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797Y1 - 노래방기기 수납케이스와 간이 노래방 - Google Patents

노래방기기 수납케이스와 간이 노래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797Y1
KR200256797Y1 KR2020010026551U KR20010026551U KR200256797Y1 KR 200256797 Y1 KR200256797 Y1 KR 200256797Y1 KR 2020010026551 U KR2020010026551 U KR 2020010026551U KR 20010026551 U KR20010026551 U KR 20010026551U KR 200256797 Y1 KR200256797 Y1 KR 200256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nitor
amplifier
storage case
kara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문
Original Assignee
(주) 엠 공팔공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엠 공팔공닷컴 filed Critical (주) 엠 공팔공닷컴
Priority to KR2020010026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7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797Y1/ko

Link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주기, 모니터, 코인기 및 앰프 등과 같은 노래방기기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와 그 수납 케이스를 둘러싸고 있는 본체로 구성된 간이 노래방과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락실 등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간이 노래방과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래방기기 수납케이스와 간이 노래방{Case Receiving Device for Singing Room and Portable Singing Room}
본 고안은 반주기, 모니터, 코인기 및 앰프 등과 같은 노래방기기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와 그 수납 케이스를 둘러싸고 있는 본체로 구성된 간이 노래방과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락실 등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간이 노래방과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은 현대인들이 마음껏 노래를 부르면서 쌍인 스트레스를풀고 친목을 도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우리가 주위에서 관찰할 수 있듯이 이러한 노래방들은 모두 건물의 일부를 임대받아 사용자들에게 시간당 얼마의 비용을 받고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준다. 그러나 이러한 노래방들은 사용자들 특히 청소년들이 편하게 찾을 수 있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노래방의 대중화를 위하여 오락실 등에 설치되는 간이 노래방의 개념이 새롭게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오락실 등에 설치되는 간이 노래방은 오락실 등의 다른 오락기기등과 함께 설치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되고 일반 노래방보다 그 크기가 상당히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좁은 공간에 기존의 노래방 기기 수납케이스를 이용하여 노래방시설을 하다보면,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제98-011309호와 같이 반주기, 앰프, 모니터 및 코인기와 같은 노래방 기기가 하나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케이스의 부피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게 되며 모니터의 화면이 사용자의 바로 앞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전방의 시야를 가로막고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갑갑함을 느끼게하고 모니터 화면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사용자의 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니터의 화면과 반주기의 전방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수납케이스를 이용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로 하여금 좁은 공간에서 오는 불편함을 제거하며 시력 저하의 문제점이 없는 간이 노래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좁은 공간에서도 공간활용도를 높여 사용자로하여금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시력 저하의 문제점이 없는 반주기, 모니터, 코인기 및 앰프 등과 같은 노래방기기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수납케이스를 이용한 간이 노래방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수납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을 따른 수납케이스의 단면도.
도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b는 도4a의 B-B선을 따른 의자의 단면도.
