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355B1 - 향기 인형 - Google Patents

향기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355B1
KR101538355B1 KR1020140096953A KR20140096953A KR101538355B1 KR 101538355 B1 KR101538355 B1 KR 101538355B1 KR 1020140096953 A KR1020140096953 A KR 1020140096953A KR 20140096953 A KR20140096953 A KR 20140096953A KR 101538355 B1 KR101538355 B1 KR 101538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tube
disk
corrugated tube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아
Original Assignee
한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현아 filed Critical 한현아
Priority to KR1020140096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3Do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not connected with do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를 열고 닫으면서 향재료를 채워 넣을 수 있고, 뚜껑의 일측에는 관공이 형성된 향저장통; 상기 향저장통의 관공에 삽입되고 세워서 고정되고, 상부 양측에는 한쌍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 전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는 주주름관; 상기 주주름관의 상부 양측에 통공을 통하여 연통되도록 결합된 부주름관; 상기 주름관과 부주름관에는 일정 간격마다 공간을 분리하도록 형성되고, 수개의 소관홀이 형성된 원판디스크; 상기 원판디스크의 대홀에는 향저장통에서 발산된 향을 각각의 원판디스크를 통해 분리된 공간에 향을 공급하고, 외주면 전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인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기 인형{Sweet doll}
본 발명은 향기나는 인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인형의 내재된 향기통에 한번 충전된 향재료로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향이 발산되는 향기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인형의 종류는 형태나 만드는 방법 재료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최근에는 인형의 몸 일측에 향주머니를 달거나 향재료를 인형옷 등에 뿌리거나 흡습시켜 은은히 향이 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시키고 방향제 기능까지 겸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인형에서 향이 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인형의 미감을 해치지 않도록 하면서 공기가 잘통하는 작은 향주머니를 만들어 여기에 향재료를 채우고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는 곳의 인형 옷안에 매달아 놓거나, 인형의 몸체에 개폐가 가능한 향저장통을 만들어 이곳에 향재료를 채워 넣고 향저장통 개방부나 통공을 형성하여 향재료에서 발산된 향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향주머니와 향저장통에는 액상의 향재료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허브와 같은 자연향재료를 사용하여, 자연향재료에서 일정기간동안 발산되는 향을 이용하는 것인데, 문제는 초기에 향발산이 집중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급속하게 감소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향이 발산이 멈추어 버린다.
인형에서 향이 나지 않으면 향주머니를 교체하거나 향저장통을 개방하여 향재료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인형의 소비자인 개인들은 자연향재료를 구하기도 쉽지 않고, 향재료를 교체해주는 것도 매우 불편하다.
또한, 향주머니나 향저장통의 향은 인형의 특정한 곳에 형성되므로 향이 인형 전체에서 발산되지 않고 특정 위치에서만 발산되어 한쪽 방향에서는 향이 나고 다른 한쪽 방향에서는 향이 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5414호(2012.07.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204399호(2000.02.1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251346호(2001.10.09)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향저장통의 향재료에서 발생된 향이 상대적으로 장기간동안 발산되도록 하고, 인형의 특정 부분이 아닌 전체 부분에서 향이 나도록 하는 향기 인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뚜껑를 열고 닫으면서 향재료를 채워 넣을 수 있고, 뚜껑의 일측에는 관공이 형성된 향저장통; 상기 향저장통의 관공에 삽입되고 세워서 고정되고, 상부 양측에는 한쌍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 전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는 주주름관; 상기 주주름관의 상부 양측에 통공을 통하여 연통되도록 결합된 부주름관; 상기 주름관과 부주름관에는 일정 간격마다 공간을 분리하도록 형성되고, 수개의 소관홀이 형성된 원판디스크; 상기 원판디스크의 대홀에는 향저장통에서 발산된 향을 각각의 원판디스크를 통해 분리된 공간에 향을 공급하고, 외주면 전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인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판디스크에 의해 구획된 주주름관과 부주름관에 형성된 격실에는 흡습부재가 채워져 상기 소관의 미세공을 통해 유입된 향이 흡습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판디스크는 주주름관과 부주름관에 끼워져 있을 때 뒤틀리더라도 변위되지 않도록 주주름관과 부주름관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원판디스크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주주름관과 부주름관이 뒤틀려 외력이 가해질 때 탄성적으로 변위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복귀되어 되어 주름관과 부주름관이 뒤틀리기 전의 최초의 상태로 바로 복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향저장통의 향재료에서 발산된 향이 제한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주주름관과 부주름관이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향의 지속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원판디스크에 의해 격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향을 가두는 기능을 하므로 향의 지속기간이 더 길어지며, 주주름관과 부주름관의 미세공을 통해 향이 방출되도록 격실의 저장된 향이 일시에 방출되지 않고 조금씩 천천히 이루어진다. 또한 격실에는 탄화된 톱밥이 채워져 있으므로 향을 저장하면서도 미생물에 의해 부패되지도 않는다.
