와 함께 상기 구동부(7)와 연결된 전선(E)을 수용하는 전선수용홈(519a)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7)가 전동식으로 구성되어 전동모터 등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7)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E)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전선(E)이 정리될 수 있도록 전선수용홈(519a)을 형성하고, 모빌랙이 확장되는 경우에도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에 형성되는 인입공(533)을 통하여 전선(E)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이 꼬이거나 모빌랙의 휠 등에 걸려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59)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59)을 따라 이동하며, 복수개가 상기 연결프레임(51)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은 하부에서 휠(55)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고 측면과 상면은 폐쇄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3)와 결합하는 상면돌기(531)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공(533)이 형성되어 전선이 통과하도록 하고, 측면에는 상기 돌기수용홈(535)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511a)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전면에는 안내공(536)이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브라켓(539)의 지지편(539a-1)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레일(59)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이 레일(59)로부터 이탈하여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부재(53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은 상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브라켓(53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방지부재(537)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59)을 따라 이동하는 모빌랙이 레일(59)로부터 이탈하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과 레일(59)에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모빌랙은 상부의 수납공간에 많은 책과 서류 등의 물건을 수납하게 되어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닥의 작은 굴곡이나 이동시 흔들림에 의하여 쉽게 전도될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59) 위를 이동하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과 바닥에 설치되는 상기 레일(59)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모빌랙의 전도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도방지부재(537)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에 지지되는 거치부(537a)와, 상기 거치부(537a)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레일(59)의 상단부 하부면에 걸리는 걸림부(537b)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537a)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537a)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이 지지되어 전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거치부(537a)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상부지지체(537a-1)와, 상기 상부지지체(537a-1)에서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내부로 삽입되는 측면지지체(537a-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지지체(537a-1)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상부면이 상기 상부지지체(573a-1)에 걸리도록 수직방향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도방지부재(537)가 양측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경우 양측의 상기 상부지지체(537a-1)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상부에서 타이나 철사 또는 기타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체(537a-2)는 상기 상부지지체(537a-1)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양측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도방지부재(537)는 상기 걸림부(537b)에 의하여 상기 레일(59)에 걸리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측면지지체(537a-2)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걸림부(537b)는 상기 측면지지체(537a-2)의 말단에서 양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레일(59)의 상단부 하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도방지부재(537)는 상기 걸림부(537b)에 의하여 상기 레일(59)에 지지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은 상기 상부지지체(537a-1)와 측면지지체(537a-2)로 구성되는 상기 거치부(537a)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모빌랙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539)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상면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 측면에는 상기 구동부(7)의 연결스프라켓(78)이 결합되어, 상기 모빌랙의 계속적 사용으로 상기 연결스프라켓(78)에 연결된 체인(79)이 느슨해 지는 경우 상기 고정브라켓(539)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여 상기 체인(79)을 팽팽하여 체인을 교체하지 않고도 정상적인 구동력을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539)은 상기 연결스프라켓(78)의 회전축(781)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판(539a)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후면판(539b)과; 상기 전면판(539a)과 후면판(539b)을 연결하며, 높이조절수단(539d)이 삽입되는 체결공(539c-1)을 갖는 상부판(539c);과 상기 고정브라켓(539)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539d)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판(539a)은 상기 고정브라켓(539)의 전면을 구성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연결스프라켓(78)의 회전축(781)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539a)은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536)에 삽입되는 지지편(539a-1)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브라켓(539)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기 지지편(539a-1)은 상기 고정브라켓(539)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안내공(536)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안내공(536)에 삽입되어 양측이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브라켓(539)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후면판(539b)은 상기 고정브라켓(539)의 후면을 구성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을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후면판(539b)은 하단부에서 "ㄱ"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판(539b-1)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539b-1)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후면부 내측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539)이 전면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기 상부판(539c)은 상기 고정브라켓(539)의 상부구성으로, 상기 전면판(539a)과 후면판(539b)을 연결하며, 높이조절수단(539d)이 삽입되는 체결공(539c-1)을 갖는다. 