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267A - 안심 인형 - Google Patents

안심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267A
KR20210011267A KR1020190088502A KR20190088502A KR20210011267A KR 20210011267 A KR20210011267 A KR 20210011267A KR 1020190088502 A KR1020190088502 A KR 1020190088502A KR 20190088502 A KR20190088502 A KR 20190088502A KR 20210011267 A KR20210011267 A KR 20210011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relief
unit
button
oi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870B1 (ko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8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8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3Do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not connected with do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안심 인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안심 인형에 의하면 향기 오일인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을 포함하는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에 따른 향기 오일층으로 치과 치료 시 환자의 심신안정과 통증 완화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YES, NO 및 STOP의 버튼 구성으로 환자가 통증에 대한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안심 인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심 인형{A RELAX DOLL}
본 발명은 안심 인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향기 오일인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을 포함하는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을 공급하는 안심 인형에 관한 것으로 치과 치료 시 환자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경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YES, NO 및 STOP의 버튼 구성으로 환자가 통증에 대한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안심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의학과 의술의 발달로 다양한 형태의 진정제와 마취제가 환자의 불안과 통증을 감소시키고 있으나, 구강 내 처치는 환자에게 있어 본질적으로 불안감을 일으키고 있다. 치과 치료에 대해 불안해하는 환자는 다루기가 매우 어려워 진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한다.
특히, 치과치료 시 어린이들이 나타내는 비협조적인 태도의 원인은 주로 치료에 대한 불안으로, 불안의 정도가 약할 때에는 행동으로 표출되지 않지만, 불안의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치료에 대한 소극적 거부로부터 분노발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비협조적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어린이 환자에 있어서 성공적인 치과치료를 위해서는 불안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한편,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은 식물 정유(essenstial oil)로 향기 물질을 흡입 및 피부에 접촉함으로써 자율신경계가 완화되어 전신의 생리기능을 활성화시켜 질병을 치료하는 소위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에 사용된다. 아로마 테라피(aromatherapy)는 식물의 향과 약효를 이용해서 몸과 마음의 균형을 회복시켜 인체의 항상성(homeostasis) 유지를 목표로 하는 자연요법(natural therapy)을 말한다.
아로마테라피는 마사지, 목욕, 흡입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도할 수 있으며 위험요소나 부작용이 적어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다. 특히, 통증을 느끼는 환자에게 시도할 경우 통증 완화나 혈액순환, 수면 장애와 심리적 컨디션까지의 섬세한 치료법이 가능하며, 향기를 맡는 것에 그치지 않고 몸에 직접 사용하여 혈관 확장 및 혈관 수축 등의 효능으로 치료에 직·간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인간 뇌의 활동에 따라 일어나는 뇌파(EEG, electroencephalogram)는 파형에 따라 세타파 (theta), 알파파(alpha), 베타파(beta), 감마파(gamma)로 구분될 수 있는데, 세타파는 서파(slow wave)로 4~8Hz 주파수를 나타내며, 눈을 감고 깊은 명상에 빠지거나, 논리적 사고를 행하는 등의 초학습능력 상태일 때 주로 검출되고, 알파파는 8~13Hz의 주파수와 10~150μV의 진폭을 나타내며 두정엽(parietal lobe)과 후두엽(occipical lobe)에서 잘 기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정상 성인의 각성 및 안정 상태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특히 베타파는 13-30Hz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속파(fast wave)로서 일반적인 작업을 하거나 의식적인 행동을 할 때 나타나며 정보처리와 같은 정신활동이 있을 때 활성화된다. 특히 빠른 베타파는 비교적 복잡한 추론이나 정신부하가 높은 편인 복잡한 정보처리 활동 등을 수행할 때 또는 정서적인 긴장, 불안, 흥분상태에서 우세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간의 뇌에서 정서적인 긴장, 불안, 흥분상태 시 증가하는 베타파를 감소시키며, 안정 상태 시 증가하는 알파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심신 안정 효과의 베르가못(citrus bergamia) 향을 맡게 함으로써 치과치료 시 불안을 경감시켜 줄 수 있으며, 인형 형태로 어린이들에게 보다 정서적인 안정을 제공할 수 있다.
