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811B1 -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811B1
KR101191811B1 KR1020090066141A KR20090066141A KR101191811B1 KR 101191811 B1 KR101191811 B1 KR 101191811B1 KR 1020090066141 A KR1020090066141 A KR 1020090066141A KR 20090066141 A KR20090066141 A KR 20090066141A KR 101191811 B1 KR101191811 B1 KR 101191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sphalt mixture
heat
medium oil
heat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675A (ko
Inventor
방승철
Original Assignee
방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승철 filed Critical 방승철
Priority to KR102009006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8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아스팔트 혼합물(1)이 투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배출부(22)가 형성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전체 둘레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20)의 외표면과 내표면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로는 아스팔트 혼합물(1) 가열시 간접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매체유(2)가 충전되는 열매체유 챔버(26)와, 상기 본체(20)의 상기 배출부(22)에 설치되어 아스팔트 혼합물(1)을 상기 배출부(22) 끝단의 배출구(22a)로 이송시키는 스크류(4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샤프트(21)의 외주면에 기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본체(20)의 공간부에 방사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20)의 상기 공간부에서 회동되면서 아스팔트 혼합물(1)을 교반하여 상기 열매체유(2)로부터 전달되는 간접열이 아스팔트 혼합물(1)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교반 임펠러(50)와, 상기 본체(20)의 외측 둘레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아스팔트 혼합물(1)의 최적 온도를 유지하는 단열챔버(30)와, 상기 단열챔버(3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본체(20) 둘레부의 열매체유(2)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가하는 가열기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스팔트 혼합물, 최적 온도, 간접열, 단열챔버, 교반 임펠러, 열전도 격판

Description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Asphalt heat retaining implement}
본 발명은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으로 아스팔트 혼합물을 싣고 다니면서 포설하는 실정을 감안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을 어느 장소로 옮겨서 사용하든지 아스팔트 혼합물의 최적 온도를 항시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는 아스팔트 혼합물(아스팔트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이라고도 함)를 포설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는 실정을 약술하면, 공장에서 제조되는 아스팔트 혼합물을 시공업자 등이 받아서 차량으로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면서 아스팔트 혼합물 포설 작업을 실시하여 도로 노면 위에 아스팔트를 깔아주는 것이 보통이다. 아스팔트 혼합물을 만들 때에는 콜타르(아스팔트 역청이라고도 함)를 대략 170℃ 내지 180℃ 정도로 가열하고 골재도 가열하고, 이들을 혼합하며, 필요시 섬유사 등도 추가로 혼합하는 공정 등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 공정을 현장에서 실시하기는 어렵기 때문 에, 공장에서 아스팔트 혼합물을 만들고 시공업자들이 받아서 차량으로 필요한 현장으로 이동하면서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공장에서 받은 아스팔트 혼합물의 온도는 포설 작업과 시공성 등의 측면에서 최적의 온도인 150℃ 정도가 되는데, 차량으로 아스팔트 혼합물을 싣고 다니면서 시공을 하다보면, 아스팔트 혼합물이 식어버리고, 이처럼 아스팔트 혼합물이 식으면 굳어버려서 아스팔트 혼합물 포설 작업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공장에서 받은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기까지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온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적절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이처럼 아스팔트 혼합물의 적정 온도 유지를 위한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 및 재생차량과 기타 다른 여러 형태의 아스팔틀 혼합물 보온장치가 출시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보온장치들은 이론적으로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온도를 허용 임계 최하 온도인 120℃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아스팔트 혼합물이 이러한 임계 최하 온도 이하로 내려가서 아스팔트 혼합물을 최적의 온도 상태로 제대로 유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아스팔트 