상기 체결공(539c-1)은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539d)이 나사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높이조절수단(539d)과 체결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539d)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539)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539d)은 상기 체결공(539c-1)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브라켓(539)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체결공(539c-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는 나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수단(539d)은 그 하단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공(539c-1)에 깊이 삽입될 수록 상기 고정브라켓(539)의 높이는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539d)에는 고정수단(539e)이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539d)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539e)은 상기 높이조절수단(539d)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판(539c)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539e)은 나사로 형성되는 상기 높이조절수단(539d)에 삽입될 수 있는 너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판(539c)과 밀착되도록 조여지게 되어 상기 고정브라켓(539)이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359)의 높이조절과정을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539e)이 상부판(539c)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체인(79)이 느슨하게 되어 연결스프라켓(78)의 위치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539e)을 풀러 상기 상부판(539c)에서 상측으로 떨어지게 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539d)을 회전시켜 조여주게 되면, 상기 높이조절수단(539d)의 하단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브라켓(539)은 위로 올라가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539)의 높이조절이 끝나게 되면, 도 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539e)을 상부판(539c)에 밀착되도록 조여주어 상기 고정브라켓(539)을 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오랜 사용에 의해 상기 체인(79)이 늘어나는 경우에도 체인(79)을 교체할 필요없이 간단한 나사회전만으로 상기 체인(79)을 팽팽하게 하여 정상적으로 상기 구동부(7)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을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모빌랙은 상기 프레임부(3)와 이동부(5), 구동부(7)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5)는 레일(59) 위를 이동하는 휠(55)과 휠축(551)을 수용하는 이동지지프레임(53)과, 상기 휠축(551) 사이를 연결하는 휠축연결프레임(57)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7)는 상기 휠축(551)를 수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휠축(551)에 형성되어 전동식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종동스프라켓부(85)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동지지프레임(53)의 일측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구동브라켓(81)과 종동스프라켓부(85)를 포함하여, 모빌랙을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전동구동부(8)로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구동부(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손잡이(72)를 회전시켜 이동시키는 수동식 모빌랙에 있어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동식 모빌랙의 제조시 상기 종동스프라켓부(85)만을 상기 휠축(551)에 끼워 납품하거나 또는 상기 종동스프라켓부(85)와 구동브라켓(81)을 설치하여 납품하고, 추후 설치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동식 모빌랙으로 업그레이드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종동스프라켓부(85) 및/또는 구동브라켓(81)에 구동스프라켓부(83)와 체인부(87), 구동모터(89)를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빌랙을 모두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후술할 구동스프라켓부(83)와 체인부(87) 등을 이용해 손쉽게 수동식 모빌랙을 전동식 모빌랙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3)와 이동지지프레임(53), 구동부(7)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휠축연결프레임(57)과 전동구동부(8)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휠축연결프레임(57)은 상기 레일(59) 위를 이동하는 휠(55)의 휠축(551)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휠축(551)이 상기 구동부(7) 또는 전동구동부(8)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전동구동부(8)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일측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휠축(551)을 전동식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81)과; 상기 구동브라켓(81)에 지지되며, 구동모터(89)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부(83)와; 상기 휠축(551)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스프라켓부(85)와,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와 종동스프라켓부(85)를 연결하는 체인부(87)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브라켓(81)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의 전면 또는 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구동부(7)를 전동식으로 업그레이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구동브라켓(81)을 측면에서 부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모빌랙에 있어서 모든 구성을 해체하고 상기 이동부(5)를 뒤집은 상태에서 전동구동부(8)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구동브라켓(81)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지지프레임(53)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구동브라켓(81)은 내부에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가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과 맞닿는 판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에 삽입되는 지지축(811)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과 맞닿는 판의 반대측 판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공(813a)을 갖는 지지판(813);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축(811)은 상기 구동브라켓(8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가 상기 지지축(8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813)은 상기 지지축(811)이 형성되는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브라켓(811)에 나사 등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813)은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가 삽입되는 삽입공(813a)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는 상기 삽입공(813a)에 지지된다. 