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227B1 -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 Google Patents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227B1
KR101117227B1 KR1020110068954A KR20110068954A KR101117227B1 KR 101117227 B1 KR101117227 B1 KR 101117227B1 KR 1020110068954 A KR1020110068954 A KR 1020110068954A KR 20110068954 A KR20110068954 A KR 20110068954A KR 101117227 B1 KR101117227 B1 KR 10111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rack
unit
frame
control devi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Priority to KR102011006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26Racks equipped with a displaceable load carrying surface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빌랙 즉, 이동식 책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 모빌랙의 운용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에 전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 및 모빌랙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모빌랙의 운용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부로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거리및진입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감지된 거리변화에 따라 전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물품의 낙하 및 손상을 방지하고 거리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모빌랙 상부에 진입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감지된 거리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며, 온도및습도센서를 통해 모빌랙의 온도 또는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모빌랙 운용환경 및 화재 등의 긴급상황을 상시 파악하고, 모빌랙에서 발생한 상황 및 작동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회로를 포함하고, 프레임부 전면부에 다수의 LED를 포함하여 프레임부의 이동, 사용자 진입, 제어장치상 에러 등과 같은 모빌랙의 상황 각각에 구별되는 점등신호를 표시함으로써 모빌랙 운용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A Mobile Rack having sensors}
본 발명은 모빌랙 즉, 이동식 책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 모빌랙의 운용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에 전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 및 모빌랙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모빌랙의 운용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부로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거리및진입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감지된 거리변화에 따라 전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물품의 낙하 및 손상을 방지하고 거리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모빌랙 상부에 진입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감지된 거리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며,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를 통해 모빌랙의 온도 또는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모빌랙 운용환경 및 화재 등의 긴급상황을 상시 파악하고, 모빌랙에서 발생한 상황 및 작동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회로를 포함하고, 프레임부 전면부에 다수의 LED를 포함하여 프레임부의 이동, 사용자 진입, 제어장치상 에러 등과 같은 모빌랙의 상황 각각에 구별되는 점등신호를 표시함으로써 모빌랙 운용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랙이라 함은 기존 보관 공간에 한계를 갖고 있는 고정식 책장에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의 책이나 서류 등의 물건을 보관하기 위하여 하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식 보관함을 말한다. 이러한 모빌랙의 활용으로 고밀도의 수납이 가능하고, 수납효율을 2~3배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료의 집중 보관이나 분산 보관을 막론하고 가장 효율적인 자료보관을 구현할 수 있어 공간절약, 환경개선, 사무능률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모빌랙은 슬레이브랙을 제어하고 수납을 위한 선반을 구비한 마스터랙과 레일 위를 움직이면서 마스터랙에 의해 제어되며 수납을 위한 선반을 갖는 슬래이브랙으로 구성된다. 모빌랙에는 손잡이를 통해 구동기어를 돌려 랙(이하 프레임부라 한다.)을 이동시키는 수동식 모빌랙과 외부에서 전원공급을 받아 전기모터를 돌려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전동식 모빌랙이 있다. 전동식 모빌랙의 경우는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힘을 들이지 않고 다수의 프레임부를 동시에 움직일 수 있으므로 편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 프레임부의 이동 중 안정성 확보를 위한 구성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안전성 확보 수단의 예로 리미트스위치가 있는데, 프레임부의 측면 하단에 위치하며 모빌랙이 이동되는 중에 두 개의 프레임부 사이에 사람이 진입한 경우 리미트스위치가 사람의 신체에 닿는 순간 프레임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구성이다. 이처럼 두 개의 프레임부 사이 공간에 물체가 진입한 경우 안전성 확보 수단이 필요하고, 이러한 안전성 확보 수단은 프레임부상의 여러 위치에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프레임부가 갑자기 높은 속도로 움직이게 되거나 프레임부가 갑자기 정지하게 되는 경우 급격한 외력에 의해 모빌랙의 손상이 생길 수 있고, 선반 위의 물체들은 관성으로 인해 지면으로 낙하하게 되어 2차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의 이동속도를 적당하게 제어하기 위한 구조 또한 필요로 한다.
또한, 모빌랙은 고서나 방대한 문서 또는 유물 등의 보관을 위해 활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물체를 보관하는 단순한 기능 외에도 보관환경을 상시로 점검하는 기능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서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화재나 부패의 위험에 대비해 온도나 습도를 상시로 파악하는 기능을 구비한 모빌랙은 매우 요긴할 수 있다.
아울러, 모빌랙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환기시켜 안전함과 편리함을 추구하는 기능도 요구된다.
한편, 위와 같은 전동식 모빌랙의 경우도 모빌랙에 보관 중인 서류정보를 외부에서 확인하거나 모빌랙의 상태점검이 필요한 경우 모빌랙이 설치된 장소까지 직접 와서 확인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방대한 양의 문서나 물건을 복수의 모빌랙에 보관한 경우 모든 모빌랙을 직접 방문하여 보관정보를 확인하는 일은 업무의 효율성을 현저히 떨어뜨린다. 따라서, 복수의 모빌랙의 정보에 대한 쉽고 간편한 접근방안이 요청된다.
아울러, 모빌랙은 비교적 넓은 공간에 설치되는 시스템의 일종인 바, 이러한 설치 시스템은 프로그램이 장치에 내장되므로 유지보수가 힘든 반면, 장치는 고가이면서 반영구적인 사용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내장 프로그램을 유지보수하는 경우도 장치를 개방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므로 외부기기를 통해 편리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더욱이 기존의 전동식 모빌랙은 사용자가 모빌랙이 설치된 공간에 있는 경우도 각 프레임부(슬레이브 랙)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제외하고는 마스터 프레임부를 통해서만 정보조회나 전체적인 모빌랙 제어가 가능하므로 종종 슬레이브 프레임부에서 마스터 프레임부까지 오가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종래 모빌랙의 다른 문제점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도 8은 일반적인 모빌랙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종래 모빌랙의 전면패널과 구동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상부 단면도이고, 도 11는 종래 모빌랙의 선반구조를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종래 모빌랙의 휠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3은 종래 모빌랙의 휠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종래의 모빌랙의 구동조작부의 구조는 사용자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b)와 연결된 제1회동축(a)상에 잠금기어(c)(이때, 잠금기어(c)의 상부에는 잠금돌기(d)가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잠금돌기(d)가 하향 이동하여 잠금기어(c)의 기어치와 결합하게 되는 경우에는 잠금기어(c)의 회동이 정지되어 구동조작부 전체의 구동이 정지하게 된다)와 제1구동기어(e)가 형성되어 손잡이부(b)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구동기어(e)에는 체인(p)이나 벨트 등에 의해 제2구동기어(f)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제2구동기어(f)와 연결된 제2회동축(g)상에는 제3구동기어(h)가 형성되어 제2구동기어(f)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3구동기어(h)에는 체인(p)이나 벨트 등에 의해 모빌랙 하부의 휠과 연결된 휠기어(i)들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축(a)과 제2회동축(g)이 모두 모빌랙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패널(j)에 고정수단(o)으로 결합고정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제1회동축(a)과 제2회동축(g)에 연결된 구동조작부의 모든 구성들의 하중이 전면패널(j)에 전달될뿐만아니라, 손잡이부(b)의 회전시 회전력만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키다 보니 갑작스런 하중 전달로 인해 책 등이 수납되어 무거워진 모빌랙의 자중에 의한 관성으로 전면패널(j)이 뒤틀어져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전면패널(j)이 구동조작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조작부의 구성들에 대한 교체나 수리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모빌랙의 전면에서 전면패널(j)을 개폐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없고, 반드시 모빌랙의 선반에서 적재된 물건들을 이동시킨 후에 구동조작부 후면의 수직칸막이패널과 같은 구성을 제거한 이후에라야 비로소 후면에서 교체나 수리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으므로, 구동조작부에 대한 교체나 수리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해지는 문제도 안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구성들을 갖는 구동조작부에 대한 교체나 수리작업을 위해서는 그에 필요한 다양한 공구들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기존 모빌랙에서는 이러한 필요한 공구들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이를 별도로 보관해둘 수 없고 따라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필요한 공구와 함께 와야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자주 발생하게 되는 구동조작부의 사소한 잔고장에도 반드시 공구와 함께 작업자가 현장에 방문해야만 수리를 할 수 있게 되는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도 11를 참조하면, 종래의 모빌랙에서 물건을 적재하게 되는 선반(k)은 수평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선반(k)의 하부는 단순히 선반(k)이 하향으로 처지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폭을 갖는 판재를 덧대거나 보강리브(k-1)와 같은 구성이 결합되어 있을 뿐이므로, 선반(k)에 적재된 책 등의 무게에 의해 선반이 처지는 문제가 있고, 선반(k)에 적재되어 밑면이 선반에 밀착하게 되는 물건의 하부에는 통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습기 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통기와 강도 보강에 효과적인 선반 하부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도 12와 13을 참조하면, 종래의 모빌랙에서 모빌랙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모빌랙의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에 포함되는 휠(l)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m)은 단순히 휠(l) 양측의 휠축(l-1)을 지지하는 구조에 불과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작동하면서 휠(l)과 휠축(l-1)이 모빌랙의 하중을 받게 되면 휠(l)이 위치에서 이탈하거나 변형되어 이동시 심한 소음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휠축(l-1)이나 지지프레임(m) 자체가 변형 내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휠(l)과 휠축(l-1)이 별개로 생산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앞서 구동조작부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이 휠기어(i)를 통해 휠축(l-1)에 전달되어 휠축(l-1)과 휠(l)이 회동하게 되는 과정에서 휠축(l-1)과 휠(l) 사이에 어느 하나가 덜 회전하게 되는 백래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빌랙의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다수의 휠(l)의 휠축(l-1) 상호 간을 연결시켜 다수의 휠(l)이 동시에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휠축연결프레임(n)에 있어, 휠축(l-1)과 휠축연결프레임(n)이 결합되는 구조를 보면, 금속제 휠축연결프레임(n)에 역시 금속제의 휠축(l-1)이 삽입되어 결합하기 때문에 양자 사이의 작은 비틀림이나 유동에도 심한 소음이 발생하고 결합부위가 쉽게 부식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에 전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와, 모빌랙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모빌랙의 작동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부로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부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모빌랙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장치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동모터를 가동시키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의 신호에 따라 전동력을 생성하여 이동부에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힘을 들이지 않고 다수의 프레임부를 동시에 움직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레임부의 이동 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센서부는 마주보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거리및진입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감지된 거리변화에 따라 전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물품의 낙하 및 손상을 방지하고 거리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을 정지시키는 거리및진입감지회로를 포함하여, 한 종류의 센서로 프레임부사이의 물체진입을 감지할 뿐 아니라, 프레임부가 갑자기 고속으로 움직이거나 고속으로 움직이다가 갑자기 저속으로 움직이는 경우 급격한 외력에 의해 프레임부가 손상되거나 선반 위의 물체들이 관성으로 낙하하게 되어 생기는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거리및진입감지센서를 모빌랙의 상부에 설치하여 지면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고 감지된 거리의 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거리및진입감지센서를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프레임부의 이동중에 사람이나 물체가 프레임부 사이의 공간의 어느 부위에 진입하건 안전하게 프레임부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센서부는 모빌랙의 온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온도센서 또는 모빌랙의 습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모빌랙의 온도 또는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온도및습도감지회로를 포함하여, 고서나 방대한 문서 또는 유물 등을 보관하는 도서관이나 박물관에서 화재나 부패의 위험에 