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542B1 -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542B1
KR102193542B1 KR1020190176678A KR20190176678A KR102193542B1 KR 102193542 B1 KR102193542 B1 KR 102193542B1 KR 1020190176678 A KR1020190176678 A KR 1020190176678A KR 20190176678 A KR20190176678 A KR 20190176678A KR 102193542 B1 KR102193542 B1 KR 10219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concrete
heater
insertion groove
transf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태훈
유한주
박준우
김창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6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은, 콘크리트 제조용 거푸집의 외부 패널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발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단위 발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발열 장치는 거푸집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단위 면적을 갖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측면에 결합된 파지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된 열전달 구조물; 및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열전달 구조물에 열을 공급하는 튜브형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 구조물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금속 부재로서, 상부 영역에 튜브형 히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히터 삽입홈 및 상기 히터 삽입홈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열전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삽입홈에는 튜브형 히터가 삽입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UNIFORMLY-HEATING SYSTEM FOR CURING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form)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까지 사용하는 임시 구조물을 말한다. 임시 구조물이므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분리하여 재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 종류나 필요에 따라서 공장에서 양산될 수도 있고 시공 현장에서 제조될 수도 있는데, 공장 양산이든 현장 제작이든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상 및 치수를 정확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태대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철근 조립체 등을 설치하며, 그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 과정에서 공사 기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양생 시간이다. 즉, 양생 시간이 오래 걸리면 그만큼 공사 기간이 길어지므로 공사 비용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겨울철이나 혹한 지역과 같이 외기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양생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공사 기간이 길어져 전체 공사 비용이 증가하고 공사에 따른 납기를 만족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겨울철의 경우 수화 반응 지연 등으로 콘크리트의 품질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하여 별도의 첨가제 등을 사용하거나 콘크리트 타설 자체를 수행하지 않기도 한다.
교각이나 빌딩 등의 높은 건축물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아래에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시키는 유로폼(Euro form), 슬립폼(slip form) 또는 클라이밍 폼(climbing form) 형태의 거푸집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1회 타설시 양생에 걸리는 시간이 매우 오래 지속되므로 전체 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동절기나 혹한 지역과 같이 외부 온도가 낮을 경우 이러한 문제가 더 크게 발생하는데, 종래에는 공사 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전열선을 거푸집에 함입시켜 가열시키는 시공 방법을 사용하거나 열풍기나 난로, 스팀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 표면을 가열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전열선을 이용한 온도 상승 방법은 전열선을 거푸집에 설치해야 하므로 복잡한 전기 공사를 추가로 요하며, 또한 전열선에 전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하므로 막대한 양의 전기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고, 거푸집 작업 후에는 다시 전열선을 해체해야 하는데 해체 작업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열풍기나 난로, 스팀 등에 의해 거푸집 표면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열풍기, 난로, 보일러 등을 가동하기 위해 막대한 양의 기름, 가스 및 전기가 소모되고 유독가스 발생으로 작업자들의 안전이 보장되기 어려우며 환경 오염의 소지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로 인해 겨울철에는 아예 교각이나 건물 등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을 중단하기도 하는 등 공기가 길어지는 원인이 되었다.
기존 방법의 경우 위와 같은 문제가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었으며, 시공을 하더라도 안전문제, 환경문제 및 과다한 비용 발생 등의 문제로 인해 겨울철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공사는 진행되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130015호(발명의 명칭: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용 발열 거푸집), 제10-2011-0130016호(발명의 명칭: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기초의 건설 방법), 제10-2012-0031331호(발명의 명칭: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 거푸집을 이용한 건물 시공 방법), 제10-2012-0031340호(발명의 명칭: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거푸집을 이용한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용 거푸집 구조 및 그를 이용한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방법)의 출원을 통해 겨울철이나 혹한 지역과 같이 외기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양생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양생에 필요한 온도상승에 막대한 양의 석유, 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거푸집의 온도를 올림으로써 콘크리트 양생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기간 및 제작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였다.
