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226B1 -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 Google Patents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226B1
KR102572226B1 KR1020230061353A KR20230061353A KR102572226B1 KR 102572226 B1 KR102572226 B1 KR 102572226B1 KR 1020230061353 A KR1020230061353 A KR 1020230061353A KR 20230061353 A KR20230061353 A KR 20230061353A KR 102572226 B1 KR102572226 B1 KR 102572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air
application
applicato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구
임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포러스
임성구
임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포러스, 임성구, 임석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포러스
Priority to KR102023006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2Scent flasks, e.g. with evapor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문제점 등을 보완하면서 향수의 제형에 변화없이 향수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리필과 교체가 가능하며 피부에 밀착되어 발림성을 최적화하는 형태로 제작된 향기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는 등과 같이, 액상의 향수를 몸에 바르거나 표면에 향기버블을 발생시켜 향기를 맡을 수 있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는 표면에 바르거나 버블로 향기를 머금어 발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상의 향수가 담겨지는 향수수용부, 상기 향수수용부 일측과 연통되는 유로지지대, 상기 유로지지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액상의 향수를 펌핑(pumping)하는 워터펌프, 상기 워터펌프 일단과 연결된 노즐, 상기 노즐과 연통되게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부, 상기 유로지지대 상부와 상기 분사부 하부를 연결하되 내부에 연결공간이 형성된 커넥터, 상기 분사부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분사구와 이격되게 체류공간이 형성된 다공성 도포부, 상기 유로지지대 외부를 감싸면서 에어공간이 형성되어 공기를 펌핑(pumping)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도포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에어펌프 외주면을 지나 상기 유로지지대를 감싸는 탈착 가능한 캡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Portable perfume device for application and bubble generation}
본 발명은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문제점 등을 보완하면서 향수의 제형에 변화없이 향수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리필과 교체가 가능하며 피부에 밀착되어 발림성을 최적화하는 형태로 제작된 향기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는 등과 같이, 액상의 향수를 몸에 바르거나 표면에 향기버블을 발생시켜 향기를 맡을 수 있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향수 시장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약 6천억원에서 2023년 현재 약 8천억원으로 4년만에 30%이상 확대되었다.
2025년에는 1조원 규모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향수 시장이 급속도로 커진 데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이 지배적인데 첫째, 장기화된 코로나19로 우울감과 무기력증을 호소하는 이른바 '코로나 블루'를 겪는 이들이 이를 해소하고 기분전환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좋아하는 향기를 선택하게 되었다.
둘째,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색조 화장에 대한 수요가 줄고 대신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독특한 향을 즐기는 소비자가 늘어나게 되었다.
향수라고 하면 보통 유리병에 담긴 스프레이 타입의 액체 향수가 주를 이루는데, 향수를 사용하는 소비자층이 점점 다양해지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향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면서, 사용과 휴대가 편리한 형태의 향수들이 출시되기 시작했다.
스프레이 향수의 경우 좁은 분사구를 통해 향수가 미세 액적 상태로 분사되는데 사용자가 분사량의 정도나 방향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없어 자칫 너무 많은 양을 분사할 수도 있고 원하는 방향이 아닌 엉뚱한 방향으로 분사할 수도 있다.
때문에 피부에 묻은 향수를 다시 씻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게 될 수 있다.
또한, 분사하는 행위 자체가 액적이 퍼지게 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피부에 국소적으로 향을 적용하는 것은 더더구나 어렵다.
향수 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코올이 분사 시 피부에 직접 닿아 경우에 따라 자극(트러블)을 유발하기도 하고, 분사 도중 공기 중에 미세하게 퍼져 사용자가 흡입할 우려도 있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개발된 향수 중 고체 향수와 롤온 향수가 그 대표적인 예로, 고체 향수는 향료를 왁스, 오일 등의 베이스와 섞어 밤(balm), 크림(cream), 스틱(stick) 등의 제형으로 만든 것으로, 액체 향수처럼 휴대 시 향수가 누유(leak)될 염려가 없고, 알코올 베이스와 달리 향료가 빨리 휘발되지 않아 밀봉에 대한 주의를 덜 기울일 수 있다.
또한, 알코올에 비해 휘발 속도가 느리고 향기 분자를 오래 붙잡고 있을 수 있어 향기 지속력이 좋고 발향 상태가 은은한 장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가 알코올이 아니기 때문에 알코올에 자극을 느끼는 사람들에게도 유용하다.