대비해 온도나 습도를 상시로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어장치는 모빌랙에서 발생한 상황 및 작동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회로를 포함하여, 모빌랙의 사용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부에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프레임부의 이동, 사용자 진입, 제어장치상 에러 등과 같은 모빌랙의 상황 각각에 구별되는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점등회로를 포함하여, 모빌랙의 사용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있어서, 원격으로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파악하거나 모빌랙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원격으로 모빌랙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부와, 상기 단말기부를 인증하고 상기 전동부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인증서버를 더 포함하여, 단말기부를 통해 복수의 모빌랙의 정보에 대한 쉽고 간편한 접근이 가능한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동부는 제어장치가 인증된 단말기부로부터 제어명령 또는 수용정보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명령에 따라 모빌랙을 제어하거나 수용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단말기부로부터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기부에 인증정보, 제어정보 또는 수용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서버통신장치를 더 포함하여, 원격으로 모빌랙을 제어,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스터 프레임부를 통하지 않고서도 모빌랙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단말기부는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외부에서 입력받는 입력장치와, 상기 인증서버에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인증정보, 제어정보, 수용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통신장치와,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 제어정보, 수용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원격으로 모빌랙을 제어,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스터 프레임부를 통하지 않고서도 모빌랙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어장치는 모빌랙 제어프로그램의 업데이트명령이 있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업데이트회로를 더 포함하여, 제어패드나 단말기부를 통해 간단한 버튼조작 내지 터치입력만으로 제어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에 전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와, 모빌랙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모빌랙의 작동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부로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상기 전동부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모빌랙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장치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동모터를 가동시키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의 신호에 따라 전동력을 생성하여 이동부에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상기 센서부는 마주보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거리및진입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감지된 거리변화에 따라 전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물품의 낙하 및 손상을 방지하고 거리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을 정지시키는 거리및진입감지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상기 거리및진입감지센서를 모빌랙의 상부에 설치하여 지면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상기 센서부는 모빌랙의 온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온도센서 또는 모빌랙의 습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모빌랙의 온도 또는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온도및습도감지회로를 포함하여, 모빌랙 작동환경 및 화재 등의 긴급상황을 상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상기 제어장치는 모빌랙에서 발생한 상황 및 작동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부에 다수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프레임부의 이동, 사용자 진입, 제어장치상 에러 등과 같은 모빌랙의 상황 각각에 구별되는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점등회로를 포함하여, 모빌랙 운용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원격으로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파악하거나 모빌랙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부와,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부와, 상기 단말기부를 인증하고 상기 전동부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인증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모빌랙 제어프로그램의 업데이트명령이 있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업데이트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에 전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와, 모빌랙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모빌랙의 작동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부로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부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모빌랙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장치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동모터를 가동시키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의 신호에 따라 전동력을 생성하여 이동부에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힘을 들이지 않고 다수의 프레임부를 동시에 움직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레임부의 이동 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센서부는 마주보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거리및진입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감지된 거리변화에 따라 전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물품의 낙하 및 손상을 방지하고 거리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을 정지시키는 거리및진입감지회로를 포함하여, 같은 종류의 센서로 프레임부사이의 물체진입을 감지할 뿐 아니라, 프레임부가 갑자기 고속으로 움직이거나 고속으로 움직이다가 갑자기 멈추는 경우 급격한 외력에 의해 프레임부가 손상되거나 선반 위의 물체들이 관성으로 낙하하게 되어 생기는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거리및진입감지센서를 모빌랙의 상부에 설치하여 지면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고 감지된 거리의 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거리및진입감지센서를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프레임부의 이동중에 사람이나 물체가 프레임부 사이의 공간의 어느 부위에 진입하건 안전하게 프레임부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센서부는 모빌랙의 온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온도센서 또는 모빌랙의 습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모빌랙의 온도 또는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온도및습도감지회로를 포함하여, 고서나 방대한 문서 또는 유물 등을 보관하는 도서관이나 박물관에서 화재나 부패의 위험에 대비해 온도나 습도를 상시로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장치는 모빌랙에서 발생한 상황 및 작동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회로를 포함하여, 모빌랙의 사용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부에 다수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프레임부의 이동, 사용자 진입, 제어장치상 에러 등과 같은 모빌랙의 상황 각각에 구별되는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점등회로를 포함하여, 모빌랙의 사용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시스템은 원격으로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파악하거나 모빌랙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원격으로 모빌랙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시스템은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부와, 상기 단말기부를 인증하고 상기 전동부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인증서버를 더 포함하여, 단말기부를 통해 복수의 모빌랙의 정보에 대한 쉽고 간편한 접근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전동부는 인증된 단말기부로부터 제어명령 또는 수용정보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장치가 제어명령에 따라 모빌랙을 제어하거나 수용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단말기부로부터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기부에 인증정보, 제어정보 또는 수용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서버통신장치를 더 포함하여, 원격으로 모빌랙을 제어,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스터 프레임부를 통하지 않고서도 모빌랙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부는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외부에서 입력받는 입력장치와, 상기 인증서버에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인증정보, 제어정보, 수용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통신장치와,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 제어정보, 수용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원격으로 모빌랙을 제어,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스터 프레임부를 통하지 않고서도 모빌랙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장치는 모빌랙 제어프로그램의 업데이트명령이 있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업데이트회로를 더 포함하여, 제어패드나 단말기부를 통해 간단한 버튼조작 내지 터치입력만으로 제어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도 1에서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제어블록도.
도 3은 도 1에서 다양한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4는 도 1에서 LED램프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개념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개념도.
도 6는 도 5에서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제어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운용방법의 순서도.
도 8은 일반적인 모빌랙의 사시도
도 9는 종래 모빌랙의 전면패널과 구동부의 결합구조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부 단면도
도 11는 종래 모빌랙의 선반구조를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종래 모빌랙의 휠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종래 모빌랙의 휠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전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b는 도 14a에서의 전면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15은 도 14a의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도 16는 도 14a의 상부단면도
도 17은 도 14a의 측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전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측부 단면도
도 20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선반 하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b는 도 20a의 A-A'단면도
도 2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의 선반 하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b는 도 21a의 B-B'단면도
도 22a는 모빌랙의 선반 상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b는 도 22a의 C-C'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하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은 도 23의 이동지지프레임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은 도 23의 휠과 휠축연결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다양한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LED램프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1)와, 상기 프레임부(1)의 하부에서 프레임부(1)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2)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2)에 전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4)와, 모빌랙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모빌랙의 작동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부(4)로 전달하는 센서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는 모빌랙 전체의 형태를 형성하는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프레임부(1) 개방시 조명을 밝혀주는 조명등(103)과, 프레임부(1)간을 연결하는 연결암(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103)은 어두운 곳에 설치된 모빌랙의 프레임부(1)가 개방되는 경우 자동으로 점등되는 구성으로, 프레임부(1) 선반(17)에 수용된 물건을 찾는 경우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연결암(10)은 프레임부(1) 상호간을 연결하고 프레임부(1) 개방시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각 프레임부(1)와 연결된 두 개의 보디(102)와 암축(101)으로 구성된다. 연결암(10) 내부는 공간을 형성하여 인접 프레임부(1)에 설치된 전동모터(43)등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는 상기 프레임부(1)의 하부에서 프레임부(1)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모빌랙 전체의 골격을 이루는 상기 프레임부(1)를 포함한 모빌랙은 후술할 전동부(4)에서 제공되는 전동력을 바탕으로 상기 이동부(2)가 이동함으로써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동부(4)는 모빌랙의 작동의 전반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2)에 전동력을 제공하여 모빌랙을 움직이는 구성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장치(41)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동모터(43)를 가동시키는 제어장치(42)와, 제어장치(42)의 신호에 따라 전동력을 생성하여 이동부(2)에 제공하는 전동모터(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장치(41)는 AC전원부(411), DC전원부(412), 배터리(413)로 구성되는데, AC전원부(411)가 가정용 또는 산업용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충전하고 DC전원부(412)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모빌랙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전력은 연결암(10)을 통해 이어지는 배선을 따라 각 프레임부(1) 내부의 전동모터(43) 및 회로장치로 공급된다.