KR 10-1538355 B1
본 발명의 목적은 향기 오일인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을 포함하는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을 표면에 형성하여 심리적 안정 및 통증 경감 효과를 나타내는 안심 인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YES, NO 및 STOP의 버튼 구성으로 환자가 통증에 대한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안심 인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은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을 포함한다.
상기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은 뇌파 중 좌우 전전두엽의 중간 베타파(mid beta)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의 빠른 알파파(fast alpha)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은 향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 인형은 치과 치료 시, 환자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를 위한 인형으로, 인형 몸체부; 인형 몸체부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오일 조성물을 포함하는 향기 오일층; 및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형 몸체부 내부는, 베터리부; 제어부; 및 오일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는 제1 버튼부, 제2 버튼부 및 제3 버튼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버튼부는 YES, 상기 제2 버튼부는 NO, 및 상기 제3 버튼부는 STOP의 메시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심 인형은 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가 눌려지면, 해당 버튼부의 메시지가 제어부를 통해 전달되며, 상기 통신부는 전송된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인 것이다.
상기 안심 인형은 스피커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부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가 눌려지면, 해당 버튼부의 메시지가 제어부를 통해 전달되며, 상기 스피커부는 제어부를 통해 전달된 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형 몸체부의 일면은 USB 커넥터가 형성되며, 상기 USB 커넥터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베터리부를 충전하는 것이다.
상기 향기 오일층은 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향기 오일층은 스폰지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향기 오일층은 공급부와 연결되어 공급부에 의해 오일 조성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은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을 포함한다.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은 운향과의 상록 교목 나무의 감귤로 쓴귤과 만다린의 교잡종으로 추정되고 있다. 기름을 채취하여 주로 향료로 사용되며, 신선한 향기를 갖기 때문에 향수에 자주 사용된다. 주산지는 이탈리아로 이탈리아에선 생 과즙을 이용한 음료들로 인기를 끌고 있으며, 건강을 위해 생 과즙을 메일 마시기도 한다. 나무의 높이는 2m에서 5m 정도 되고, 잎은 다른 감귤류처럼 표면에 광택이 있고 다른 감귤류보다 약간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다. 여름에 향기가 있는 5 장의 꽃잎을 가진 흰 꽃을 피운다. 열매 꼭지 부분이 돌출된 배 모양 또는 거의 구형을 하고 약간 울퉁불퉁하다. 과일의 색은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익을수록 점차 황색에서 주황색으로 변화한다.
상기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은 뇌파 중 좌우 전전두엽의 중간 베타파(mid beta)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의 빠른 알파파(fast alpha)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베타파는 13-30Hz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속파(fast wave)로서 일반적인 작업을 하거나 의식적인 행동을 할 때 나타나며 정보처리와 같은 정신활동이 있을 때 활성화된다. 베타파는 주파수 영역에 따라 느린(low, 12- 15Hz), 중간(mid, 15-20Hz) 그리고 빠른(fast, 20-30Hz) 베타파로 구분된다. 느린 베타파는 감각 운동 리듬(SMR, sensory motor rhythm)파라고도 하며, 신체의 움직임이 없는 운동 감각 피질의 활동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주의를 기울이는 비교적 단순한 과제를 수행할 때 우세해진다. 중간 베타파는 계산이나 암산과 같이 한 가지 주제에 집중하면서 비교적 정신부하가 높은 사고활동을 수행할 때 우세해지며, 빠른 베타파는 비교적 복잡한 추론이나 정신부하가 높은 편인 복잡한 정보처리 활동 등을 수행할 때 또는 정서적인 긴장, 불안, 흥분, 고통상태에서 우세해진다. 적당한 긴장 속에 일상 행동을 하고 있을 때 주로 베타파가 나와 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지만, 스트레스가 심하여 지나친 긴장 상태가 되면 빠른 베타파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는 지나친 흥분으로 다른 사람과 충돌하거나 이미 기억된 사실들을 잘 잊어버리게 된다.