위 특허 기술을 이용할 경우 발열 효율과 그에 의한 콘크리트 촉진양생 효과가 뛰어나 동절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및 제작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발열체로의 마이크로웨이브의 일정한 전달이 쉽지 않아 전체적으로 균일한 발열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으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부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전체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아 시공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었고, 또한 발열 시스템의 무게 및 부피가 과도하게 커서 실제 현장에서는 취급성,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각, 교대와 같은 교량 기초, 아파트나 주택, 사무용 빌딩 등과 같은 건물의 슬래브,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및 교량 상판, 거더, 박스, 빔, 암거, 옹벽, 말뚝, 궤도 슬래브, 콘크리트 침목 등과 같은 현장타설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시공, 제조함에 있어 새로운 구조의 균일 발열 시스템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가열함으로써 거푸집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초기 수화 시간을 단축시켜 특히 동절기, 혹한 지역 등 외기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불량 및 작업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은, 콘크리트 제조용 거푸집의 외부 패널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발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단위 발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발열 장치는 거푸집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단위 면적을 갖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측면에 결합된 파지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된 열전달 구조물; 및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열전달 구조물에 열을 공급하는 튜브형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 구조물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금속 부재로서, 상부 영역에 튜브형 히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히터 삽입홈 및 상기 히터 삽입홈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열전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삽입홈에는 튜브형 히터가 삽입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콘크리트 제조용 거푸집에 부착하고 전원을 공급하기만 하면 설치가 끝나므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별도로 양생포나 증기를 공급하지 않아도 발열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콘크리트의 수화와 양생이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은 강도나 내구성 등 양생된 콘크리트의 품질도 소요 품질 이상을 만족할 수 있고 특히 전체적으로 균일한 발열과 이로 인한 균질한 품질 확보가 가능하다.
아울러, 콘크리트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발열 시스템을 거푸집의 패널에서 분리하기만 하면 되므로 분리 해체를 위한 복잡한 작업이 필요 없고, 발열 시스템을 재사용하기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이 거푸집의 외부 패널에 장착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의 단위 발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발열 장치가 거푸집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이 거푸집의 외부 패널에 장착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의 단위 발열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구조물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발열 장치가 거푸집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10)은 알루미늄이나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제조용 거푸집(20)의 표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발열되는 복수의 단위 발열 장치(100) 및 복수의 단위 발열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00)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의 표면에 격자형태로 복수의 단위 발열 장치(100)를 부착하고, 복수의 단위 발열 장치(100)에 전원 공급부(200)를 통해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거푸집(20)이 가열되어, 콘크리트의 수화와 양생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거푸집(20)으로부터 단위 발열 장치(100)를 분리하기만 하면 되므로 분리 해체를 위한 복잡한 작업이 필요없고, 발열 시스템(10)을 재사용하기도 용이하다.
전원 공급부(200)는 거푸집(20)의 표면 온도에 따라 전원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거푸집(20)에 부착된 온도 센서(미도시 됨)를 통해, 표면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표면 온도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중단하였다가, 표면 온도가 제 2 임계값(제 2 임계값은 제 1 임계값 보다 낮음) 이하로 낮아진 경우에는 다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며, 전원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기 온도에 따라 전원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동작을 통해 콘크리트의 온도가 제 1 임계값과 제 2 임계값 사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위 발열 장치(100)는 본체 하우징(110), 파지부(111) 및 열전달 구조물(120)을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110)은 거푸집(20)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단위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110)은 내부에 열전달 구조물(120)이 구비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파지부(111)는 본체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11)는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면에 좌우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푸집(20)의 표면에 단위 발열 장치(100)를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열전달 구조물(120)은 본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예시적으로, 열전달 구조물(120)은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측면에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높이는 열전달 구조물(120) 및 후술되는 열버퍼부재(140)의 높이를 합한 값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열전달 구조물(120)이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 실장될 경우, 열전달 구조물(120)의 하부면이 열버퍼부재(140)에 밀착될 수 있다.
튜브형 히터(130)는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전달 구조물(120)에 열을 공급한다. 또한, 튜브형 히터(130)는 열전달 구조물(1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구조물(1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열전달 구조물(12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금속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열전달 구조물(120)은 튜브형 히터(13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거푸집(20)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열전도율을 높은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열전달 구조물(120)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열전달 구조물(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을 가져, 압출을 통해 생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량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열전달 구조물(120)은 중심 영역에 튜브형 히터(130)가 삽입될 수 있는 히터 삽입홈(121)과 히터 삽입홈(121)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열전달 돌기(122)를 포함한다.
히터 삽입홈(121)은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공급하는 튜브형 히터(130)가 삽입되는 곳으로, 이때 튜브형 히터(130)로는 시즈 히터(130)(Sheath Heater)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시즈 히터(130)는 금속 보호관에 전열선을 코일 모양으로 내장하고 절연 분말인 산화마그네슘을 넣어 함께 충진하여 열선과 보호관을 절연한 관 모양의 히터(130)일 수 있다.
복수의 열전달 돌기(122)는 히터 삽입홈(121)의 하부에 위치하여, 튜브형 히터(130)에서 전달되는 열원을 대상체의 표면에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형성한다. 특히, 히터 삽입홈(121)의 수직 하부는 열전달 거리가 짧아 열이 빠르게 전도될 수 있으나, 히터 삽입홈(12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열전달 구조물(120)의 단부 영역은 열이 전도되는데 시간이 더 소요된다.