혼합물의 온도가 120℃ 이하로 내려가면 아스팔트 혼합물 자체를 포설하면 안되는데도 불구하고, 실제 많은 시공 현장에서는 온도가 120℃ 이하인 아스팔트 혼합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실정으로 인해 아스팔트 혼합물 포설 후에 얼마되지도 않아 아스팔트 노면에 균열이 쉽게 발생하거나 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장치로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온도를 120℃ 이상으로 올려서 유지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며, 120℃ 이상으로 온도를 올리다보면 아스팔트 혼합물 자체가 타버려서 제대로 사용할 수 없게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으로 필요한 장소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싣고 다니면서 포설하는 것과 같이 장시간 아스팔트 혼합물을 옮겨 다니더라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최적 온도 상태를 항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아스팔트 포설 시공의 신뢰성 향상 등을 높이는데 충분히 기여할 수 있도록 된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아스팔트 혼합물(1)가 투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배출부(22)가 형성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전체 둘레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20)의 외표면과 내표면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로는 아스팔트 혼합물(1) 가열시 간접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매체유(2)가 충전되는 열매체유 챔버(26)와, 상기 본체(20)의 상기 배출부(22)에 설치되어 아스팔트 혼합물(1)을 상기 배출부(22) 끝단의 배출구(22a)로 이송시키는 스크류(4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샤프트(21)의 외주면에 기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본체(20)의 공간부에 방사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20)의 상기 공간부에서 회동되면서 아스팔트 혼합물(1)을 교반하여 상기 열매체유(2)로부터 전달되는 간접열이 아스팔트 혼합물(1)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교반 임펠러(50)와, 상기 본체(20) 의 외측 둘레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아스팔트 혼합물(1)의 최적 온도를 유지하는 단열챔버(30)와, 상기 단열챔버(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20) 둘레부의 상기 열매체유 챔버(26)에 충전된 열매체유(2)를 가열하는 열을 가하는 가열기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 혼합물을 채운 본체의 하측 위치에서 가열기구를 작동시켜 열매체유를 160℃ 내지 170℃ 정도로 가열시키고, 열매체유의 간접열에 의해 본체 내부의 온도가 160℃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하며, 아울러, 본체의 전체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된 단열챔버에 의해 본체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뺏기지 않고 160℃ 정도를 유지하므로, 아스팔트 혼합물이 포설에 최적 온도인 150℃ 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싣고 다니면서 포설하더라도 항시 양질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본체의 하측에 단열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단열 공간부에 내장된 가열기구에 의해 본체 자체의 열매체유를 데워서 간접열로 아스팔트 혼합물을 가열하고, 이처럼 열매체유의 간접열로 가열된 아스팔트 혼합물의 최적 온도를 단열챔버의 연계 작용에 의해 견실하게 유지함으로써, 아스팔트 혼합물이 과열로 타버리는 등의 경우가 없이 항시 아스팔트 혼합물의 최적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모든 아스팔트 포설 현장에서 양질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편리하게 사용하는데 충실히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스팔트 혼합물은 특성상 자체의 무게에 의해 다져지는데, 종래의 단순 호터식의 아스팔트 혼합물 저장 탱크는 다져진 아스팔트 혼합물이 제대로 아래로 흘러내려가지 않고 정체되는 구역(터널 구역)이 생기기 때문에, 잔류 아스팔트 혼합물로 인해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이 저하되고 아스팔트 혼합물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주요부인 본체의 하측부를 원호형 바닥부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아스팔트 혼합물이 잘 흘러내려가지 않는 터널 구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므로, 본체 내부에 아스팔트 혼합물이 흘러내리지 않고 정체되는 현상으로 인한 여러가지 제반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 복수개의 회전되는 교반 임펠러를 가짐으로 인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을 필요할 때마다 휘저어서 골고루 교반시킬 수 있으므로, 아스팔트 혼합물 자체가 반고체 상태가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아스팔트 혼합물 자체에 가열기구이 열을 골고루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본체에 채워진 아스팔트 혼합물 전체를 빠짐없이 최적의 온도(즉, 150℃ 정도)로 유지하는데 더욱 기여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교반 임펠러의 주요부인 교반 