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246A -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246A
KR20150144246A KR1020140073167A KR20140073167A KR20150144246A KR 20150144246 A KR20150144246 A KR 20150144246A KR 1020140073167 A KR1020140073167 A KR 1020140073167A KR 20140073167 A KR20140073167 A KR 20140073167A KR 20150144246 A KR20150144246 A KR 20150144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heating means
ceiling surface
ceil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922B1 (ko
Inventor
양진
김덕용
Original Assignee
(주)대호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대호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14007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92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한중콘크리트로 타설된 천정면; 상기 천정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천정면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천정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열을 공급받아 상기 천정면 전체에 열과 습기를 공급하는 양생수단;을 포함하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SYSTEM FOR CURING COLD WEATHER CONCRETE}
본 개시(Disclosure)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중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서 요구되는 온도 및 습도를 동시에 유지시킬 수 있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콘크리트의 양생이란 타설 후의 콘크리트가 저온, 건조, 급격한 기온 변화에 의한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또 경화 중에 진동, 충격 및 하중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콘크리트 양생시는 초기에 습윤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초기에 건조가 진행되면 충분한 수화반응이 얻어지지 않게 되고, 이런 경우 장기강도의 증진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수화반응은 온도에 영향을 받는 화학반응으로서 양생 온도에 따라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이 좌우된다.
따라서 온도가 낮은 동절기에는 보온양생을 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콘크리트 타설 후의 양생 기간 중에 동결할 염려가 있는 경우(일평균기온이 약 4.0℃ 이하)에 시공하는 경우는 콘크리트를 한중(寒中)콘크리트라 하는데, 이러한 한중콘크리트의 시공은 초기 동해 문제 및 강도증진 저하와 같은 콘크리트의 품질 저하에 대한 우려가 있어 공사기간이 중요한 일부 건설공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건설공사에서는 한중콘크리트의 시공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한중콘크리트의 시공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초기 동해를 막기 위해 단열 또는 가열에 의한 보온양생을 실시하는 외에 강도 발현의 부족분을 보상하기 위해 배합설계시 배합계획상의 할증(기온에 의한 강도 보정값) 적용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공사비가 매우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갈탄 및 제트히터를 이용한 공간가열의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위치에 따른 균일한 가열이 어려워 양생 성능이 위치에 따라 달라지고, 가열에 의한 수분 증발로 습윤상태 유지가 어려워 충분한 수화반응이 방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10-2006-0039938은, 콘크리트 양생용 버블 시트를 이용한 단열 양생 공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수분 증발을 방지하기는 하나 별도의 열 공급이 없어 한중콘크리트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10-2002-0077018은, 콘크리트 표면층에 열선을 매설하거나, 열선을 포함하는 매트를 표면에 부착시키는 공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공사비의 증가가 여전한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가열수단과 천정면 사이에 구비되어, 가열수단에 의한 천정면 직접가열을 완충하며 천정면 전체에 균일하게 양생을 위한 열을 가함과 동시에 습기를 공급하는 완충수단으로서의 양생수단을 구비하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한중콘크리트로 타설된 천정면; 상기 천정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천정면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천정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열을 공급받아 상기 천정면 전체에 열과 습기를 공급하는 양생수단;을 포함하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수단은 석탄, 갈탄, 등유 중 어느 하나를 연소시켜 가열하는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천정면의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생수단은, 상기 천정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면에 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생수단은, 수용된 물이 증발되어 상기 천정면을 가열함과 동시에 습기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가열수단에 의해 타설된 천정면이 직접 가열되지 않고,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양생수단에 물에 의해 천정면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되게 되며, 또한 물의 증발에 의해 천정면이 가열되므로 수분이 함께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공사비용의 추가 없이 수화반응에 필요한 온도 및 수분 유지가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양생수단은, 상기 천정면에 매달려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양생수단은, 상기 천정면과 거리조절 또는 상기 가열수단과 거리조절을 위해 턴 버클(Turn Buckle)이 가장자리에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턴 버클로부터 연장된 선 부재에 의해 상기 천정면에 매달려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턴 버클에 의해 양생수단과 천정면 또는 양생수단과 가열수단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해지며, 