하지만 휘발 속도가 느린 만큼 발향력이 좋지 않고, 피부에 바를 때 왁스나 오일이 알코올처럼 휘발되지 않고 피부에 남아 청량감 대신 끈적임 등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롤온 향수는 일반적인 스프레이 타입 향수가 누수 등의 문제로 휴대성이 어려운 점을 보완하고자 향수 병 입구에 롤러볼을 달아 바르는 형태로, 입구와 롤러볼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향수가 나오기 때문에 양 조절이 쉽고 원하는 부위에 바르기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프레이 타입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발리기 때문에 향기 확산성이 떨어지고, 볼(ball)을 아래로 기울이지 않으면 향수가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일부 부위는 바르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확산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향수 베이스를 오일 베이스로 할 경우 사용횟수가 늘어날수록 오일이 묻은 볼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달라붙어 쉽게 더러워지고 볼의 회전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2501966호, 발명의 명칭 "디퓨저겸용 향수병"(등록일자 2023.02.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종래의 문제점 등을 보완하면서 향수의 제형에 변화없이 향수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리필과 교체가 가능하며 피부에 밀착되어 발림성을 최적화하는 형태로 제작된 향기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는 등과 같이, 액상의 향수를 몸에 바르거나 표면에 향기버블을 발생시켜 향기를 맡을 수 있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는 표면에 바르거나 버블로 향기를 머금어 발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상의 향수가 담겨지는 향수수용부, 상기 향수수용부 일측과 연통되는 유로지지대, 상기 유로지지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액상의 향수를 펌핑(pumping)하는 워터펌프, 상기 워터펌프 일단과 연결된 노즐, 상기 노즐과 연통되게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부, 상기 유로지지대 상부와 상기 분사부 하부를 연결하되 내부에 연결공간이 형성된 커넥터, 상기 분사부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분사구와 이격되게 체류공간이 형성된 다공성 도포부, 상기 유로지지대 외부를 감싸면서 에어공간이 형성되어 공기를 펌핑(pumping)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도포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에어펌프 외주면을 지나 상기 유로지지대를 감싸는 탈착 가능한 캡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향수의 제형에 변화없이 향수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리필과 교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피부에 밀착되어 발림성을 최적화하는 형태로 제작된 향기버블을 발생시켜 향기를 머금으면서 지속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향기 버블이 다공성 도포부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이 아니라 가압 시 버블의 일부만 외부로 노출이 되고 가압 해제 시 도포부로 다시 스며들게 되므로 노출된 부분에서만 향기가 발생되어 향수가 절약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프레이 형태에 비해 향수의 불필요한 소모가 훨씬 덜하고 감압 시 분사 효율 자체가 떨어지는 스프레이 형태와 달리 가압 정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 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 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 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b)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의 (a)는 캡하우징(190)이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의 (b)는 캡하우징(190)을 탈거하여 열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의 (a)는 에어겸용캡(280)이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b)는 에어겸용캡(280)을 탈거하여 하우징부(220) 하부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100)는 표면에 바르거나 버블로 향기를 머금어 발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상의 향수가 담겨지는 향수수용부(110), 상기 향수수용부(110) 일측과 연통되는 유로지지대(120), 상기 유로지지대(120) 내에 장착되어 상기 액상의 향수를 펌핑(pumping)하는 워터펌프(130), 상기 워터펌프(130) 일단과 연결된 노즐(140), 상기 노즐(140)과 연통되게 분사구(151)가 형성된 분사부(150), 상기 유로지지대(120) 상부와 상기 분사부(150) 하부를 연결하되 내부에 연결공간(161)이 형성된 커넥터(160), 상기 분사부(150)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분사구(151)와 이격되게 체류공간(171)이 형성된 다공성 도포부(170), 상기 유로지지대(120) 외부를 감싸면서 에어공간(181)이 형성되어 공기를 펌핑(pumping)하는 에어펌프(180), 및 상기 도포부(170)와 이격되면서 상기 에어펌프(180) 외주면을 지나 상기 유로지지대(120)를 감싸는 탈착 가능한 캡하우징(190)을 포함한다.
또한, 향수수용부(110) 및 캡하우징(190) 중 하나를 고정하고 나머지를 반복하여 누르면(또는 캡하우징(19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향수수용부(110)를 반복하여 누르면), 상기 향수수용부(110)와 연결된 상기 유로지지대(120)를 통하여 상기 워터펌프(130)가 펌핑(pumping)되어 상기 향수수용부(110) 내에 있던 향수가 상기 분사구(151)를 통해 토출되되 상기 도포부(170) 내주면에 착상되고 상기 도포부(170)의 기공을 통하여 상기 도포부(170) 외주면을 적실 수 있다.
또한, 캡하우징(190)에서 노출된 상기 에어펌프(180)를 반복하여 가압하면, 상기 에어공간(181)에 있던 공기가 상기 분사부(150) 일측에 형성된 에어홀(155)을 지나 상기 체류공간(171)으로 토출되어 상기 도포부(170) 내주면에 착상된 액적의 향수와 함께 상기 도포부(170)의 기공을 통하여 상기 도포부(170) 외주면에 기화된 향수를 머금는 버블이 생성되어 발산될 수 있다.
또한, 향수수용부(110)는 상기 유로지지대(120) 일측과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유로지지대(120)는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기로홀(121)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간(181)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에어펌프(180)는 신축되는 연질의 도넛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200)는 표면에 바르거나 버블(bubble)로 향기를 머금어 발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상의 향수가 담겨지는 향수수용부(210), 상기 향수수용부(210) 외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향수수용부(210)와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유로(221)가 형성된 하우징부(220), 상기 향수수용부(210) 내에 장착되어 상기 액상의 향수를 펌핑(pumping)하는 워터펌프(230), 상기 워터펌프(230) 일단과 연결된 노즐(240), 상기 노즐(240)과 연통되게 분사구(251)가 형성된 분사부(250), 상기 하우징부(220) 상부와 상기 분사부(250) 하부를 연결하되 연결공간(261)이 형성된 커넥터(260), 상기 분사부(250)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분사구(251)와 이격되게 체류공간(271)이 형성된 다공성 도포부(270), 및 상기 도포부(270)와 이격되게 감싸되 상기 커넥터(260) 상측과 탈착되는 캡링(281)이 형성된 에어겸용캡(280)을 포함한다.
또한, 향수수용부(210)를 둘러싼 상기 하우징부(22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에어겸용캡(280)을 반복하여 누르면, 상기 향수수용부(210)와 연동된 상기 워터펌프(230)가 펌핑(pumping)되어 상기 향수수용부(210) 내에 있던 향수가 상기 분사구(251)를 통해 토출되되 상기 도포부(270) 내주면에 착상되고 상기 도포부(270)의 기공을 통하여 상기 도포부(270) 외주면을 적실 수 있다.
또한, 에어겸용캡(280)을 탈거하여 상기 하우징부(220) 하단에 결합한 후 상기 에어겸용캡(280)을 반복하여 가압하면, 상기 에어유로(221)를 따라 상기 분사부(250) 일측에 형성된 에어홀(255)을 지나 상기 체류공간(271)으로 공기가 토출되어 상기 도포부(270) 내주면에 착상된 액적의 향수와 함께 상기 도포부(270)의 기공을 통하여 상기 도포부(270) 외주면에 기화된 향수를 머금는 버블이 생성되어 발산될 수 있다.
또한, 에어겸용캡(280)의 첨두는 신축되는 연질의 캡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분사부(150, 250)는 나팔관 형상의 분사구(151, 251)의 말단에 적어도 1개이상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쐐기형상의 갈래홈(152, 2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포부(170, 270)는 기공의 크기가 5㎛ ~ 150㎛일 수 있다.
또한, 도포부(170, 270)는 내부가 빈 돔(dome) 형상의 첨두가 일자로 뻗어있을 수 있다.