상기 구동브라켓(81)은 상기 지지판(813)을 탈착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에 상기 구동브라켓(81)만 설치하면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를 손쉽게 연결하여 상기 전동구동부(8)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는 상기 구동모터(89)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81)에 지지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는 상기 종동스프라켓부(85)와 체인부(87)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가 구동모터(89)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 상기 체인부(87)도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의 회전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상기 체인부(87)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종동스프라켓부(85)도 회전하게 되어 상기 휠축(551)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부(5)를 움직이게 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는 2열로 형성되어 제1,2열스프라켓(831,833)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열스프라켓(831,833)은 각각 반대측에 형성된 후술할 제1,2종동스프라켓(851,853)과 제1,2체인(871,873)으로 연결되어 상기 체인부(87)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체인부(87)가 팽팽한 상태에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구동력이 상기 이동부(5)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종동스프라켓부(85)는 상기 휠축(551)에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와 체인부(87)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종동스프라켓부(85)는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를 중심으로 양측의 휠축(551)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열스프라켓(831)과 연결되는 제1종동스프라켓(851)과 상기 제2열스프라켓(833)과 연결되는 제2종동스프라켓(853)을 포함한다. 상기 제1,2종동스프라켓(851,853)는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의 회전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휠축(551)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부(5)를 이동시킨다. 상기 모빌랙에 상기 종동스프라켓부(85)만 설치되어있다면, 모빌랙을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상기 구동브라켓(81)과 구동스프라켓(83), 체인부(87)를 연결하여 손쉽게 상기 모빌랙을 전동식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체인부(87)는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와 종동스프라켓부(85)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1열스프라켓(831)과 제1종동스프라켓(851)을 연결하는 제1체인(871)과 상기 제2열스프라켓(833)과 제2종동스프라켓(853)을 연결하는 제2체인(873)을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체인부(87)는 제1,2체인(871,873)으로 나뉘어 형성되고, 각각 반대측에 형성된 상기 제1,2종동스프라켓(851,853)과 연결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체인으로 양측의 종동스프라켓부(85)와 구동스프라켓부(83)를 연결하는 것에 비하여, 체인을 팽팽하게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상기 구동모터(89)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89)는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일반모터가 적용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부(833)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5)를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5)는 레일(59) 위를 이동하는 휠(55)과 휠축(551)을 수용하는 이동지지프레임(53)과, 상기 휠축(551) 사이를 연결하는 휠축연결프레임(57)을 포함하고, 상기 휠축연결프레임(57)은 상기 휠축(551)을 수용하는 수용공(571a)을 가지는 커플링(571)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571a)은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부(571a-1)와, 상기 경사부(571a-1)의 말단에서 연장되며 일정한 폭을 가지는 평행부(571a-2)를 포함하여, 상기 휠축(551)을 상기 휠축연결프레임(57)에 용이하게 밀착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지지프레임(53)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상기 휠축연결프레임(57)은 상기 레일(59) 위를 이동하는 휠(55)의 휠축(551)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휠축(551)이 상기 구동부(7)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휠축연결프레임(57)은 상기 휠축(551)을 수용하는 수용공(571a)을 가지는 커플링(571)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휠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단순히 휠 양측의 휠축을 직접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 종래의 구조에서는 오랫동안 작동하면서 휠과 휠축이 모빌랙의 하중을 받게 되면 휠이 위치에서 이탈하거나 변형되어 이동시 심한 소음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휠축이나 지지프레임 자체가 변형 내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종래 휠축연결프레임에 있어서도 단순히 금속재 휠축연결프레임에 역시 금속재의 휠축의 직접 삽입되어 결합하는 구조에서는 양자 사이의 작은 비틀림이나 유동에도 심한 소음이 발생하고 결합부위가 쉽게 부식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휠축을 휠축연결프레임에 삽입할 때에도 쉽게 삽입되지 않아 휠축이 삽입되는 휠축연결프레임의 삽입공을 크게 할 수 밖에 없었는데, 이렇게 되면 휠축이 고정되지 못하고 헛돌거나 역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모빌랙을 확장한 경우, 앞쪽의 모빌랙과 뒷쪽의 모빌랙 사이의 이동이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지 못하고, 뒤쪽이 앞쪽보다 늦게 이동하는 Time lag(이동지연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571a)을 가지는 커플링(571)을 상기 휠축연결프레임(57)에 삽입하여 상기 휠축(551)과 휠축연결프레임(57)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자 한다.