본 고안은 반주기,모니터, 코인기, 앰프와 같은 노래방 기기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와, 마이크와, 의자와, 상기 수납케이스와 마이크와 의자를 에워싸는 본체로 구성된 간이 노래방에 있어서,상기 수납케이스는 모니터를 수납하는 모니터 케이스와, 반주기를 수납하는 반주기 케이스와, 코인기 및 앰프를 수납하는 코인기 및 앰프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 케이스와 반주기 케이스는 위에서 아래로 수납되는 상기 모니터와 반주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각각 상방향으로 개구된 공동부와, 그 공동부를 둘러싸고 있는 측벽과, 상기 측벽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된 반주기와 모니터를 소정 위치에 위치설정하게 하는 위치설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노래방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간이 노래방의 수납케이스는 본체의 벽면을 따라 상기 반주기 케이스와 상기 모니터 케이스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기 코인기 및 앰프 케이스가 상기 의자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간이 노래방에 사용되는 반주기,모니터, 코인기, 앰프와 같은 노래방 기기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모니터를 수납하는 모니터 케이스와, 반주기를 수납하는 반주기 케이스와, 코인기 및 앰프를 수납하는 코인기 및 앰프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 케이스와 반주기 케이스는 위에서 아래로 수납되는 상기 모니터와 반주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각각 상방향으로 개구된 공동부와, 그 공동부를 둘러싸고 있는 측벽과, 상기 측벽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된 반주기와 모니터를 소정 위치에 위치설정하게 하는 위치설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고안의 수납케이스는 상기 반주기 케이스와 상기 모니터 케이스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기준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간이 노래방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간이 노래방은 수납케이스(10)와, 의자(20)와, 마이크(15)와, 상기 수납케이스(10)와 마이크, 의자 등을 에워싸는 본체(1)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케이스(10)는 반주기(13b)를 수납하는 반주기 케이스(13), 모니터(12b)를 수납하는 모니터 케이스(12), 앰프(11b)를 수납하는 앰프 케이스(11), 코인기(14b)를 수납하는 코인기 케이스(14)로 구성되며, 본체(1)의 벽면의 하단부를 따라 배열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 케이스(12)는 그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공동부(12a)를 가지고 있어 모니터(12b)가 위에서 아래로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공동부(12a)를 둘러싸고 있는 측벽(12e)상의 소정 위치에 위치설정부재(12c,12d)를 구비하고 있어 공동부(12a)에 수납된 모니터(12b)를 소정 위치에 정지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반주기 케이스(13)는 그 상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고 공동부(13a)를 가지고 있어 반주기(13b)가 위에서 아래로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공동부(13a)를 둘러싸고 있는 측벽(13e)상의 소정 위치에 위치설정부재(13c, 13d)를 구비하고 있어 공동부(13a)에 수납된 반주기(13b)를 소정 위치에 정지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도2 및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코인기 케이스(14)는 코인기(14b)를 전방에서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가 막혀 있고 전방이 개방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앰프 케이스(11)는 반주기 케이스 및 모니터 케이스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앰프(11b)를 삽입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코인기 케이스(14)와 앰프 케이스(11)는 코인기(14b)와 앰프(11b)의 삽입시 코인기와 앰프를 안내하는 안내부재(11c,11d, 14c, 14d)를 가진다.
도3은 도2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반주기(13b), 모니터(12b), 코인기(14b), 앰프(11b)와 같은 노래방 기기가 수납된 수납케이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3을 살펴보면, 반주기(13b), 모니터(12b), 코인기(14b), 앰프(11b)에는 단자(17)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단자(17)에 연결된 전선(16)들은 상기 수납케이스의 벽에 형성된 구멍(18)을 통해 다른 장치의 단자들과 상호 연결된다.
위와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10)에 각종 노래방 기기를 수납하고 마이크를 연결하고 의자를 설치한 후 상기 수납케이스, 마이크, 의자를 본체로 둘러싸 간이 노래방을 완성한다.
도4a 내지 도4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한 일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일 실시예와는 달리 코인기(14b')와 앰프(11b')를 수납하는코인기 및 앰프 케이스(14',11')가 모니터 케이스(12')와 반주기 케이스(13')로 부터 분리되어 의자(20')와 함께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전방부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제2실시예의 도면부호는 제1실시예의 도면부호에 '를 붙인 것으로 제1실시예의 도면부호에 각각 대응한다.