턴 버클이 가장 낮은 높이인 양생수단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므로 노무자에 의해 높이 조절이 매우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양생수단은, 상기 가열수단과 마주하는 하면에 구비되는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양생수단의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를 동심원 모양으로 퍼져나가는 물결파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요철부에 의해 가열수단과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열 전달율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요철부가 동심원상으로 퍼져나가는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중앙부에 구비되는 가열수단의 열이 양생수단의 가장자리로 빠르게 퍼져나갈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에 의하면, 가열수단에 의해 타설된 천정면이 직접 가열되지 않고,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양생수단에 물에 의해 천정면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되게 되며, 또한 물의 증발에 의해 천정면이 가열되므로 수분이 함께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공사비용의 추가 없이 수화반응에 필요한 온도 및 수분 유지가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턴 버클에 의해 양생수단과 천정면 또는 양생수단과 가열수단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해지며, 턴 버클이 가장 낮은 높이인 양생수단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므로 노무자에 의해 높이 조절이 매우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요철부에 의해 가열수단과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열 전달율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요철부가 동심원상으로 퍼져나가는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중앙부에 구비되는 가열수단의 열이 양생수단의 가장자리로 빠르게 퍼져나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양생수단을 자세히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양생수단이 천정면에 매달려 있는 상태를 자세히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양생수단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양생수단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의 명료한 이해를 위해 제한된 실시형태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실시형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로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자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그 의미를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도록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양생수단을 자세히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은, 한중콘크리트(C)로 타설된 천정면(11)을 양생하는 시스템으로서, 가열수단(15)과 양생수단(13)을 포함한다.
가열수단(15)은, 천정면(11)의 하부에 구비되는 발열체로서, 열이 천정면(11)을 향하여 발산되도록 구비된다.
가열수단(15)은, 천정면(11)과 대향 되는 바닥멱에 배치되며, 천정면(11)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수단(15)은 석탄, 갈탄, 등유 등의 연소에 의해 발열 되는 발열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전기에 의해 발열 되는 열선을 이용한 가열 방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나, 종래 주로 이용되는 가열방법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공사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양생수단(13)은 가열수단(15)과 천정면(11) 사이에 배치되고, 가열수단(15)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천정면(11) 전체에 균일하게 열을 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양생수단(13)은 천정면(11) 전체에 열과 함께 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의하면, 수화반응에 필요한 열이 천정면(11)의 특정 영역, 즉 가열수단(15)의 직상방에 집중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과 함께 습기가 공급되므로 천정면(11)에 공급되는 열에 의해 수화반응에 필요한 수분이 증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양생수단(13)은, 천정면(11)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상면에 물(W)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생수단(13)은 가열수단(15)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이용하여 수용된 물을 가열하고 그 수증기에 의해 천정면(11)에 열과 습기를 동시에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양생수단(13)은, 천정면(11)에 대응하는 크기의 쟁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생수단(13)은, 가열수단(15)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의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생수단(13)은, 천정면(11)에 매달려 구비된다.
그리고, 양생수단(13)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는 증발이 용이하게 15mm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생수단(13)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 또는 보충하기 위한 배관 및 밸브 시스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수용된 물의 수위 조절을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양생수단이 천정면에 매달려 있는 상태를 자세히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양생수단(13)은, 천정면(11)과 거리조절 또는 가열수단(15)과 거리조절을 위해 턴 버클(Turn Buckle)이 가장자리에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복수 개 구비된다.
여기서는, 양생수단(13)이 장방형의 쟁반 형으로 구비되며, 각 모서리와 천정면(11)이 선 부재(17a)에 의해 연결되어 구비된다.
턴 버클(17b)은 선 부재(17a)와 연결되어 구비되며, 그 회전에 의해 천정면(11)과 거리조절 또는 가열수단(15)과 거리조절을 할 수 있도록 기능 한다.