또한, 도포부(170, 270)는 다공성 플라스틱, 다공성 세라믹, 다공성 고무, 다공성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분사부(170, 270)와 상기 커넥터(160, 260) 사이에 패킹부재(101, 201)가 개재되어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향수는 에센셜 오일, 아로마 오일, 또는 향기를 가진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100, 200)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 등을 보완하면서 향수의 제형에 변화없이 향수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리필과 교체가 가능하며, 피부에 밀착되어 발림성을 최적화하는 형태로 제작된 향기버블을 발생시키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향수장치(100, 200)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향수장치(100)는 표면에 바르거나 버블로 향기를 머금어 발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향수수용부(110), 유로지지대(120), 워터펌프(130), 노즐(140), 분사부(150), 커넥터(160), 다공성 도포부(170), 에어펌프(180), 및 캡하우징(190) 등을 포함한다.
향수수용부(110)는 도 2 및 도 3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향수가 담겨지는 용기(container)로, 향수와 같은 액체가 담길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향수수용부(110)는 유로지지대(120)와 기밀하게 연결되어, 워터펌프(130)가 향수수용부 내(110)의 향수를 상부, 즉 노즐(140)까지 수송할 수 있게 한다.
즉, 향수수용부(110)는 내부에 액상의 향수가 수용될 수 있는 용기로, 유로지지대(120) 일측과 탈착되되 상기 유로지지대(120) 일측과 결합하여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향수수용부(110)의 상부는 유로지지대(120)의 하부와 스크류나 억지끼움 등의 방식으로 기밀하게 결합되어 향수의 불필요한 소실을 방지한다.
이때 향수수용부(110) 상부에는 내부에 탄성재질의 오링(o-ring)과 같은 패킹부재(102)가 내설되어 완벽한 기밀이 가능하다.
즉, 패킹부재(102)는 향수수용부(110)와 유로지지대(120) 사이에 개재되어 향수수용부(110)와 기밀하게 연결하여 밀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향수수용부(110)는 향수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예로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휴대 시 유리의 파손 등을 막기 위해 유리에 별도의 처리를 하거나 강화유리와 같은 특수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유로지지대(120)는 향수수용부(110) 일측과 연통되어, 향수수용부(110) 내에 있는 액상의 향수를 워터펌프(130)로 펌핑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워터펌프(13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유로지지대(120)는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중앙이 오목하게 잘룩하게 들어가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고, 향수수용부(110)와 연결되어 향수 등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향수수용부(110)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유로지지대(120)는 향수수용부(110)와 분리되거나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탈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유로지지대(120)는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기로홀(121)이 형성되어 에어공간(181)과 연통될 수 있게 한다.
워터펌프(130)는 도 2 및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를 펌핑(pumping)하는 장치로, 향수수용부(110) 내에 장착되어 액상의 향수를 펌핑(pumping)할 수 있다.
특히, 워터펌프(130)은 액상의 향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다 포함하는 펌핑(pumping)장치로,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워터"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뿐이고, 액체를 물(water)로 한정하려고 하지 않는다.
이때, 워터펌프(130)는 향수수용부(110)에 상부가 기밀된 상태로 내설될 수 있고, 노즐(140)을 따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재질(미도시)이 내장되어 있어 상하 신축(伸縮)하여 펌핑(pumping)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액상의 향수를 펌핑(pumping)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워터펌프(130)는 기존 향수병과 같이 밀폐되어 있고 노즐(140)만 분사부(150)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포부(170)가 공기 중에 노출되더라도 도포부(170)에 흡수된 향수만 발향되고 향수수용부(110) 내의 향수는 그대로 보존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워터펌프(130)는 단순히 향수를 공기 중에 분사하는 것과 달리 밀폐성과 발림성을 모두 최적화할 수 있게 한다.
노즐(140)은 도 2 및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펌프(130) 일단과 연결되되 분사부(150) 하부와 결합되어, 워터펌프(130)와 분사부(150) 사이에서 워터펌프(130)에서 펌핑된 액상의 향수를 분사부(150)에 적절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워터펌프(130)와 연동되는 노즐(140)은 분사구(151)와 연결되어 펌핑(pumping) 시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노즐(140)은 유체의 흐름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파이프 모양의 기계요소로, 흐르는 향수의 유량, 유속, 방향, 압력 등의 유체가 가지는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분사부(150)는 도 2 및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부(170) 하부를 지지·고정하고, 내부에 향수를 수송 및 분사하는 워터펌프(130)와 연결된 노즐(140)과 빈틈없이 결합되고, 향수가 상부까지 최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원뿔, 또는 나팔관과 같은 형상으로 분사구(151)가 형성된다.
다만, 분사구(151)는 특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최상으로 분사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150)는 분사구(151) 말단에 적어도 1개이상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쐐기형상의 갈래홈(152)이 꽃받침과 같은 형태이다.
즉, 갈래홈(152)은 도 2 및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적어도 1개이상 여러 조각으로 갈라져 있고 하부가 서로 붙어서 통모양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갈래홈(152)은 분사될 때 도포부(170)에 채 흡수되지 못하고 도포부(170) 내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향수도 분사구(151) 상부의 여러 분사구 갈래를 통해 단시간에 도포부(170)에 분산되어 남김없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갈래홈(152)은 특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최적 상태로 분산 및 흡수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분사부(150)는 노즐(140)과 연통되어 분사되는 분사구(151), 나팔관 형상의 분사구(151)가 말단에 적어도 1개이상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쐐기형상의 갈래홈(1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150)는 내부를 관통하여 에어펌프(18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 유로인 에어홀(15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에어펌프(180)를 손으로 가압할 시 에어펌프(180) 내의 가압된 공기가 유로지지대부(120)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공기유로인 기로홀(121)을 지나 커넥터(160) 내부인 연결공간(161)으로 전달되고, 이어 분사부(150) 내 공기 유로인 에어홀(155)을 통해 도포부(17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커넥터(160)는 도 2 내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인 연결공간(161)이 형성되고, 유로지지대(120) 상부와 분사부(150)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이다.