상기 제어장치(42)는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동모터(43)를 가동시키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기판(PCB)상에 프로그램되어 입력된 복수의 전자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42)는 거리측정과 진입감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거리및진입감지회로(421), 모빌랙의 온도 및 습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작동을 제어하는 온도및습도감지회로(422), 모빌랙의 작동상황을 음성스피커(115)로 전송하는 음성회로(423), 모빌랙의 작동상황을 램프상에 다양한 형태로 점등시키는 점등회로(42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2)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제어패드(426)와, 각 프레임부(1)를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작동버튼(427)과, 프레임부(1)의 이동을 신속히 정지시킬 수 있는 리밋스위치(4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및진입감지회로(421)는 감지된 거리변화에 따라 전동모터(43)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물품의 낙하 및 손상을 방지하고 거리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후술할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는 마주보는 두 프레임부(1)의 어느 한 쪽 면에 설치되어 다른 프레임부(1)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측정하여 상기 제어장치(42)로 전송하게 된다. 우선 프레임부(1)가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는 제어장치(42)에 일정한 시간단위로 고정된 거리를 보고하게 되는데, 사람이나 물체가 진입하게 되면 감지되는 거리가 급격히 짧아지게 되므로 프레임부(1) 사이의 짧아진 거리가 감지되어 상기 제어장치(42)로 보고된다. 그러면, 거리및진입감지회로(421)는 프레임부(1) 사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전동모터(43)로의 이동제어신호 송출을 금지시킨다. 또한, 모빌랙이 이동 중에 감지된 거리가 급격히 짧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거리및진입감지회로(421)는 전동모터(43)가 비정상적으로 급속회전하거나 사람 등의 진입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모빌랙을 정지시킨다. 아울러, 상기 거리및진입감지회로(421)는 선반 위의 물체 낙하방지를 위한 감속센서기능도 수행한다. 즉, 상기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가 프레임부(1)의 이동시 출발지점부터 지속적으로 거리를 감지하면서 이를 제어장치(42)로 보고하면 거리및진입감지회로(421)는 남은 거리별로 설정된 적정 이동속도에 맞춰 전동모터(43)의 속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거리및진입감지회로(421)는 출발지점에서 일정 지점까지 전동모터(43)를 가속하는 가속회로(4211)와 일정 지점이후 정속 또는 감속을 위한 감속회로(421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를 프레임부(1)의 상부 또는 프레임부(1)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암(10)의 암축(101)에 설치하고 지면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42)로 제공함으로써 사람이 상기 암축(101) 하부의 프레임부(1) 사이에 진입하는 등으로 인해 감지된 거리의 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한 종류의 센서로 프레임부(1) 사이의 물체진입을 감지할 뿐 아니라, 프레임부(1)가 갑자기 고속으로 움직이거나 고속으로 움직이다가 갑자기 멈추는 경우 급격한 외력에 의해 프레임부(1)가 손상되거나 선반(17) 위의 물체들이 관성으로 낙하하게 되어 생기는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성과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를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프레임부(1)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람이나 물체가 프레임부(1) 사이의 공간의 어느 부위에 진입하건 안전하게 프레임부(1)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도및습도감지회로(422)는 모빌랙의 온도 또는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후술할 프레임부(1)의 선반(17) 외측면 상에 위치한 온도센서(52) 또는 습도센서(53)가 모빌랙의 온도 또는 습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42)로 제공하는 경우 상기 온도및습도감지회로(422)는 모빌랙의 온도 또는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물체를 보관하는 단순한 기능 외에도 보관환경을 상시로 점검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고서나 방대한 문서 또는 유물 등을 보관하는 도서관이나 박물관에서 화재나 부패의 위험에 대비해 온도나 습도를 상시로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성회로(423)는 모빌랙에서 발생한 상황이나 모빌랙의 작동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프레임부(1)가 이동하는 경우 "현재 제OO이동랙이 좌측으로 이동 중입니다."라는 멘트를 음성스피커(115)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사람이 진입한 경우 "이동랙 사이에 물체가 진입하였습니다. 랙 이동을 중단합니다."라는 멘트를 음성스피커(11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모빌랙의 제반 상황 및 작동상황을 음성으로 알려줌으로써 사용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하게 된다. 도서관이나 박물관처럼 정숙성이 요구되는 장소에서의 사용을 위해 음성스피커(115) 기능을 배제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등회로(424)는 모빌랙의 상황 각각에 구별되는 점등신호를 생성하여 램프(114) 를 점등시키는 구성이다. 모빌랙의 상황과 작동은 상기 음성회로(423) 외에도 램프(114) 를 통해 각각의 구별되는 신호를 점등시킴으로써 시각적으로 수시로 보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점등회로(424)는 프레임부(1)의 이동, 사용자 진입, 제어장치상 에러 등과 같은 모빌랙의 상황 각각에 구별되는 점등신호를 생성하여 프레임부(1) 전면에 설치된 램프(114) 를 점등시킨다. 예를 들면, 프레임부(1)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중인 프레임부(1)의 램프(114) 상에 오른쪽 화살표모양의 램프(114)를 점등시키고 깜빡거리는 효과를 주어 모빌랙 외부에 있는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상기 램프(114)는 LED램프를 채용함으로써 발열로 인한 화재위험을 줄이고, 선명한 밝기를 구현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드(426)는 모빌랙에 제어입력을 하거나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프레임부(1a) 상에 전체 모빌랙을 제어하는 제어패드(426)를 설치하며, 슬레이브 프레임부(1b) 상에는 해당 프레임부(1)의 제어를 위한 제어패드(426)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매번 프레임부(1) 이동이나 수용정보 검색을 위해 마스터 프레임부(1a)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모빌랙 이용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어패드(426)는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어느 방식을 취해도 무방하다.
상기 작동버튼(427)은 각 프레임부(1)를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각 프레임부(1)의 전면에 설치되어 손쉽게 각 프레임부(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식 구성이다.
상기 리밋스위치(428)는 프레임부(1)의 이동을 신속히 정지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프레임부(1)의 측면 하단에 위치하며 모빌랙이 이동되는 중에 두 개의 프레임부(1) 사이에 사람이 진입한 경우 리밋스위치(428)가 사람의 신체 같은 부분에 닿는 순간 프레임부(1)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전동모터(43)는 전원장치(41)로부터 공급받은 전류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기계적인 일로 바꾸어 이동부(2)로 전달한다.
