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208B1 -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208B1
KR101911208B1 KR1020180037386A KR20180037386A KR101911208B1 KR 101911208 B1 KR101911208 B1 KR 101911208B1 KR 1020180037386 A KR1020180037386 A KR 1020180037386A KR 20180037386 A KR20180037386 A KR 20180037386A KR 101911208 B1 KR101911208 B1 KR 101911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oncrete
present
heat transfer
mol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범
Original Assignee
우리건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건설산업(주) filed Critical 우리건설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37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은 내부에 콘크리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프레임;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 및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열을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전달하는 열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Concrete Molding System}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을 건설할 때, 콘크리트를 미리 만들어 놓은 거푸집에 부은 다음, 시간이 지나면서 수화 반응으로 콘크리트가 굳는 과정을 양생이라 하는데, 이러한 양생 과정에서 외력이나 온도의 변화, 진동 등에서 경화 중인 콘크리트를 보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중 온도가 영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콘크리트 내부에서 물이 얼어버리는 바람에 수화 반응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해 콘크리트의 경화가 늦어져 결과적으로 공사 기간이 그만큼 늘어나게 되곤 하였다.
또한, 기온이 영하로 떨어져서 얼지 않더라도 물은 온도가 낮아지면 특유의 육각형 구조를 이루려고 하기에 섭씨 4℃ 이하에서 오히려 부피가 커지는 경우가 생겨 경화 중인 콘크리트가 갈라지는 등 내구도가 떨어져 건설에 많은 어려움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들을 온도 충격이라 하는데, 온도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서 겨울철에 사용하는 콘크리트인 한중(寒中) 콘크리트를 사용하곤 하지만, 공사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공사에서는 한중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 콘크리트를 사용하되, 열을 가해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가열 보온 양생 또는 급열 양생을 실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급열 양생은 주로 화석 연료를 가열하여 만드는 열풍이나 연소가스로 실시한다. 이러한 방식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어떤 공사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가열된 공기가 대류 현상으로 위로 올라가기에 하부 콘크리트의 양생이 상대적으로 늦어지게 된다.
또한, 환기가 잘 되지 않거나 바람이 불지 않는 등 정적인 환경에서 실시할 경우 현장의 근로자가 질식할 우려가 있고, 연료를 태워서 가열하는 방식이기에 화재의 위험도 상시 존재하며 또한 대기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전기를 공급하여 마이크로 파장대의 광원으로 가열하거나 전열선으로 콘크리트를 가열하는 방식이 있지만,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전기료와 전기를 사용하는 발열 시스템 기반 구축의 번거로움, 그리고 전기를 사용하면서 생기는 감전 또는 누전으로 인한 화재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문제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을 실시할 경우 저온으로 인해 발생하는 균열 등 온도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콘크리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프레임;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 및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열을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전달하는 열전달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발열부는 내부에 금속 파우더가 수용되는 발열부재 및 상기 발열부재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서 상기 금속 파우더를 교반하는 교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부는 일단부에 고온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열전달부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전도 방식으로 열을 열전달부에 제공하는 배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부재의 단면적은 상기 열전달부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달부는 상기 발열부와 결합되는 제1 전달부재 및 상기 거푸집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달부재 및 상기 제2 전달부재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일단부가 상기 제2 전달부재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철근과 연결되어 상기 발열부의 열을 상기 철근으로 전달하는 철근 갈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은 발열부 및 열전달부를 통해서 양생 중인 콘크리트에 열을 전달하여 온도 충격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여 콘크리트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은 발열부재 내부의 산화 반응이 끝난 금속 파우더를 교체할 수 있어 가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은 기존의 화석연료 또는 전기를 사용한 콘크리트 양생 방식이 아닌 금속의 산화열 또는 유체의 열을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은 거푸집 프레임과 발열부를 열전달부를 통해 간단히 체결하고 해제할 수 있으며 급열 양생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은 철근 갈고리를 통해 발열부의 열을 콘크리트의 표면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까지 전달하여 콘크리트 내외부를 동시에 양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의 거푸집 프레임과 발열부의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의 발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의 발열부에 배관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의 배관부가 결합된 발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의 열전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이 철근 갈고리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의 거푸집 프레임과 발열부의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의 발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은 거푸집 프레임(10), 발열부(20) 및 열전달부(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은 발열부(20)의 열을 열전달부(40)를 통해 양생 중인 콘크리트에 전달하여 온도 충격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여 콘크리트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거푸집 프레임(10)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거푸집 프레임(10) 각각은 고정핀(미도시) 또는 고정빔(미도시)으로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콘크리트를 수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거푸집 프레임(10)은 독자적인 규격을 가질 수 있으나,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을 구성할 때 사용하는 갱폼(Gang Form)이나 유로폼(Euro Form) 또는 알폼(Al Form)등과 호환될 수 있는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은 발열부 및 열전달부를 통해서 콘크리트(5)의 원하는 장소에만 급열 양생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열부(20)는 고정부재(23), 발열부재(21), 교반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은 발열부(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함으로써 온도 충격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여 콘크리트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3)는 내부에 발열부재(21)가 위치하도록 발열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공사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여타 