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676B1 - 향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향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676B1
KR101910676B1 KR1020130138007A KR20130138007A KR101910676B1 KR 101910676 B1 KR101910676 B1 KR 101910676B1 KR 1020130138007 A KR1020130138007 A KR 1020130138007A KR 20130138007 A KR20130138007 A KR 20130138007A KR 101910676 B1 KR101910676 B1 KR 101910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tubular
fragrance
cylind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709A (ko
Inventor
카즈히로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카즈히로 가와사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즈히로 가와사키 filed Critical 카즈히로 가와사키
Priority to KR1020130138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67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5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2Scent flasks, e.g. with evaporator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종래의 휴대 등 향수 케이스에서는, 자신 1인으로 즐길 뿐이고, 휴대시는 사용할 수가 없는 것이거나, 또한, 용적이나 단면적의 큰 향수 액 흡수체를 사용하여 고가의 향수를 많이 필요로 하거나, 휘발 부분이 크기 때문에 강렬한 향기를 발산하는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은은한 향기를 장시간에 걸쳐서 몸의 주위에 감돌게 하려고 하는 것으로, 휴대 케이스에 내장하는 향 액을, 좁은 통로 또는 공간 내에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안내하고, 출구부가 조임 개구를 통하여 외부 발산함으로써, 케이스를 반전하여도 액 누출을 일으키지 않고, 미량의 향 액으로 장시간에 걸쳐서 향기를 발산시킨다.

Description

향기 케이스{PERFUME CASE}
본 발명은, 고가의 향수 액을 적은 양이라도, 장시간에 걸쳐서 은은한 향기를 즐기고하자 하는 휴대용 향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향수는, 본인의 체취를 지우고, 향기를 풍기기 위해 이용되어지는 것이 많으며, 목 둘레나 겨드랑이나 손목 등의 피부면에 직접 도포하거나, 입은 옷이나 모자나 장갑 등에 분무 살포하는 경우가 통상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용 상태에서는, 휘발 당초에는 강렬한 향기가 감돌아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입은 옷이나 다른 물건에 향수 액 얼룩이 묻거나, 고가의 향수 액을 많이 소비하여 유지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본에서는, 은은한 잔향을 즐기기 때문에, 향낭을 이용하거나 입은 옷에 향의 냄새를 스며들게 하는 등의 우아한 습관도 남아 있다.
그래서 현대에도 가능한한 향기를 억제하면서, 개성적인 향기를 감돌게 하기 위해, 귓 볼이나 손목 내측 등에 향수 한 방울을 묻히는 등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더워서 땀을 흘리거나, 얼굴이나 손·팔을 씻으면, 향의 냄새가 소멸하거나 변동하여 버려, 향기를 안정하게 지속 발생하기가 어려웠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07-31360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2-058530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11-030999호 공보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사용시의 향수의 강렬한 향기를 억제하고, 고가의 향수라도 은은한 향기를 긴 시간에 걸쳐서 발산시키고, 휘발통로의 형상이나 단면적을 좁힘으로서 향수의 사용량을 줄이고, 휘발실 또는 휘발 개구 경유로 향수의 외부 발산을 행함으로써, 자신이 좋아하는 향기, 은은한 냄새를 저비용으로 즐기면서, 외부로의 액 흐름이나 액 얼룩 등의 불합리함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우선,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소정 외경 유저 통형상의 기본 통부(1)와 소정 외경 유저 통형상의 덮개체 통부(2)로 양자 내측 사이의 대향 통부를 감합부(3)를 통하여 조립하고, 덮개체 통부(2) 내주부에, 휘발실(4) 또는 휘발 개구부(13)를 갖는 향기 유지체(5)의 기단부를 부착하고, 덮개체 통부(2)의 유저벽(6)에 향기 통로(7)를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케이스의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서, 기본 통부(1)와 덮개체 통부(2)를 감합부(3)로 일체화하여 공동 통의 케이스체를 구성하고, 이 케이스체 내의 개구 부분인 향기 통로(7)에 내접하도록, 향기 유지체(5)의 휘발실(4) 또는 휘발 개구부(13)를 마련하기 때문에, 휘발실(4) 또는 휘발 개구부(13)로부터 발산하는 향기를 케이스체 외부로 발산 용이하게 하면서, 향기 유지체(5) 내부에서, 향기제의 급격한 휘발 변화를 억제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감합부(3)는 수나사(8)와 암나사(9)의 나사감합으로 하고, 또한 통부의 양 외측 단부를 각각 소경 외경의 소경 통부(10)와 소경 덮개부(11)로 하고, 이 소경 덮개부(11) 내주부의 부착구멍(12)에 향기 유지체(5)의 외측 단부를 감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향기 케이스의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서, 향기 유지체(5)의 케이스에의 부착이, 덮개체 통부(2)의 소경의 부착구멍(12)에 유지체의 기단부를 끼움으로써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기본 통부(1)와 덮개체 통부(2)의 분리가, 나사를 풀음으로써 간단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향수 액의 보충이나 향기 유지체(5) 주위의 청소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향기 유지체(5)는, 개략 같은 지름이고 가늘고 긴 휘발통(18)과, 그 외주위를 덮는 외주 파이프(23)와, 외주 파이프(23)로부터 내단 방향으로 돌설한 세관 파이프(14)의 조합으로서, 휘발통(18)의 기단측을 소경으로 한 외방(外方) 세경 통부(26)로 하고, 내단측에 향 액 통과 간극(28)을 마련하고, 그 휘발통(18) 외주면에 1개의 나선 소홈(17)을 새기고, 세관 파이프(14) 내에는, 선단 개구부(32)가 마련된 1개의 소공(小孔)(31)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2에 기재된 향기 케이스의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서, 향기 유지체(5)는, 향 액 흡입측의 1개의 소공(31)으로부터 향 액 통과 간극(28)을 경유한 향 액을, 나선 소홈(17)으로 1개의 소단면(小斷面)의 액로(液路)를 경유하도록 보내고, 그 후 향기체로서 휘발실(4) 또는 휘발 개구부(13)로부터 외부 발산을 행한다는, 소량 향 액의 향기 유지부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고성능의 은은한 향기 유지체를 구현화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향기 유지체(5a)는, 개략 같은 지름이고