*상기 커플링(571)은 상기 휠축연결프레임(57)의 양측 끝단에 삽입되며,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휠축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수용공(571a)을 갖는다. 상기 커플링(571)은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휠축(551)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스틸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571a)은 상기 휠축(55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멍으로, 상기 휠축(551)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휠축(551)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상기 수용공(571a)은 양측이 절단된 비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기 수용공(571a)에 삽입된 상기 휠축(551)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571a)은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부(571a-1)와, 상기 경사부(571a-1)의 말단에서 연장되며 일정한 폭을 가지는 평행부(571a-2)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571a-1)는 상기 휠축(551)이 삽입되는 입구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경사부(571a-1)의 폭(d2)은 상기 휠축(551)의 폭(d1)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휠축(55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571a-1)의 폭(d2)은 말단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여 상기 평행부(571a-2)와 만나는 지점에서는 상기 휠축(551)의 폭(d1)과 같아지도록 한다. 따라서, 도 27의(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휠축(551)은 상기 경사부(571a-1)와 평행부(571a-2)가 만나는 지점을 미끄러져 들어가며, 상기 휠축(551)과 같은 폭(d1)의 크기를 갖는 상기 평행부(571a-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평행부(571a-2)는 상기 휠축(551)이 삽입되어 밀착,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경사부(571a-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평행부(571a-2)의 폭(d1)은 상기 휠축(551)의 폭(d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휠축(551)은 상기 평행부(571a-2)에 용이하게 삽입되면서도, 도 27의(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평행부(571a-2)와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휠축(551)은 헛돌지 않고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소음이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프레임부
31: 수직지지프레임 311: 결합공
33: 사이드패널
35: 고정프레임
351: 상부고정프레임 351a: 제1상부프레임 351a-1: 끼움부
351b: 제2상부프레임 351b-1: 제1관통공
353: 하부고정프레임 353a: 제1하부프레임 353a-1: 끼움부
353b: 제2하부프레임 353b-1: 제2관통공
37: 전면패널 371: 상부커버 371a: 제1관통공
373: 중간커버 375: 하부커버 375a: 제2관통공
39: 컨트롤패널
391: 제1컨트롤패널 391a: 보강판 391b: 손잡이홈
391c: 끼움돌기 391c-1: 삽입홈
393: 제2컨트롤패널
5: 이동부
51: 연결프레임
511: 수직부 511a: 고정돌기 513: 수평부
513a: 제1수평부 513a-1: 안착홈 513b: 제2수평부
515: 수직절곡부 517: 수평절곡부 519: 상향절곡부
519a: 전선수용홈
53: 이동지지프레임 531: 상면돌기 533: 인입공
535: 돌기수용홈 536: 안내공
537: 전도방지부재
537a: 거치부 537a-1: 상부지지체 537a-2: 측면지지체
537b: 걸림부
539: 고정브라켓
539a: 전면판 539a-1: 지지편 539b: 후면판
539b-1: 지지판 539c: 상부판 539c-1: 체결공
531d: 높이조절수단 531e: 고정수단
55: 휠 551: 휠축
57: 휠축연결프레임 571: 커플링 571a: 수용공
571a-1: 경사부 571a-2: 평행부
59: 레일
7: 구동부
71: 제1회동축 72: 손잡이 73: 제1구동기어
74: 제2구동기어 75: 제2회동축 76: 제3구동기어
77: 휠기어 78: 연결스프라켓 79: 체인
8: 전동구동부
81: 구동브라켓
811: 지지축 813: 지지판 813a: 삽입공
83: 구동스프라켓부 831: 제1열스프라켓 833: 제2열스프라켓
85: 종동스프라켓부 851: 제1종동스프라켓 853: 제2종동스프라켓
87: 체인부 871: 제1체인 873: 제2체인
89: 구동모터
* 종래 기술과 관련된 부호
1: 종래 모빌랙
11: 프레임부 111: 전면패널 112: 수직지지프레임
12: 이동부 121: 레일 122: 휠 122a: 휠축
123: 연결프레임 124: 이동지지프레임 125: 휠축연결프레임
13: 구동부 131: 제1회동축 132: 손잡이
133: 제1구동기어 134: 제2구동기어 135: 제2회동축
136: 제3구동기어 137: 휠기어 138: 연결스프라켓
14: 전동식 구동부
141: 구동모터 142: 체인 143: 기어

Claims (19)

  1.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레일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이 레일로부터 이탈하여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방지부재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레일의 상단부 하부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상부지지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에서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측면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2.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하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레일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이 레일로부터 이탈하여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방지부재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레일의 상단부 하부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상부지지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에서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측면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3.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하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레일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이 레일로부터 이탈하여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방지부재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레일의 상단부 하부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상부지지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에서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측면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수직골격을 형성하는 수직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는 사이드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사이드패널에 양측이 결합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직지지프레임과 결합하고, 상기 구동부를 결합지지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패널은 양측으로 손을 넣을 수 있는 손잡이홈을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패널의 조립, 분리시 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양 측에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돌기는 내측으로 상기 결합공의 하단부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컨트롤패널이 수직지지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7.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레일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은 상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 측면에는 상기 구동부의 연결스프라켓이 결합되어, 상기 모빌랙의 계속적 사용으로 상기 연결스프라켓에 연결된 체인이 느슨해 지는 경우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여 상기 체인을 팽팽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8.