게다가 주주름관과 부주름관이 주름관이어서 인형에 외력이 가해져 뒤틀리거나 휘어지더라도 유연성이 우수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지 않고, 원판디스크의 재료가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이어서 뒤틀리거나 휘어진 후 외력이 제거되면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상복귀되어 향의 통로인 유로가 막히지도 않는다. 더욱이 원판디스크의 외주면이 주름관과 대응되도록 링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뒤틀리더라고 변위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인형으로써, 주요구성부가 향기 인형에 위치되는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인형으로써, 주요구성부가 향기 인형에 위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인형의 주요구성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인형의 주요구성부의 결합사시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판디스크의 단면도 및 주주름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인형으로써 남성용 향기 인형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인형으로써 남성용 향기 인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형의 뼈대에 해당하는 몸체의 아랫부분에 볼트/너트 방식으로 체결하여 개폐할 수 있는 향저장통(110)이 구비된다. 즉 향저장통(110)은 향재료를 채워 넣을 수 있으면서 열고 닫을 수 있는 뚜껑(120)이 구비된다. 뚜껑(120) 위에는 향저장통(110)과 연통되어 그 내부에 향재료에서 발산되는 향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향저장통(110)은 인형의 크기나 향재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향재료가 액상이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해도 되지만. 천연 허브와 같은 향재료를 저장할려면 부피가 크므로 액상의 향재료 일 경우보다는 더 크게 형성해야 한다.
뚜껑(120)의 관공(122)에는 인형의 높이를 고려하여 인형의 목정도에 위치되도록 하는 길이를 갖는 주주름관(210)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주주름관(210)은 외주면이 연속적인 주름이 있고 연성이 좋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재 중공관으로서 주름이 없는 중공관 보다는 잘 휘어지고 휘어졌을 때 주름이 없는 중공관 보다 단면축소 현상도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나타난다. 주주름관(210)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어 두개의 통공이 형성된다.
통공이 형성된 주주름관(210)에는 주주름관 보다 길이는 짧지만 형태는 동일한 부주름관(310)이 결합된다. 부주름관(310)도 외주면이 연속적인 주름이 있고 연성이 좋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재 중공관이다.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은 연통되어 있고, 주주름관(210)에 결합시킬 때 접착이나 열착시켜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의 외주면 전체에는 중공부와 연통되어 공기가 유출입 될 수 있도록 하는 미세공(mh)이 형성된다. 미세공(mh)의 크기는 0.5mm 이하로 형성하여 공기 외의 이물질이 쉽게 유입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주름관(110)의 내부에는 원판디스크(410)를 삽입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치한다. 원판디스크(410)에는 원판디스크를 상하로 관통하는 세개의 소관홀(420)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원판디스크의 재질은 고무나 연질실리콘과 같이 신축성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고, 외주면에만 탄성재질을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신축성이 있는 경질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판디스크(410)의 외주면에는 주주름관(210)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링홈(412)이 형성되어 있다.
원판디스크(410)를 주주름관(210)에 삽입하여 배치하는 방법은 먼저 원판디스크(410)를 주주름관(210)의 상단에서 밀어넣어 하단에 위치시키고, 원판디스크(410)에 형성된 3개의 소관홀(420)에 소관(510)을 끼워 넣는다. 소관의 길이는 주주름관(21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고 하단이 주주름관(210)의 하단과 높이가 대략 일치되도록 하는 바람직하다. 원판디스크(410)는 신축성 재료이므로 소관홀(420)에 소관(510)을 끼우면 재료의 탄성에 의해 가압되면서 소관홀(420)과 소관 (710)사이의 틈새가 없어지므로 틈새가 생기지 않고 기밀이 유지된다.
원판디스크(410)가 주주름관(210)에 고정된 뒤 그 위에 특정 높이까지 흡습부재인 톱밥(sd)을 채워 넣는다. 흡습부재는 솜이나 천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밀가루와 같은 분말형태로 넣을수도 있지만 탄화처리된 톱밥을 채워넣어 세균의 번식도 막고 향의 성질(냄새)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향을 다량으로 흡습한 상태로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원판디스크(410)를 삽입하고 톱밥(sd)을 채워넣은 후에 그 위에 다시 다른 하나의 원판디스크(410)를 밀어넣어 그 아래 위치된 원판디스크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시킨다. 다른 원판디스크(410)를 밀어넣을 때에는 다른 원판디스크의 소관홀에 이미 조립된 소관(510)을 끼워 넣고 밀어 넣으면 원판디스크(410)가 소관을 따라 내려가도록 하고 목적하는 특정위치에 고정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원판디스크(210)를 삽입하면서 탄화된 톱밥(sd)을 채워 원판디스크(410)로 구획된 여러개의 격실(610)을 형성한다.