여기서, 턴 버클(17b)은 양생수단(13)의 각 모서리에 직접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턴 버클(17b)에 의해 양생수단(13)과 천정면(11) 또는 양생수단(13)과 가열수단(15)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해지며, 턴 버클(17b)이 가장 낮은 높이인 양생수단(13)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므로 노무자에 의해 높이 조절이 매우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도 4는 도 1에서 양생수단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양생수단(13)은, 가열수단(15)과 마주하는 하면에 구비되는 요철부(13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요철부(13a)에 의해 가열수단과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열 전달율이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요철부(13a)는 돌기형, 스트라이프 형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양생수단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요철부(13a)는, 양생수단(13)의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를 동심원 모양으로 퍼져나가는 물결파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요철부(13a)가 동심원상으로 퍼져나가는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중앙부에 구비되는 가열수단의 열이 양생수단(13)의 가장자리로 빠르게 퍼져나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동심원상으로 퍼져나가는 요철부(13a)는 퍼져나갈수록 요철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열전달의 촉진을 위한 구성이다.

Claims (9)

  1. 한중콘크리트로 타설된 천정면;
    상기 천정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천정면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천정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열을 공급받아 상기 천정면 전체에 열과 습기를 공급하는 양생수단;을 포함하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석탄, 갈탄, 등유 중 어느 하나를 연소시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천정면의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양생수단은, 상기 천정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면에 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양생수단은, 수용된 물이 증발되어 상기 천정면을 가열함과 동시에 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양생수단은, 상기 천정면에 매달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양생수단은, 상기 가열수단과 마주하는 하면에 구비되는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양생수단의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를 동심원 모양으로 퍼져나가는 물결파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양생수단은, 상기 천정면과 거리조절 또는 상기 가열수단과 거리조절을 위해 턴 버클(Turn Buckle)이 가장자리에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턴 버클로부터 연장된 선 부재에 의해 상기 천정면에 매달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KR1020140073167A 2014-06-16 2014-06-16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KR101594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167A KR101594922B1 (ko) 2014-06-16 2014-06-16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167A KR101594922B1 (ko) 2014-06-16 2014-06-16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246A true KR20150144246A (ko) 2015-12-24
KR101594922B1 KR101594922B1 (ko) 2016-02-17

Family

ID=5508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167A KR101594922B1 (ko) 2014-06-16 2014-06-16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542B1 (ko) * 2019-12-27 2020-12-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963B1 (ko) 2018-06-21 2019-10-30 주식회사 주원시스템 분리형 콘크리트 가열 양생용 히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42A (ja) * 1993-07-23 1995-02-03 Yoshida Masamichi コンクリート養生の蒸気発生対流防止板及びそれを利用した蒸気発生装置
KR20100026186A (ko) * 2008-08-29 2010-03-10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등기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42A (ja) * 1993-07-23 1995-02-03 Yoshida Masamichi コンクリート養生の蒸気発生対流防止板及びそれを利用した蒸気発生装置
KR20100026186A (ko) * 2008-08-29 2010-03-10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등기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542B1 (ko) * 2019-12-27 2020-12-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922B1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30309A3 (en) Flexible graphite flooring heat spreader
KR101594922B1 (ko)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CA2248431A1 (en) Method of improving durability of a building, building, far-infrared radiation thermal storage floor heating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soil of building lot
JP3125048U (ja) 足温器
CN101968237B (zh) 一种具有气道结构的地暖地板
KR20170111027A (ko) 조립식 온수판넬장치
KR101168836B1 (ko) 에너지 절약형 온수 난방바닥
JP2000291965A (ja) 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
JP3119828U (ja) 保温器
JP3589452B2 (ja) 建物及びソーラーハウス
JPS58205026A (ja) 家屋の床下構造
KR200393067Y1 (ko) 난방호스용 열전도판
CN103790323A (zh) 地板及其铺装结构
JP3105399U (ja) 住宅用暖房装置
KR200254620Y1 (ko) 난방용 온돌 방열판
CN202692228U (zh) 一种采用电热膜进行加热的地暖系统
KR20240083375A (ko) 열선코트
CN208396216U (zh) 一种电加热砖
JP3050631U (ja) 床暖房構造
JP2004163051A (ja) 壁暖房構造
Water et al. How it works
JP3102321U (ja) 床暖房構造
CN109812857A (zh) 一种地暖垫板模块
KR200349951Y1 (ko) 찜질방
CN205174525U (zh) 一种新型电地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