가늘고 긴 침투성재(浸透性材)로 이루어지는 향기 유지통(18a)과, 그 외주위를 덮는 외주 파이프(23)와, 외주 파이프(23)로부터 내단 방향으로 돌설하는 세관 파이프(14)의 조합으로 하고, 향기 유지통(18a)의 기단측에 휘발 개구부(13)를 임하게 하고, 내단측에 향 액 흡입 단부(28a)를 위치시키고, 세관 파이프(14) 내에는, 선단 개구부(32)가 마련된 1개의 소공(31)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2에 기재된 향기 케이스의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서, 향 액 흡입측의 소공(31)을 경유한 향 액을, 향 액 흡입 단부(28a)로부터 향기 유지통(18a)의 침투성재 중에 소량의 향 액이나 향기 성분의 기체로서 흡입하고 잔류하여 유지하여 둘 수 있음과 함께, 기단측의 휘발 개구부(13)를 향하여 침투성재 중의 복수 개소를, 소량의 향 액이나 향기가 연속해서 이동하기 때문에, 안정된 향기를 장기간에 걸쳐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향기 유지체(5b)는, 외주 파이프(23) 내주(內周)의 기단측에 개략 같은 지름으로 가늘고 긴 비(非)침투성재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1개의 짧은 나선 소홈(17c)을 새긴 짧은 휘발통(18c)을 배설하고, 내단측에 침투성재로 이루어지는 짧은 향기 유지통(18b)을 배치하고, 외주 파이프(23)의 내단부터 또한 내방측으로 돌설하는 세관 파이프(14)를 마련하고, 이 세관 파이프(14) 내에는, 선단 개구부(32)가 마련된 1개의 소공(31)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향기 케이스의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이 구성으로 함으로서, 향 액 흡입측의 소공(31)을 경유한 향 액을, 짧은 향기 유지통(18b)의 침투성재 중에 소량의 향 액이나 향기 성분으로서 잔류하여 두면서, 그 외방의 짧은 휘발통(18c)의 1개의 짧은 나선 소홈(17c)을 경유하여 외부로, 소홈으로 조이면서 향기를 오래 배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케이스체 통부 양 외단의 소경 통부(10)와 소경 덮개부(11)에는, 동 내경으로 한 밀폐 캡(19, 19a) 또는 통로가 마련된 캡(20, 20a, 20b)의 어느 하나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5에 기재된 향기 케이스의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서, 향기 케이스의 소경 덮개부(11)에 마련한 향기 통로(7, 7a)를 밀폐 캡(19, 19a)으로 덮으면 향기의 케이스 밖(外)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향기 통로(7, 7a)를 통로가 마련된 캡(20, 20a, 20b)으로 덮을 때는 향기의 비산이 자유로 된다. 그리고, 비사용시의 캡은, 소경 통부(10)에 고정하여 둘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캡을 잃어버리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우선, 청구항 1의 발명은, 기본 통부(1)와 덮개체 통부(2)를 감합부(3)로 일체화하여 공동 통의 케이스체를 구성하고, 이 케이스체 내의 개구 부분인 향기 통로(7)에 내접하도록, 향기 유지체(5)의 휘발실(4) 또는 휘발 개구부(13)를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휘발실(4)이나 휘발 개구부(13)로부터 발산하는 향기를 케이스체 외부에 발산 용이하게 하면서, 향기 유지체(5) 내부에서 향기제의 급격한 휘발 변화를 억제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2의 발명은, 향기 유지체(5)의 케이스에의 부착이, 덮개체 통부(2)의 소경의 부착구멍(12)에 유지체의 기단부를 끼움으로써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케이스체 분리가 감합부(3)의 나사를 풀음으로써 간단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향기 유지체(5)에의 향수 액의 보충이나, 향기 유지체(5) 주위의 청소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은, 향기 유지체(5)는, 향 액 흡입측의 1개의 소공(31)으로부터 향 액 통과 간극(28)을 경유한 향 액을 1개의 나선 소홈(17)으로, 항상 1개의 소단면의 액로 또는 향기 로를 경유하고, 그 후 향기체로서 휘발실(4) 또는 휘발 개구부(13)로부터 외부 발산을 행한다는, 소량 향 액의 향기 유지부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저비용으로 고성능의, 은은한 향기 유지체를 구현화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은, 향 액 흡입측의 소공(31)을 경유한 향 액을, 향 액 흡입 단부(28a)로부터 향기 유지통(18a)의 침투성재 중에 소량의 향 액이나 향기 성분으로서 흡입하고 잔류하여 둘 수 있음과 함께, 큰 잔류 체적에 비하여 기단측의 작은 휘발 개구부(13)를 향하여, 침투성재 중의 복수 개소를 향기가 연속해서 이동하기 때문에, 안정된 향기를 장기간에 걸쳐서 공급하고 발산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5의 발명은, 향 액 흡입측의 소공(31)을 경유한 향 액을, 짧은 향기 유지통(18b)의 침투성재 중에 소량의 향 액이나 향기 성분으로서 보유하여 두면서, 그 외방의 짧은 휘발통(18c)의 1개의 짧은 나선 소홈(17c)으로 크게 조이고 나서 외부에 향기를 배출 안내하기 때문에, 은은한 향기를 장기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은, 향기 케이스의 소경 덮개부(11)에 마련한 향기 통로(7, 7a)를 밀폐 캡(19)으로 덮으면 향기의 케이스 밖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향기 통로(7, 7a)를 통로가 마련된 캡(20, 20b)으로 덮을 때는 향기의 비산이 자유롭게 된다.