본 발명에서는 열전달 구조물(120)의 전체 영역에 대해 최대한 동일한 속도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열전달 돌기(122)를 마련하였다.
특히,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히터 삽입홈(121)의 수직 하부 영역은 소정의 면적만큼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비접촉 영역(123)을 포함하고, 비접촉 영역(123)의 주변으로 복수의 돌기를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비접촉 영역(123)에 가까운 돌기의 면적은 비접촉 영역(123)에서 멀어지는 돌기의 면적보다 좁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열전달 구조물(120)의 하부면은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되며, 단부 영역에는 열 전도 시간뿐만 아니라 열이 전달되는 양이 낮아 비접촉 영역(123)이 형성되지 않고 접촉면이 형성될 있다. 예시적으로, 열전달 구조물(120)의 하부면에는 히터 삽입홈(121)을 기준으로 양단부까지의 1/2지점까지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히터 삽입홈(121’)의 위치가 열전달 구조물(120’)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배치되고, 열전달 구조물(120’)의 전체 영역에 대해 최대한 동일한 속도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열전달 돌기(122’)를 배치한다. 즉, 도 4의 실시예와는 달리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 히터 삽입홈(121’)의 수직 하부 영역은 소정의 면적만큼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비접촉 영역(123’)을 포함하고, 비접촉 영역(123’)의 주변으로 복수의 돌기를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비접촉 영역(123’)에 가까운 돌기의 면적은 비접촉 영역(123’)에서 멀어지는 돌기의 면적보다 좁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열전달 구조물(120’)의 하부면은 비접촉 영역(12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되며, 열전달 구조물(120’)의 단부 영역에는 열 전도 시간뿐만 아니라 열이 전달되는 양이 낮아 비접촉 영역(123’)이 형성되지 않고 접촉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열전달 구조물(120’)의 하부면에는 히터 삽입홈(121’)을 기준으로 양단부까지의 1/2지점까지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비대칭 구조의 열전달 구조물(120)은 복수의 열전달 구조물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시켜 배치하는 실제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칭 구조의 열전달 구조물(120)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 시킬 경우, 히터 삽입홈(121)이 서로 인접하여 모두 같은 곳에 위치하게 되고, 히터 삽입홈(121)에 삽입되는 시즈 히터(130)에 접속되는 전기 배선에 의하여, 서로 인접한 시즈 히터(130) 사이에 충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대칭 구조의 열전달 구조물(120)을 사용하게 되면, 예를 들어, 좌측에는 대칭 구조의 열전달 구조물을 부착하고, 그 인접한 우측에는 비대칭 구조의 열전달 구조물을 부착할 경우, 각각의 히터 삽입홈(121, 121’)의 위치가 상이하므로, 각 삽입홈에 삽입되는 시즈 히터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고, 서로 인접한 위치의 시지 히터 사이에도 충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열전달 구조물(120)의 하부에는 열버퍼부재(140)를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열버퍼부재(140)는 고온에 견디는 운모(mica)판과 같은 광물계 박판일 수 있으며, 열전달 구조물(120)에서 전달되는 열을 버퍼링하면서 좀더 균일하게 대상체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위 발열 장치(100)는 본체 하우징(110)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고, 거푸집(20) 패널의 지지 프레임(21)과 체결 상태를 갖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판상 스프링 체결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판상 스프링 체결부(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10)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일단이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외측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판상 스프링 체결부(112)는 단위 발열 장치(100)가 거푸집(20)에 설치된 경우, 단부가 거푸집(20)의 지지 프레임(21)의 일측면을 가압함에 따라, 단위 발열 장치(100)가 거푸집(20)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 발열 장치(10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거푸집(20)의 표면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100 : 단위 발열 장치
110 : 본체 하우징
111 : 파지부 112 : 판상 스프링 체결부
120 : 열전달 구조물
121 : 히터 삽입홈 122 : 열전달 돌기
123 : 비접촉 영역
130 : 튜브형 히터
140: 열버퍼 부재
200 : 전원 공급부
20 : 거푸집
21 : 지지 프레임

Claims (7)

  1. 삭제
  2.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에 있어서,
    콘크리트 제조용 거푸집의 외부 패널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발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단위 발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발열 장치는
    거푸집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단위 면적을 갖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측면에 결합된 파지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된 열전달 구조물; 및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열전달 구조물에 열을 공급하는 튜브형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 구조물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금속 부재로서, 상부 영역에 튜브형 히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히터 삽입홈 및
    상기 히터 삽입홈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열전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삽입홈에는 튜브형 히터가 삽입되며,
    상기 히터 삽입홈은 상기 금속 부재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열전달 구조물은 상기 히터 삽입홈의 수직 하부 영역에 소정의 면적만큼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비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비접촉 영역의 주변으로 배치된 상기 열전달 돌기의 면적은 상기 비접촉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인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3.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에 있어서,
    콘크리트 제조용 거푸집의 외부 패널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발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단위 발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발열 장치는
