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864B1 -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 Google Patents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864B1
KR101823864B1 KR1020170048501A KR20170048501A KR101823864B1 KR 101823864 B1 KR101823864 B1 KR 101823864B1 KR 1020170048501 A KR1020170048501 A KR 1020170048501A KR 20170048501 A KR20170048501 A KR 20170048501A KR 101823864 B1 KR101823864 B1 KR 101823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humidity
temperature
unit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동성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오에이 filed Critical (주)동성오에이
Priority to KR102017004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서, 문서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가 내측에 구비된 다수의 랙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랙에 구비되며, 수납부의 온도 습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벗어나는지 감지하는 온습도감지부와, 상기 랙에 구비되며, 수납로부의 사용자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부와, 상기 랙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습도감지부 또는 출입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설정된 상이한 색상으로 램프를 점등시키는 램프표시부와, 상기 랙에 구비되며, 상기 온습도감지부, 출입감지부, 램프표시부의 작동전원을 인가하는 작동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랙과 이웃하는 랙에는 상기 랙을 향하는 방향으로 푸싱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랙에는 이웃하는 랙의 밀착 또는 이격에 따른 상기 푸싱핀의 선택적인 누름 가압에 의하여 스위칭 동작함으로써, 상기 온습도감지부와 출입감지부로 작동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게 하는 전원스위칭부가 구비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모빌랙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되, 모빌랙의 사용상태에 따라 센서들의 작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Mobile rack with power saving sensor system}
본 발명은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모빌랙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되, 모빌랙의 사용상태에 따라 센서들의 작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랙(Mobile-rack)이라 함은 기존 보관 공간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 고정식 책장에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의 문서를 보관하기 위하여 하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식 보관함을 말한다.
이러한 모빌랙의 활용으로 고밀도의 수납이 가능하고, 수납효율을 2 ∼ 3배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문서의 집중 보관이나 분산 보관 등 가장 효율적인 문서보관을 구현할 수 있어 공간절약, 환경개선, 사무능률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과거 이러한 모빌랙은 주로 책, 서류와 같은 문서류를 보관하기 위한 서가용 모빌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유통, 제조업을 막론하고 다양한 산업현장에 설치됨으로써 물류의 보관, 입출고 및 나아가 재고관리를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물류산업의 자동화 구축과 함께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모빌랙은 통상적으로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호간에 밀착 또는 이격이 되며, 내부에는 각각 문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된 다수의 랙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핸들조작에 따른 동력에 의해 랙이 이동되는 수동식과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랙이 이동되는 전동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모빌랙은 사용편의성, 관리편의성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기능들이 요구되는데, 일 예로, 미사용시에는 다수의 랙이 서로 밀착되어 수납부가 거의 밀폐된 상태가 되므로 보관중인 문서 등의 변질이나 손상의 방지를 위해 온도, 습도 등의 환경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이 요구되며, 또한 문서 등을 입출고하거나 찾는 경우 등과 같은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안전이나 입출고 업무의 효율성 등을 위하여 어느 랙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모빌랙의 외부에서 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능적 요구에 따라, 종래에도 다수의 센서들을 통해 랙의 온도나 습도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면서, 이러한 감지신호에 따른 정보를 모빌랙의 외부에 체크할 수 있도록 램프의 점등이나 알람들을 통해 표시하는 구성들이 다수의 선행문헌들을 통해 제안되었다.