알파파는 8~13Hz의 주파수와 10~150μV의 진폭을 나타내며 두정엽(parietal lobe)과 후두엽(occipical lobe)에서 잘 기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정상 성인의 각성 및 안정 상태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알파파는 주파수에 따라 느린(slow, 7~8Hz), 중간(mid, 9~11Hz) 그리고 빠른(fast, 12~13Hz) 알파파로 구분되는데 느린 알파파는 긴장이 풀려 있고, 잠들거나 휴식하는 방향으로 뇌가 집중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게 된다. 중간 알파파는 평상시의 사고 집중 상태로 긴장을 수반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며, 명상, 창조적인 활동, 혹은 뇌에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효율적으로 주입할 때 나타나며, 빠른 알파파는 긴장하여 집중할 때 나타나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을 포함하는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자율신경계를 완화시켜 전신의 생리기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치과 치료 시 환자의 심리적 안정과 통증 경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은 좌우 전전두엽의 중간 베타파(mid beta)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의 빠른 알파파(fast alpha)를 증가시켜 심신안정과 통증 완화를 유발하는 것이다.
상기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은 향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베르가못의 항균 활성은 인형 원단자체에 서식하는 균에 의한 감염, 땀 및 먼지 등의 오염물질로부터 발생하는 2차 세균에 의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실제로 베르가못을 달인 액과 부순 꽃, 잎은 피부병이나 거친 피부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며, 피부에 닿아도 자극이 거의 없는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치과 치료 시 여러 사용자를 통해 발생하는 균들의 번식을 억제하고 향을 이용한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주어 향기롭고 쾌적한 환경조성 및 위생적인 조건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은 상기 항균 활성을 높이기 위해, 산자나무(Seabuckthorn) 추출물 및 마름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자나무는 비타민이 풍부하여 비타민 나무라고도 불리운다. 밝은 오렌지색 열매를 맺는 이 뾰족뾰족한 식물은 북아시아와 유럽이 원산지이며, 빙하시대가 끝난 뒤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정착한 최초의 식물 중 하나이다. 추위에 잘 견디고 원기왕성한 이 나무는 개척정신이 투철한 종으로, 모래투성이 산지나 해안 지방 외에도 극단적인 기후에서도 잘 자란다. 상기 산자나무는 혹한에도 잘 견디며, 긴 가시로 덮여 있고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이 새콤달콤한 열매가 특별한 별미로 사용한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비타민 A, B1, B6, C, E의 오메가-3/6/9지방산을 비록하여 엽산과 칼륨 및 각종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 산자나무에는 퀘르세틴(quercetin), 갈릭산(galic acid), 타닌(tannin)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질환, 상처, 염증치료의 효과와 세포보호 효과, 항노화, 항산화, 항암 등에 효과적인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마름(Trapa japonica)은 연못이나 소택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진흙 속에 박고 줄기가 길게 자라서 물 위에 뜬다. 잎은 뭉쳐난 것처럼 보이며 잎자루에 굵은 부분이 있는데 이는 공기 주머니로서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해준다. 잎몸은 마름모꼴 비슷한 삼각형이며 잔 톱니가 있다. 물 속 원줄기의 마디에서 깃 같은 뿌리가 내린다. 7 또는 8월에 흰빛 또는 다소 붉은빛이 도는 꽃이 잎 겨드랑이에 피는데 지름 1cm 정도로서 꽃잎은 4개이다. 화편은 짧고 위를 향하지만 열매가 커짐에 따라서 밑으로 굽으며 길이 2 내지 4cm이다. 꽃받침잎은 털이 있고,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딱딱하고 역삼각형이며 양 끝에 꽃받침조각이 변한 가시가 있고 중앙부가 두드러진다.
상기 본 발명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은 심리적 안정 및 통증 경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 페네틸알코올 및 메틸디히드로쟈스모네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네틸알코올은 C6H5CH2CH2OH의 분자 구조를 가지는 유기물로서, 로즈, 카네이션, 제라니움 등 다양한 꽃에서 발견되고, 장미 향취를 가진다.