위험으로부터 발열부재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23)의 재질은 외부 환경 변화에도 견고하고, 발열부재(21)에서 발생하는 열에 강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열부재(21)는 열을 발산하기 위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내부에 금속 파우더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금속 파우더는 발열부재(21) 내부에서 산화 반응을 통해 열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파우더에는 산화작용의 촉매 역할을 하는 소금이나 물, 탄소 가루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열부재(21)는 일측에 발열부재 개구(21a)가 형성될 수 있고, 발열부재 개구 주변에 발열부재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2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열부재 개구(21a)를 통하여 금속 파우더의 입출이 가능한데, 반응이 끝난 금속 파우더를 발열부재 개구(21a)를 통해 배출하고, 신화 반응하기 전의 금속 파우더를 발열부재 개구를 통해 투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은 발열부재(21) 내부의 산화 반응이 끝난 금속 파우더를 교체함으로써 가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교반부재(30)는 기둥부(33), 날개부(31) 및 손잡이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은 발열부재(21) 내부의 금속 파우더를 교반함으로써 반응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둥부(33)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기둥부의 일단부는 고정부재(23)를 관통하여 발열부재(21)의 중공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기둥부(33)의 타단부에는 기둥부의 연장방향으로 손잡이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부(35)를 통해 날개부(31)를 회전시키는 조작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둥부(33)의 일단부에는 날개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31)는 기둥부(33)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243)을 잡고 조작하는 경우, 기둥부(3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발열부재(21) 내부에 설치된 날개부(31)가 회전함으로써 발열부재(21)의 내부의 금속 파우더를 교반하여 반응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의 발열부에 배관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의 배관부가 결합된 발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열부(20)는 배관부재(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0)은 발열부재(21)뿐만 아니라 배관부재(25)를 통해서도 열을 발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충격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여 콘크리트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관부재(25)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관부재(25)는 내부에 온수 등 고온의 유체가 이동함으로써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관부재(25)는 제1 배관(27), 제2 배관(29) 및 연결배관(2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관(27)의 일단부에는 고온의 유체가 유입되도록 제1 개구(27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관(27)의 타단부는 열전달부(40)와 접하여 유체의 열을 열전달부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배관(29)의 일단부에는 유체가 배출되도록 제2 개구(29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관(29)의 타단부는 열전달부(40)와 접하여 유체의 열을 열전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관(27)과 제2 배관(29)의 타단부는 열전달부(40)와 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체의 열을 전도의 방식으로 열전달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관(27)과 제2 배관(29)의 타단부는 열전달부(40)와 접할 수 있도록 발열부재(21) 및 고정부재(23)를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배관(28)은 제1 배관(27)과 제2 배관(29)을 연결함으로써 제1 배관의 제1 개구(27a)로 유입된 고온의 유체가 제1 배관(27), 연결배관(28) 및 제2 배관(29)을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제2 배관의 제2 개구(29a)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관부재(25)의 재질은 내열성이 있고 동시에 유체 또는 발열부재(21) 내부의 금속 파우더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고분자 플라스틱 등의 재질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배관(27) 및 제2 배관(29)의 단면적은 열전달부(4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발열부재(21)의 적어도 일부가 열전달부(40)와 접하여 발열부재는 열전달부에 전도 방식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은 금속의 산화열 및 유체의 열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열효율이 높고 친환경적이며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의 열전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열전달부(40)는 제1 전달부재(41) 및 제2 전달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달부재(41) 및 제2 전달부재(45)는 각각 거푸집 프레임(10) 및 발열부재(21)에 결합됨으로써 발열부(20)를 통해 발생된 열을 거푸집 프레임(1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전달부재(41) 및 제2 전달부재(45)는 서로 끼움 결합되어 접촉면을 넓힘으로써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제1 전달부재(41)의 일측에 제1 끼움홈(43)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달부재(45)는 제1 끼움홈(43)에 끼움 결합되는 제2 돌출부(46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달부재(45)의 일측에는 제2 끼움홈(47)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전달부재(41)는 제2 끼움홈(47)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돌출부(42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전달부재(41)는 제1 결합부(42a) 및 제1 돌출부(4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42a)의 일단부와 제1 돌출부(42b)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제1 끼움홈(4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42a)는 원판 형상이고, 제1 돌출부(42b)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상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전달부재(45)는 제2 결합부(46a) 및 제2 돌출부(4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46a)의 일단부와 제2 돌출부(46b)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제2 끼움홈(47)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46a)는 원판 형상이고, 제2 돌출부(46b)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상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41)는 거푸집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결합부(45)는 발열부재(21)에 결합됨으로써 발열부(20)을 통해 발생된 열을 거푸집 프레임(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달부재(41) 및 제2 전달부재(45)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접촉면적을 넓혀 넓힘으로써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은 발열부(20)에서 발생한 열을 제2 전달부재(45)에 전도의 방식으로 전달하고 제2 전달부재의 열은 제1 전달부재(41)를 거쳐 최종적으로 거푸집 프레임(10)을 통해 콘크리트(5)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은 거푸집 프레임(10)과 발열부(20)을 열전달부(40)를 통해 간단히 체결하고 해제할 수 있으며 급열 양생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이 철근 갈고리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열전달부(40)는 철근 갈고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철근 갈고리(50)는 원기둥 형상이고 단부가 갈고리 형상으로 일단부가 제1 결합부(42a)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철근(51)에 연결될 수 있다.