블레이드가 교반 임펠러 회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아스팔트 혼합물의 저어주는 양은 되도록 많게 하여 교반 효율성은 최대한 높이면서도 아스팔트 혼합물을 저어줄 때에 작용할 수 있는 부하량을 되도록 적게하여 모터 등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아스팔트 혼합물이 투입되는 본체 내부에 추가로 복 수개의 열전도 격판을 설치하고, 열전도 격판은 내부에 열매체유가 채워지는 이중판 형태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열전도 격판 내부의 열매체유에 의한 간접열이 본체 내부의 공간부에 채워진 아스팔트 혼합물의 모든 부분에 균일하게 가해지므로, 보다 균일하게 아스팔트 혼합물를 가열함은 물론 모든 부분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빠짐없이 최적 온도(즉 150℃ 정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복수개의 열전도 격판을 본체에 더 구비하여 군데군데에서 아스팔트 혼합물에 전달되는 온도를 균일하게 배분하므로, 아스팔트 혼합물의 어느 부분은 가열되고 다른 부분은 가열되지 않는 경우가 없이 아스팔트 혼합물 전체가 균일하게 최적 온도로 가열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교반 임펠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교반 임펠러의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아스팔트 혼합물(1)이 투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배출부(22)가 형성된 본체(20)와, 이 본체(20)의 전체 둘레부를 커버하도록 본체(20)의 외표면과 내표면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로는 아스팔트 혼합물(1) 가열시 간접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매체유(2)가 충전되는 열매체유 챔버(26)와, 본체(20)의 배출부(22)에 설치되어 아스팔트 혼합물(1)을 상기 배출부(22) 끝단의 배출구(22a)로 이송시키는 스크류(40)와, 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샤프트(21)의 외주면에 기단부가 지지되어 본체(20)의 공간부에 방사 방향으로 설치되며 회전 샤프트(21)의 회전에 따라 본체(20)의 내부 공간부에서 회동되면서 아스팔트 혼합물(1)을 교반하여 열매체유(2)로부터 전달되는 간접열이 아스팔트 혼합물(1)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교반 임펠러(50)와, 본체(20)의 외측 둘레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아스팔트 혼합물(1)의 최적 온도를 유지하는 단열챔버(30)와, 이러한 단열챔버(30)의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20) 둘레부의 열매체유 챔버(26)에 충전된 열매체유(2)에 열을 가하는 가열기구(60)를 갖는다.
상기 본체(20)는 상측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하측부에는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길이 방향으로 길다란 배출부(22)를 갖는 탱크 형상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본체(20)는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원호형 바닥부(24)를 갖는 배럴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20)의 원호형 바닥부(24)의 중앙부에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배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부(22)는 좌우로 긴 도량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배출부(22)의 끝단에 배출구(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부(22)는 하측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에 배출슈트(s)가 사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체(20)는 외측판과 내측판 사이에 열매체유 챔버(26)가 구비된 이중탱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본체(20)의 전체 부분에 형성된 열매체유 챔버(26)에 열매체유(2)가 충전되고, 이러한 열매체유(2)는 후술할 가열기구(60)의 열을 본체(20)의 내부 공간부로 간접 전달하여 본체(20)의 내부 공간부에 투입된 아스팔트 혼합물(1)를 가열하고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게 된다. 물론, 열매체유 챔버(26)에는 미도시된 열매체유(2) 투입구와 배출구가 있다.
상기 본체(20)의 상측 개구부는 도어(80)에 의해 개페된다. 이러한 도어(80)는 본체(20)의 내부와 마주하는 면에 벌크형 단열재(84)와 보드형 단열재(85)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구조이다. 바람직하게, 도어(80)는 두 개의 내외측 금속판(83) 사이의 공간부에 솜과 같은 벌크형 단열재(84)가 개재되고, 도어(80)의 내측 금속판(83)에 세라믹 보드 또는 암면 보드와 같은 보드형 단열재(85)가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어(80)는 단면이 대략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본체(20)의 상측 개구부 위치에 원호형의 교반 임펠러(50) 회동 궤적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80)는 본체(20)의 상단부 길이 방향 좌우측에 구비된 가이드 브라켓에 지지되어, 본체(20)의 전방 또는 후방 위치로 원주형 궤적을 따라 개폐 작동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단면 원주형 도어(80)가 본체(20)의 전방과 후방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도어(80)와 본체(20)에 힌지부를 매개로 양단부가 연결된 링크부재(82)를 매개로 도어(80)가 본체(2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원형 궤적상에서 개폐 작동된다.