상기 센서부(5)는 모빌랙의 작동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부(4)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모빌랙의 각 부분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시로 작동환경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전동부(4)의 제어장치(42)로 제공한다. 센서부(5)는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보고하는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 온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보고하는 온도센서(52) 및 습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보고하는 습도센서(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는 마주보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일정형상을 지니며 두 프레임부(1) 사이의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한 쪽 면에 설치되어 다른 프레임부(1)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제어장치(42)로 보고하거나, 프레임부(1) 상단에 설치되어 지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보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술적으로는 삼각측정의 원리에 따라 LED빔광선을 발광렌즈를 통과시켜 물체에 반사시키고 수광렌즈를 통과시켜 반사광의 입사위치를 비교함으로써 반사물의 위치를 검출한다. 우선,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를 두 프레임부(1) 사이의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한 쪽 면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대면하는 프레임부(1)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모빌랙의 이동으로 프레임부(1)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 프레임부(1) 사이의 거리는 최대가 되며 프레임부(1)가 완전히 밀착되어 폐쇄된 경우 거리는 최소가 된다. 우선 프레임부(1)가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는 제어장치(42)에 일정한 시간단위로 고정된 거리를 보고하게 되는데, 사람이나 물체가 진입하게 되면 감지되는 거리가 급격히 짧아지게 되므로 프레임부(1) 사이의 짧아진 거리가 감지되어 상기 제어장치(42)로 보고된다. 그러면, 전술한 거리및진입감지회로(421)는 프레임부(1) 사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전동모터(43)로의 이동제어신호 송출을 금지시킨다. 또한, 모빌랙이 이동 중에 감지된 거리가 급격히 짧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전동모터(43)가 비정상적으로 급속회전하거나 사람 등의 진입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모빌랙을 정지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거리및진입감지회로(421)는 선반 위의 물체 낙하방지를 위한 감속센서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즉, 상기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가 프레임부(1)의 이동시 출발지점부터 지속적으로 거리를 감지하면서 이를 제어장치(42)로 보고하면 거리및진입감지회로(421)는 남은 거리별로 설정된 적정 이동속도에 맞춰 전동모터(43)의 속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거리및진입감지회로(421)는 출발지점에서 일정 지점까지 전동모터를 가속하는 가속회로(4211)와 일정 지점이후 정속 또는 감속을 위한 감속회로(421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를 프레임부(1)의 상부 또는 프레임부(1)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암(10)의 암축(101) 하면에 설치하고 지면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42)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암축(101) 하부의 프레임부(1) 사이 공간에 사람의 진입이 있는 등으로 인해 감지된 거리의 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같은 종류의 센서로 프레임부(1) 사이의 물체진입을 감지할 뿐 아니라, 프레임부(1)가 갑자기 고속으로 움직이거나 고속으로 움직이다가 갑자기 멈추는 경우 급격한 외력에 의해 프레임부(1)가 손상되거나 선반(17) 위의 물체들이 관성으로 낙하하게 되어 생기는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를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프레임부(1)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람이나 물체가 프레임부(1) 사이의 공간의 어느 부위에 진입하건 안전하게 프레임부(1)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52)는 온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제어장치(42)로 보고하는 구성으로, 프레임부(1)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프레임부(1) 주변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보고한다.
상기 습도센서(53)는 습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제어장치(42)로 보고하는 구성으로, 프레임부(1)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프레임부(1) 주변의 습도변화를 감지하여 보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센서(52) 또는 습도센서(53)는 프레임부(1)의 선반 (17) 외측면상에 위치하여 모빌랙의 온도 또는 습도를 상시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장치(42)로 제공하는데 전술한 온도및습도감지회로(422)는 모빌랙의 온도 또는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물체를 보관하는 단순한 기능 외에도 보관환경을 상시로 점검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고서나 방대한 문서 또는 유물 등을 보관하는 도서관이나 박물관에서 화재나 부패의 위험에 대비해 온도나 습도를 상시로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전술한 것처럼 프레임부(1), 이동부(2), 전동부(4)를 포함하고, 원격으로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파악하거나 모빌랙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부(6)와,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부(7)와, 상기 단말기부(6)를 인증하고 상기 전동부(4)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인증서버(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부(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빌랙의 작동의 전반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2)에 전동력을 제공하여 모빌랙을 움직이는 구성으로 제어장치(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42)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동모터(43)를 가동시키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기판(PCB)상에 프로그램 되어 입력된 복수의 전자회로로 구성되고 모빌랙 전반의 작동을 제어할 뿐 아니라, 모빌랙에 설치된 각 종 안전 센서로부터 습득되는 정보를 인식하고 적절한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장치(42)는 모빌랙 제어프로그램의 업데이트명령이 있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업데이트회로(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회로(425)는 단말기부(6)나 모빌랙의 제어패드(426)를 통해 손쉽게 모빌렉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그램 개발자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제품출시 이후에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결함을 수정하는 디버깅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프로그램 유지보수는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데, 모빌랙과 같은 시스템의 경우 프로그램이 장치에 내장되므로 유지보수가 힘든 반면, 장치는 고가이면서 반영구적인 사용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내장 프로그램을 유지보수하는 경우도 장치를 개방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므로 외부기기를 통해 편리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프로그램에 해당하는 펌웨어를 손쉽게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회로(425)를 구성하는 것으로 모빌랙의 마스터 프레임부(1a)상에 위치한 제어패드(426)나 단말기부(6)를 통해 간단한 버튼조작 내지 터치입력만으로 제어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한다. 상기 업데이트회로(425)는 제어프로그램 내에서 업데이트 객체를 구성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어패드(426)나 단말기부(6)의 업데이트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장치(42)의 업데이트회로(425)가 인증서버(8)로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인증서버(8)는 제어장치(42)에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상황을 확인하고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회로(425)에 송신하고 업데이트회로(425)는 업데이트 프로그램의 설치에 필요한 준비를 완료한 후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부(6)는 원격으로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파악하거나 모빌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퍼스널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유무선 통신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부(6)는 입력장치(61)와, 단말통신장치(62)와, 표시장치(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61)는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외부에서 입력받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키패드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단말통신장치(62)는 상기 인증서버(8)에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인증서버(8)로부터 인증정보, 제어정보, 수용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단말기부(6)는 인증서버와 3G나 WIFI와 같은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정보송수신도 가능하나,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은 원격으로 모빌랙을 제어,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동식 모빌랙에서 마스터 프레임부(1a)를 통해서만 정보조회나 전체적인 모빌랙 제어가 가능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모빌랙이 설치된 공간에 있는 경우에도 종종 슬레이브 프레임부(1b)에서 마스터 프레임부(1a)까지 오가야만 하는 불편함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63)는 상기 인증서버(8)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 제어정보, 수용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사용자는 모빌랙의 작동을 위해 설치된 스마트폰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사용자의 아이디 등을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입력하여 인증요청 버튼을 터치한다.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은 인증요청을 인식하고 단말통신장치(62)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증요청을 인증서버(8)로 전송한다. 인증서버(8)는 인증요청정보를 분석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정보를 회신한다.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인증된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상의 수용정보요청 버튼을 터치하고 단말통신장치(62)는 수용정보요청을 인증서버(8)로 송신한다. 인증서버(8)는 유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수용정보요청을 전동부(4)로 전송하고 전동부(4)의 제어장치(42)는 메모리를 참조하여 모빌랙의 각 선반(17)에 관한 정보를 회신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특정 선반(17)의 수용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정보는 동일하게 단말통신장치(62)를 통해 인증서버(8)로 전달되고 인증서버(8)가 전동부(4)로 전달한다. 전동부(4)의 제어장치(42)는 이와 연결된 데이타베이스부(7)에서 수용정보를 가져와 인증서버(8)를 거쳐 상기 단말기부(6)로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모빌랙을 구동시킬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상의 어느 프레임부(1)의 이동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프레임부(1)의 이동명령이 단말통신장치(62)를 통해 인증서버(8)로 전달되고 다시 전동부(4)로 전달된다. 전동부(4)의 제어장치(42)는 모빌랙의 현재 상태를 점검하고, 해당 프레임부(1)가 개방되어 있고 전술한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 등으로 감지한 결과 프레임부(1) 사이의 공간에 물체가 없는 경우 해당 프레임부(1)의 이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그 상황 및 결과를 인증서버(8)를 통해 단말기부(6)로 보고한다.
상기 데이타베이스부(7)는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보통 전동식 모빌랙의 경우 제어프로그램 외에 하나의 모빌랙에 관한 수용정보만을 저장하면 족하므로 별도의 저장장치를 구비할 필요까지는 없고 내부 회로기판에 부착된 일정 용량의 공용메모리로 충분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일정 지역에서 사용하는 복수의 모빌랙을 제어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하는 스마트 모빌랙 시스템에 관한 것이므로 별도의 저장공간을 두어 여러 모빌랙의 정보를 통합관리할 수 있고, 이 경우 여러 모빌랙 정보를 스마트폰 등을 통해 원격으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편하게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업무 편의성과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증서버(8)는 상기 단말기부(6)를 인증하고 상기 전동부(4)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단말기부(6)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통신장치(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통신장치(81)는 상기 단말기부(6)로부터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기부(6)에 인증정보, 제어정보, 수용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단말기부(6)와 3G나 WIFI와 같은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정보송수신도 가능하나,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은 원격으로 모빌랙을 제어,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동식 모빌랙에서 마스터 프레임부(1a)를 통해서만 정보조회나 전체적인 모빌랙 제어가 가능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모빌랙이 설치된 공간에 있는 경우에도 종종 슬레이브 프레임부(1b)에서 마스터 프레임부(1a)까지 오가야만 하는 불편함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운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운용방법은 단말기부(6)의 입력장치(61)가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외부에서 입력받는 입력단계(S100); 단말기부(6)의 단말통신장치(62)가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인증서버(8)로 송신하는 정보요청단계(S200); 상기 정보가 인증요청인 경우 인증서버(8)가 단말기부(6)를 인증하고 단말기부(6)에 인증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가 제어명령이고 단말기부(6)가 인증된 경우 전동부(4)로 제어명령을 제공하며, 상기 정보가 수용정보요청이고 단말기부(6)가 인증된 경우 전동부(4)로 수용정보요청을 제공하는 인증단계(S300); 전동부(4)의 제어장치(41)가 제어명령에 따라 모빌랙을 제어하고 제어정보를 인증서버(8)로 제공하거나 수용정보요청에 따라 데이타베이스부(7)에 저장된 수용정보를 검색하고 인증서버(8)로 제공하는 제어검색단계(S400); 인증서버(8)의 서버통신장치(81)가 상기 단말기부(6)에 제어정보 또는 수용정보를 송신하는 정보제공단계(S500); 단말기부(6)의 표시장치(63)가 상기 인증서버(8)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 제어정보, 수용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검색단계(S400)는 상기 제어명령이 모빌랙 제어프로그램의 업데이트명령인 경우 업데이트회로(425)가 제어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계(S100)는 단말기부(6)의 입력장치(61)가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외부에서 입력받는 과정으로, 상기 입력장치에는 키패드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정보요청단계(S200)는 단말기부(6)의 단말통신장치(62)가 인증요청, 제어명령, 수용정보요청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인증서버(8)로 송신하는 과정으로, 상기 단말기부(6)는 인증서버와 3G나 WIFI와 같은 장거리 통신망을 통해 정보송수신도 가능하나,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위 두 단계에서 사용자는 모빌랙의 작동을 위해 설치된 스마트폰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사용자의 아이디 등을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입력하여 인증요청 버튼을 터치한다.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은 인증요청을 인식하고 단말통신장치(62)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증요청을 인증서버(8)로 전송한다. 한편, 이미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인증되어 수용정보를 요청하는 경우는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상의 수용정보요청 버튼을 터치하고 단말통신장치(62)는 수용정보요청을 인증서버(8)로 송신한다. 전동부(4)의 제어장치(42)는 메모리를 참조하여 모빌랙의 각 선반(17)에 관한 정보를 회신한다.