부주름관(310) 내부에도 주주름관(210)에 형성하는 방식으로 원판디스크(410)를 삽입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치한다. 원판디스크(410) 사이에는 주주름관(210)과 마찬가지로 흡수부재로서 탄화된 톱밥(sd)을 채워 넣은 격실(610)이 형성된다.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에는 목적하는 인형의 형태를 갖출때까지 옷감을 덧대거나 붙인 후 미리 마련된 인형의 옷을 입히면 향기 인형이 완성되는데, 향저장통(110)은 인형의 몸통 및 다리에 위치되도록 하고, 주주름관(210)은 인형의 몸통 중심선을 지나도록 위치되도록 하며, 부주름관(310)은 인형의 양팔 부분에 위치되도록 한다. 부주름관(310)이 결합된 윗쪽의 주주름관(210)은 인형의 목이나 머리 부분에 위치되도록 한다. 향저장통(110)의 바닥은 평평하게 하여 책상이나 선반 등에 올려 놓았을 때 넘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주름관(210)에서 분기되는 부주름관(310)과 그 위의 목부분으로 연장되는 주주름관(210)에는 외력이 가해질 때 과도하게 꺽이지 않고 강성을 유지하도록 보강관(710)을 끼울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남성용 향기 인형에도 향저장통과 주름관 및 부주름관을 형성할 수 있는데, 몸통 부분에 향저장통을 설치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인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완성된 향기인형의 몸통 부분에 볼트/너트 방식으로 이루어진 향저장통(110)의 뚜껑(120)을 열고, 여기에 허브와 같은 향재료를 채운후 닫는다.
뚜껑(120)의 관공(122)에는 주주름관(210)이 끼워져 있으므로 향저장통(110)의 향재료에서 발산된 향은 주주름관(210)에 조립된 소관(510)으로 유입되어 타고 올라가 주주름관(210) 및 주주름관과 연통된 부주름관(310) 전체에 확산 된다.
소관(510)에는 미세공(mh)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관(510)을 따라 이동하던 향은 미세공(mh)을 통해 주주름관(210)의 모든 격실(610)에 유입되고, 부주름관(310)을 따라 이동하던 향도 미세공(mh)을 통해 모든 격실(610)에 유입된다.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에도 외주면 전체에 미세공(mh)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미세공(mh)을 통해 격실(610)에 유입된 향이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의 외부로 방출된다.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에서 방출된 향은 인형의 옷감이나 피복재료에 스며들어 인형 전체에서 향을 방출시킨다.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의 격실(610)에 유입된 향은 미세공(mh)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기 전에 흡습부재인 탄화된 톱밥(sd)에 일차적으로 흡수됨으로써, 격실(mh)에 유입된 향이 한꺼번에 모두 방출되지 않고 톱밥(sd)이 머금고 있다가 조금씩 천천히 방출된다.
인형은 책상이나 선반에 올려놓고 보면서 시각적으로만 미감을 느끼는 것이 보통이지만,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서 이리저리 만져보는 경우도 많다. 인형을 만지면 내부에 있는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에 외력이 가해지고, 특히 관절이 있는 팔이나 목 부분은 심하게 뒤틀리기도 한다.
이때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이 외력에 따라 휘어졌다가 복귀되어야지만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어, 외력에 따라 휘어지기는 쉬어도 휘어지면서 형태가 찌그러져 원상복귀가 안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소관(510)은 얇아서 휘어졌다 형태가 찌그러져 원상복귀 되지 않으면 향이 통과하는 유로가 막히는 경우도 발생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원판디스크(410)가 경질고무와 같이 강성도 있고 신축성도 있는 재질이어서 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이 휘어진 뒤 외력이 제거되면 원판디스크(4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바로 복원된다. 특히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이 주름관 형태이어서 반복적으로 뒤틀리거나 휘어져도 손상이 가지 않으므로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의 기능인 향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판디스크(410)의 외주 단면이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링홈(4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주주름관(210)과 부주름관(310)에 조립되었을 때 주름형태의 단면에 끼워져 외력에 의해 뒤틀리거나 휘어져도 조립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110 : 향저장통 120 : 뚜껑
210 : 주주름관 310 : 부주름관
410 : 원판디스크 412 : 링홈
420 : 소관홀
510 : 소관 610 : 격실
710 : 보강관
mh : 미세공 sd : 톱밥

Claims (4)

  1. 뚜껑를 열고 닫으면서 향재료를 채워 넣을 수 있고, 뚜껑의 일측에는 관공이 형성된 향저장통(110);
    상기 향저장통의 관공에 삽입되고 세워서 고정되고, 상부 양측에는 한쌍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 전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는 주주름관(210);
    상기 주주름관의 상부 양측에 통공을 통하여 연통되도록 결합된 부주름관(310);
    상기 주름관과 부주름관에는 일정 간격마다 공간을 분리하도록 형성되고, 수개의 소관홀이 형성된 원판디스크(410);
    상기 원판디스크의 소관홀에는 향저장통에서 발산된 향을 각각의 원판디스크를 통해 분리된 공간에 향을 공급하고, 외주면 전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관(51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인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디스크에 의해 구획된 주주름관과 부주름관에 형성된 격실에는 흡습부재가 채워져 상기 소관의 미세공을 통해 유입된 향이 흡습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인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디스크는 주주름관과 부주름관에 끼워져 있을 때 뒤틀리더라도 변위되지 않도록 주주름관과 부주름관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인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디스크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주주름관과 부주름관이 뒤틀려 외력이 가해질 때 탄성적으로 변위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복귀되어 되어 주름관과 부주름관이 뒤틀리기 전의 최초의 상태로 바로 복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인형.