도어(80)와 링크부재(82)를 연결하는 힌지부는 힌지공과 힌지축으로 이루어지는데, 도어(80)에 힌지축이 구비되고 링크부재(82)에 힌지공이 형성될 수도 있고, 링크부재(82)에 힌지축이 구비되고, 도어(80)에 힌지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힌지공은 링크부재(8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도어(80)를 본체(20) 상측부에서 열어주는 작동을 할 때에는 도어(80)를 본체(20) 위로 들어주면, 힌지축이 장공 형태의 힌지공을 따라 상승하므로, 도어(80)가 링크부재(82)를 매개로 본체(20)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80)를 링크부재(82)를 매개로 원형 궤적으로 하향회동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도어(80)를 열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80)는 수동 개폐식으로 될 수도 있고 실린더와 링크부재(82) 등이 연계된 자동 개폐식으로 될 수도 있다.
도어(80)에서 중요한 것은 도어(80) 자체자 단열재(84,85), 즉 벌크형 단열재(84)와 보드형 단열재(85)를 갖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체(20) 내부에 투입된 아스팔트 혼합물(1) 자체의 온도를 유지하는 단열 도어(80)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한편, 도어(80)는 외곽 둘레부에 본체(20)의 상단부에 맞닿음 접촉되는 평탄면이 구비되고, 이러한 도어(80)의 평탄면과 본체(20)의 상단부에 사이에는 단열재(80a)(예를 들어, 암면 블랭킷)를 개재시키고, 볼트(b)와 너트(n)를 조여서 도어(80)의 평탄면과 본체(20)의 상단부 사이에 단열재(80a)를 가압밀착시킴으로써, 본체(20)와 도어(80) 사이를 통하여 본체(20) 내부의 온도가 빠져나가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80)는 본체(20)의 좌우 상단부에 구비된 가이드 브라켓에 지지되어 원형 궤적상에서 하향 개페 작동되는데, 구체적으로, 가이드 브라켓의 상하측 개폐작동 가이드편에 지지되어 도어(80)가 본체(20)에 대해 원형 궤적상에서 하향 개페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80)가 하향 개방된 상태에서는 스톱핑 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도어(80)가 본체(20)에서 이탈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톱핑 수단은 본체(20)의 가이드 브라켓에 구비된 스톱퍼핀 또는 스톱핑홈과, 도어(80)의 내측단 좌우 양측 위치에 구비된 스톱핑홈 또는 스폽퍼핀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어(80)가 하향 개방된 상태에서 스톱핑판과 스톱핑홈이 서로 맞걸린 상태가 됨으로써 도어(80)가 본체(20)에서 이탈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밖에, 도어(80)의 하향 회동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스톱핑수단을 모두 채용 가능하다.
아울러, 두 개의 도어(80)의 내측단이 서로 맞닿아 닫혀진 상태에서는 별도의 도시 안된 클램핑기구에 의해 두 개 도어(80) 사이의 밀폐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0)의 도랑형 배출부(22)에는 스크류(40)가 설치된다. 이 스크류(40)의 양단부측 둘레부는 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에 풀리 등으로 연결된 모터(M2)의 구동에 따라 회전 작동된다. 스크류(40)의 회전에 따라 본체(20) 내부의 아스팔트 혼합물(1)가 배출부(22)의 끝단 배출구(22a)로 이송되어 배출슈트(s)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본체(20)의 배출부(22) 상측 내부에는 회전 샤프트(21)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회전 샤프트(21)의 일단부측은 모터(M1)에 풀리 등으로 연결 되어,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회전 샤프트(21)가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 샤프트(21)의 둘레부에는 기단부가 지지된 복수개의 교반 임펠러(5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교반 임펠러(50)는 회전 샤프트(21)의 둘레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관(52a)과, 이 결합관(52a)의 외주면에 기단부가 일체화된 단면 원형의 교반로드(52)와, 이 교반로드(52)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숟가락처럼 소정의 면적을 가진 교반 블레이드(54)로 구성된다. 이때, 교반 블레이드(54)는 회전 샤프트(21)의 회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a) 경사진 형태로 배열된다. 도 5와 도 6에 이러한 경사지게 배열된 교반 블레이드(54)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20)의 외측 둘레부 전체는 단열챔버(30)에 의해 커버된다. 구체적으로, 단열챔버(30)는 본체(20)의 외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복수개의 단열보드(32)를 본체(20)의 전후 좌우측에 결합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본체(20)의 하측 위치와 단열보드(32) 사이에 밀폐된 단열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때, 단열보드(32)는 최외곽의 금속판(83)과, 이 금속판(83)의 안쪽에 배치된 솜과 같은 구조의 벌크형 단열재(32b)와, 이 벌크형 단열재(32b)의 내측면에 구비된 보드형 단열재(32c)를 갖는 구조이다. 바람직하게, 단열보드(32)는 내외측 금속판(83) 사이의 공간부에 벌크형 단열재(32b)가 내장되고, 내측 금속판(83)의 안쪽면에 보드형 단열재(32c)를 부착한 구조이다.
