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710B1 -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 - Google Patents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710B1
KR101910710B1 KR1020160122127A KR20160122127A KR101910710B1 KR 101910710 B1 KR101910710 B1 KR 101910710B1 KR 1020160122127 A KR1020160122127 A KR 1020160122127A KR 20160122127 A KR20160122127 A KR 20160122127A KR 101910710 B1 KR101910710 B1 KR 101910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ight emitting
coin box
control frame
oper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882A (ko
Inventor
조정권
Original Assignee
조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권 filed Critical 조정권
Priority to KR1020160122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7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6Coin bo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코인 투입에 의하여 작동되는 다양한 작동 기기를 위한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은 작동 기기의 배치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분리 구획이 형성되어 코인 박스(C)가 설치된 하부 모듈(10); 및 하부 모듈(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덮개(23)에 의하여 개폐가 되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상부 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모듈(10) 또는 상부 모듈(20)에 발광 유닛(EH, P1, P2)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A Frame Module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Having a Structure of Employing a Coin Box}
본 발명은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코인 투입에 의하여 작동되는 다양한 작동 기기를 위한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코인 또는 동전의 투입에 의하여 작동하는 다양한 형태의 코인 작동 기기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코인 투입 자판기, 코인 투입 세탁기 또는 코인 노래방 기기와 같은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장치는 무인 판매 또는 무인 작동을 위한 것으로 코인의 투입에 의하여 장치가 정해진 작동 절차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03-0068252호는 자동판매기 내에 설치되는 코인 박스 및 상기 코인 박스를 자동판매기에 설치하는 동안 코인박스가 자동적으로 동전을 받아들일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되도록 하는 코인박스 설치구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111159호는 본체의 상부를 이루는 탑 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전면 상측에서 본체에 결합되는 패널 프레임; 상기 패널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며, 조작 버튼을 구비한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투입되는 코인을 보관하는 코인 박스; 상기 코인 박스를 둘러싸서 보호하며, 상기 패널 프레임에 결합되는 코인 박스 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프레임과 컨트롤 패널과 코인 박스 보호 부재는 스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코인 박스가 설치된 자동화 장치는 예를 들어 노래방과 같은 휴게실에 설치되어 기기의 작동을 조절하면서 이와 동시에 작동 관련 유닛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코인 박스를 제어 프레임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코인 박스는 다양한 기기의 작동과 관련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관련 기기의 배치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코인 박스를 가진 프레임 모듈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3-0068252호(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2003년08월21일 공개) 자동판매기의 코인박스 및 코인박스 설치구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111159호(엘지전자 주식회사, 2011년10월10일 공개) 보안성이 강화된 코인 박스를 가진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구조로 만들어지면서 이동성을 가지고, 다양한 관련 기기의 배치가 가능하면서 설치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부가 유닛의 배치된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은 작동 기기의 배치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분리 구획이 형성되어 코인 박스가 설치된 하부 모듈; 및 하부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고, 덮개에 의하여 개폐가 되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상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모듈 또는 상부 모듈에 발광 유닛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부 모듈은 하부 모듈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부 모듈은 위쪽 테두리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침 턱을 가진 전면 벽을 포함하고, 걸침 턱에 덮개의 앞쪽 가장자리가 걸쳐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부 모듈은 다수 개의 수직 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직 부재에 다수 개의 투과 홀을 가진 표시용 발광 유닛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모듈은 노래방과 같은 시설에 설치되어 무인 자동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모듈은 조립 구조로 만들어지면서 이동성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모듈은 다수 개의 구역으로 분할된 구획 구조에서 각각의 구획 영역에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 이와 동시에 중앙 서버에 의한 감시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모듈은 다양한 작동 관련 기기의 설치가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면서 이와 동시에 작동 과정에서 부가적인 기능을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을 형성하는 상부 밀폐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에 설치 가능한 관련 기기의 설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의 조립 구조 및 부가 기능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에 적용되는 발광 유닛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인 박스 구조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은 작동 기기의 배치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분리 구획이 형성되어 코인 박스(C)가 설치된 하부 모듈(10); 및 하부 모듈(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덮개(23)에 의하여 개폐가 되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상부 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모듈(10) 또는 상부 모듈(20)에 발광 유닛(EH, P1, P2)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은 코인 노래 휴게실과 같은 다수 개의 분리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면서 각각의 공간에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휴대용 노래방 기기와 같은 오락용 또는 이와 유사한 전자기기가 배치된 휴게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은 다수 개의 분리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분리 영역에 분리 영역의 활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가 설치되는 개인 휴식 공간과 같은 곳에 설치될 수 있다. 