상기 인증단계(S300)는 인증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서버(8)가 단말기부(6)를 인증하고(S301) 단말기부(6)에 인증정보를 송신하고, 제어명령이 있고 단말기부(6)가 인증된 경우 전동부(4)로 제어명령을 제공하며, 수용정보요청이 있고 단말기부(6)가 인증된 경우 전동부(4)로 수용정보요청을 제공하는 과정이다(S302). 위 첫번째 실시예에서 인증서버(8)는 인증요청정보를 분석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정보를 회신한다. 단발기부(6)가 이미 인증되고 수용정보요청이 있는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인증서버(8)는 유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수용정보요청를 전동부(4)로 전송한다. 제어장치(42)가 메모리를 참조하여 모빌랙의 각 선반(17)에 관한 정보를 회신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특정 선반(17)의 수용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정보는 동일하게 단말통신장치(62)를 통해 인증서버(8)로 전달되고 인증서버(8)가 전동부(4)로 전달한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모빌랙을 구동시킬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상의 해당 프레임부(1)의 이동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프레임부(1)의 이동명령이 단말통신장치(62)를 통해 인증서버(8)로 전달되고 다시 전동부(4)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검색단계(S400)는 전동부(4)의 제어장치(42)가 제어명령에 따라 모빌랙을 제어하고 제어정보를 인증서버(8)로 제공하거나 수용정보요청에 따라 데이타베이스부(7)에 저장된 수용정보를 검색하고 인증서버(8)로 제공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전동부(4)의 제어장치(42)는 이와 연결된 데이타베이스부(7)에서 수용정보를 가져와 인증서버(8)를 거쳐 상기 단말기부(6)로 제공한다. 마지막 실시예에서 전동부(4)의 제어장치(42)는 모빌랙의 현재 상태를 점검하고, 해당 프레임부(1)가 개방되어 있고 전술한 거리및진입감지센서(51) 등으로 감지한 결과 프레임부(1) 사이의 공간에 물체가 없는 경우 해당 프레임부(1)의 이동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검색단계(S400)는 상기 제어명령이 모빌랙 제어프로그램의 업데이트명령인 경우 업데이트회로(425)가 제어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회로(425)는 단말기부(6)나 모빌랙의 제어패드(426)를 통해 손쉽게 모빌렉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그램 개발자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제품출시 이후에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결함을 수정하는 디버깅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프로그램 유지보수는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데, 모빌랙과 같은 시스템의 경우 프로그램이 장치에 내장되므로 유지보수가 힘든 반면, 장치는 고가이면서 반영구적인 사용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내장 프로그램을 유지보수하는 경우도 장치를 개방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므로 외부기기를 통해 편리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프로그램에 해당하는 펌웨어를 손쉽게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회로(425)를 구성하는 것으로 모빌랙의 마스터 프레임부(1a)상에 위치한 제어패드(426)나 단말기부(6)를 통해 간단한 버튼조작 내지 터치입력만으로 제어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한다. 상기 업데이트회로(425)는 제어프로그램 내에서 업데이트 객체를 구성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어패드(426)나 단말기부(6)의 업데이트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장치(42)의 업데이트회로(425)가 인증서버(8)로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인증서버(8)는 제어장치(42)에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상황을 확인하고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회로(425)에 송신하고 업데이트회로(425)는 업데이트 프로그램의 설치에 필요한 준비를 완료한 후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정보제공단계(S500)는 인증서버(8)의 서버통신장치(81)가 상기 단말기부(6)에 제어정보 또는 수용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이다. 마지막 실시예에서 해당 프레임부(1)의 이동 상황 및 결과를 인증서버(8)를 통해 단말기부(6)로 보고한다.
상기 정보표시단계(S600)는 단말기부(6)의 표시장치(63)가 상기 인증서버(8)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 제어정보, 수용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이다.
한편,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손잡이부(32)를 조작하여 모빌랙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와 기타 모빌랙의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바,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전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에서의 전면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5은 도 14a에서의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6는 도 14a의 상부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4a의 측부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1)와; 상기 프레임부(1)의 하부에서 프레임부(1)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2)(이는 도 23 참조)를 포함하는 외에, 상기 이동부(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1)는 전면에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패널(11)과, 상기 전면패널(11)과는 독립적으로 수직지지프레임에 결합지지되는 지지패널(12)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3)는 전면패널(11)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지지패널(12)에 결합지지되므로, 전면패널(11)을 탈착하여 전면에서 구동부(3)를 교체,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빌랙 전체의 형태를 형성하는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수직골격을 형성하는 수직지지프레임(13)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3) 사이에서 수직 칸막이 형태의 분리막을 형성하는 수직칸막이패널(16)과, 상기 수직칸막이패널(16)의 사이 사이에 수평으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바닥면을 형성하는 선반(17)과, 모빌랙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전면부에서 모빌랙을 보게 되면 인지되는 부분인 전면패널(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1)이 모빌랙의 전면에서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갖을 수 있도록, 도 14b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프레임(13)과 전면패널(11) 사이에 별도의 사이드패널(19)을 포함하여, 상기 사이드패널(19)의 일단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3)에 결속되고, 상기 전면패널(11)은 사이드패널(19)의 타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이드패널(19)은 일단에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3)의 결합공(131, 이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은 보다 넓고 하측은 보다 좁게 타공되어 후술할 결합돌기를 상측으로 끼워 하측으로 내리면 견고히 결속될 수 있게 하는 형태임)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결합돌기(191, 이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단부가 하향 연장된 턱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131)의 상측으로 삽입한 이후에 하측으로 내리게 되면 하향 연장된 턱이 결합공에 걸리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형태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191)가 결합공(131)에 삽입,결속되면서 수직지지프레임(13)의 일면과 맞닿는 면에는 수직지지프레임(13)의 나사공(132)과 상응하는 위치에 별도의 제1나사공(192)을 형성하여, 나사공(132)과 제1나사공(192)에 나사를 체결하여 양자를 견고하게 결속하며, 또한 사이드패널(19)의 타단에는 전면패널(11)에 형성된 결합돌기(111)가 삽입,결속될 수 있도록 결합공(193)을 포함하고, 전면패널(11)의 결합돌기(111)가 결합공(193)에 삽입,결속되면서 전면패널(11)의 일면과 맞닿는 면에는 전면패널(11)의 나사공(112)과 상응하는 위치에 별도의 제2나사공(194)을 형성하여, 나사공(112)과 제2나사공(194)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나사를 통해 양자를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게 되는데, 나사를 전면에서 체결하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제2나사공(194)이 형성되는 배면에는 너트(195)가 일체로 부착되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1)에는 상기 사이드패널(19)의 결합공(193)에 삽입,결속되는 결합돌기(111)와, 상기 제2나사공(194)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나사공(1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공(112)은 체결되는 나사의 헤드가 전면패널(11) 면보다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일정 깊이 함입되고, 나사가 체결된 후에는 나사의 헤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커버막(113)을 나사공(112)에 끼워 넣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전면패널에 직접 후술할 구동부가 결합지지되는 구조로 인해 전면패널을 분리하여 구동부를 교체,수리하기가 어렵고 또한, 전면패널이 구동부의 무리한 하중 전달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모빌랙의 전면에서 상기 전면패널(11)과는 독립적으로 수직지지프레임(13)에 결합지지되는 별도의 지지패널(12)을 포함하고, 후술할 구동부(3)가 상기 전면패널(11)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지지패널(12)에 결합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패널(12)은 모빌랙의 전면에서 상기 전면패널(11)과는 독립적으로 수직지지프레임(13)에 결합지지되면서, 후술할 구동부(3)의 각 구성들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구동부(3)의 각 구성들이 상기 전면패널(11)이 아닌 별도의 상기 지지패널(12)에 실질적으로 결합지지되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후술할 구동부(3)에 교체 내지 수리가 필요한 상황에서 관리자가 상기 전면패널(11)을 개폐하여 교체 내지 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구동부(3)의 작동시 작용하는 하중이 전면패널(11)에만 직접적으로 가중되지 않게 되므로 전면패널(11)이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패널(12)은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3)에 양단이 결합지지되는 제1지지패널(121, 이를 위해 제1지지패널의 양단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프레임(13)의 결합공(131)에 삽입결속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과, 상기 