KR1020140096953A 2014-07-30 2014-07-30 향기 인형 KR101538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953A KR101538355B1 (ko) 2014-07-30 2014-07-30 향기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953A KR101538355B1 (ko) 2014-07-30 2014-07-30 향기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355B1 true KR101538355B1 (ko) 2015-07-22

Family

ID=5387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953A KR101538355B1 (ko) 2014-07-30 2014-07-30 향기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3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267A (ko) 2019-07-22 2021-02-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심 인형
KR20220048226A (ko) * 2020-10-12 2022-04-19 임하람 조립식 발향 인형 및 이를 포함하는 발향 용기
CN106859847B (zh) * 2015-12-10 2024-06-07 泰克曼(南京)安全防护设备有限公司 具有护颈结构的焊接面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79198A1 (en) * 1981-11-06 1983-05-18 BENY, Janos Doll with fragrant scented breath
KR19990034701U (ko) * 1999-02-13 1999-09-06 허일영 방향제장식완구
JPH11333149A (ja) * 1998-05-26 1999-12-07 Sakura Hobby Craft:Kk 人形並びに芳香剤,消臭剤,芳香・消臭剤 充填収納容器をカバーする人形
KR20050012390A (ko) * 2003-07-25 2005-02-02 곽해성 발향튜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79198A1 (en) * 1981-11-06 1983-05-18 BENY, Janos Doll with fragrant scented breath
JPH11333149A (ja) * 1998-05-26 1999-12-07 Sakura Hobby Craft:Kk 人形並びに芳香剤,消臭剤,芳香・消臭剤 充填収納容器をカバーする人形
KR19990034701U (ko) * 1999-02-13 1999-09-06 허일영 방향제장식완구
KR20050012390A (ko) * 2003-07-25 2005-02-02 곽해성 발향튜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9847B (zh) * 2015-12-10 2024-06-07 泰克曼(南京)安全防护设备有限公司 具有护颈结构的焊接面罩
KR20210011267A (ko) 2019-07-22 2021-02-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심 인형
KR20220048226A (ko) * 2020-10-12 2022-04-19 임하람 조립식 발향 인형 및 이를 포함하는 발향 용기
KR102535057B1 (ko) * 2020-10-12 2023-05-22 임하람 조립식 발향 인형 및 이를 포함하는 발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4659B2 (ja) 香料を保管および放出するデバイス、およびそのようなデバイスのセット
TWD181538S (zh) 香水瓶
US20090035052A1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Hygenically Dispensing a Cleansing Solution
JP2005324868A (ja) 物質特に化粧品やケア製品の包装装置
KR101538355B1 (ko) 향기 인형
US20150108243A1 (en) Gel Can Air Freshener with Dual Scent
US355982A (en) Artificial flower
KR200461330Y1 (ko) 고분자 비드 방향제가 내장된 하향식 방향제 용기
KR200433013Y1 (ko) 방향제가 함유된 인형
KR101434266B1 (ko) 향기 발산 인형
CN207539867U (zh) 一种蜡烛容器
US80255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earing and wetting effect in toys
KR200483524Y1 (ko) 장식기능이 우수한 액상 방향제 용기
KR101293540B1 (ko) 소음 방지형 산소 토출기
CN204582541U (zh) 一种搪胶玩具
KR200471103Y1 (ko) 학원용 책상 가림막
JP7072372B2 (ja) 香り見本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香り見本
JP2019010507A (ja) 香りテスター
JPH11333149A (ja) 人形並びに芳香剤,消臭剤,芳香・消臭剤 充填収納容器をカバーする人形
US6793551B1 (en) Doll with externally actuated functions
JP3129157U (ja) ベチバー使用の消臭・脱臭器具。
JP3145736U (ja) 揮発性物質の発生装置
JP6805689B2 (ja) 香り放出機能付き箱体
ITMI20091982A1 (it) Dispositivo deodorante
KR20070021090A (ko) 향기나는 조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