그리고, 비사용시의 캡은, 소경 통부(10)에 고정하여 둘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캡을 잃어버리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상방 향기 발산 방식「A」에서의 전체의 정면 단면도.
도 2는 하방 향기 발산 방식「B」에서의 전체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주요부의 향기 유지체「1형」에서의 한 측방 사시도.
도 4는 주요부의 향기 유지체「1형」에서의 다른 측방 사시도.
도 5는 주요부의 다른 향기 유지체「2형」에서의 한 측방 사시도.
도 6은 주요부의 다른 향기 유지체「3형」에서의 한 측방 사시도.
도 7은 주요부의 향기 유지체를 별도 형태로 한 정면 단면도.
도 8은 기본 통부 단품 설명용의 사시도.
도 9는 도 2의 하방 향기 발산 방식「B」에서의 전체 사시도.
도 10은 도 2의 저면도.
도 11은 주요부의 한 부재인 휘발통「1형」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향기 유지체「2형」에서의 전체의 정면 단면도.
도 13은 향기 유지체「3형」에서의 전체의 정면 단면도.
도 14는 향기 통로와 개구 통로의 별도 도시 예에서의 전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개구 통로부의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향기 통로부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원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것은 전부 포함하는 것이다.
우선, 도 1에서 도시하는 「상방 향기 발산 방식」의 형태 A로 설명한다.
수지재로 구성하는 도시 예의 향기 케이스에는, 공지 문헌과 마찬가지로 클립(21)이 마련되어 있고, 의복류나 신변 부속품류에 부착하여 휴대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시 예에서는, 클립(21)이 통로가 마련된 캡(20)과 일체화하고 있고, 이 통로가 마련된 캡(20)의 개구 통로(22)와, 덮개체 통부(2)의 유저벽(6)에 마련한 향기 통로(7)가, 공극(35)을 통하여 대향 접근하여 임하고 있다.
이 공극(35) 공간에 세립도(細粒度)가 다른 필터체(36)를 변경 끼어지지하는 경우, 입도 변경으로 향기의 통과 시간의 장단을 조절할 수 있다.
덮개체 통부(2)의 기단 일단측인 유저벽(6)측은, 원통체의 외경을 가늘게 한 소경 덮개부(11)로 하고 있는데, 덮개체 통부의 외경을 같은 치수로 하고 캡 내경을 크게 하는 형태로 하면, 원통체의 제작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도시 예의 통체는 원통의 쪽이 제작 용이하지만, 각통(角筒)이라도 수납실(29)인 내부 공간이 있는 케이스체로, 같은 효과가 있으면, 형상은 다각형의 통체로 하고 있어도 좋다.
소경 덮개부(11) 내경 방향에는, 동심형상(同芯狀)으로 부착구멍(12)이 마련되고, 향기 유지체「1형」(5)의 기단부가 감입 부착되고, 이 기단부분에서는 향기가 개구(13)를 ?하여 외기와 연통 가능하게 하고 있다.
향기 유지체(5)의 제1 도시 예「1형」은, 도 3과 도 4에서 상세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부재를 조합시켜서 구성하고 있고, 외주 파이프(23) 내에 휘발통(18)을 삽입하고 있다.
외주 파이프(23)는, 기단부측의 외경「D」 부분을 부착구멍(12)과 개략 같은 지름으로 하고, 반(反)부착구멍 방향의 돌출단 측에, 세관으로 내부에 1개의 원형 통로인 소공(31)을 갖는 세관 파이프(14, 14a)를, 일체 또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별체화로 하여 부착하고 있다.
도 7에서 도시하는 것은, 별도 구성의 외주 파이프(23a)와 세관 파이프(14a)의, 2부재를 조합시켜서 일체화하는 향기통「조」(39)로서, 외주 파이프(23a)돌출단측에 마련한 부착시트(40)의 소공(41)에, 세관 파이프(14a)의 일단을 삽입한 것이고, 타단은 선단 개구부(32)로 하고 있다.
세관 파이프(14a)는, 일래스토머나 연질 플라스틱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긴 치수가 가늘고 긴 원형 튜브재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이용함으로써, 같은 지름의 시판 파이프를 사용하면, 수지재의 외주 파이프(23a)에 길고 가늘은 세관 파이프를 일체하여 돌출하는 부분이 없어지고, 외주 파이프(23a)의 제작이 용이하다.
이 향기통「조」(39)는, 「1형」의 향기 유지체(5)나, 후술하는 「2형」의 향기 유지체(5a), 「3형」의 향기 유지체(5b) 등의, 별도 형태의 향기통「조」(39)로서, 어느 것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형」으로 되돌아와, 외주 파이프(23)의 유저벽(6) 접촉측은 일정 두께로 동심의 내방 부착구멍(16)으로 하고 있고, 이 내방 부착구멍(16) 내에 휘발통(18)을 삽입하고 있다.
제1 도시 예「1형」에서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측을 큰 지름으로 한 대경 내측구멍(34)으로 하고 있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휘발통(18)은, 로켓의 탄두형상으로 선단부를 테이퍼(24)형상에 뾰족하게 한 형상으로서 압입 용이하게 하고, 외주 파이프(23)의 내방 부착구멍(16) 내주면에, 휘발통(18)통체 외주면을 밀착시켜서 일체화하고 있다.