철근(51)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기반(52)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뼈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은 철근 갈고리(50)를 통해서 발열부(20)의 열을 철근(51)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근(51) 주변의 콘크리트(5)까지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1)은 콘크리트의 표면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51)도 함께 열을 전달하여 콘크리트 내외부를 동시에 양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 :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5 : 콘크리트
10 : 거푸집 프레임 20 : 발열부
21 : 발열부재 21a : 발열부재 개구
22 : 덮개 23 : 고정부재
25 : 배관부재 27 : 제1 배관
27a : 제1 개구 28 : 연결배관
29 : 제2 배관 29a : 제2 개구
30 : 교반부재 31 : 날개부
33 : 기둥부 35 : 손잡이부
40 : 열전달부 41 : 제1 전달부재
42a : 제1 결합부 42b : 제1 돌출부
43 : 제1 끼움홈 45 : 제2 전달부재
46a : 제2 결합부 46b : 제2 돌출부
47 : 제2 끼움홈 50 : 철근 갈고리
51 : 철근 52 : 콘크리트 기반

Claims (6)

  1. 내부에 콘크리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프레임;
    내부에 저장된 금속 파우더를 산화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 및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열을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전달하는 열전달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며, 일측면에 상기 금속 파우더를 투입 및 토출할 수 있는 발열부재 개구가 형성되는 발열부재; 및
    상기 발열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열전달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발열부재의 중공부에 위치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일단에서 상기 기둥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 및 상기 기둥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 및 상기 기둥부를 회전하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가지는 교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부는,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일면을 관통하며 상기 거푸집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 프레임과 평행하게 절곡된 제1 돌출부를 가지는 제1 전달부재; 및
    상기 발열부재와 일측이 접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서 돌출 절곡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돌출부가 형성하는 제1 끼움홈에 끼워지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일단부에 고온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열전달부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전도 방식으로 열을 열전달부에 제공하는 배관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재의 단면적은 상기 열전달부의 단면적보다 작은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제2 전달부재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철근과 연결되어 상기 발열부의 열을 상기 철근으로 전달하는 철근 갈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KR1020180037386A 2018-03-30 2018-03-30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KR101911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386A KR101911208B1 (ko) 2018-03-30 2018-03-30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386A KR101911208B1 (ko) 2018-03-30 2018-03-30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208B1 true KR101911208B1 (ko) 2018-12-28

Family

ID=6500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386A KR101911208B1 (ko) 2018-03-30 2018-03-30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2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817A (ko) * 2019-02-15 2020-08-2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유로폼 거푸집
CN112610007A (zh) * 2020-12-17 2021-04-06 赵佳康 一种大体积混凝土自动控制养生及保温结构
CN112696039A (zh) * 2021-01-18 2021-04-23 赵佳康 一种大体积混凝土温差控制自动养生及保温结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817A (ko) * 2019-02-15 2020-08-2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유로폼 거푸집
KR102298311B1 (ko) 2019-02-15 2021-09-0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유로폼 거푸집
CN112610007A (zh) * 2020-12-17 2021-04-06 赵佳康 一种大体积混凝土自动控制养生及保温结构
CN112696039A (zh) * 2021-01-18 2021-04-23 赵佳康 一种大体积混凝土温差控制自动养生及保温结构
CN112696039B (zh) * 2021-01-18 2022-03-01 秦皇岛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大体积混凝土温差控制自动养生及保温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208B1 (ko)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KR102338818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일러 방식의 양생 거푸집 시스템
KR101191811B1 (ko)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AU2007218923A1 (en) A rotary kiln
JP6711504B2 (ja) マイクロ波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養生用の均一発熱システム及びそれ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KR101309735B1 (ko) 친환경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CN103866671A (zh) 沥青路面再生综合修补车的沥青加热箱
CN101806382A (zh) 一种金属保温输送软管
KR102193542B1 (ko)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CN103132426A (zh) 沥青路面旧料热再生养护车的强制搅拌装置
KR101778233B1 (ko) 발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방법
KR100638547B1 (ko) 에프알피로 구성된 굴뚝의 제조 방법
CN107690202A (zh) 一种混凝土施工恒温电加热装置
CN108868143B (zh) 高寒地区低温季节混凝土施工工法
KR20170079058A (ko) 발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방법
NO332364B1 (no) Anordning for varmeutveksling
CN205839763U (zh) 深基坑混凝土支撑温控式轴力补偿装置
KR101322597B1 (ko)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 거푸집을 이용한 건물 시공 방법
KR101051556B1 (ko) 등기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JP7044737B2 (ja) 低温下でのグラウトの打設方法
JP625529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KR101845753B1 (ko) 고온 환경용 연도 또는 배관의 단열장치
KR20210130949A (ko)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
KR101793199B1 (ko) 스틸폼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가열 보양공법
KR101289016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교량기초 건설용 발열 거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