제1지지패널(121)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지지패널(121)의 전방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지지패널(121)에 결합지지되는 제2지지패널(122)을 포함하고, 후술할 구동부(3)의 각 구성들이 상기 제1지지패널(121) 및 제2지지패널(122)에 분할되어 결합지지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한 후술할 구동부(3)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2)(이는 도 23 참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의 하부에서 프레임부(1)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모빌랙 전체의 골격을 이루는 상기 프레임부(1)를 포함한 모빌랙은 후술할 구동부(3)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바탕으로 상기 이동부(2)가 이동함으로써 조작에 따라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부(2)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이동부(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부(3)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접근과 조작이 용이한 모빌랙의 전면에 위치하여 구동부(3)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동부(2)에 전달시켜 이동부(2)를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동부의 구성들은 모빌랙의 전면에서도 특히, 전면패널에 실질적으로 결합고정되기 때문에, 구동부의 구성들이 결합고정된 전면패널을 전면부에서 개폐하기가 어려워 구동부의 구성들에 대한 교체나 수리작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빌랙 안쪽의 선반 위의 물건들을 치우고 선반이나 수직칸막이패널까지 제거한 이후에야 모빌랙 전면패널의 후면 쪽에서 비로소 교체나 수직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이므로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3)가 상기 제2지지패널(122)에 고정되는 제1회동축(31)의 일단에 결합하는 손잡이부(32); 상기 제1회동축(31)상에 형성되는 잠금기어(33); 상기 제1회동축(31)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구동기어(35); 상기 제1구동기어(35)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지지패널(121)에 고정되는 제2회동축(36)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2구동기어(37); 상기 제2회동축(36)의 타단에 결합하여 휠기어(39)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구동기어(3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의 각 구성들을 전면패널(11)과는 독립적으로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패널(12)을 형성하면서 특히, 상기 지지패널(12)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3)에 양단이 결합지지되는 제1지지패널(121)과, 상기 제1지지패널(121)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지지패널(121)의 전방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지지패널(121)에 결합지지되는 제2지지패널(122)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는바, 상기 구동부(3) 각 구성들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회동축(31)과 제2회동축(36)을 결합고정함에 있어서도, 손잡이부(32), 잠금기어(33), 제1구동기어(35)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회동축(31)은 상기 제2지지패널(122)에 결합고정되도록 하고, 제2구동기어(37), 제3구동기어(38)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회동축(36)은 상기 제1지지패널(121)에 결합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3)의 각 구성들이 상기 제1지지패널(121) 및 제2지지패널(122)에 양분되어 결합지지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구동부(3)의 하중이 전면패널(11)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전면패널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전면패널(11)을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부(32)는 상기 제2지지패널(122)에 고정되는 제1회동축(31)의 일단 즉, 상기 제2지지패널의 전면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지지패널(122)의 전면에 전면패널(11)이 부착된 이후에 제1회동축(31)의 일단에 결합고정되는 구성으로, 상기 손잡이부(32)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시계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그 회전력이 상기 제1회동축(31)과 제2회동축(36)을 거쳐 상기 이동부(2)에 전달되어 이동부(2)를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32)는 상기 제1회동축(31) 일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3)에 대한 교체나 수리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32)를 제1회동축(31)의 일단에서 분리한 이후에 전면패널(11)을 개방하여 교체,수리작업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부(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패널(11)의 하단부(이 경우는 상기 전면패널(11)이 상단,중단,하단 등 몇 개의 구획으로 분리형성된 경우에 적용될 것이다)만을 개방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잠금기어(33)는 제1회동축(31)상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32)에 의한 제1회동축(3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잠금기어(33)의 상부에 위치하는 잠금돌기(34)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향 이동되어 상기 잠금기어(33)의 기어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잠금기어(33)는 잠금돌기(34)에 걸려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종국적으로 제1회동축(31) 및 제2회동축(36)이 회전하지 못하여 상기 이동부(2)가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자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모빌랙의 이동을 제한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있어 상기 잠금기어(33)와 잠금돌기(34)가 사용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잠금기어(33)와 잠금기어에 결합하는 잠금돌기(34)가 모두 상기 제2지지패널(122)의 후면과 제1지지패널(121)의 전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됨으로써, 제1회동축(31)이 결합고정되는 제2지지패널(122)을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32)는 제2지지패널(122)의 전면에, 상기 잠금기어(33)와 잠금돌기(34)는 제2지지패널(122)의 후면에, 각각 양분되어 제1회동축(31) 및 제2지지패널(122)에 하중이 균등하게 전달되어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구동기어(35)는 제1회동축(31)에서 상기 손잡이부(32)와 대향되는 타단에 형성되어 제1회동축(3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1구동기어(35)에는 체인(30) 또는 벨트 등의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제2구동기어(37)와 연결되므로, 제1구동기어(35)와 제2구동기어(37)는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구동기어(35)의 크기 즉, 직경에 비해 상기 제2구동기어(37)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게 되므로, 제1구동기어(35)의 회전수에 비해 제2구동기어(37)의 회전수가 줄어들게 되어 제1회동축(31)의 회전속도에 비해 제2구동기어(37)에 연결된 제2회동축(36)의 회전속도가 감속되게 되는 반면, 제2구동기어(37)에 의한 전달토크는 커져서 작은 힘만으로도 쉽게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모빌랙을 서서히 이동시키게 되므로 급작스런 이동에 따른 작동하중으로 모빌랙 특히, 전면패널이 변형 내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제1구동기어(35)와 제1구동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37)가 모두 상기 제1지지패널(121)의 후면측에 위치됨으로써, 제2회동축(36)이 결합고정되는 제1지지패널(121)을 기준으로 상기 제2구동기어(37)는 제1지지패널(121)의 후면에, 제2회동축(36)의 타단에 형성되는 후술할 제3구동기어(38)는 제1지지패널(121)의 전면 즉, 제1지지패널(121)과 제2지지패널(122) 사이에, 각각 양분되어 제2회동축(36) 및 제1지지패널(121)에 하중이 균등하게 전달되어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구동기어(37)와 제3구동기어는 각각 제2회동축(36)상에서 일단과 타단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구동기어(37)는 제2회동축(36)이 결합지지되는 제1지지패널(121)을 기준으로 후면에, 제3구동기어(38)는 제1지지패널(121)의 전면에 양분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구동기어(37)와 제3구동기어(38)는 모두 제2회동축(36)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양자의 회전속도는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부(3)의 구성들이 각각 제1지지패널(121)의 후면, 제1지지패널(121)과 제2지지패널(122) 사이의 공간 및 제2지지패널(122)의 전면에 각각 분할되어 결합지지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구동부(3)의 하중이 전면패널(11)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전면패널(11)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전면패널(11)을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전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측부 단면도이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상기 프레임부(1)가 전면의 전면패널(11)로부터 일정 간격 후방으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수직지지프레임(13)에 결합지지되는 공구수납패널(14)을 포함하여, 탈착되는 전면패널(11)과 공구수납패널(14) 사이에 형성되는 공구수납부(15)에 구동부(3) 수리를 위한 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구수납패널(14)은 전면의 전면패널(11)로부터 일정 간격 후방으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수직지지프레임(13)에 결합지지되면서(이를 위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프레임(13)은 공구수납패널(14)과 맞닿는 부분에 돌출면을 형성하고 그 돌출면에는 후술할 공구수납패널(14)의 결합돌기(141)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131)을 형성할 수 있다) 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인 공구수납부(15)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는 상기 전면패널(11)이 상단,중단,하단 등 몇 개의 구획으로 분리형성된 경우에 있어서 특히, 상기 손잡이부(32)가 부착,돌출되어 위치하는 중단이나 상기 구동부(3)의 구동력을 모빌랙 하부의 이동부(2)로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장치들이 위치하게 되는 하단이 아닌, 상단 구획부에 위치하는 전면패널(11)(이때, 전면패널(11)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면패널(11)에 개폐가능한 도어가 별도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로부터 일정 간격 후방으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수직지지프레임(13)에 결합지지되게 된다.