다음에, 제1 도시 예「1형」의 휘발통(18)의 세부에 관해, 도 3과 도4 및 도 11을 주체로 설명한다.
테이퍼(24)의 선단면에는 1개의 안내 홈(25)이 마련되고, 통체 외주면에는 1개의 나선 소홈(17)이 새겨져 있다.
외주 파이프(23)의 내방 부착구멍(16) 내주면에, 일체 부착한 휘발통(18) 통체 외주면의 나선 소홈(17)은, 모세관현상을 이용하는 범위의 가는 홈 단면일 때, 휘발실(4) 부근까지 향수 액으로서 도달한다.
또한, 휘발통체 외주면의 유저벽(6) 접촉측은, 외방 세경 통부(26)로서 간극을 넓게 하여 모세관현상을 끊고, 액의 기화를 재촉하고 있다.
휘발통(18)체 외주면의 세관 파이프(14) 접촉측은, 내방 세경 통부(27)로서 향 액 통과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테이퍼(24)의 표면부도, 외주 파이프(23)의 내방 부착구멍(16)의 선단 테이퍼 면에 대하고, 도 1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향수 액 통과를 위해, 구멍내 벽면과의 사이에 통과 간극(28)을 갖는 사면으로 하고 있다.
선술한 바와 같이, 휘발통(18)의 외방 세경 통부(26)와, 외주 파이프(23)의 대경 내측구멍(34)의 사이에 마련한 간극을, 휘발실(4)로 하고 있다.
이들 등의, 세관 파이프(14)와 외주 파이프(23)와 휘발통(18)을 일체 조립화함으로써, 도 1에서 도시하는 휘발실(4)이 마련된 향기 유지체「1형」(5)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하는 별도 형태의 향기통「조」(39)를, 「1형」에 이용하여도 같은 효과이다.
상기한 향기 유지체「1형」(5)를, 덮개체 통부(2)의 부착구멍(12) 내의 외단 방향 일부분에, 휘발실(4) 또는 개구부(13)측이 유저벽(6)의 향기 통로(7)에 대향하도록 감입이나 압입이나 삽입하고, 또는, 접착제 등으로 일체 고정의 상태로 하면, 덮개체 통측의 부재 조립은 완료한다.
또한, 덮개체 통부(2) 내단 방향의 축구멍 내주면에는, 암나사(9)가 마련되어 있고 감합부(3)의 설명시에 후술한다.
다음에, 제2 도시 예「2형」의 향기 유지체(5a)에 관해, 「1형」과 다른 점을 주체로 도 5 및 도 12로 설명한다.
도 5에서 도시하는 「2형」의 향기 유지체(5a)는, 외주 파이프(23)나 세관 파이프(14) 등을 「1형」라고 동형 부재의 투명한 수지재로 하여, 외주 파이프(23) 내에 내장하는 향기 유지통(18a)을, 「1형」과는 다른 부재의, 면(綿)이나 스펀지 등의 침투성재로 하고 있다.
한, 도 7에서 도시하는 별도 형태의 향기통「조」(39)를, 「2형」에 이용하여도, 같은 효과이다.
향기 유지통(18a)은, 면이나 스펀지 등의 침투성재로 이루어지고,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품시의 휘발통(18)과 개략 같은 외형 형상이다.
이 향기 유지통(18a)을, 플라스틱 수지재의 외주 파이프(23) 내부에 삽입하면, 도 12에서 도시하는 「2형」의 향기 유지체(5a)가 된다.
침투성재는, 외기 접촉 표면적이 크면, 휘발량이 크게 되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개구(13)측인 출구측 부근만을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면적의 향기 발산면으로 하고, 다른 입구 테이퍼면측부터 통체 외주위를, 외주 파이프(23)의 내면에 꽉눌러서, 향 액이나 향기의 보존 유지력을 높이고 있다.
또한, 제3 도시 예「3형」의 향기 유지체(5b)에 관해, 도 6 및 도 13을 주체로 설명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3형」의 향기 유지체(5b)는, 외주 파이프(23)나 세관 파이프(14) 등을 「1형」과 같은 부재로 하고, 외주 파이프(23) 내의 하방에 내장하는 짧은 향기 유지통(18b)과, 상방 출구측에 삽입한 짧은 휘발통(18c)을 별도 부재로 하고 있다.
짧은 향기 유지통(18b)은, 면이나 스펀지 등의 침투성재로 이루어지고, 짧은 휘발통(18c)은 「1형」과 같은 소재의 플라스틱 수지재로 하고, 양 부재를 조립하면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1형」의 휘발통(18) 전체와, 외형을 개략 같은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하는 별도 형태의 향기통「조」(39)의 구성을, 「3형」에 이용하여도, 같은 효과이다.
「3형」은, 「1형」과 「2형」의 절충안이고, 이하, 특징점을 설명한다.
「1형」이, 장기간에 걸쳐서 은은한 향기를 발산하고, 「2형」이, 대용량의 침투성재에 의해 많은 향기나 향 액을 보유하고, 조임부를 적게 하여 향기를 내기 쉽게하는 것에 대하여, 「3형」은, 중간 정도의 용량의 침투성재인 짧은 향기 유지통(18b)과, 조임부인 짧은 나선 소홈(17c)에 의해, 세관 파이프(14)의 소공(31)으로부터 흡인하는 향수 액을, 짧은 향기 유지통(18b)부의 침투성재 중에서, 액체 또는 기화시켜서 보유하고, 조임부인 짧은 나선 소홈(17c)부에서는, 액체의 경우 천천히 나선 소홈에게 보내면서 휘발실에서 기화시켜, 기화 상태의 향기를 반송할 때는, 조임부로 막힘이 생기지 않고 향기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기본 통부(1)측의 부재에 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기본 통부(1)는, 투명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유저 통형상의 구성으로 하고 있고, 도시 예에서는 원통형상의 수납실(29)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외방 단부는 세경의 소경 통부(10)로 하고, 내단 세경 축통(30)부에 수나사(8)를 마련하고, 전술한 덮개체 통부(2)의 암나사(9)와, 이 수나사(8)를 결합 체결하는 감합부(3)로 하고 있다.