그런데, 상기 제안된 종래기술들의 경우, 모빌랙의 사용상태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구성들로서, 기능을 달리하는 다수의 센서들이 모빌랙의 사용상태와 관계없이 모두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센서 1개 자체의 전력 소모량은 작기 때문에 심각성이 약하지만, 통상적으로 서고 등에는 수개의 모빌랙이 설치됨과 함께 모빌랙 하나에도 수개의 랙이 구비되기 때문에, 각각의 랙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센서의 전체 갯수를 고려하면, 이러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는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들의 경우에는 온도나 습도를 감지하여 체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칠 뿐, 특히 문서의 변질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전혀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문서 등의 변질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 제10-1117227호 :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부들을 통해 모빌랙의 사용 및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되, 모빌랙의 사용상태에 대응하여 작동이 필요한 감지부로만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는 최소화할 수 있는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습도 이상시 자체적으로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문서 보관의 안전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문서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가 내측에 구비된 다수의 랙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랙에 구비되며, 수납부의 온도와 습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벗어나는지 감지하는 온습도감지부와, 상기 랙에 구비되며, 수납부로의 사용자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부와, 상기 랙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습도감지부 또는 출입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설정된 상이한 색상으로 램프를 점등시키는 램프표시부와, 상기 랙에 구비되며, 상기 온습도감지부, 출입감지부, 램프표시부의 작동전원을 인가하는 작동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랙과 이웃하는 랙에는 상기 랙을 향하는 방향으로 푸싱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랙에는 이웃하는 랙의 밀착 또는 이격에 따른 상기 푸싱핀의 선택적인 누름 가압에 의하여 스위칭 동작함으로써, 상기 온습도감지부와 출입감지부로 작동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게 하는 전원스위칭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스위칭부는, 상기 작동전원부와 통전되는 제1단자와, 상기 온습도감지부와 통전되는 제2단자와, 상기 출입감지부와 통전되는 제3단자와, 상기 제1단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윙편과, 상기 스윙편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윙편은, 이웃하는 랙의 밀착에 따른 푸싱핀의 누름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2단자에 접속됨과 함께, 이웃하는 랙의 이격에 따른 푸싱핀의 가압 해제시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3단자에 접속되는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이 개시된다.
삭제
또한, 상기 온습도감지부는, 각각 수납부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와 설정습도를 저장하며, 상기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또는 습도가 상기 설정온도 또는 설정습도를 벗어나는지 판별하는 온습도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에 설치되는 습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습도조절부는 상기 습도가 설정습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온습도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면에 설치되는 에어배관과, 상기 에어배관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에 의하면,
감지부들을 통하여 모빌랙의 사용 및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모빌랙의 사용여부에 따라 작동이 필요한 감지부로만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자동적으로 전환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시켜 보다 경제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습도 이상의 경우 자체적으로 습도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단순한 알림시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서의 변질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관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의 외관구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식 감지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스위칭부의 스위칭작동을 일 예시한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부의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의 구성이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이하, “모빌랙”으로 약칭함.)은 다수의 랙(10)과, 레일(20)과, 온습도감지부(30)와, 출입감지부(40)와, 램프표시부(50)와, 작동전원부(60)와, 전원스위칭부(70)와, 습도조절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레일(20)은 바닥에 일정길이로 설치가 되고, 상기 다수의 랙(10)은 상기 레일(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랙(10)에는 문서 등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11)가 내측에 구비되는 바, 이러한 랙(10)과 레일(20)의 구성은 모빌랙의 통상적인 구성에 해당된다.
여기서, 상기 랙(10)에는 랙(10)의 이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들이 더 포함되는데, 종래의 수동식과 전동식 어떠한 구성이여도 무방하며, 상기 도 1에는 핸들(12)을 포함하는 수동식 구성이 일 예로서 예시되어 있다.
상기 온습도감지부(30)는 상기 랙(10)에 구비되며, 수납부(11)의 온도와 습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벗어나는지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온습도감지부(30)는 온도센서(31)와 습도센서(32), 및 온습도제어기(33)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센서(31)와 습도센서(32)는 상기 수납부(11)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수납부(11)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감지한다.
상기 온습도제어기(33)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와 설정습도를 저장한다.
이러한 온습도제어기(33)는 상기 온도센서(31) 또는 습도센서(32)에서 감지된 온도 또는 습도가 상기 저장되어 있는 설정온도 또는 설정습도를 벗어나는지 판별하여, 벗어나는 경우 상기 램프표시부(50)로 감지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출입감지부(40)는 상기 랙(10)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랙(10)의 수납로(11)로 출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출입감지부(40)는 상기 랙(10)의 출입구 측에 설치되는 포토커플러, 적외선센서와 같은 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램프표시부(50)로 감지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램프표시부(50)는 랙(10)의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랙(10)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습도감지부(30) 또는 출입감지부(40)에서 제공된 감지신호에 따라 램프(51)를 점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램프표시부(50)는 점등이 가능한 램프(51)와, 상기 온습도감지부(30) 또는 출입감지부(40)에서 제공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51)를 상이한 색상으로 점등시키는 램프제어기(52)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제어기(52)에는 온도 이상시, 습도이상시, 사용자출입시 각각에 따른 점등색상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색상으로, 예컨대 적색, 청색, 녹색으로 상기 램프(51)가 각각 점등되도록 제어하며, 이러한 색상별 점등제어에 따라, 램프(51)의 설치갯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가 점등되는 색상에 따라 상황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전원부(60)는 상기 랙(10)에 구비되며, 상술한 온습도감지부(30), 출입감지부(40), 램프표시부(50) 각각의 작동에 필요한 작동전원을 인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보관중인 문서 등의 변질방지를 위해 상기 온습도감지부(30)에 의한 수납부(11)의 온도나 습도상태의 관리가 필요한 것은, 미사용시 랙(10)들이 상호 밀착되어 수납부(11)가 준 밀폐상태로 유지될 때로서, 랙(10)들이 상호 이격되어 수납부(11)가 개방된 사용시에는, 실질적으로 온도나 습도의 관리 필요성이 거의 없으며, 또한, 수납부(11)가 개방된 사용시에만 상기 출입감지부(40)에 의한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지, 미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할 필요성 자체가 없다.