즉, 커넥터(160)는 유로지지대(120)와 분사부(150)를 연결 및 고정하여 밀폐될 수 있게 하면서, 내부 빈공간의 연결공간(161)이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60)는 유로지지대(120) 및 분사부(150)가 기밀되게 결합하여 에어펌프(180) 내의 가압된 공기가 온전히 연결공간(161)을 통해 도포부(170)로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커넥터(160)는 상부 내부에 분사부(150) 하부와 틈새없이 밀봉되기 위하여 오링(o-ring)와 같은 탄성재질의 패킹부재(101)가 개재 또는 내설되어 액체 및 기체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다공성 도포부(170)는 도 2 내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150) 일단에 고정되되 분사구(151)와 이격되게 체류공간(171)이 형성된 다공성의 도포부재이다.
즉, 도포부(170)는 향수를 잘 흡수하여 머금고 있어 피부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피부와 여러 번 접촉되어도 변성 및 변형이 없고, 물리적, 화학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다공성 플라스틱, 다공성 세라믹, 다공성 고무, 다공성 섬유일 수 있다.
이중 다공성 폴리에틸렌(PE), 다공성 폴리우레탄(PU)와 같이 다공성을 가진 플라스틱이 조건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170)의 형태는 여러 가지로 구현될 수 있는데, 종형, 방추형 등의 바르기에 적합한 형상이면 모두 가능하고, 커넥터(160)와 분리되어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도포부(170)는 내부 속이 빈 중공 형상으로, 향수의 흡수와 발수를 최적화하는 일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포부(170)는 내부가 빈 돔(dome) 형상의 첨두가 일자로 뻗어져 있기 때문에 바르기 편리한 구조를 제공하고, 기공의 크기가 5㎛ ~ 150㎛ 범위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참고로, 도포부(170)는 내부 실험을 통하여 기공의 크기가 5㎛ ~ 150㎛ 범위에서 표면에 적셔지는 발림성이나 버블이 생성되는 등의 조건을 만족하였다.
또한, 도포부(170)는 다공성 플라스틱, 다공성 세라믹, 다공성 고무, 다공성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일 수 있다.
에어펌프(180)는 도 2 및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하여 공기(에어)를 공급하는 장치로, 유로지지대(120) 외부를 감싸면서 에어공간(181)이 형성되어 공기를 펌핑(pumping)할 수 있다.
또한, 에어펌프(180)는 유로지지대(120)를 감싸는 연질의 도넛(doughnut) 또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휴대용 향수가 담겨지는 향수수용부(110)의 근처에 위치하여 향기 버블(bubble)의 생성에 관여할 수 있다.
즉, 에어펌프(180)는 휴대용 향수의 휴대성과 작동의 편리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유로지지대(120)의 외곽 잉여공간에 기밀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에어펌프(180)를 손으로 가압할 시 에어펌프(180) 내의 가압된 공기는 에어펌프(180)와 연통된 유로지지대(120) 외측 길이방향의 수직 공기유로인 기로홀(121)을 지나 커넥터(160) 내부인 연결공간(161)으로 전달되고, 이어 분사부(150) 내 공기 유로인 에어홀(155)을 통해 도포부(170) 내의 체류공간(171)로 공기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전달된 공기는 기공을 통해 도포부(170) 외부로 방출되면서 동시에 기공 내의 향수를 공기 중으로 날려보낸다.
이때 커넥터(160)는 유로지지대(120) 및 분사부(150)와 기밀되게 결합하여 에어펌프(180) 내의 가압된 공기가 온전히 공기유로를 통해 도포부(17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가압 속도로 인해 향수가 버블 형태로 기공 밖으로 나오면서 향기 버블이 생성될 수 있다.
가압 속도가 빨라질수록 향수의 발향 속도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에어펌프(180)는 소재나 경도에 따라 가압 해제 시 원활한 리턴을 위해 에어벤트(미도시)가 에어펌프(180) 표면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향기 버블은 스프레이(spray)로 분사할 때의 미세 액적과 같이 액체 상태의 향수보다 향기 입자의 확산을 촉진시켜 발향력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또한, 향기 버블이 도포부(170)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이 아니라 가압 시 버블의 일부만 외부로 노출이 되고 가압 해제 시 도포부(170)로 다시 스며들게 되므로 노출된 부분에서만 향기가 발생되게 된다.
때문에 스프레이 형태에 비해 향수의 불필요한 소모가 훨씬 덜하며 감압 시 분사 효율 자체가 떨어지는 스프레이 형태와 달리 가압 정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압을 통해 도포부(170) 내부에 포함된 향수도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도포가 도포부(170)의 외면으로만 이루어져 미사용 시 도포부(170) 내부의 향수를 온전히 다 사용하지 못하고 공기 중으로 소실되는 문제점 또한 해결이 가능하다.
또한, 도포부(170)에 미세한 구멍인 기공을 형성시켜 향기 버블없이 향기 입자를 직접 확산시킬 수도 있다.
향기버블이 발생된 도포부(170)를 피부에 적용할 시 액체가 아닌 버블형태의 향기 입자가 피부에 세밀하게 도포되기 때문에 고체향수나 롤온향수와 같이 고체나 액체를 도포하는 것보다 발림성 면에서 훨씬 뛰어나며 더 적은 용량으로 동일한 발향력 및 발향면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캡하우징(190)은 도 2 및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부(170)와 이격되면서 에어펌프(180) 외주면을 지나 유로지지대(120)를 감싸되 탈착 가능하다.
즉, 캡하우징(190)은 미사용 시 도포부(170)가 머금은 향수가 불필요하게 소실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포부(170)를 완전히 덮는 커버부재가 제시된다.