휴게 공간 또는 휴식 공간에 설치된 각각의 분리 영역에 작동 제어 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고, 작동 제어 프레임은 각각의 분리 영역의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작동 제어 프레임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중앙 서버에 연결되어 작동 상황이 확인될 수 있다.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은 조립 방식으로 형성되어 이동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는 하부 모듈(10) 및 박스 형상으로 만들어져 하부 모듈(10)의 위쪽에 결합되는 상부 모듈(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모듈(10)은 직사각형의 네 개의 모서리 위치에 배치되는 네 개의 수직 부재(111, 112, 113, 114)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두 개의 전방 수직 부재(111, 112) 및 두 개의 후방 수직 부재(113, 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직사각형의 각각의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수직 부재(111과 113 또는 112와 114)는 수평 연결 부재(121 또는 12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뒤쪽에 설치되는 두 개의 수직 연결 부재(113, 114)는 받침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 부재(111, 112, 113, 114), 수평 연결 부재(121, 122) 또는 받침 부재는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져 박스 형상의 받침 프레임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부 모듈(10)은 금속 소재, 플라스틱 소재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수직 부재(111, 112, 113, 114), 수평 연결 부재(121, 122) 또는 받침 부재는 다각형 단면, 원형 단면 또는 이와 유사한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적절한 개수로 배치되어 하부 모듈(1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수직 부재(111, 112, 113, 114)는 내부에 배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배치 공간은 다수 개의 분리 판(131, 132, 133)에 의하여 구획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 개의 분리 판(131, 132)에 의하여 중앙 설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2 분리 판(132)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3 분리 판(133)에 의하여 코인 박스 설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분리 판(131, 132)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선반 플레이트(141, 142)가 배치될 수 있고, 선반 플레이트(141, 142)에 의하여 중앙 설치 공간 또는 박스 설치 공간이 상하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좌우 또는 상하로 분리된 구획 공간에 작동 기기(D1) 또는 코인 박스(C)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인 박스(C)와 작동 기기(D1)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코인 박스(C)에 코인 또는 동전이 투입되는 것에 의하여 작동 기기(D1의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기기(D1)는 중앙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코인 박스(C)는 작동 기기(D1)는 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에서 예정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하부 모듈(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좌우 또는 상하 공간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각각의 공간에 노래방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노래방 기기의 작동 조절기 또는 코인 박스(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모듈(10)은 상부 모듈(20)의 받침대 기능을 할 수 있다.
상부 모듈(20)은 사각 형상이 되는 바닥 면(21); 바닥 면(21)의 앞쪽에 바닥 면(21)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전면 벽(22); 바닥 면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벽 및 덮개(23)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이 될 수 있다. 전면 벽(22)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전면 벽의 중앙에 디스플레이 또는 스크린 유닛과 같은 작동 상태 기기(D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상태 기기(D2)의 양쪽으로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정보용 발광 유닛(P1, P2)이 배치될 수 있다. 정보용 발광 유닛(P1, P2)은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내부에 엘이디 소자와 같은 발광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유닛(P1, P2)은 정보 표시를 위한 스크린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휴게 공간의 식별을 위한 식별 기호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상품 광고를 위한 광고 스크린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용 발광 유닛(D1, D2)은 고정용 스크린이 되거나 또는 작동 프로그램에 의하여 표시 내용이 변경될 수 있는 가변 방식의 스크린이 될 수 있다. 정보용 발광 유닛(D1, D2)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중앙 서버에서 광고가 제어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덮개(23)는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수용 공간에 작동 기기(D1, D2)의 작동 또는 휴게 공간의 내부에 배치된 다른 기기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조절 또는 제어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수직 부재(111, 112, 113, 114)에 표시용 발광 유닛(EH)이 배치될 수 있고, 표시용 발광 유닛(EH)은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거나, 장식 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조명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앞쪽에 배치된 수직 부재(111, 112)에 표시용 발광 유닛(EH)이 배치될 수 있고, 표시용 발광 유닛(EH)은 전방 수직 부재(111, 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되어 배치된 다수 개의 발광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 홀을 통하여 예를 들어 엘이디 소자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다. 표시용 발광 유닛(EH)의 작동은 중앙 서버에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구획 영역이 할당되면, 해당 구획 영역의 작동 제어 프레임에 형성된 정보용 발광 유닛의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 영역의 사용이 종료되면, 표시용 발광 유닛(EH)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표시용 발광 유닛(EH)은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하부 모듈(10) 또는 상부 모듈(20)은 스테인리스 스틸, 합성수지 또는 목재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하부 모듈(10)을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조립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부재(111, 112, 113, 114), 수평 연결 부재(121, 122) 또는 받침 부재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거나, 조립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 모듈(10)과 상부 모듈(20)의 적어도 일부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모듈(20)은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한 조립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을 형성하는 상부 밀폐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모듈은 상부 모듈(20)은 위쪽 테두리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침 턱(222)을 가진 전면 벽(22)을 포함하고, 걸침 턱(222)에 덮개(23)의 앞쪽 가장자리가 걸쳐질 수 있다.