상기 공구수납패널(14)과 전면패널(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즉, 공구수납부(15)를 활용하여 상기 구동부(3)의 교체나 수리시에 필요한 공구들을 별도로 보관하여 필요시 바로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구동부(3)나 이동부(2)에 발생하는 사소한 잔고장 등의 경우에는 굳이 별도의 수리공이나 작업자를 호출하지 않고도 관리자나 사용자 스스로 상기 공구수납부(15)에 비치된 공구를 이용하여 즉시 간단한 수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모빌랙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부(3)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패널(12)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패널(121)과 제2지지패널(122)이 일정간격 전후로 이격되어 구동부(3)의 각 구성들을 분할하여 지지하게 되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지지패널(12)의 구조가 통상 그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구수납패널(14) 및 그로 인한 공구수납부(15)의 구성과 연계되어 형성되게 되면, 상기 제1지지패널(121)과 제2지지패널(122) 및 전면패널(11)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의 폭만큼 상기 공구수납부(15)의 공간의 폭(즉, 공구수납패널(14)과 전면패널(11) 사이의 이격되는 공간의 폭)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충분한 공구 수납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상기 공구수납패널(14)의 양단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3)에 형성된 결합공(131)에 삽입결합할 수 있는 결합돌기(141)를 형성하여, 공구수납패널(14)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결합돌기(141)는 상기 결합공(131)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한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41)를 이용하여 상기 공구수납패널(14)이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면, 공구수납패널(14)에 비치,보관되는 공구의 종류와 그 크기나 형태에 따라 필요시 공구수납패널(14)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공구수납부(15)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구수납패널(14)의 전면부에는 각각의 공구를 별도로 거치할 수 있는 다수의 거치돌기(142)를 포함하여, 수납된 공구들 중 사용하는 공구만을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상기 거치돌기(142)는 각각의 공구를 매달 수 있게 공구수납패널(14)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각각의 공구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공구의 형태나 크기에 맞는 윤곽선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돌기(142)를 활용하게 되면, 공구수납부(15)에 공구들을 적재하여 쌓아 두는 것에 비해 각각의 공구들이 상기 거치돌기(142)에 걸려 있거나 끼워져 있기 때문에 필요한 공구를 즉시 찾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2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선반 하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b는 도 20a의 A-A'단면도이고, 도 2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선반 하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b는 도 21a의 B-B'단면도이고, 도 22a는 모빌랙의 선반 상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b는 도 22a의 C-C'단면도이다.
도 20a 내지 2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은 상기 프레임부(1)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칸막이패널(16)과 상기 수직칸막이패널(16)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선반(17)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17)은 강도 보강을 위해 선반(17)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보강판(171)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171)은 선반(17) 하부와 보강판(171)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부(172)를 포함하여, 선반의 강도를 보강하여 선반이 그 상부에 적재되는 물건의 하중에 의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선반에 적재되는 물건의 하부면과 선반 사이에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칸막이패널(16)은 모빌랙의 뼈대 즉, 골조를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부(1)에서 수직방향의 골조를 형성하는 수직지지프레임(13)들 사이에서 양 수직지지프레임(13) 사이를 연결하여 수직방향의 칸막이를 구획하는 구성으로, 모빌랙의 내부 공간은 몇 개의 수직으로 구획된 상기 수직칸막이패널(16)을 이용하여 몇 개의 수직 공간으로 구획되게 된다.
상기 선반(17)은 상기 수직칸막이패널(16) 사이에서 양단이 양 수직칸막이패널(16)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수평방향의 칸막이를 구획하는 구성으로, 모빌랙의 내부 공간은 몇 개의 수평으로 구획된 상기 선반(17)을 이용하여 몇 개의 수평 공간으로 구획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다수의 수직칸막이패널(16)과 선반(17)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간 마다에 책이나 서류 등의 물건을 적재함으로써 모빌랙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이때, 물건이 적재되는 상기 선반(17)에는 물건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선반(17)의 강도가 약해 물건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게 되면 선반(17)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등의 손상을 입게 되므로, 상기 선반(17)의 강도를 보강해야 할 필요가 있음은 물론, 또한 선반(17)에 적재되는 물건의 하부면과 선반(17)은 계속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물건의 하부면과 선반(17) 사이에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없어 이로 인한 습기 등의 문제로 적재된 물건에 피해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선반(17)과 적재된 물건 사이에 원활한 통기가 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0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7) 하부의 별도의 보강판(171)과 공간부(172)의 구성을 통해 이를 해결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상기 보강판(171)은 강도 보강을 위해 선반(17)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구성으로, 선반(17) 하부와 보강판(171) 사이에 별도의 통기가 가능한 공간부(172)가 형성되도록 부착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보강판(171)은 상기 공간부(172)를 내부에 형성하면서 하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보강부(1711)와, 보강판(171)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하향 돌출되는 보강리브(1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보강부(1711)는 상기 공간부(172)를 내부에 형성하면서 하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으로, 일 예로 도 21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171)의 중앙 부위에서 하향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게 되면, 하향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상기 돌출보강부(1711)와 선반(17) 사이에는 선반(17)과 보강판(171)의 길이 방향으로 공간부(172)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공간부(172)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선반(17)과 돌출보강부(1711)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통기공(173)이 형성되게 되면, 상기 통기공(173)과 공간부(172)를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하게 되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돌출보강부(17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통기공(173)을 통해 상기 공간부(17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되면,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간부(172)의 공간을 따라 선반(17) 하부의 길이 방향으로 순환하게 되고, 이와 같이 순환하던 공기는 선반(17)에 형성된 통기공(173)을 통해 선반(17) 상부로 유입되어 선반에 적재된 물건의 하부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습기를 제거하는 등 공기가 순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특히, 도 20a 나 2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순히 선반(17)에 직접 통기공(173)을 뚫어 적재된 물건의 하부면이 공기와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아니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공간부(172)를 통해 돌출보강부(1711)의 통기공(173)으로 유입된 공기가 선반(17)의 통기공(173)으로 유입되게 하는 구조를 취하여, 상기 공간부(172)를 따라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통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하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상기 돌출보강부(1711)는 선반(17)의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 역시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리브(1712)는 상기 돌출보강부(1711)에 의한 선반(17)의 강도 보강 효과에 더해 추가적으로 선반(17)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판(171)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하향 돌출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일자형으로 선반(17) 하부에 부착되는 리브와 달리 상기 보강리브(1712)는 'ㄴ'자 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휨강도에 대한 보강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선반(17) 하부에서 상기 보강리브(1712)에 의해 손에 상해를 입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는 상기 선반(17) 상부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선반분리대(18)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선반분리대(18)로 구획된 좌우 공간에 효과적으로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반분리대(18)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도 22b의 'A'부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즉, 통상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선반분리대의 단부는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게 되는데, 사용자가 물건을 적재하거나 꺼내려고 할 때 손이 선반분리대의 단부에 자주 접촉하게 되면서 상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반분리대(18)의 단부를 절곡하여 접혀서 마감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의 하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4은 도 23의 이동지지프레임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5은 도 23의 휠과 휠축연결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2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은 상기 이동부(2)가 레일(21) 위를 이동하는 휠(22)과 휠축(221)(이때, 상기 휠(22)과 휠축(221)은 상기 구동부의 제3구동기어(38)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휠기어(39)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을 지지하는 이동지지프레임(23)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프레임(23)은 일체형 휠(22)이 수용되는 내측면에 별도의 보강판(231)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231)은 휠축(221)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부분에 휠축(221)의 베어링(2211)이 안착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날개판(2311)을 포함하여, 일체형 휠(22)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모빌랙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지지프레임(23)은 레일(21) 위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휠(22)과 휠축(221)을 내부에 포함하고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통상적으로 모빌랙의 좌우 이동방향을 따라 레일(21) 위에 2~3개 정도 위치하게 되는 휠(22)들을 상기 이동지지프레임(23) 하나가 내부에 포함하고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23)의 길이방향은 레일(21)의 길이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상기 이동지지프레임(23)은 하부에서 휠(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고 측면과 상면은 폐쇄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23) 내부에 수용된 휠(22)의 휠축(221)은 이동지지프레임(23)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휠축(221)과 접촉하게 되는 이동지지프레임(23)의 측면에는 이동부(2) 상측에 위치하는 모빌랙 및 모빌랙에 적재된 물건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바, 휠축(221)과 접하는 이동지지프레임(23)의 측면부위에는 강도보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휠축(221)과 접하게 되는 이동지지프레임(23)의 내측면에 별도의 보강판(23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강판(231)은 휠축(221)과 접하게 되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23)의 내측면에 덧대여져 이동지지프레임(23) 측면부가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강도보강을 위한 구성(통상, 금속 재질이며, 강도 보강을 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 그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으로, 특히, 상기 보강판(231)에서 휠축(221)의 베어링(2211)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부위에 상기 휠축(221)의 베어링(2211) 부재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베어링(2211) 부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날개판(23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판(2311)은 상기 휠축(221) 또는 휠축(221)의 베어링(2211) 부재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판(231)으로부터 휠축(221)이나 베어링(2211) 부재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이동지지프레임(23)의 측면으로만 휠축(221)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강판(231)의 날개판(2311)을 통해 휠축(221)이나 베어링(2211) 