상기 단열챔버(30)를 구성하는 단열보드(32) 중에서 정면의 단열보드(32)에는 도어(80)가 구비되어, 이러한 도어(80)를 개방하여 본체(20)의 하측 위치와 단열보드(32) 사이에 밀폐된 단열 공간부에 가열기구(60)를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기구(60)는 전기에 의해 히팅 구동되는 히터나 연료에 의해 화염을 내는 일반 가열장치 등을 채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열기구(60)의 구동에 의한 열로 본체(20)의 하측을 가열할 때에 이중 탱크 구조인 본체(20)의 열매체유 챔버(26)에 채워진 열매체유(2)가 가열되면서 간접열을 본체(20)의 내부 공간부에 가하므로, 이러한 간접열로 아스팔트 혼합물(1)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20)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교반 임펠러(50)는 회전 샤프트(21)의 회전에 따라 본체(20)의 내부 공간부에서 회동되면서 아스팔트 혼합물(1)을 교반함으로써 열매체유(2)로부터 전달되는 간접열이 아스팔트 혼합물(1)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한다. 즉, 교반 임펠러(50)가 안쪽의 아스팔트 혼합물(1)와 바깥쪽의 아스팔트 혼합물(1)가 서로 뒤집어져서 섞이도록 하므로, 열매체유(2)로부터 전달되는 간접열이 아스팔트 혼합물(1)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아스팔트 혼합물(1)이 채워지는 공간부를 복수개의 룸으로 구획하는 복수개의 열전도 격판(70)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열전도 격판(70)은 내부에 열매체유(2)를 충전하기 위한 열매체유 챔버(76)가 구비된 것으로, 열전도 격판(70)이 본체(20)의 내부에 군데군데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열전도 격판(70) 내부의 열매체유 챔버(76)는 본체(20) 내부의 열매체유 챔버(26)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20)의 하측 위치에 배치된 가열기구(60)를 작동시키면, 본체(20)의 전체면을 커버하는 열매체유(2)가 대략 160℃ 내지 170℃ 정도로 가열되고, 열매체유(2)의 온도가 160℃ 내지 170℃로 유지되면 간 접열에 의해 본체(20) 내부의 온도가 160℃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본체(20)의 전체면을 커버하도록 단열챔버(30)를 구비하고, 본체(20)의 상측부를 닫아주는 도어(80)도 단열 구조의 보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본체(20)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뺏기지 않고 대략 160℃ 정도를 유지하므로, 아스팔트 혼합물(1)가 포설에 최적 온도인 150℃ 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에 아스팔트 혼합물(1)를 싣고 다니면서 포설하더라도 항시 아스팔트 혼합물(1)의 최적 온도를 충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테면, 본체(20)의 하측에 단열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단열 공간부에 내장된 가열기구(60)에 의해 본체(20) 자체의 열매체유(2)를 데워서 간접열로 아스팔트 혼합물(1)를 가열하고, 이처럼 열매체유(2)의 간접열로 가열된 아스팔트 혼합물(1)의 최적 온도를 단열챔버(30)의 연계 작용에 의해 견실하게 유지함으로써, 아스팔트 혼합물(1)가 과열로 타버리는 등의 경우가 없이 항시 아스팔트 혼합물(1)의 최적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라 하겠다.