상부 모듈은 바닥 면(21), 전면 벽(22) 및 측면 벽(24)에 의하여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내부에 예를 들어 작동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제어기기(CP)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 벽(22)은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위쪽 변 또는 위쪽 가장자리가 L자 형상으로 꺾인 형상이 될 수 있다. 또는 전면 벽(22)은 목재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위쪽 변 또는 위쪽 가장자리에 L자 형상으로 만들어진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의 테두리가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 벽(22)의 위쪽 가장자리는 전벽 벽(22)의 두께를 형성하는 두께 부분(221) 및 두께 부분(221)의 안쪽 면으로부터 수용 공간의 내부로 일정 길이만큼 바닥 면(21)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침 턱(2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모듈은 덮개(23)에 의하여 위쪽 부분이 밀폐될 수 있고, 덮개(23)의 앞쪽 끝 부분이 걸침 턱(222)에 걸쳐질 수 있고, 덮개(23)의 두께는 걸침 턱(222)과 전면 벽(22)의 위쪽 끝 부분 사이의 높이 차에 대응될 수 있다. 덮개(23)는 목재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져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흡수될 수 있다. 바닥 면(21) 또는 측면 벽(24)에 제어기기(CP)와 외부 기기 또는 작동 기기와 연결되도록 하면서 수용 공간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23)는 수용 공간의 위쪽에 얹히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부 모듈은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에 설치 가능한 관련 기기의 설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은 상부 모듈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제어기기(CP)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어기기(CP)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지는 이동 받침 블록(31); 이동 받침 블록(31)의 위쪽에 배치되는 배치 기판(32); 배치 기판(32)에 형성되는 배치 홀(321); 및 배치 기판(32)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통기 홀(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치 홀(321)에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예를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제어판이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받침 블록(31)은 수용 공간 또는 덮개(23)의 위쪽에 배치되면서 이동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L자 형상의 이동 레일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받침 블록(31)이 이동 레일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레일 구조는 덮개(23)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기(CP)를 비롯한 다양한 작동을 위한 기기가 수용 공간 또는 덮개(23)의 위쪽 면에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의 조립 구조 및 부가 기능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의 (가)를 참조하면, 2 수직 부재(112)와 4 수직 부재(114)는 2 수평 연결 부재(12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2 수평 연결 부재(122)는 2, 4 수직 부재(112, 114)와 일체형이 되거나,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모듈은 수직 부재(112, 114)의 위쪽 끝을 바닥 면(21)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하부 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모듈과 하부 모듈은 볼트 또는 다른 고정 수단에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홈 또는 돌기 방식으로 간단하게 분리 또는 결합이 되도록 만들어지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b의 (나)를 참조하면, 발광 유닛(P1, EH)은 전면 벽(22) 또는 수직 부재(111)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 벽(22)에 설치되는 발광 유닛(P1)은 스크린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다양한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직 부재(111)에 배치되는 발광 유닛(EH)은 다수 개의 투과 홀을 통하여 엘이디 광이 외부로 조사되는 것에 의하여 조명 기능, 장식 기능 또는 표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발광 유닛(P1, EH)은 고정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가변 정보를 표시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전면 벽(22) 또는 수직 부재(111)를 비롯한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에 적용되는 발광 유닛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의 (가)는 전면 벽(22) 또는 수직 부재에 발광 유닛이 배치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나)는 발광 유닛을 형성하는 조명 유닛(43) 및 A-A로 표시된 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광 유닛은 전면 벽(22)의 뒤쪽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이 될 수 있고, 전벽 벽(22)은 한쪽 면이 개방된 사각형 단면을 가진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다. 