부재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지지프레임(23) 내에 수용된 휠(22)이 운용 중에 어긋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그로 인한 소음발생 역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지지프레임(23)의 측면부가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휠(22)의 구조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휠(22)과 휠축(221)이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휠(22)의 회전이 모두 휠축(221)에 전달되지 않는 등의 문제(즉, 휠은 회전하나 휠축은 회전하지 않는 백래쉬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없앨 수 있도록, 휠축(221)이 휠(22)에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휠(22)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휠(22)을 생산할 때 휠(22)과 휠축(221) 자체가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되는 일체형 휠(22)은 종래와 같이 휠(22)과 휠축(221)이 따로 회전하게 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운용 중에 휠(22)이나 휠축(221)이 어긋나거나 변형될 가능성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2)는 모빌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병렬적으로 위치하는 다수 개의 일체형 휠(22)의 휠축(221) 상호 간을 연결하여 다수 개의 일체형 휠(22)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는 휠축연결프레임(2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축연결프레임(24)은 모빌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병렬적으로 위치하는 다수 개의 일체형 휠(22)의 휠축(221) 상호 간을 연결하여, 다수 개의 일체형 휠(22)이 동시에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휠축연결프레임(24)이 비원형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면서, 양단의 내부에 각각 휠축(221)이 삽입되는 삽입부재(241)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241) 내에 형성되는 삽입공(2411)이 삽입되는 휠축(221)의 형상과 상보적인 비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휠축연결프레임(24)과 그 양단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241)가 모두 비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삽입부재(241)가 휠축연결프레임(24)과 별도로 헛돌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상기 삽입부재(241)는 HDPE 등과 같은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종래 금속재질의 휠축과 휠축연결프레임이 상호 접촉하여 맞물림에 따른 소음과 부식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241) 일면에 일체형 휠(22)의 휠축(221)이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삽입공(2411)은 그 형상이 삽입되는 휠축(221)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이면서 동시에 휠축(221)과 상기 삽입공(2411)은 모두 비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삽입부재(241) 내에 삽입된 휠축(221)이 헛도는 것 없이 정확하게 휠축(221)과 삽입부재(241)(종국적으로 휠축연결프레임(24))가 일치되게 회전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프레임부 1a: 마스터 프레임부 1b: 슬레이브 프레임부
10 : 연결암
101 : 암축 102 : 보디 103 : 조명등
11: 전면패널 111: 결합돌기 112: 나사공
113: 커버막 114 : 램프 115: 음성스피커
12: 지지패널 121: 제1지지패널 122: 제2지지패널
13: 수직지지프레임 131: 결합공 132: 나사공
14: 공구수납패널 141: 결합돌기 142: 거치돌기
15: 공구수납부
16: 수직칸막이패널
17: 선반
171: 보강판 1711: 돌출보강부 1712: 보강리브
172: 공간부 173: 통기공
18: 선반분리대
19: 사이드패널 191: 결합돌기 192: 제1나사공
193: 결합공 194: 제2나사공 195: 너트
2: 이동부
21: 레일 22: 휠 221: 휠축
2211: 베어링
23: 이동지지프레임 231: 보강판 2311: 날개판
24: 휠축연결프레임 241: 삽입부재 2411: 삽입공
3: 구동부
31: 제1회동축 32: 손잡이부
33: 잠금기어 34: 잠금돌기 35: 제1구동기어
36: 제2회동축 37: 제2구동기어 38: 제3구동기어
4: 전동부
41: 전원장치
411: AC전원부 412: DC전원부 413: 배터리
42: 제어장치
421: 거리및진입감지회로 4211: 가속회로 4212: 감속회로
422: 온도및습도감지회로
423: 음성회로 424: 점등회로 425: 업데이트회로
426: 제어패드 427: 작동버튼 428: 리밋스위치
43: 전동모터
5: 센서부
51: 거리및진입감지센서 52: 온도센서 53: 습도센서
6: 단말기부
61: 입력장치 62: 단말통신장치 63: 표시장치
7: 데이타베이스부
8: 인증서버 81: 서버통신장치
*종래기술에 관련된 부호
a: 제1회동축 b: 손잡이부 c: 잠금기어 d: 잠금돌기
e: 제1구동기어 f: 제2구동기어 g: 제2회동축 h: 제3구동기어
i: 휠기어 j: 전면패널 k: 선반 l: 휠 l-1: 휠축
m: 지지프레임 n: 휠축연결프레임

Claims (8)

  1.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에 전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와;
    모빌랙에 설치되어 모빌랙의 작동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부로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부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모빌랙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장치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동모터를 가동시키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의 신호에 따라 전동력을 생성하여 이동부에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모빌랙에서 발생한 상황 및 작동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빌랙.
  2.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에 전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와;
    모빌랙에 설치되어 모빌랙의 작동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부로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부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모빌랙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장치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동모터를 가동시키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의 신호에 따라 전동력을 생성하여 이동부에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전면부에 다수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프레임부의 이동, 사용자 진입, 제어장치상 에러 등과 같은 모빌랙의 상황 각각에 구별되는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점등회로를 포함하여, 모빌랙 운용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빌랙.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마주보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거리및진입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감지된 거리변화에 따라 전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물품의 낙하 및 손상을 방지하고 거리변화가 급격한 경우 모빌랙을 정지시키는 거리및진입감지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빌랙.
  4. 제 3 항에 따른 거리및진입감지센서를 모빌랙의 상부에 설치하여 지면까지의 거리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빌랙.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모빌랙의 온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온도센서 또는 모빌랙의 습도를 상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모빌랙의 온도 또는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온도및습도감지회로를 포함하여, 모빌랙 작동환경 및 화재 등의 긴급상황을 상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빌랙.
  6. 삭제
  7. 삭제
  8.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에 전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와;
    모빌랙에 설치되어 모빌랙의 작동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부로 전달하는 센서부와;
    원격으로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파악하거나 모빌랙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부와;
    모빌랙의 수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부와;
    상기 단말기부를 인증하고 상기 전동부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인증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부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모빌랙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장치와; 모빌랙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동모터를 가동시키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의 신호에 따라 전동력을 생성하여 이동부에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모빌랙 제어프로그램의 업데이트명령이 있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업데이트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빌랙.
KR1020110068954A 2011-07-12 2011-07-12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KR10111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954A KR101117227B1 (ko) 2011-07-12 2011-07-12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954A KR101117227B1 (ko) 2011-07-12 2011-07-12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227B1 true KR101117227B1 (ko) 2012-03-16

Family

ID=4614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954A KR101117227B1 (ko) 2011-07-12 2011-07-12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2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864B1 (ko) * 2017-04-14 2018-02-01 (주)동성오에이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KR101911677B1 (ko) * 2014-02-14 2018-10-25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CN114680481A (zh) * 2022-04-27 2022-07-01 国网甘肃省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智能库房用基于rfid的电动移动档案架
EP3801130A4 (en) * 2018-06-08 2022-07-06 Ufuk Mahmutyazicioglu INNOVATION FOR COMPACT CABINETS
KR102637265B1 (ko) 2023-09-27 2024-02-16 주식회사 디에스나이키 전동 모빌랙의 무선 충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871Y1 (ko) * 2002-10-21 2003-01-24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 랙
KR100392789B1 (ko) * 2003-02-25 2003-07-28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614436B1 (ko) 2006-05-19 2006-08-22 피아산업 주식회사 전동랙의 자동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41943B1 (ko) 2009-07-24 2010-02-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동식 선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871Y1 (ko) * 2002-10-21 2003-01-24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 랙
KR100392789B1 (ko) * 2003-02-25 2003-07-28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614436B1 (ko) 2006-05-19 2006-08-22 피아산업 주식회사 전동랙의 자동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41943B1 (ko) 2009-07-24 2010-02-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동식 선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677B1 (ko) * 2014-02-14 2018-10-25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회전식 전면 개폐 구조를 갖는 모빌랙
KR101823864B1 (ko) * 2017-04-14 2018-02-01 (주)동성오에이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EP3801130A4 (en) * 2018-06-08 2022-07-06 Ufuk Mahmutyazicioglu INNOVATION FOR COMPACT CABINETS
CN114680481A (zh) * 2022-04-27 2022-07-01 国网甘肃省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智能库房用基于rfid的电动移动档案架
CN114680481B (zh) * 2022-04-27 2024-01-30 国网甘肃省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智能库房用基于rfid的电动移动档案架
KR102637265B1 (ko) 2023-09-27 2024-02-16 주식회사 디에스나이키 전동 모빌랙의 무선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227B1 (ko)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US10350748B2 (en) Tool storage unit having a moveable housing
AU2014223792B2 (en) Mobile computer workstation
US20180136692A1 (en) Medical Supply Cabinet with Lighting Features
US7513580B2 (en) Overhead storage system
TWI474962B (zh) 電梯
JP2020516789A (ja) ワードローブ装置
KR101117230B1 (ko) 전면 개폐 패널 구조를 갖는 모빌랙
KR101117228B1 (ko) 스마트 모빌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86473B1 (ko) 스마트 모빌랙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070368A (ja) 電動式移動棚装置
US20140139081A1 (en) Furniture with firearm access features
CN204842427U (zh) 一种步入式通风柜
US201302345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equipment cabinet usable for storing reserve power batteries
CN104998882A (zh) 一种步入式通风柜
JP5116385B2 (ja) 発電手段を備えるシャッター装置
JP6765898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入出庫誘導システム
JP2022022463A (ja) 非電動式自動扉装置
KR101145416B1 (ko) 사용 중 랙을 표시하는 모빌랙
CN205419342U (zh) 电力施工用线缆工具车
JP2011039754A (ja) 照明装置及びデータセンター内の照明システム
CN220265075U (zh) 一种吸顶式四向牵引吊顶收纳升降机及吊顶收纳装置
EP3940177A1 (en) Locking and unlocking tool boxes and tool cabinets
JP2017156026A (ja) 保冷庫、及び、保冷庫の開閉扉の開閉制御方法
KR20230092222A (ko) 버스정류장의 버스정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