또한, 캡하우징(190)은 도포부(170) 뿐만 아니라 향수의 양을 확인해야 하는 향수수용부(110)를 제외하고, 모두 캡핑(capping)하여 향수다운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외형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캡하우징(190)의 외관을 다양하게 디자인함으로써 향수의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향수의 안정적인 분사를 위해 향수가 향수수용부(110)에서 노즐(140)까지 끊김없이 전달될 수 있도록 도포부(170)를 하부로, 향수수용부(110)를 상부로 위치하게 뒤집어서 향수수용부(110)를 반복적으로 눌러 도포부(170)의 향수흡수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도포부(170)부터 향수수용부(110)까지 커버하는 캡하우징(190)이 분사부(150) 하단에 고정되어 향수수용부(110)를 누를 시 워터펌프(130)의 상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뒤집지 않고 향수수용부(110)에 연결관을 삽입하여 도포부(170)나 이를 캡핑하는 캡하우징(190)을 눌러 향수수용부(110)의 향수를 그대로 도포부(170)까지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프레이 형태와 같이 분사된 향수가 공기 중으로 고르지 못하게 퍼지는 대신, 분사구(151)를 덮는 도포부(170)가 향수를 흡수하는 형태로, 향수를 적당히 흡수한 도포부(170)는 장시간 액을 머금으면서 접촉되는 인체의 피부나 섬유에 도포부(170)의 미세 기공 내에 포함된 향수를 고르게 전달하거나, 기공을 이용해 미세하게 공기 중에 발향을 시킬 수 있다.
또한, 과한 펌핑(pumping)으로 향수가 다소 과하게 도포부(170)로 전달되더라도, 다공성 도포부(170)의 충분한 흡수력으로 향수를 안정적으로 머금고 있기 때문에 향수의 누수 및 불필요한 소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도포부(170)의 조밀한 기공을 통해 나온 향수가 표면에 얇게 밀착되면서 마치 펴 바르는 듯한 뛰어난 발림성으로 인해 피부는 물론 머리카락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각종 섬유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포부(170)는 종형, 방추형 등의 바르기 적합한 형상으로 인체에 적용하기가 매우 간편하고, 도포부(170)에 향수를 흡수시킨 후 액을 오래도록 머금고 있으므로 스프레이 형태의 향수나 롤온 향수와 달리 어느 방향, 어느 부위에도 바를 수 있다.
또한, 향료 성분은 도포부(170)의 기공 내 갇혀 빠른 증발을 막고 알코올만 날려보냄으로써 바르는 행위 시에만 향기 입자가 피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170)의 미세 기공과 도포부(170)를 피부에 문지르는 작용은 알코올의 빠른 휘발을 선택적으로 돕고 향기 입자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다.
알코올이 빠르게 휘발됨으로써 청량감을 높이고 자극 정도는 낮출 수 있다.
도포부(170)의 기공은 향수를 머금기에 충분하고 신체 부위에 도포하기 좋을 정도로 충분히 조밀성이 있으며 도포부(170)의 형태와 크기, 두께에 따라 도포에 적합한 기공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휴대용 향수는 향수수용부(110)에 향수 대신 에센셜 오일(oil)과 같은 아로마 용액을 수용하여 도포부(170)로 흡수된 용액을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하거나 흡입함으로써 아로마테라피의 간편화가 가능하다.
아로마 용액이 약리학적 성분이 고농도로 농축되어 있는 용액인 만큼 적절한 양을 사용하는 것이 인체에 도움이 되는데 바르기 편하며 미세한 기공을 가진 도포부(170)를 이용해 원하는 부위에만 국소적으로 적용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직접 흡입이 아닌 도포부(170)의 기공 및 향기버블을 통한 간접 흡입이 가능하므로 인체에 해가 적어 유용하다.
뿐만 아니라 향액을 도포부(170)에 흡수시켜 이를 자연 기화 또는 팬 동력 등을 이용해 공기 중에 날려보내는 디퓨저(diffuser)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향수라 지칭하였으나 향기 물질을 포함한 수성 액체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때 수성 액체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도포부(170)를 친수화하거나 친수성 물질을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포함된 휴대용 향수는 향기를 가진 모든 액체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향수장치(100)는 캡하우징(190)에 의해 지지되는 향수수용부(110)를 반복하여 누르면, 향수수용부(110)와 연결된 유로지지대(120)를 통하여 워터펌프(130)가 펌핑(pumping)되어 향수수용부(110) 내에 있던 향수가 분사구(151)를 통해 토출되되 도포부(170) 내주면에 착상되고 도포부(170)의 기공을 통하여 도포부(170) 외주면을 적시어 피부나 머리카락 등에 바르거나 묻힐 수 있게 한다.
또한, 휴대용 향수장치(100)는 캡하우징(190)에서 노출된 에어펌프(180)를 반복하여 가압하면, 에어공간(181)에 있던 공기가 분사부(150) 일측에 형성된 에어홀(155)을 지나 체류공간(171)으로 토출되어 도포부(170) 내주면에 착상된 액적의 향수와 함께 도포부(170)의 기공을 통하여 도포부(170) 외주면에 기화된 향수를 머금는 버블이 생성되어 발산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향수장치(200)는 표면에 바르거나 버블로 향기를 머금어 발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5 내지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향수수용부(210), 하우징부(220), 워터펌프(230), 노즐(240), 분사부(250), 커넥터(260), 다공성 도포부(270), 및 에어겸용캡(28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향수수용부(210)는 도 6 및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향수가 담겨지는 용기(container)로, 향수와 같은 액체가 담길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향수수용부(210)는 하우징부(220)와 기밀하게 보호되어, 워터펌프(230)가 향수수용부 내(210)의 향수를 상부, 즉 노즐(240)까지 수송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향수수용부(210)는 향수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예로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휴대 시 유리의 파손 등을 막기 위해 유리에 별도의 처리를 하거나 강화유리와 같은 특수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향수수용부(2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향수수용부(110)의 형상과 상이하나, 액상의 향수를 담겨지는 용기의 기능은 동일·유사하다.
하우징부(220)는 도 6 및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수수용부(210)를 내부로 수용하되 향수수용부(210) 외측으로 에어유로(221)가 형성된 하우징(housing) 부재이다.
즉, 하우징부(220)는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수수용부(210) 외부를 커버(cover)하면서 향수수용부(210)와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유로(221)가 형성되어 에어겸용캡(280)에 의해서 생성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220)는 도 6 및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하우징홀(222)이 형성되어, 에어겸용캡(280)에서 생성된 공기가 통과하여 에어유로(221)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워터펌프(230)는 도 6 및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수수용부(210) 내에 장착되어 액상의 향수를 펌핑(pumping)할 수 있는 펌핑장치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워터펌프(130)와 동일·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하게 생략한다.