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하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레일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은 상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 측면에는 상기 구동부의 연결스프라켓이 결합되어, 상기 모빌랙의 계속적 사용으로 상기 연결스프라켓에 연결된 체인이 느슨해 지는 경우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여 상기 체인을 팽팽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9.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하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레일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이동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은 상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 측면에는 상기 구동부의 연결스프라켓이 결합되어, 상기 모빌랙의 계속적 사용으로 상기 연결스프라켓에 연결된 체인이 느슨해 지는 경우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여 상기 체인을 팽팽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연결스프라켓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판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연결하며, 높이조절수단이 삽입되는 체결공을 갖는 상부판;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연결스프라켓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스프라켓이 설치되는 전면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안내공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은 하단부에서 "ㄱ"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후면부 내측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전면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14.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휠과 휠축을 수용하는 이동지지프레임과, 상기 휠축 사이를 연결하는 휠축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휠축을 수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휠축에 형성되어 전동식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종동스프라켓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빌랙을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전동구동부로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동구동부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과; 상기 구동브라켓에 지지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부와;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와 종동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여, 수동식으로 작동하는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부에 상기 구동브라켓과 구동스프라켓부, 체인부를 연결하여 용이하게 전동구동부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상기 구동스프라켓부는, 2열로 형성되어 제1,2열스프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부는 양측의 상기 휠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종동스프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부는 상기 제1열스프라켓과 제1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1체인과, 상기 제2열스프라켓과 제2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2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15.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하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휠과 휠축을 수용하는 이동지지프레임과, 상기 휠축 사이를 연결하는 휠축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휠축을 수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휠축에 형성되어 전동식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종동스프라켓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빌랙을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전동구동부로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동구동부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과; 상기 구동브라켓에 지지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부와;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와 종동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여, 수동식으로 작동하는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부에 상기 구동브라켓과 구동스프라켓부, 체인부를 연결하여 용이하게 전동구동부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상기 구동스프라켓부는, 2열로 형성되어 제1,2열스프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부는 양측의 상기 휠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종동스프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부는 상기 제1열스프라켓과 제1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1체인과, 상기 제2열스프라켓과 제2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2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16.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하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휠과 휠축을 수용하는 이동지지프레임과, 상기 휠축 사이를 연결하는 휠축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휠축을 수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휠축에 형성되어 전동식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종동스프라켓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빌랙을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전동구동부로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동구동부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과; 상기 구동브라켓에 지지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부와;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와 종동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여, 수동식으로 작동하는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부에 상기 구동브라켓과 구동스프라켓부, 체인부를 연결하여 용이하게 전동구동부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상기 구동스프라켓부는, 2열로 형성되어 제1,2열스프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부는 양측의 상기 휠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종동스프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부는 상기 제1열스프라켓과 제1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1체인과, 상기 제2열스프라켓과 제2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2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17.