따라서, 상기 램프표시부(50)는 작동전원부(60)로부터 작동전원을 상시 공급받아야 하지만, 상기 온습도감지부(30)와 출입감지부(40)는 모빌랙의 사용상태에 따라 작동전원부(60)로부터 선택적으로 작동전원을 공급받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스위칭부(70)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원스위칭부(70)는 모밀랙의 사용상태에 따라 스위칭 동작함으로써 상기 작동전원부(60)로부터 상기 온습도감지부(30)와 출입감지부(40)로 작동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게 하는 기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스위칭부(70)의 스위칭 동작은 전원공급에 의하지 않고, 상기 랙(10)의 움직임에 따라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전원스위칭부(70)는 도 3과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푸싱핀(71)과, 제1/제2/제3단자(72, 73, 74)와, 스윙편(75)와, 스프링(7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싱핀(71)은 상기 랙(10)과 이웃하는 랙(10′)에 상기 랙(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푸싱핀(71)은 출입하는 사용자의 불편이 없도록 이웃하는 랙(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푸싱핀(71)은 후술하는 상기 스윙편(75)과의 접촉시 절연이 되도록, 그 자체가 절연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표면에 절연물질이 코팅 또는 도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제2/제3단자(72, 73, 74)와, 스윙편(75) 및 스프링(76)은 모두 상기 푸싱핀(71)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랙(10)에 구비된다.
상기 제1/제2/제3단자(72, 73, 74)는 온습도감지부(30), 출입감지부(40), 작동전원부(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회로 상에 구비되는 접속단자들로서, 상기 제1단자(72)는 상기 작동전원부(60)와 통전되며, 상기 제2단자(73)는 상기 온습도감지부(30)와 통전되고, 상기 제3단자(74)는 상기 출입감지부(40)와 통전된다.
상기 스윙편(75)은 상기 제1단자(7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에 따른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제2단자(73)와 제3단자(74)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스프링(76)은 스윙편(75)에 설치되어 스윙편(75)을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전원스위칭부(70)는,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이웃하는 랙(10′)과 랙(10)의 밀착시에는, 푸싱핀(71)의 누름 가압에 의하여 상기 스윙편(75)이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제2단자(73)와 접속됨으로써, 작동전원부(60)와 온습도감지부(30)의 전원회로가 연결되어 온습도감지부(30)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온습도감지부(30)를 구성하는 온도센서(31), 습도센서(32), 온습도제어기(33)가 동작하면서 밀폐된 상태가 된 수납부(11)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게 되며, 이 때, 제3단자(74)는 단락된 상태이므로 출입감지부(40)로는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사용을 위하여 밀착되었던 이웃하는 랙(10′)이 이격되면,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푸싱핀(71)의 누름 가압이 해제되므로 스윙편(75)은 스프링(7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제3단자(74)와 접속됨으로써, 작동전원부(60)와 출입감지부(40)의 전원회로가 연결되어 출입감지부(40)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출입감지부(40)가 동작하면서 개방된 수납부(11)로 사용자가 출입하는지를 감지하게 되며, 이 때, 제2단자(73)는 단락된 상태로 전환되므로 온습도감지부(40)로는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위와 같은 전원스위칭부(70)에 의하여, 랙(10)들이 상호 밀착된 미사용시에는 출입감지부(40)로의 불필요한 전원공급을 차단하면서 온습도감지부(30)로만 필요한 작동전원을 공급하고, 반대로 랙(10)들이 분리된 사용시에는 온습도감지부(30)로의 불필요한 전원공급을 차단하면서 출입감지부(40)로만 필요한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빌랙은, 습도가 설정습도를 벗어난 경우, 상기와 같이 램프(51)의 점등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표시하는데에서 더 나아가 습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습도조절부(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습도조절부(80)는 도 5에 일 예시된 것처럼, 열전소자(81)와, 에어배관(82)과, 순환팬(8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81)는 일명 펠티어(Peltier) 소자로도 불리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두개의 전기적 양도체에 전원이 인가되면 한쪽면은 냉각되고, 다른쪽면은 가열되는 소자이다.