이 감합부(3)를 통하여, 기본 통부(1)와, 향기 유지체(5)를 내장한 덮개체 통부(2)를 일체화하면, 향기 케이스 본체「K」가 출현한다.
이 향기 케이스 본체「K」는, 도 1에서 도시하는 「상방 향기 발산 방식」인 형태 A에서도, 도 2로서 후술하는, 「하방 향기 발산 방식」인 형태 B에서도, 단지 상하 반전하여 사용할 뿐으로서 같은 부품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 향기 발산 방식」의 형태 A에서는 소경 덮개부(11)에, 개구 통로(22)를 가지며 클립(21) 부착의 통로가 마련된 캡(20)을 부착하고, 소경 통부(10)에 밀폐 캡(19)을 씌우고 있다.
향기의 발산을 규제할 때는, 도시 예 상하의 각각의 캡을 교체하여 마련하면, 향기 통로(7)를 밀폐 캡(19)이 밀폐한다.
또한, 별도 형태로 이루어지는 향기의 외부 발산 조정 구성에 관해, 도 12 내지 도 16을 주체로 설명한다.
향기의 발산량이 크게 변동하면, 은은한 좋은 냄새라도, 심한 나쁜 냄새에 느끼거나, 냄새가 연해지는 등의 부적합함을 느끼는 일이 있다.
도 12 및 도 13의 단면도에서 도시하는, 「2형·3형」의 향기 유지체(5a)·(5b)에 끼워넣은 향기의 외부 발산 조정 구성은, 도 14의 전개 사시도로서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1형」의 향기 유지체(5)에 끼워넣어도 같은 효과이다.
덮개체 통부(2)와 소경 덮개부(11)는 「1형」같은 구성이고, 다른 점은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유저벽(6a)에 개구하는 향기 통로(7a)의 수를, 반감하는 것와, 타측의 벽면에 반원호 형상의 돌기인 개구 통로 폐쇄벽(37)과, 천정면(38)을 마련하고 있는 점이다.
또한, 통로가 마련된 캡(20b)에 개구한 통로의 수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감한 개구 통로(22a)로 한 점이다.
이 변경점에 의한 형태의, 향기의 외부 발산 조정을 행하려면, 도 14의 전개 사시도 상태의 통로가 마련된 캡(20b)을, 같은 방향으로 덮개체 통부(2)의 소경 덮개부(11)에 부착한, 도 12에서 도시하는 단면도 상태로부터, 도 15 평면도에서 나타내는 화살표(F)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도 13에서 도시하는 단면도 상태까지 통로가 마련된 캡(20b)을 회전한다.
이 회전 조작시에, 개구 통로(22a)가, 개구 통로 폐쇄벽(37)의 천정면(38)에 회전 접촉하고 통로를 폐쇄하여 갈 때마다, 향기의 외부 발산이 제한된다.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든지, 반전하여 도 12 및 도 14의 상태까지 이동하면, 향기의 외부 발산은 전개(全開) 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향기 발산은 유단계(有段階)로 하여도 개폐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 케이스체 내부에서의 향기의 흐름이나, 각 부분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향기 케이스 본체「K」의 감합부(3)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통체 덮개부(2)에 향기 유지체(5, 5a, 5b)를 내장한 채로 향기 케이스 본체를 2분할 한다.
기본 통부(1)나 세관 파이프(14, 14a) 등을 투명재로 하여 두면, 분할 전에 내부의 향 액 상태를 밖에서 미리 보는 것이 가능하다.
분할 후, 통체 덮개부(2)의 감합부(3)로부터 외방으로 크게 돌출하는 세관 파이프(14, 14a)의 선단 개구부(32)를 향수 액에 담근다.
세관 파이프(14, 14a) 내에는, 액체를 모세관현상으로 상방 이동시키는 미소한 내경을 갖는 1개의 소공(31)이 마련되어 있고, 선단 개구부(32)로부터 흡인되는 향수 액은, 소공(31)을 경유하여, [1형]의 향기 유지체(5)로 설명하면, 휘발통(18)의 선단에 마련한 안내 홈(25)으로부터 미소한 통과 간극(28)을 경유하여, 1개의 나선 소홈(17)에 도달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소공(31)의 내주벽면에는, 축방향으로 복수개의 가는 오목 홈, 또는 가는 볼록 홈을 마련하여 두면, 평활면보다도 흡인력을 늘릴 수 있다.
나선 소홈(17) 하단에 도달한 향수 액은, 이번에는 액체를 모세관현상으로 상방 이동시키는 미소한 1개의 나선 소홈(17)에 따라 휘발실(4)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1형」에서는, 이 소공(31)과 통과 간극(28)과 나선 소홈(17) 등과의 합계 용적을 1개의 소공이나 편협 간극이나 소홈으로 함으로써, 미세한 전체액의 용량으로서 향수 액 사용량을 적게 하고 있다.
1개의 나선 소홈(17)의 출구 부근에 달한 향수 액은, 넓은 공간의 휘발실(4) 입구부에서 기화하고 휘발실(4) 내를 향기 성분으로 채우고, 개구부(13)로부터 향기 통로(7)를 경유하여 외부로 나간다.