한편,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단열챔버(30)를 이루는 단열보드(32)는 상대적으로 바깥쪽은 공기층이 많은 솜과 같은 벌크형 단열재(32b)이고 상대적으로 안쪽은 세라믹 보드나 암면 보드와 같은 보드형 단열재(32c)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벌크형 단열재(32b)가 공기층이 많으므로, 단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단열보드(32) 자체의 무게는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본체(20)는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원호형 바닥부(24)를 갖는 배럴 형상으로 구성되고, 본 체(20)의 원호형 바닥부(24)의 중앙부에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배출부(22)가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20)의 원호형 바닥부(24)를 따라 아스팔트 혼합물(1)가 정체되지 않고 모두 배출부(22) 방향으로 흘러 내려가므로, 잔류 아스팔트 혼합물(1)로 인한 여러가지 악영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스팔트 혼합물(1)를 자체의 특성상 중력에 의해 다져지는데, 종래의 단순 호터식의 아스팔트 혼합물(1) 저장 탱크는 다져진 아스팔트 혼합물(1)가 제대로 아래로 흘러내려가지 않고 정체되는 구역(터널 구역)이 생기기 때문에, 잔류 아스팔트 혼합물(1)로 인해 아스팔트 혼합물(1)의 품질이 저하되고 아스팔트 혼합물(1)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주요부인 본체(20)의 하측부를 원호형 바닥부(24)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아스팔트 혼합물(1)가 잘 흘러내려가지 않는 터널 구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므로, 종래의 이러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20)의 내부에 복수개의 회전되는 교반 임펠러(50)를 가진 것이 특징을 이룬다. 아스팔트 혼합물(1)를 가만 놔두면 아스팔트 혼합물(1)의 자체 성질에 의해 다져지고 반고체 비슷하게 되버리고 열전도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본 발명에서는 아스팔트 혼합물(1)를 휘저어줄 수 있는 복수개의 교반 블레이드(54)를 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아스팔트 혼합물(1)를 필요할 때마다 저어서 골고루 교반시킬 수 있으므로, 아스팔트 혼합물(1) 자체가 반고체 상태가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아스팔트 혼합물(1) 자체에 가열기구(60)이 열을 골고루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본체(20)에 채워진 아스팔트 혼합물(1) 전체를 빠짐없이 최적의 온도(즉, 150℃ 정도)로 유지하는데 더욱 기여할 수 있다. 즉, 교반 임펠러(50)에 의해 본체(20) 내부의 아스팔트 혼합물(1)를 가끔 한번씩 휘저여주면, 안쪽 위치의 아스팔트 혼합물(1)가 밖으로 나오면서 고르게 열전달되므로, 모든 아스팔트 혼합물(1)를 빠짐없이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아스팔트 혼합물(1)가 타지 않고 최적 온도인 150℃ 정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종래와 같이, 아스팔트 혼합물(1)의 온도가 120℃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는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반 임펠러(50)를 구성하는 교반 블레이드(54)는 마치 숟가락처럼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처럼 교반 블레이드(54)를 판형상으로 구성함으로 인하여 교반 임펠러(50) 회전시 교반 블레이드(54)가 아스팔트 혼합물(1)를 저어주는 량이 보다 많게 되는데, 교반 블레이드(54)가 교반 임펠러(50) 회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45°정도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교반 임펠러(50) 회전시 교반 블레이드(54) 자체가 많은 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에, 교반 임펠러(50) 회전시 모터(M1)에 과부하 등이 걸리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교반 임펠러(50)의 주요부인 교반 블레이드(54)를 회전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구성함으로 인하여 아스팔트 혼합물(1)의 저어주는 양은 되도록 많게 하면서도 아스팔트 혼합물(1)를 저어줄 때에 작용할 수 있는 부하량을 되도록 적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20) 내부에 추가로 설치된 복수개의 열전도 격판(70) 내부 의 열매체유(2)에 의해 간접열이 본체(20) 내부의 공간부에 채워진 아스팔트 혼합물(1)의 모든 부분에 균일하게 가해지므로, 보다 균일하게 아스팔트 혼합물(1)를 가열함은 물론 최적의 온도를 모든 부분의 아스팔트 혼합물(1)의 최적 온도, 즉 150℃ 정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아스팔트 혼합물(1)의 어느 부분은 가열되고 다른 부분은 가열되지 않는 경우가 없이 모든 부분의 아스팔트 혼합물(1)가 균일하게 최적 온도로 가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교반 임펠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교반 임펠러의 평면도