    거푸집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단위 면적을 갖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측면에 결합된 파지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된 열전달 구조물; 및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열전달 구조물에 열을 공급하는 튜브형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 구조물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금속 부재로서, 상부 영역에 튜브형 히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히터 삽입홈 및
    상기 히터 삽입홈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열전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삽입홈에는 튜브형 히터가 삽입되며,
    상기 히터 삽입홈은 상기 금속 부재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열전달 구조물은 상기 히터 삽입홈의 수직 하부 영역에 소정의 면적만큼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비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비접촉 영역의 주변으로 배치된 상기 열전달 돌기의 면적은 상기 비접촉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인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구조물의 하부면에 접촉된 판상형 열버퍼 부재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히터는 시즈 히터인 것인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과 결합 상태를 갖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판상 스프링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거푸집의 온도에 따라 전원 공급 여부를 조절하여, 콘크리트의 온도가 일정 범위 내를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KR1020190176678A 2019-12-27 2019-12-27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KR102193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78A KR102193542B1 (ko) 2019-12-27 2019-12-27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78A KR102193542B1 (ko) 2019-12-27 2019-12-27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542B1 true KR102193542B1 (ko) 2020-12-22

Family

ID=7408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678A KR102193542B1 (ko) 2019-12-27 2019-12-27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5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200B1 (ko) * 2021-12-01 2022-05-17 조상민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용 유로폼 시스템 및 시공 방법
KR102511256B1 (ko) * 2022-04-06 2023-03-16 이승민 보일러 방식의 일체형 시스템 유로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780A (ko) * 2009-06-08 2010-12-16 박정진 발열골판지 및 이를 이용한 한중콘크리트 양생공법
KR20110017045A (ko) * 2009-08-13 2011-02-21 깨뱉시스템주식회사 발열패널 및 발열패널이 구비된 테이블폼
KR20150144246A (ko) * 2014-06-16 2015-12-24 (주)대호종합건설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KR101745645B1 (ko) * 2016-09-28 2017-06-09 주식회사 네오시티 히팅 슬립폼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780A (ko) * 2009-06-08 2010-12-16 박정진 발열골판지 및 이를 이용한 한중콘크리트 양생공법
KR20110017045A (ko) * 2009-08-13 2011-02-21 깨뱉시스템주식회사 발열패널 및 발열패널이 구비된 테이블폼
KR20150144246A (ko) * 2014-06-16 2015-12-24 (주)대호종합건설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KR101745645B1 (ko) * 2016-09-28 2017-06-09 주식회사 네오시티 히팅 슬립폼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200B1 (ko) * 2021-12-01 2022-05-17 조상민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용 유로폼 시스템 및 시공 방법
KR102511256B1 (ko) * 2022-04-06 2023-03-16 이승민 보일러 방식의 일체형 시스템 유로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542B1 (ko)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JP6711504B2 (ja) マイクロ波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養生用の均一発熱システム及びそれ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AU2007218923A1 (en) A rotary kiln
KR102190611B1 (ko) 공동주택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KR20140037701A (ko) 난방용 조립식 열전달패널
CN103791726A (zh) 节能的水泥窑篦冷机矮墙结构
KR101413089B1 (ko) 건물 외벽 마감구조 및 시공방법
KR101911208B1 (ko)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KR20110008724A (ko) 전기 가열 시트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방법
WO2013085116A1 (ko)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285347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발열 거푸집용 슬라이딩 장치
KR20160037317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양생장치 및 터널식 콘크리트 블록 양생 시스템
KR102481066B1 (ko)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KR101778233B1 (ko) 발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방법
CN110093469A (zh) 预制出铁沟
KR101348702B1 (ko)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 거푸집을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의 균열 방지 방법
KR101279988B1 (ko)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 거푸집을 이용한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용 거푸집 구조 및 그를 이용한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방법
KR101322597B1 (ko)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 거푸집을 이용한 건물 시공 방법
KR102280676B1 (ko) Pc 슬래브 제작용 전열거푸집
KR102045121B1 (ko)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289016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교량기초 건설용 발열 거푸집
JP2004092333A (ja) 温度管理によるプレストレス力導入方法及びこれらの方法を利用して構築される鋼コンクリート合成構造物
JP5060892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及び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橋梁用床版の製造方法
CN203758284U (zh) 一种节能的水泥窑篦冷机矮墙结构
CN114960998B (zh) Pfc保温一体板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