상기 메틸디히드로쟈스모네이트는 메틸 3-옥소-2-펜틸시클로펜탄아세트산의 에스테르로 쟈스민, 차, 헬리오트로프 등의 천연물에서 발견되며 쟈스민과 같은 따뜻한 꽃 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은 베르가못, 산자나무 추출물, 마름 추출물, 페네틸알코올 및 메틸디히드로쟈스모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심리적인 안정감 및 통증 경감 효과를 유도하고,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베르가못 정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자나무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마름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페네틸알코올 1 내지 5 중량부 및 메틸디히드로쟈스모네이트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 시에, 각 구성 성분 간의 혼합 사용에 따른 상승 작용으로 심리적 안정 및 통증 경감 효과가 상승하는 동시에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선택된 천연물를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도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 인형은 치과 치료 시, 환자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를 위한 인형으로, 인형 몸체부; 인형 몸체부의 표면에 형성된 제1항에 따른 향기 오일층; 및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형 몸체부 내부는, 베터리부; 제어부; 통신부; 및 향기 오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발명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심 인형에 구성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심 인형에 설치되는 버튼부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인형 몸체부는 표면에 형성된 향기 오일층(100), 버튼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말하며, 인형 몸체부 내부는 베터리부(700), 제어부(400), 통신부(500) 및 공급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그 크기와 형태는 제한하지 않고, 향기 및 소리를 낼 수 있는 형태로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표면에 형성된 향기 오일층(100)은 본 발명에서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을 이용하여, 치과 진료 시 환자의 심리적 안정과 통증 경감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부(200)는 오일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부는 향기 오일층(100)으로 오일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단으로, 향기 오일층(100)으로 지속적인 오일 조성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관으로 연결되어, 공급이 가능하나 상기의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쉽게 선택 가능한 장치는 모두 가능하다.
상기 버튼부(300)는 제1 버튼부, 제2 버튼부 및 제3 버튼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버튼부는 YES(310), 상기 제2 버튼부는 NO(320), 및 상기 제3 버튼부는 STOP(330)의 메시지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버튼부(300)는 인형몸체부에 제1 버튼부, 제2 버튼부 및 제3 버튼부로 구성되며, YES, NO 및 STOP의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 크기와 형태는 제한하지 않고, YES, NO 및 STOP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안심 인형은 통신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300)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해당 버튼부의 메시지가 제어부(400)로 전송되고, 제어부(400)는 전송된 정보를 통신부(500)로 전달하며, 상기 통신부(500)는 의사가 확인 가능한 디스플레이부(600)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400)는 버튼부(300)로부터 전송된 YES, NO 및 STOP의 메시지를 통신부(500)로 전달하는 것으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포함한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00)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인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가능한 것으로 버튼부(300)의 YES, NO 및 STOP의 메시지를 제어부(400)를 통해 통신부(500)로 전달되어, YES, NO 및 STOP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0)로 전송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치과 치료 시, 환자는 치료 의자에 앉아서 치료를 받고, 치과 의사는 환자를 보면서,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환자는 입을 벌리고 치료를 받기 때문에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통상적으로, 치과 치료 시, 통증을 심하게 느끼면, 손을 드는 방식으로 환자의 의사를 간접적으로 표현하기는 하나, 동작만으로 치료 시에 정확한 의사 전달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안심 인형을 사용하게 되면, 환자는 버튼부(300)를 통해, YES, NO 및 STOP의 의사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가 안심 인형의 버튼부(300)를 누르게 되면, 해당 버튼에 해당되는 정보가, 안심인형의 통신부(5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600)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600)는 치과 치료 시 의사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YES, NO 및 STOP의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00)는 LCD 등 기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안심 인형은 스피커부(8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부(800)는 통신부(600)와 별도 또는 동시에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즉, 스피커부(800) 및 통신부(600)를 동시에 안심 인형이 가지고 있더라도, 사용자가 선택에 의해 스피커부(800)를 사용할 수도 있고, 스피커부(800)를 통해 외부로 소리가 출력되는 것을 막고, 통신부(600)를 통해, 사용자가 버튼부(300)를 통해 나타내고자 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커부(800)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가 눌려지면, 해당 버튼부의 메시지가 제어부(400)를 통해 전달되며, 상기 스피커부(800)는 제어부(400)를 통해 전달된 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600)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비해 직관적으로 소리를 통해 빠르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어, 치과 치료 시에, 항상 디스플레이부(600)를 볼 수 없는 환경을 고려할 때, 환자의 의사를 보다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인형 몸체부의 일면은 USB 커넥터가 형성되며, 상기 USB 커넥터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베터리부(700)를 충전하는 것이다.