Claims (7)

  1. 내부에 아스팔트 혼합물(1)가 투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배출부(22)가 형성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전체 둘레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20)의 외표면과 내표면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로는 아스팔트 혼합물(1) 가열시 간접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매체유(2)가 충전되는 열매체유 챔버(26)와, 상기 본체(20)의 상기 배출부(22)에 설치되어 아스팔트 혼합물(1)을 상기 배출부(22) 끝단의 배출구(22a)로 이송시키는 스크류(4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샤프트(21)의 외주면에 기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본체(20)의 공간부에 방사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20)의 상기 공간부에서 회동되면서 아스팔트 혼합물(1)을 교반하여 상기 열매체유(2)로부터 전달되는 간접열이 아스팔트 혼합물(1)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교반 임펠러(50)와, 상기 본체(20)의 외측 둘레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아스팔트 혼합물(1)의 최적 온도를 유지하는 단열챔버(30)와, 상기 단열챔버(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20) 둘레부의 상기 열매체유 챔버(26)에 충전된 열매체유(2)를 가열하는 열을 가하는 가열기구(6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아스팔트 혼합물(1)이 채워지는 공간부를 복수개의 룸으로 구획하는 복수개의 열전도 격판(7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열전도 격판(70)은 내부에 열매체유(2)를 충전하기 위한 열매체유 챔버(7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 장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원호형 바닥부(24)를 갖는 배럴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호형 바닥부(24)의 중앙부에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기 배출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상단 개구부는 도어(80)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도어(8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와 마주하는 면에 벌크형 단열재(84)와 보드형 단열재(85)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챔버(30)는 상기 본체(20)의 외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복수개의 단열보드(32)를 상기 본체(20)에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20)의 하측 위치와 상기 단열보드(32) 사이에 밀폐된 단열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열보드(32)는 내측면에 순차적으로 벌크형 단열재(32b)와 보드형 단열재(32c)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단열보드(32)와 상기 본체(20)의 하측 위치에 형성된 상기 단열 공간부에 가열기구(60)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 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에 내장된 상기 교반 임펠러(50)는 상기 본체(20)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수평 설치된 회전 샤프트(21)에 기단부가 지지된 교반로드(52)와, 상기 교반로드(52)의 선단부에 구비된 교반 블레이드(54)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교반 블레이드(54)는 상기 회전 샤프트(21)의 회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a) 경사진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7. 삭제
KR1020090066141A 2009-07-21 2009-07-21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KR101191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141A KR101191811B1 (ko) 2009-07-21 2009-07-21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141A KR101191811B1 (ko) 2009-07-21 2009-07-21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75A KR20110008675A (ko) 2011-01-27
KR101191811B1 true KR101191811B1 (ko) 2012-10-16

Family