노즐(240)은 도 6 및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펌프(230) 일단과 연결되되 분사부(250) 하부와 결합되어, 워터펌프(230)와 분사부(250) 사이에서 워터펌프(230)에서 펌핑된 액상의 향수를 분사부(250)에 적절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워터펌프(230)와 연동되는 노즐(24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노즐(140)과 동일·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하게 생략한다.
분사부(250)는 도 6 및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부(270) 하부를 지지·고정하고, 내부에 향수를 수송 및 분사하는 워터펌프(230)와 연결된 노즐(240)과 빈틈없이 결합하고, 향수가 상부까지 최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원뿔, 또는 나팔관과 같은 형상으로 분사구(251)가 형성된다.
또한, 분사부(250)는 분사구(251) 말단에 적어도 1개이상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쐐기형상의 갈래홈(252)이 꽃받침과 같은 형태이다.
또한,분사부(250)는 에어겸용캡(280)에 둘러싸여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 유로인 에어홀(25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에어겸용캡(280)에 형성된 공간을 손으로 반복 누를 시 에어겸용캡(280) 내의 가압된 공기가 하우징부(220) 내에 형성된 에어유로(221)로를 지나 커넥터(260) 내부인 연결공간(261)으로 전달되고, 이어 분사부(250) 내 공기 유로인 에어홀(255)을 통해 도포부(27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사부(2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150)와 동일·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간력하게 생략한다.
커넥터(260)는 도 6 내지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인 연결공간(261)이 형성되고, 하우징부(220) 상부와 분사부(250)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이다.
즉, 커넥터(260)는 하우징부(220) 및 분사부(250)를 연결 및 고정하여 밀폐될 수 있게 하고, 내부 빈공간의 연결공간(261)이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260)는 하우징부(220) 및 분사부(250)가 기밀되게 결합하여 하우징부(220)과 에어겸용캡(280)이 형성된 공간 내로 가압된 공기가 온전히 연결공간(261)을 통해 도포부(270)로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커넥터(260)는 상부 내부에 분사부(250) 하부와 틈새없이 밀봉되기 위하여 오링(o-ring)와 같은 탄성재질의 패킹부재(201)가 개재 또는 내설되어 액체 및 기체의 누설을 차단한다.
또한, 커넥터(2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60)와 동일·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하게 생략한다.
다공성 도포부(270)는 도 6 내지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250) 일단에 고정되되 분사구(251)와 이격되게 체류공간(271)이 형성된 다공성의 도포부재이다.
즉, 도포부(270)는 향수를 잘 흡수하여 머금고 있어 피부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피부와 여러 번 접촉되어도 변성 및 변형이 없고, 물리적, 화학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다공성 플라스틱, 다공성 세라믹, 다공성 고무, 다공성 섬유일 수 있다.
이중 다공성 폴리에틸렌(PE), 다공성 폴리우레탄(PU)와 같이 다공성을 가진 플라스틱이 조건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270)의 형태는 여러 가지로 구현될 수 있는데, 종형, 방추형 등의 바르기에 적합한 형상이면 모두 가능하고, 커넥터(260)와 분리되어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도포부(270)는 내부 속이 빈 중공 형상으로, 향수의 흡수와 발수를 최적화하는 일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포부(2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포부(170)와 동일·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하게 생략한다.
에어겸용캡(280)은 도 6 및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부(270)와 이격되게 감싸되 커넥터(260) 상측과 탈착되는 캡링(281)이 형성되는 보호커버부재이다.
또한, 에어겸용캡(280)은 첨두가 신축되는 연질의 캡슐 형상으로, 도포부(270)와 이격되면서 커넥터(260)와 연결되어 커넥터(260) 일측과 캡링(281)으로 탈착 가능하다.
즉, 에어겸용캡(280)은 미사용 시 도포부(270)가 머금은 향수가 불필요하게 소실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포부(270)를 완전히 덮는 커버부재가 제시된다.
또한, 에어겸용캡(280)은 도포부(270) 외부를 이격되게 캡핑(capping)하여 향수다운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외형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에어겸용캡(280)은 외관을 다양하게 디자인함으로써 향수의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에어겸용캡(280)은 커넥터(260)에서 탈거하여 하우징부(220) 하단에 결합하게 되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에어펌프(air pump)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에어겸용캡(280)은 신축되는 연질로 제작되어 에어펌프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에어겸용캡(280)은 도포부(270)를 캡핑하는 캡(cap)으로 작용할 시 도포부(270)를 밀폐하여 보호하고, 또한 에어겸용캡(280)을 반복적으로 누름으로써 향수수용부(210)의 향수를 도포부(270)에 흡수시키는 역할도 병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겸용캡(280)은 에어펌프(air pump) 기능으로 작용할 시 휴대용 향수의 하부에 밀착 고정되어 가압되고, 이때 하우징부(220)는 향수수용부(210) 내에 워터펌프(230)를 직접 인입하도록 향수수용부(210) 전체를 내포할 수 있다.
에어겸용캡(280)에 의해서 가압된 공기는 하우징홀(222)로 유입되어 하우징부(220) 내 에어유로(221)을 따라 가서 커넥터(260)의 연결공간(261)에 모여, 분사부(250)에 형성된 에어홀(255)을 차례로 통과하여 도포부(270)까지 전달되고 도포부(270)에 향기 버블을 생성시킬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 에어겸용캡(280)은 커넥터(260)에서 분리하여 하우징부(220) 하부에 결합하게 되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에어펌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에어겸용캡(2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하여 공기(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신축장치로, 하우징부(220) 하부를 감싸면서 신축공간(282)이 형성되어 공기를 펌핑(pumping)할 수 있다.
또한, 에어겸용캡(280)은 도포부(270)를 감싸는 첨두가 신축되는 연질의 캡슐 형상으로, 탈착 가능하여 하우징부(220) 하부에서 도포부(270) 표면에 생성되는 향기 버블(bubble)의 생성에 관여할 수 있다.