정보 스크린(42)의 양쪽에 고정 홀(411, 412)이 형성되어 전면 벽(22)의 뒤쪽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홀(411, 412)을 대신하여 정보 스크린(42)의 양쪽 측면에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정보 스크린(42)은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정보 스크린(42)의 앞쪽 면에 형성되는 정보는 정보 스크린(42)을 투과하는 광에 의하여 시각 특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전면 벽(22)의 아래쪽 면을 형성하는 받침 플레이트(223)에 조명 유닛(43)이 배치될 수 있다. 조명 유닛(43)은 다수 개의 엘이디 소자(L1, L2, L3)가 배치된 판형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 유닛(43)은 한쪽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 기판(433), 베이스 기판(433)에 선형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엘이디 소자(L1, L2, L3), 베이스 기판(433)의 위쪽에 결합되면서 각각의 엘이디 소자(L1, L2, L3)의 노출을 위한 노출 홀을 가진 고정 덮개(4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엘이디 소자(L1, L2, L3)는 연결 배선(432)에 의하여 연결되면서 전력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433)의 아래쪽에 접착 필름(435)이 결합되어 조명 유닛(43)이 받침 플레이트(223)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 기판(433)의 양쪽 끝에 고정 홀을 가진 고정 편이 형성되어 조명 유닛(43)이 안정적으로 받침 플레이트(223)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433)의 양쪽 끝에 고정 홀을 가진 고정 탭(434a, 434b)이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223)에 형성된 고정 돌기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제시된 조명 유닛(43) 및 정보 스크린(42)은 수직 부재에 적용될 수 있고, 수직 부재는 안쪽 면이 개방된 사각형 단면이 실린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수직 부재에 형성되는 정보 스크린(42)에 다수 개의 발광 홀이 형성되어 엘이디 소자(L1, L2, L3)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발광 유닛에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은 서로 분리된 구획 영역에 설치될 수 있고, 구획 영역에 예를 들어 인체 센서(54)와 같은 출입 탐지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인체 센서(54)에 의하여 사용자가 탐지되면 스위치 유닛(53)이 작동되어 발광 조절 유닛(55)의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발광 조절 유닛(55)은 전면 벽 또는 수직 부재에 설치된 발광 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고, 스위치 유닛(53)은 작동 개시 신호를 제어 유닛(5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에 설치된 코인 박스로 코인이 투입되는지 여부가 투입 확인 유닛(52)에 의하여 탐지되어 제어 유닛(5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유닛(51)은 스위치 유닛(53)의 작동 개시 신호 및 투입 확인 유닛(52)의 투입 확인 신호를 외부에 설치된 제어 서버(CS)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유닛(51)은 또한 작동 유닛(56)에 의하여 작동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감시 카메라, 무드 조명 또는 음향 기기와 같은 부대기기(57)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동 유닛(56)의 작동 상태 또는 부대기기(57)의 작동 상태가 제어 서버(CS)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서버(CS)는 다수 개의 구획 영역에 배치된 각각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구획 영역을 감시하거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의 작동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은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하부 모듈 20: 상부 모듈
21: 바닥 면 22: 전면 벽
23: 덮개 24: 측면 벽
31: 이동 받침 블록 32: 배치 기판
42: 정보 스크린 43: 조명 유닛
51: 제어 유닛 52: 투입 확인 유닛
53: 스위치 유닛 54: 인체 센서
55: 발광 조절 유닛 56: 작동 유닛
57: 부대기기 111, 112: 전방 수직 부재
112: 2 수직 부재 113, 114: 후방 수직 부재
114: 4 수직 부재 121, 122: 수평 연결 부재
131: 1 분리 판 132: 2 분리 판
133: 3 분리 판 141, 142: 선반 플레이트
221: 두께 부분 222: 걸침 턱
223: 받침 플레이트 321: 배치 홀
322: 통기 홀 411, 412: 고정 홀
431: 고정 덮개 432: 연결 배선
433: 베이스 기판 434a, 434b: 고정 탭
435: 접착 필름 C: 코인 박스
CP: 제어기기 CS: 제어 서버
D1: 작동 기기 D2: 작동 상태 기기
EH: 표시용 발광 유닛 H: 연결 홀
L1, L2, L3: 엘이디 소자 P1, P2: 정보용 발광 유닛

Claims (4)