이러한 열전소자(81)는 랙(10)에 설치되는데, 일 예로서 랙(10)의 골조를 상부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배관(82)은 수납부(11) 내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관으로서, 이러한 에어배관(82)은 상기 열전소자(81)의 냉각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순환팬(83)은 상기 에어배관(82)을 통해 수납부(11)의 공기를 흡입하고 수납부(11)로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수납부(11)의 공기가 에어배관(82)을 통해 순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배관(82)의 내부에는 상기 열전소자(81)의 냉기와 공기와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공기의 냉각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공기접촉판(8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상기에어배관(82)에는 공기의 냉각에 따라 생성되는 응축수를 회수할 수 있는 응축수회수관이 연결되고, 회수된 응축수를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저장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81) 및 순환팬(83)은 상기 온습도제어기(33)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이러한 습도조절부(80)는 랙(10)의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과 수납부(11)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습도조절부(80)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온습도감지부(30)에서 습도가 설정습도를 벗어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온습도제어기(33)는 램프표시부(50)로 감지신호를 제공함과 함께, 습도조절부(80)의 열전소자(81)와 순환팬(83)으로 작동전원을 인가시킨다.
그러면, 열전소자(81)가 작동되면서 에어배관(82)으로 냉기가 전달되며, 동시에 순환팬(83)의 작동에 따라 공기는 에어배관(82)으로 흡입된 후 에어배관(82)을 통과하여 다시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이에, 에어배관(82)을 통과하는 공기가 열전소자(81)로부터 전달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고, 그에 따라 건조한 공기가 배출 순환되면서 수납부(11)의 습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때 에어배관(82)의 응축수는 응축수회수관(도면 미도시)을 따라 저장통(도면 미도시)으로 회수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습도조절부(80)의 습도조절에 의해 수납부(11)의 습도가 정상으로 유지되면, 온습도제어기(33)는 습도조절부(80)의 열전소자(81)와 순환팬(83)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원발명에 따른 모빌랙을 살펴보았는 바, 본원발명은, 온습도감지부(30)와 출입감지부(40) 및 램프표시부(50)를 통하여 모빌랙의 온도, 습도, 사용자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모빌랙의 사용편의성 및 관리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원발명에 따르면, 랙(10)들이 상호간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모빌랙의 미사용시에는 온습도감지부(30)가 전원공급을 받아 동작하면서 밀폐된 수납부(11)의 온도, 습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되, 출입감지부(40)로의 전원공급은 자동 차단시킴으로써 출입감지부(40)의 불필요한 동작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반대로 랙(10)들이 상호간에 분리된 상태인 모빌랙의 사용시에는 출입감지부(40)가 전원공급을 받아 동작하면서 사용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되, 온습도감지부(30)로의 전원공급은 자동 차단시킴으로써 온습도감지부(30)의 불필요한 동작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수납부(11)가 밀폐된 상태에서 습도 이상의 경우에는 단순히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 뿐만 아니라 습도조절부를 통해 자동으로 습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서의 변질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관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랙 11: 수납부
20: 레일 30: 온습도감지부
40: 출입감지부 50: 램프표시부
60: 작동전원부 70: 전원스위칭부
71: 푸싱핀 75: 스윙편
80: 습도조절부 81: 열전소자
82: 에어배관 83: 순환팬

Claims (4)

  1. 문서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11)가 내측에 구비된 다수의 랙(10)이 레일(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랙(10)에 구비되며, 수납부(11)의 온도와 습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벗어나는지 감지하는 온습도감지부(30);
    상기 랙(10)에 구비되며, 수납부(11)로의 사용자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부(40);
    상기 랙(10)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습도감지부(30) 또는 출입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설정된 상이한 색상으로 램프(51)를 점등시키는 램프표시부(50);
    상기 랙(10)에 구비되며, 상기 온습도감지부(30), 출입감지부(40), 램프표시부(50)의 작동전원을 인가하는 작동전원부(60);를 포함하되,
    상기 랙(10)과 이웃하는 랙(10′)에는 상기 랙(10)을 향하는 방향으로 푸싱핀(7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랙(10)에는 이웃하는 랙(10′)의 밀착 또는 이격에 따른 상기 푸싱핀(71)의 선택적인 누름 가압에 의하여 스위칭 동작함으로써, 상기 온습도감지부(30)와 출입감지부(40)로 작동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게 하는 전원스위칭부(70)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스위칭부(70)는, 상기 작동전원부(60)와 통전되는 제1단자(72)와, 상기 온습도감지부(30)와 통전되는 제2단자(73)와, 상기 출입감지부(40)와 통전되는 제3단자(74)와, 상기 제1단자(7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윙편(75)과, 상기 스윙편(75)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76)을 포함하며,