휘발실(4)의 용적량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방 세경 통부(26)의 외경 치수를 가늘게 하면, 외주 파이프(23)의 내방 부착구멍(16)과의 간극량이 증가하고, 굵게 하면 감소하며, 휘발실(4)은 0부터 최대 용량까지 설계 시점에서 필요에 응하여 증감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휘발통(18)에는, 축심 부분에 조정구멍(33)을 마련하여 두고, 이 조정구멍(33)용량을 크게 하면 향기 고임부가 증가하여, 은은한 향기의 유지 시간을 길게 할 수도 있다.
상방 향기 발산 방식「A」에서는, 상기 상태의 덮개체 통부(2)를, 기본 통부(1)에 감합부(3)를 통하여 단단히 조이면, 향기 케이스 본체「K」가 된다.
다음에, 「2형」의 향기 유지체(5a)에 관해, 도 5와 도 7 및 도 12로 설명한다.
외주 파이프(23, 23a) 내부에, 면이나 스펀지 등의 침투성재로 이루어지는 향기 유지통(18a)을 삽입한 상태에서의 향수 액의 흐름은, 향기 케이스 본체를 2분할한, 통체 덮개부(2)의 감합부(3)로부터 외방으로 크게 돌출하는 세관 파이프(14, 14a)의 선단을 향수 액에 담그면, 모세관현상으로 흡인되는 향수 액이 향 액 흡입 단부(28a)를 경유하여, 향기 유지통(18a) 내에 흡입된다.
「2형」의, 큰 침투성재로 이루어지는 향기 유지통(18a)에는, 「1형」보다도 많은 향기를 보유할 수 있고, 개구부(13)까지의 향기통과 저항이 「1형」보다 적게 되어 있고, 향기를 내기 쉽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침투성재는, 외기 접촉 표면적이 크면, 휘발량이 크게 되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개구(13)측인 출구측 부근만을, 소면적의 향기 발산면으로 하고, 다른 입구 테이퍼 면측부터 통체 외주위를, 외주 파이프(23, 23a)의 내면에 꽉 눌러서, 발산을 억제하고 향기의 유지력을 높이고 있다.
도 14에서 도시하듯이 통로가 마련된 캡(20b)과 개구 통로 폐쇄벽(37)의 천정면(38)이용에서, 유단계 조임 방식으로 하면 더욱 향기 발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3형」의 향기 유지체(5b)에 관해, 도 6와 도 7 및 도 13을 주체로 설명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3형」의 향기 유지체(5b)는, 외주 파이프(23, 23a)나 세관 파이프(14, 14a) 등을 「1형」과 동형 부재로 하고, 외주 파이프(23, 23a) 내의 하방에 내장하는 짧은 향기 유지통(18b)과, 상방 출구측에 삽입하는 짧은 휘발통(18c)을, 별도 부재로 하고 있고, 짧은 향기 유지통(18b)은, 면이나 스펀지 등의 침투성재로 이루어지고, 짧은 휘발통(18c)은 「1형」과 같은 소재로 하고, 양 부재를 조립하면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1형」에서 도시하는 휘발통(18) 전체와, 외형을 개략 같은 형상으로 하고 있다.
「3형」은, 「1형」과 「2형」의 절충안이고, 이하, 특징점을 설명한다.
「1형」이, 장기간에 걸쳐서 은은한 향기를 발산하고, 「2형」이, 큰 침투성재에 의해 많은 향기 용량을 보유하고, 조임부를 적게 하여 향기를 내기 쉽게 하는 것에 대해, 「3형」구성은, 중간 정도의 침투성재인 짧은 향기 유지통(18b)과, 조임부인 짧은 나선 소홈(17c)에 의해, 세관 파이프(14, 14a)로부터 흡인하는 향수 액을, 짧은 향기 유지통(18b)부의 침투성재 중에서 액체 또는 기화시켜서 보유하고, 조임부인 짧은 나선 소홈(17c)부에, 액체 또는 기화 상태의 향기를 작용시키기 때문에, 작은 조임부로 막힘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향기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다.
별도 형태의, 하방 향기 발산 방식「B」에 관해, 도 2를 주체로 설명한다.
하방 향기 발산 방식「B」에서는, 향기 케이스 본체「K」를 상하 반전하여 사용할 뿐이고, 부재의 형상에 변경은 없기 때문에, 작용이나 효과에서 다른 점을 주체로 설명하고, 「A」 방식과 다르지 않은 점은 생략한다.
부재로서 변경하는 것은, 통로가 마련된 캡(20a)과 밀폐 캡(19a)뿐으로서 이하, 설명한다.
통로가 마련된 캡(20a)은, 향기 케이스 본체「K」의 하단부에 배치하는, 덮개체 통부(2)의 유저벽(6)에 개구하는 향기 통로(7) 전체 외주를 덮는 착탈 자유로운 캡이다.
밀폐 캡(19a)은, 클립(21)을 일체화하고 있고, 향기 케이스 본체「K」의 기본 통부(1)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휘발실(4)이나 조정구멍(33) 내의 향기는, 향기 통로(7)로부터 캡의 개구 통로(22)를 경유하여, 향기 케이스 본체「K」의 하부로부터 외부에 방출된다.
향수 액은, 휘발통(18)의 1개의 미세한 나선 소홈(17) 내를 모세관현상으로 진행되어 가지만, 휘발실(4) 입구부의 간극이 넓게 되어 모세관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또한, 세관 파이프(14)의 소공(31)으로부터 새로운 액 보급도 없기 때문에, 향수 액이 적하 누출할 우려도 생기지 않고, 안정된 향기만의 발생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선술한 바와 같이, 공극(35)부에 각종의 필터체(36)를 삽입 끼어지지하면, 향기 휘발 발산의 시간의 길고 짧음을 변경할 수 있다.