상기 반주기 케이스(13)와 모니터 케이스(1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아니면 각각 별도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수납케이스가 본체의 벽면을 따라 하단부에 일렬로 배열되기 때문에 앞이 가로막혀 있음으로 인해 오는 사용자의 갑갑함을 해소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모니터 화면이 위로 향하며 설치장소가 하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과 모니터 화면과의 거리가 최대한 멀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반주기의 전면이 위로 향하며 설치장소가 하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반주기의 전면이 사용자쪽으로 향함으로써 발생되는 공간손실을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코인기와 앰프를 의자와 함께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오락실 등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반주기,모니터, 코인기, 앰프와 같은 노래방 기기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와, 마이크와, 의자와, 상기 수납케이스와 마이크와 의자를 에워싸는 본체로 구성된 간이 노래방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모니터를 수납하는 모니터 케이스와, 반주기를 수납하는 반주기 케이스와, 코인기 및 앰프를 수납하는 코인기 및 앰프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 케이스와 반주기 케이스는 위에서 아래로 수납되는 상기 모니터와 반주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각각 상방향으로 개구된 공동부와, 그 공동부를 둘러싸고 있는 측벽과, 상기 측벽상의 소정 위치에 설정되며 상기 수납된 반주기와 모니터를 소정 위치에 위치설정하게 하는 위치설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노래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본체의 벽면을 따라 상기 반주기 케이스와 상기 모니터 케이스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간이 노래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기 코인기 및 앰프 케이스가 상기 의자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노래방.
  4. 간이 노래방에 사용되는 반주기,모니터, 코인기, 앰프와 같은 노래방 기기를수납하는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모니터를 수납하는 모니터 케이스와, 반주기를 수납하는 반주기 케이스와, 코인기 및 앰프를 수납하는 코인기 및 앰프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 케이스와 반주기 케이스는 위에서 아래로 수납되는 상기 모니터와 반주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각각 상방향으로 개구된 공동부와, 그 공동부를 둘러싸고 있는 측벽과, 상기 측벽상의 소정 위치에 설정되며 상기 수납된 반주기와 모니터를 소정 위치에 위치설정하게 하는 위치설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기 반주기 케이스와 상기 모니터 케이스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수납케이스.
KR2020010026551U 2001-08-31 2001-08-31 노래방기기 수납케이스와 간이 노래방 KR200256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551U KR200256797Y1 (ko) 2001-08-31 2001-08-31 노래방기기 수납케이스와 간이 노래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551U KR200256797Y1 (ko) 2001-08-31 2001-08-31 노래방기기 수납케이스와 간이 노래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797Y1 true KR200256797Y1 (ko) 2001-12-24

Family

ID=7310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551U KR200256797Y1 (ko) 2001-08-31 2001-08-31 노래방기기 수납케이스와 간이 노래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7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882A (ko) * 2016-09-23 2018-04-02 조정권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882A (ko) * 2016-09-23 2018-04-02 조정권 코인 박스 배치 구조의 작동 제어 프레임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3709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replaceable modules
US6567677B1 (en) Notebook computer-telephone
US7047053B2 (en) Mobile terminal
CA2363446A1 (en) Electrical outlet cord support
MXPA02005623A (es) Disposiciones y metodos para realizar apuestas en forma interactiva.
KR200256797Y1 (ko) 노래방기기 수납케이스와 간이 노래방
KR2005004043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유동방지장치
US6549109B1 (en) Magnet-sensible triggering doorbell mechanism
US20060087493A1 (en) Display device of identification card
KR100427847B1 (ko)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KR100606058B1 (ko) 슬라이딩 액정부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USD478871S1 (en) Electrical cable box
KR200191752Y1 (ko) 웹 모니터
FR2853116B1 (fr) Interface simplifiee de dialogue entre un utilisateur et une borne interactive et borne equipee d'une telle interface
CN214070126U (zh) 防水耳机及防水耳机充电仓
JP2001345570A (ja) 加入者保安器用キャビネット
JP3837043B2 (ja) 電話機
KR100631687B1 (ko) 휴대 단말기
KR200204977Y1 (ko) 인터넷 스탠드
KR200286165Y1 (ko) 노래방기기 수납케이스와 간이 노래방 구조물
JP3081573B2 (ja) 配線保持装置
JPS633248Y2 (ko)
KR200189580Y1 (ko) 인터넷 전화의 사용이 가능한 키보드-폰
JP2705630B2 (ja) 電話装置の収納容器
KR19980035244A (ko) 전면에 옵션카드를 장탈착 가능하도록 한 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