ID=4361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141A KR101191811B1 (ko) 2009-07-21 2009-07-21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26U (ko) 2019-04-02 2020-10-13 황익현 아스팔트 혼합물용 가온 및 보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4074B (zh) * 2011-10-24 2014-03-12 周其强 一种生产改性沥青的装置及利用该装置生产改性沥青的方法
CN102733290A (zh) * 2012-06-25 2012-10-17 同济大学 沥青混合料拌和装置
KR101251102B1 (ko) * 2012-08-01 2013-04-05 정주현 폐아스콘 재생장치
KR101422577B1 (ko) * 2012-08-17 2014-07-24 황익현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CN104313975A (zh) * 2014-09-28 2015-01-28 广东惠利普路桥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支持热再生设备协同工作的控制系统
CN105200901B (zh) * 2015-10-26 2017-08-15 徐州徐工筑路机械有限公司 一种沥青路面养护车上的保温料仓
CN111877094B (zh) * 2020-08-03 2021-08-27 四川大华生态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道路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CN112431093B (zh) * 2020-12-21 2022-12-20 湖南弘百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道路施工用沥青运输装置
CN114775367A (zh) * 2022-04-22 2022-07-22 上海群康沥青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性能沥青磨耗层的加热配料装置
CN115025680B (zh) * 2022-07-13 2024-04-26 安徽茂诚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改进型再生沥青材料搅拌混料设备
CN116571164B (zh) * 2023-07-15 2023-09-19 枣强县金鹰钨业有限公司 一种双锥干燥混料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184Y1 (ko) * 2000-07-31 2000-12-15 주식회사태신 콘크리트 혼합기용 교반회전축
KR200313922Y1 (ko) * 2003-02-13 2003-05-22 주식회사 성창 개량 아스팔트용 가마
KR100766906B1 (ko) * 2007-05-14 2007-10-15 최병만 열매체유의 간접열을 이용한 아스콘용 보온 및 재생차량
KR100843766B1 (ko) * 2008-02-05 2008-07-04 (주)옥련건설 도로 보수용 아스콘 보온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184Y1 (ko) * 2000-07-31 2000-12-15 주식회사태신 콘크리트 혼합기용 교반회전축
KR200313922Y1 (ko) * 2003-02-13 2003-05-22 주식회사 성창 개량 아스팔트용 가마
KR100766906B1 (ko) * 2007-05-14 2007-10-15 최병만 열매체유의 간접열을 이용한 아스콘용 보온 및 재생차량
KR100843766B1 (ko) * 2008-02-05 2008-07-04 (주)옥련건설 도로 보수용 아스콘 보온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26U (ko) 2019-04-02 2020-10-13 황익현 아스팔트 혼합물용 가온 및 보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75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811B1 (ko)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KR100965940B1 (ko) 아스팔트 혼합물 보온장치
KR100843766B1 (ko) 도로 보수용 아스콘 보온배출장치
US103582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sphalt concrete
KR101371392B1 (ko) 상온 재생아스콘용 프리믹싱장치
CN103866671B (zh) 沥青路面再生综合修补车的沥青加热箱
KR101217055B1 (ko) 내통회전드럼과 외통회전드럼의 2중 드럼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아스콘 재생방법
CN204589764U (zh) 沥青厂拌混合热再生滚筒
KR101313150B1 (ko) 아스콘 제조장치
KR20180002924U (ko) 도로 보수용 아스팔트 혼합물 직접 가열 혼합믹서
CN207044401U (zh) 具有保温粉碎功能的混凝土混合搅拌装置
US201500307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oated products, for example bituminous coated products, with protection plates
CN206267001U (zh) 公路养护设备
NO153440B (no) Roterovn med flere utloep.
CN103132426B (zh) 沥青路面旧料热再生养护车的强制搅拌装置
CN211362886U (zh) 一种公路路面施工使用混凝土保温装置
US2492792A (en) Apparatus for drying and heating mineral aggregates
CN211340293U (zh) 一种强制搅拌加热装置
KR101912619B1 (ko) 구스아스팔트 생산용 첨가제 혼합 및 가열장치
WO2019127952A1 (zh) 一种带有加热保温功能的细长型双轴拌和器
CN112252137B (zh) 一种冬季路面施工用混凝土面层的保温装置
CN104612025A (zh) 一种搅拌式沥青混合料加热料仓
CN208943955U (zh) 一种沥青混凝土生产用搅拌出料装置
CN208604535U (zh) 用于撒布溶雪剂除雪车辆上的水箱装置
CN206721616U (zh) 一种保温性能良好的沥青洒布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