향기의 외부로의 발산을 멈출 때는, 상하의 캡을 바꾸어서 밀폐 캡(19a)으로, 향기 케이스 본체「K」의 하단부에 마련한 덮개체 통부(2)의 유저벽(6)에 개구하는 향기 통로(7) 전체를 덮으면 좋다.
또한, 도시 예의 향기 케이스 본체에서는, 상하 양단부를 소경 통부(10)와 소경 덮개부(11)로 하고 있지만, 중앙 부분의 통체와 같은 지름의 양단부로 하고, 캡 측의 내경을 크게 하고 있어도 같은 효과이다.
본원 발명의 특징은, 휘발실 또는 휘발 개구부와, 1개의 통로로 이루어지는 모세관식의 액 흡상 통로를 내장한 향기 유지체를, 그 흡액구 선단 개구부를 향수 액 중에 담그는 것만으로, 미량의 향수 액을 모세관현상으로 휘발실 개구부 부근까지의 미세 부분에 이동 보관하는 「1형」향기 유지체와, 1개의 통로로 이루어지는 모세관식의 액 흡상 통로의 중간부 도중에 향기를 조금 팽창 보관하는 「3형」향기 유지체와, 1개의 통로로 이루어지는 모세관식의 액 흡상 통로의 후반부를 큰 침투성재에 의해 많은 향기를 보유하고, 방출 가능 향기를 내기 쉽게 하는 「2형」향기 유지체로 한 것이다.
또한, 통로가 마련된 캡의 개구 통로를 유단계로 개폐함으로써, 향기 유지체의 형태에 관계없이 향기 케이스 내에 배치한 향기 유지체의 발산 향기를, 필요에 응하여 향기 통로를 조이거나 개폐함으로써, 은은한 향기를 저비용으로 장시간에 걸쳐서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도시 예 중에서, 클립을 갖지 않는 향기 케이스인 도 12와 도 13 및 도 14에서는, 양단의 캡의 어느 한쪽 또는 통부, 통체의 일부 등에 끈이 통과하는 소공부를 마련하고, 소공에 끈을 마련하여 달아내리면 좋다.
또한, 각 부재에서 투명재로서의 설명이 특히 없었던 부재는, 반투명재나 불투명재나 표면을 도금 등으로 처리하여, 각각의 변화를 즐겨도 좋다.
1 : 기본 통부
2 : 덮개체 통부
3 : 감합부
4 : 휘발실
5 : 향기 유지체「1형」
5a : 향기 유지체「2형」
5b : 향기 유지체「3형」
6 : 유저벽
6a : 유저벽
7 : 향기 통로
7a : 향기 통로
8 : 수나사
9 : 암나사
10 : 소경 통부
11 : 소경 덮개부
12 : 부착구멍
13 : 개구
14 : 세관 파이프
14a : 세관 파이프
15 : 통형상 중간부
16 : 내방 부착구멍
17 : 나선 소홈
17c: 짧은 나선 소홈
18 : 휘발통
18a : 향기 유지통
18b : 짧은 향기 유지통
18c : 짧은 휘발통
19 : 밀폐 캡
19a : 밀폐 캡
20 : 통로가 마련된 캡
20a : 통로가 마련된 캡
20b : 통로가 마련된 캡
21 : 클립
22 : 개구 통로
22a : 개구 통로
23 : 외주 파이프
23a : 외주 파이프
24 : 테이퍼
25 : 안내 홈
26 : 외방 세경 통부
27 : 내방 세경 통부
28 : 통과 간극
28a : 향 액 흡입 단부
29 : 수납실
30 : 내단 세경 축통
31 : 소공
32 : 선단 개구부
33 : 조정구멍
34 : 대경 내측구멍
35 : 공극
36 : 필터체
37 : 개구 통로 폐쇄벽
38 : 천정면
39 : 향기통「조」
40 : 부착시트
41 : 소공
A : 상방 향기 발산 방식
B : 하방 향기 발산 방식
D : 외경
F : 회전 방향
K : 향기 케이스 본체

Claims (6)

  1. 소정 외경 유저 통형상의 기본 통부(1)와 소정 외경 유저 통형상의 덮개체 통부(2)로 양자 내측 사이의 대향 통부를 감합부(3)를 통하여 조립하고, 덮개체 통부(2) 내주부에, 휘발실(4) 또는 휘발 개구부(13)를 갖는 향기 유지체(5)의 기단부를 부착하고, 덮개체 통부(2)의 유저벽(6)에 향기 통로(7)를 개구하는 구성으로서,
    향기 유지체(5)는, 같은 지름으로 가늘고 긴 휘발통(18)과, 그 외주위를 덮는 외주 파이프(23)와, 외주 파이프(23)로부터 내단 방향으로 돌설하는 세관 파이프(14)의 조합으로서, 휘발통(18)의 기단측을 소경으로 한 외방 세경 통부(26)로 하고, 내단측에 향 액 통과 간극(28)을 마련하고, 그 휘발통(18) 외주면에 1개의 나선 소홈(17)을 새기고, 세관 파이프(14) 내에는, 선단 개구부(32)가 마련된 1개의 소공(31)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케이스.