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휠과 휠축을 수용하는 이동지지프레임과, 상기 휠축 사이를 연결하는 휠축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휠축을 수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휠축에 형성되어 전동식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종동스프라켓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빌랙을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전동구동부로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동구동부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과; 상기 구동브라켓에 지지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부와;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와 종동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여, 수동식으로 작동하는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부에 상기 구동브라켓과 구동스프라켓부, 체인부를 연결하여 용이하게 전동구동부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상기 구동브라켓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과 맞닿는 판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에 삽입되는 지지축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과 맞닿는 판의 반대측 판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공을 갖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18.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하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휠과 휠축을 수용하는 이동지지프레임과, 상기 휠축 사이를 연결하는 휠축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휠축을 수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휠축에 형성되어 전동식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종동스프라켓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빌랙을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전동구동부로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동구동부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과; 상기 구동브라켓에 지지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부와;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와 종동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여, 수동식으로 작동하는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부에 상기 구동브라켓과 구동스프라켓부, 체인부를 연결하여 용이하게 전동구동부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상기 구동브라켓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과 맞닿는 판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에 삽입되는 지지축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과 맞닿는 판의 반대측 판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공을 갖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19.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상,하부커버와 고정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휠과 휠축을 수용하는 이동지지프레임과, 상기 휠축 사이를 연결하는 휠축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휠축을 수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휠축에 형성되어 전동식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종동스프라켓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빌랙을 해체하여 뒤집지 않고도 전동구동부로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동구동부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브라켓과; 상기 구동브라켓에 지지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부와;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와 종동스프라켓부를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여, 수동식으로 작동하는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부에 상기 구동브라켓과 구동스프라켓부, 체인부를 연결하여 용이하게 전동구동부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상기 구동브라켓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과 맞닿는 판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에 삽입되는 지지축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과 맞닿는 판의 반대측 판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공을 갖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스프라켓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KR1020140017191A 2014-02-14 2014-02-14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KR101911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191A KR101911677B1 (ko) 2014-02-14 2014-02-14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191A KR101911677B1 (ko) 2014-02-14 2014-02-14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730A Division KR101381818B1 (ko) 2013-10-14 2013-10-14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189A KR20150043189A (ko) 2015-04-22
KR101911677B1 true KR101911677B1 (ko) 2018-10-25

Family

ID=5303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191A KR101911677B1 (ko) 2014-02-14 2014-02-14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0565B (zh) * 2019-03-05 2024-03-19 太原工业学院 一种学生管理资料分类管理的装备
US11690447B2 (en) * 2021-07-01 2023-07-04 Compact Engineering LLC Track system for use with a storage ra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739B1 (ko) * 2008-11-20 2009-04-03 (주)동성 Naiki 모빌랙 수장고의 수동 및 전동 겸용 조작장치
JP4494953B2 (ja) * 2004-12-16 2010-06-30 株式会社 三光システム 移動棚のサドル構造
KR101117227B1 (ko) * 2011-07-12 2012-03-16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4953B2 (ja) * 2004-12-16 2010-06-30 株式会社 三光システム 移動棚のサドル構造
KR100891739B1 (ko) * 2008-11-20 2009-04-03 (주)동성 Naiki 모빌랙 수장고의 수동 및 전동 겸용 조작장치
KR101117227B1 (ko) * 2011-07-12 2012-03-16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189A (ko)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873B1 (ko) 하이브리드 구동부를 가진 모빌랙
US8864611B2 (en) Front derailleur
JP2010112164A (ja) ドア枠とドア扉の間の被覆構造体用のドアヒンジ
KR101911677B1 (ko)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US20140155204A1 (en) Front derailleur
US20080105633A1 (en) Tiltable Mounting Bracket
JP2010112164A5 (ko)
CN101061287B (zh) 调节驱动装置
KR101381818B1 (ko)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WO2024040938A1 (zh) 座椅结构总成及车辆
KR101381819B1 (ko) 하이브리드 구동부를 가진 모빌랙
US2006021507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ower-driven structure
KR100792193B1 (ko)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210000873A (ko)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KR101376208B1 (ko) 개선된 커플링 구조를 갖는 모빌랙
WO2012048851A1 (en) Hidden device for the wall assembly of a structural component of a piece of furniture, with regulation from above
KR101376204B1 (ko) 비틀림을 방지하는 하부대차구조를 갖는 모빌랙
US6684931B2 (en) Counter weight door
CN208325427U (zh) 一种站驾式牵引车
US20100088963A1 (en) Ceiling driving unit for moving doors
CN202800849U (zh) 平铺式床护栏
CN210807897U (zh) 一种演播车上的单冷机柜
CN205370219U (zh) 挂式铰链装置及其门体结构
CN115979562B (zh) 一种振动测试设备固定装置
CN220374675U (zh) 电动滑板车的可调节脚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