즉, 에어겸용캡(280)은 휴대용 향수의 휴대성과 작동의 편리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하우징부(220) 일측 또는 커넥터(260) 등의 잉여공간에 기밀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에어겸용캡(280)을 손으로 가압할 시 에어겸용캡(280) 내의 가압된 공기는 에어겸용캡(280)와 연결된 하우징부(220)의 내 에어유로(221)를 지나 커넥터(260) 내부인 연결공간(261)으로 전달되고, 이어 분사부(250) 내 공기 유로인 에어홀(255)을 통해 도포부(270) 내의 체류공간(271)로 공기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전달된 공기는 기공을 통해 도포부(270) 외부로 방출되면서 동시에 기공 내의 향수를 머금는 버블(bubble)을 형성하여 공기 중으로 발산시킬 수 있다.
이때 커넥터(260)는 하우징부(220) 및 분사부(250)와 기밀되게 결합하여 에어겸용캡(280) 내의 가압된 공기가 온전히 연결공간(261)을 통해 도포부(27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가압 속도로 인해 향수가 버블 형태로 기공 밖으로 나오면서 향기 버블이 생성될 수 있다.
가압 속도가 빨라질수록 향수의 발향 속도도 증가할 수 있다.
향기 버블은 스프레이로 분사할 때의 미세 액적과 같이 액체 상태의 향수보다 향기 입자의 확산을 촉진시켜 발향력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또한, 향기 버블이 도포부(270)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이 아니라 가압 시 버블의 일부만 외부로 노출이 되고 가압 해제 시 도포부(270)로 다시 스며들게 되므로 노출된 부분에서만 향기가 발생되게 된다.
때문에 스프레이 형태에 비해 향수의 불필요한 소모가 훨씬 덜하며 감압 시 분사 효율 자체가 떨어지는 스프레이 형태와 달리 가압 정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압을 통해 도포부(270) 내부에 포함된 향수도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도포가 도포부(270)의 외면으로만 이루어져 미사용 시 도포부(270) 내부의 향수를 온전히 다 사용하지 못하고 공기 중으로 소실되는 문제점 또한 해결이 가능하다.
또한, 도포부(270)에 미세한 구멍인 기공을 형성시켜 향기 버블없이 향기 입자를 직접 확산시킬 수도 있다.
향기버블이 발생된 도포부(270)를 피부에 적용할 시 액체가 아닌 버블형태의 향기 입자가 피부에 세밀하게 도포되기 때문에 고체향수나 롤온향수와 같이 고체나 액체를 도포하는 것보다 발림성 면에서 훨씬 뛰어나며 더 적은 용량으로 동일한 발향력 및 발향면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향수장치(200)는 향수수용부(210)를 둘러싼 하우징부(220)에 의해 지지되는 에어겸용캡(280)을 반복하여 누르면, 상기 향수수용부(210)와 연동된 워터펌프(230)가 펌핑(pumping)되어 향수수용부(210) 내에 있던 향수가 분사구(251)를 통해 토출되어 도포부(270) 내주면에 착상되고 도포부(270)의 기공을 통하여 도포부(270) 외주면을 적시어 피부나 머리카락 등에 바르거나 묻힐 수 있게 한다.
또한, 휴대용 향수장치(200)는 에어겸용캡(280)을 탈거하여 하우징부(220) 하단에 결합한 후 에어겸용캡(280)을 반복하여 가압하면, 에어유로(221)를 따라 분사부(250) 일측에 형성된 에어홀(255)을 지나 체류공간(271)으로 공기가 토출되어 도포부(270) 내주면에 착상된 액적의 향수와 함께 도포부(270)의 기공을 통하여 도포부(270) 외주면에 기화된 향수를 머금는 버블이 생성되어 발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100, 200)는 피부나 머리카락, 또는 특정 물체의 표면 등에 발림성이나 발향 정도와 같은 현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비밀이 유지되는 공간 내에서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표 1 내지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 예] 동일한 향의 향수가 충진된 기존 스프레이(spray) 타입의 10mL 휴대용 향수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식인 바르는 타입의 향수를 각각 오른손과 왼손의 손목 안쪽 및 손등에 1회 분사(0.08mL) 혹은 그에 준하도록(3~4회) 도포한 뒤, 피부 발림성 및 편의성, 시간에 따른 발향 정도를 실험하였다.
발향 정도의 경우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블라인드 테스트로 진행하였다.
가. 피부 발림성 기준
매우 나쁨 나쁨 보통 좋음 매우 좋음
1 2 3 4 5
나. 발향 정도 기준

향이 인지되지 않음
향이 인지는 되나 어떤 향인지 알수 없음
어떤 향인지 인지될 정도

인지 잘 됨

향이 강함

향이 너무 강하여 자극적임
0 1 2 3 4 5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 본 발명이 제안하는 휴대용 향수장치
110, 210 : 향수수용부
120 : 유로지지대 220 : 하우징부
130, 230 : 워터펌프
140, 240 : 노즐
150, 250 : 분사부
160, 260 : 커넥터
170, 270 : 다공성 도포부
180 : 에어펌프 280 : 에어겸용캡
190 : 캡하우징

Claims (16)

  1. 표면에 바르거나 버블로 향기를 머금어 발산할 수 있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에 있어서,
    액상의 향수가 담겨지는 향수수용부;
    상기 향수수용부 일측과 연통되는 유로지지대;
    상기 유로지지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액상의 향수를 펌핑(pumping)하는 워터펌프;
    상기 워터펌프 일단과 연결된 노즐;
    상기 노즐과 연통되게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부;
    상기 유로지지대 상부와 상기 분사부 하부를 연결하되 내부에 연결공간이 형성된 커넥터;
    상기 분사부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분사구와 이격되게 체류공간이 형성된 다공성 도포부;
    상기 유로지지대 외부를 감싸면서 에어공간이 형성되어 공기를 펌핑(pumping)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도포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에어펌프 외주면을 지나 상기 유로지지대를 감싸는 탈착 가능한 캡하우징을 포함하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수수용부 및 상기 캡하우징 중 하나를 고정하고 나머지를 반복하여 누르면, 상기 향수수용부와 연결된 상기 유로지지대를 통하여 상기 워터펌프가 펌핑(pumping)되되 상기 향수수용부 내에 있던 향수가 상기 분사구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도포부 내주면에 착상되고 상기 도포부의 기공을 통하여 상기 도포부 외주면을 적시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하우징에서 노출된 상기 에어펌프를 반복하여 가압하면, 상기 에어공간에 있던 공기가 상기 분사부 일측에 형성된 에어홀을 지나 상기 체류공간으로 토출되어 상기 도포부 내주면에 착상된 액적의 향수와 함께 상기 도포부의 기공을 통하여 상기 도포부 외주면에 기화된 향수를 머금는 버블이 생성되어 발산되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수수용부는 상기 유로지지대 일측과 탈착되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지지대는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기로홀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간과 연통되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는 신축되는 연질의 도넛 형상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7. 표면에 바르거나 버블(bubble)로 향기를 머금어 발산할 수 있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에 있어서,
    액상의 향수가 담겨지는 향수수용부;
    상기 향수수용부 외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향수수용부와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유로가 형성된 하우징부;
    상기 향수수용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액상의 향수를 펌핑(pumping)하는 워터펌프;