  2. 소정 외경 유저 통형상의 기본 통부(1)와 소정 외경 유저 통형상의 덮개체 통부(2)로 양자 내측 사이의 대향 통부를 감합부(3)를 통하여 조립하고, 덮개체 통부(2) 내주부에, 휘발실(4) 또는 휘발 개구부(13)를 갖는 향기 유지체(5)의 기단부를 부착하고, 덮개체 통부(2)의 유저벽(6)에 향기 통로(7)를 개구하는 구성으로서,
    향기 유지체(5a)는, 같은 지름으로 가늘고 긴 침투성재로 이루어지는 향기 유지통(18a)과, 그 외주위를 덮는 외주 파이프(23)와, 외주 파이프(23)로부터 내단 방향으로 돌설하는 세관 파이프(14)의 조합으로 하고, 향기 유지통(18a)의 기단측에 휘발 개구부(13)를 임하게 하고, 내단측에 향 액 흡입 단부(28a)를 위치시키고, 세관 파이프(14) 내에는, 선단 개구부(32)가 마련된 1개의 소공(31)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케이스.
  3. 소정 외경 유저 통형상의 기본 통부(1)와 소정 외경 유저 통형상의 덮개체 통부(2)로 양자 내측 사이의 대향 통부를 감합부(3)를 통하여 조립하고, 덮개체 통부(2) 내주부에, 휘발실(4) 또는 휘발 개구부(13)를 갖는 향기 유지체(5)의 기단부를 부착하고, 덮개체 통부(2)의 유저벽(6)에 향기 통로(7)를 개구하는 구성으로서,
    향기 유지체(5b)는, 외주 파이프(23) 내주의 기단측에 같은 지름으로 가늘고 긴 비침투성재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1개의 짧은 나선 소홈(17c)을 새겨진 짧은 휘발통(18c)을 배설하고, 내단측에 침투성재로 이루어지는 짧은 향기 유지통(18b)을 배치하고, 외주 파이프(23)의 내단으로부터 더 내방측으로 돌설하는 세관 파이프(14)를 마련하고, 이 세관 파이프(14) 내에는, 선단 개구부(32)가 마련된 1개의 소공(31)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케이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본 통부(1)와 덮개체 통부(2)를, 양자 내측 사이에 구비하고 있는 감합부(3)를 느슨하게 2개로 분리한 때, 덮개체 통부(2) 유저벽(6, 6a)측의 내주부에 기단을 부착하는 향기 유지체(5, 5a, 5b)의 타단은, 미소한 모세관 현상 가능 내경으로 한 1개의 소공(31)을 갖는 세관 파이프(14, 14a) 부분이, 덮개체 통부(2)의 감합부(3)로부터 외방으로 커다랗게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케이스.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향기 케이스 본체의 통부의 양 외측 단부인 기본 통부(1)와 덮개체 통부(2)인 케이스체 통부 양 외단의 소경 통부(10)와 소경 덮개부(11) 부분에는, 같은 내경으로 한 밀폐 캡(19) 또는 통로가 마련된 캡(20, 20b)의 어느 하나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는 것으로 한 것에 있어서, 덮개체 통부(2)의 외단부에 마련되는 소경 덮개부(11) 유저벽(6a)에 개구하는 향기 통로(7a)의 수를 한 측 쪽으로 반감함과 함께, 타측의 벽면에 반원호 형상의 천정면(38)을 마련하고, 이것들의 외주위를 덮는 통로가 마련된 캡(20b)에 마련되는 수를 반감한 개구 통로(22a)를 상기 천정면(38)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케이스.
  6. 삭제
KR1020130138007A 2013-11-14 2013-11-14 향기 케이스 KR101910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007A KR101910676B1 (ko) 2013-11-14 2013-11-14 향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007A KR101910676B1 (ko) 2013-11-14 2013-11-14 향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709A KR20150055709A (ko) 2015-05-22
KR101910676B1 true KR101910676B1 (ko) 2018-10-22

Family

ID=5339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007A KR101910676B1 (ko) 2013-11-14 2013-11-14 향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437Y1 (ko) * 2020-06-30 2023-11-07 김보성 기능성 패치가 구비된 마스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530A (ja) 2000-08-15 2002-02-26 Sergej Golovachov 液体パフュームを合理的に使用できる容器
JP2011030999A (ja) 2009-08-02 2011-02-17 Shinichi Hirama 携帯用香水容器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530A (ja) 2000-08-15 2002-02-26 Sergej Golovachov 液体パフュームを合理的に使用できる容器
JP2011030999A (ja) 2009-08-02 2011-02-17 Shinichi Hirama 携帯用香水容器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709A (ko) 201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2581B2 (en) Cartridge cover for personal vaporizer
ES2228183B1 (es) Distribuidor de doble funcion.
ES2667595T3 (es) Dispositivo para tratar un artículo para fumar
US7896256B2 (en) Disposable pierced earring fragrance chamber
JP2019531085A (ja) 末広形状煙排出管を有する電子タバコアトマイザー
KR101910676B1 (ko) 향기 케이스
US3027897A (en) Nasal inhaler
JP6451920B2 (ja) 香りケース
KR20160066851A (ko) 담배 대용 기구
JP6451921B2 (ja) 香りケース
KR101165369B1 (ko) 향수 용기
KR101459561B1 (ko) 향기를 발산시키는 힐링펜
CN207305886U (zh) 一种分体式驱虫器
KR101538355B1 (ko) 향기 인형
KR200264355Y1 (ko) 발향기능을 가지는 목걸이
JP3132292U (ja) 携帯式アロマキャリア
KR200483524Y1 (ko) 장식기능이 우수한 액상 방향제 용기
JP6143352B2 (ja) 液体揮散容器
KR102572226B1 (ko)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JP3201713U (ja) 芳香用アクセサリ
KR200414524Y1 (ko) 향수가 내재된 휴대폰 케이스
KR20190001258U (ko) 휴대용 아로마 디퓨저
TWM463067U (zh) 香水瓶補充結構
TWM650012U (zh) 擴香裝置
KR960000970Y1 (ko) 향료통을 가진 볼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