  1. 작동 기기의 배치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분리 구획이 형성되어 코인 박스(C)가 설치된 하부 모듈(10); 및
    하부 모듈(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덮개(23)에 의하여 개폐가 되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상부 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모듈(20)은 사각 형상이 되는 바닥 면(21); 바닥 면(21)의 앞쪽에 바닥 면(21)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전면 벽(22); 바닥 면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벽 및 덮개(23)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이 되고, 상기 전면 벽(22)에 정보용 발광 유닛(P1, P2)이 배치되며,
    상기 하부 모듈(10)은 다수 개의 수직 부재(111, 112, 113, 114)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직 부재(111, 112)에 다수 개의 투과 홀을 가진 표시용 발광 유닛(EH)이 형성되며,
    상기 정보용 발광 유닛(P1, P2) 또는 상기 표시용 발광 유닛(EH)은 인체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탐지되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모듈(20)은 하부 모듈(1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벽(22)은 위쪽 테두리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침 턱(222)을 가지며, 상기 걸침 턱(222)에 상기 덮개(23)의 앞쪽 가장자리가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
  4. 삭제
KR1020160122127A 2016-09-23 2016-09-23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 KR101910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127A KR101910710B1 (ko) 2016-09-23 2016-09-23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127A KR101910710B1 (ko) 2016-09-23 2016-09-23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82A KR20180032882A (ko) 2018-04-02
KR101910710B1 true KR101910710B1 (ko) 2018-10-22

Family

ID=6197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127A KR101910710B1 (ko) 2016-09-23 2016-09-23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7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557Y1 (ko) 1999-08-09 2000-02-15 전길선 노래방기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797Y1 (ko) * 2001-08-31 2001-12-24 (주) 엠 공팔공닷컴 노래방기기 수납케이스와 간이 노래방
KR200345884Y1 (ko) * 2003-12-30 2004-03-27 정회석 물방울 발생기의 물방울액 공급구조
KR20080002333U (ko) * 2006-12-27 2008-07-03 이평기 가전제품 수납장
KR20080005570U (ko) * 2007-05-18 2008-11-21 이민수 장식장겸용 컴퓨터본체케이스
KR101754706B1 (ko) * 2010-04-21 201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속제 컨트롤 패널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KR200471492Y1 (ko) * 2013-09-17 2014-02-28 (주)아이센스에프앤씨 컴퓨터 수납 데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557Y1 (ko) 1999-08-09 2000-02-15 전길선 노래방기기 케이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
비특허문헌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82A (ko) 201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548B1 (ko) 리프트 케이지용 컨트롤 패널
JP5372883B2 (ja) 検体処理システム
KR101910710B1 (ko)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
EP3701187B1 (en) A lighting module assembly
JP587731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0276856A (ja) 表示装置
JP2008087885A (ja) スイッチ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6007726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展示装置
JP2009099376A (ja) 表示装置及び誘導灯
KR200440116Y1 (ko)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1827134B1 (ko) 조명 조절 구조의 조립식 컴퓨터 책상
KR101946118B1 (ko) 컴퓨터 책상을 위한 부품 배치 기판
JP5282975B2 (ja) 照明装置
KR101726036B1 (ko) 단말기
JP2014107183A (ja) 表示装置
CN110050460B (zh) 显示设备
KR200486640Y1 (ko) 정보 스크린 배치 구조의 컴퓨터 책상
JP6142345B2 (ja) 遊技機
US3381121A (en) Merchandise display board illuminating means for coin-controlled vending machines
JP6283901B2 (ja) 遊技機
JP6281097B2 (ja) 遊技機
WO2020166181A1 (ja) 情報処理装置
JP5775046B2 (ja) 表示装置
JP2021089674A (ja) 情報処理装置
JP4424268B2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