    상기 워터펌프 일단과 연결된 노즐;
    상기 노즐과 연통되게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부;
    상기 하우징부 상부와 상기 분사부 하부를 연결하되 연결공간이 형성된 커넥터;
    상기 분사부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분사구와 이격되게 체류공간이 형성된 다공성 도포부; 및
    상기 도포부와 이격되게 감싸되 상기 커넥터 상측과 탈착되는 캡링이 형성된 에어겸용캡;을 포함하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향수수용부를 둘러싼 상기 하우징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에어겸용캡을 반복하여 누르면, 상기 향수수용부와 연동된 상기 워터펌프가 펌핑(pumping)되되 상기 향수수용부 내에 있던 향수가 상기 분사구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도포부 내주면에 착상되고 상기 도포부의 기공을 통하여 상기 도포부 외주면을 적시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겸용캡을 탈거하여 상기 하우징부 하단에 결합한 후 상기 에어겸용캡을 반복하여 가압하면, 상기 에어유로를 따라 상기 분사부 일측에 형성된 에어홀을 지나 상기 체류공간으로 공기가 토출되어 상기 도포부 내주면에 착상된 액적의 향수와 함께 상기 도포부의 기공을 통하여 상기 도포부 외주면에 기화된 향수를 머금는 버블이 생성되어 발산되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겸용캡의 첨두는 신축되는 연질의 캡슐 형상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나팔관 형상의 분사구의 말단에 적어도 1개이상으로 갈라지는 갈래홈이 형성된,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기공의 크기가 5㎛ ~ 150㎛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내부가 빈 돔(dome) 형상의 첨두가 일자로 뻗어있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다공성 플라스틱, 다공성 세라믹, 다공성 고무, 다공성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인,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15.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 패킹부재가 개재되어 밀봉하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16.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향수는 에센셜 오일, 아로마 오일, 또는 향기를 가진 액체를 포함하는,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KR1020230061353A 2023-05-11 2023-05-11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KR102572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353A KR102572226B1 (ko) 2023-05-11 2023-05-11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353A KR102572226B1 (ko) 2023-05-11 2023-05-11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226B1 true KR102572226B1 (ko) 2023-08-30

Family

ID=8784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353A KR102572226B1 (ko) 2023-05-11 2023-05-11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2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938Y1 (ko) * 2010-04-21 2012-08-14 신왕철 펌핑 화장용기
KR200473968Y1 (ko) * 2013-02-14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KR101508499B1 (ko) * 2013-08-13 2015-04-06 (주)연우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2181628B1 (ko) * 2019-05-08 2020-11-23 주식회사 디티에스엠지 에어리스 펌프를 갖는 아이롤러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501966B1 (ko) 2022-09-29 2023-02-21 박형상 디퓨저겸용 향수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938Y1 (ko) * 2010-04-21 2012-08-14 신왕철 펌핑 화장용기
KR200473968Y1 (ko) * 2013-02-14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KR101508499B1 (ko) * 2013-08-13 2015-04-06 (주)연우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2181628B1 (ko) * 2019-05-08 2020-11-23 주식회사 디티에스엠지 에어리스 펌프를 갖는 아이롤러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501966B1 (ko) 2022-09-29 2023-02-21 박형상 디퓨저겸용 향수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9055A (en) Piezoelectric nebulizing apparatus
FI108282B (fi) Annostelija sovellettuna yhdistettyyn jatkuvaan ja pikakäyttöön
JP2002211661A (ja) ディップ管を取り付ける容器及び塗布装置
US5776561A (en) Fragrance-dispensing silk flower combination
ES2239110T3 (es) Dispositivo para almacenar y aplicar un producto.
ES2212231T3 (es) Comjunto de envase y de aplicacion de un producto fluido.
US675558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ES2675149T3 (es) Dispositivo de acondicionamiento y de aplicación
US9585459B2 (en) Vacuum container for cream type cosmetic
JP2006314832A (ja) 化粧品のスプレー器具
US1013057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cealing vitiligo
EP1744955A2 (en) Refill perfume bottle
JP4430808B2 (ja) 理美容器具、ブラシ付きヘアードライヤー及び美顔器具
US10905265B1 (en) Device for targeted dispensing of nourishing microcapsules to skin during sleep
US20010031171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including an element forming an intermediate reservoir
KR200338799Y1 (ko) 리퀴드 타입의 화장품 도포용기
KR102572226B1 (ko) 도포 및 버블 발산 겸용 휴대용 향수장치
ES2883631T3 (es) Módulo de distribución de producto fluido
US20060233594A1 (en) Applicator for liquid cosmetic compositions
KR100435058B1 (ko) 휴대용 아로마세라피 분무기
FR3100114A1 (fr) Dispositif de pinceau pour tous secteurs beaux-arts/cosmétique et loisirs créatifs, doté d’un manche rigide recevant un réservoir, ledit pinceau étant apte à distribuer régulièrement des fluides à comportement newtonien
KR101910676B1 (ko) 향기 케이스
JPH09308840A (ja) 噴霧及び蒸散機能を兼備した容器
KR20180076844A (ko) 향유 분사장치
RU1302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нанесения жидких средст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