    상기 스윙편(75)은, 이웃하는 랙(10′)의 밀착에 따른 푸싱핀(71)의 누름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2단자(73)에 접속됨과 함께, 이웃하는 랙(10′)의 이격에 따른 푸싱핀(71)의 가압 해제시에는 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3단자(74)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감지부(30)는,
    각각 수납부(11)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1) 및 습도센서(32)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와 설정습도를 저장하며, 상기 온도센서(31) 또는 습도센서(32)에서 감지된 온도 또는 습도가 상기 설정온도 또는 설정습도를 벗어나는지 판별하는 온습도제어기(33);를 포함하는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랙(10)에 설치되는 습도조절부(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습도조절부(80)는,
    상기 습도가 설정습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온습도제어기(33)에 의해 동작하는 열전소자(81)와, 상기 열전소자(81)의 냉각면에 설치되는 에어배관(82)과, 상기 에어배관(82)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83)을 포함하는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KR1020170048501A 2017-04-14 2017-04-14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KR101823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01A KR101823864B1 (ko) 2017-04-14 2017-04-14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01A KR101823864B1 (ko) 2017-04-14 2017-04-14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864B1 true KR101823864B1 (ko) 2018-02-01

Family

ID=6123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501A KR101823864B1 (ko) 2017-04-14 2017-04-14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8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7482A (zh) * 2018-07-09 2018-12-25 安徽三六五办公科技有限公司 一种防潮湿的办公智能化文件储存柜
CN113068938A (zh) * 2021-03-17 2021-07-06 江西金虎保险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可调节温湿度的智能书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398Y1 (ko) * 2007-08-31 2007-11-29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모빌랙 안전장치
KR101117227B1 (ko) * 2011-07-12 2012-03-16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398Y1 (ko) * 2007-08-31 2007-11-29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모빌랙 안전장치
KR101117227B1 (ko) * 2011-07-12 2012-03-16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7482A (zh) * 2018-07-09 2018-12-25 安徽三六五办公科技有限公司 一种防潮湿的办公智能化文件储存柜
CN113068938A (zh) * 2021-03-17 2021-07-06 江西金虎保险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可调节温湿度的智能书柜
CN113068938B (zh) * 2021-03-17 2022-09-06 江西金虎保险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可调节温湿度的智能书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864B1 (ko) 절전식 감지기능을 갖는 모빌랙
JP5033240B2 (ja) ラッ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環境状態を決定する方法
US20210013735A1 (en) Intelligent automatic transfer switch module
US8482917B2 (en) Network switch cooling system
WO1989012502A1 (en) Biochemical reaction machine
EP3002955B1 (en) Rack mounted equipment power distribution system enhancements
KR101186221B1 (ko) 모듈형 제어 시스템을 가지는 배전반
US20170115021A1 (en) Monitoring circuit and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the monitoring circuit
US9791206B1 (en) Multiple linked appliance with auxiliary outlet
WO2012113807A1 (en) A data centre rack comprising a power bar
US10359203B2 (en) Portable desiccant dehumidifier
US20150029033A1 (en) Electronic hinged safety switch
WO2006025689A1 (en) Cooling device for compute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air-cooling kit and duct
WO2017034545A1 (en) Power delivery monitor and control with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10260769B2 (en) Portable desiccant dehumidifier
US10161653B1 (en) Portable desiccant dehumidifier control circuit
JP2017219987A (ja) 電源中継ユニット
US20210115620A1 (en) Heater and control scheme for multi-compartment dryer
JP2004286365A (ja) 電子機器収容用ラック、空気調和システム、これに用いる制御ボックス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050007712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outlet power strip
KR20120009280A (ko) 지능형절전 전원공급장치
US5209582A (en) Thermal printer
KR20090100856A (ko) 분할난방 시스템
JP3831969B2 (ja) 自動販売機
CN113108446B (zh) 一种电加热保护电路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