상기 USB는 정보기기에 주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직렬 버스 규격의 하나로 작은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는 범용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상기 향기 오일층은 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향기 오일층(100)은 스폰지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향기 오일층은 공급부(200)와 연결되어 오일 조성물을 공급받아, 안심인형을 안고 있는 환자에게 지속적인 심리적 안정과 통증 완화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기 오일층(100)은 스폰지 재질로 구성되어, 공급부(200)가 스프레이 분사 장치로 구성 시, 스폰지 재질 내에 오일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환자 주변에 향기 오일 조성물을 분사하게 된다.
공기 중에 향기 오일 조성물을 분사하게 되면, 환자의 호흡기를 통해, 본 발명의 향기 오일 조성물을 공급하게 되고, 안심 인형을 통해 후각적 및 피부를 통해 공급되는 효과와 더불어, 환자의 심신 안정 및 통증 완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심 인형에 의하면 향기 오일인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을 포함하는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에 따른 향기 오일층으로 치과 치료 시 환자의 심신안정과 통증 완화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YES, NO 및 STOP의 버튼 구성으로 환자가 통증에 대한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안심 인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 인형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심 인형에 설치되는 버튼부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의 제조]
1. 베르가못 향기 오일의 제조
베르가못의 잎과 줄기를 격자 위에 올려놓고 밑에서부터 증기를 불어넣는다. 이‹š, 방출된 증기가 냉각관을 지나가도록 하여, 증류액과 베르가못 오일 상태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일은 증류액의 위쪽에 모이게 되고, 이때 오일만을 분리하여 베르가못 향기 오일(CO)을 제조하였다.
2. 천연 추출물의 제조
산자나무의 잎, 줄기 및 뿌리를 세척하고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물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를 유지하고,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산자나무 추출물(SE)을 제조하였다.
마름의 경우에도 산자나무 추출물(SE)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마름 추출물(TE)를 제조하였다.
3.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의 제조
상기 베르가못 정유(CO), 산자나무 추출물(SE), 마름 추출물(TE), 페넬틸알코올(PA) 및 메틸디히드로쟈스모네이트(MD), 에탄올(EO) 및 정제수(WT),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에말렉스 107)를 하기 조성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WP1 WP2 WP3 WP4 WP5
CO 100 100 100 100 100
SE 5 10 13 15 20
TE 5 10 13 15 20
PA 5 5 5 5 5
MD 5 5 5 5 5
RL 5 5 5 5 5
EO 300 300 300 300 300
WT 500 500 500 500 500
에말렉스 107 5 5 5 5 5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뇌파 측정 및 분석]
향에 민감하다고 생각하는 남녀 각 5명씩을 선발하여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뇌파측정 시 사용한 기기는 QEEG-8 System(LXE3208, 락싸, 대한민국)이며, 피험자의 뇌파신호 측정은 데이터 수집 장비 및 분석프로그램(telescan)을 이용하였다. 피험자들에게 10-20% 국제표준 전극 부착법(international standard electrode system)을 참고하여 뇌파전용 무해한 접착 풀을 묻혀 좌우 전전두엽 부위에 전극을 부착하였다.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WP1 내지 WP5)을 시향지에 찍어 피험자의 코로부터 5cm 떨어진 거리를 유지하고,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향 흡입 전(무자극)과 흡입 상태(향자극)를 각각 1분씩 측정하였다. 뇌파 1분 측정 중 30초 측정된 뇌파신호만을 추출하여 일괄처리 프로그램(batch processing)으로 데이터 처리하였고, SPSS 18.0버전의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뇌파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 내지 3에 나타내었다.
표 2는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나타난 중간 베타파(mid beta)의 변화를 지수 1 내지 10으로 평가한 것이다. 지수가 클수록 베타파(mid beta)의 감소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뇌의 정서적인 긴장, 불안, 흥분, 고통상태가 긴장에서 이완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RMB(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WP1 WP2 WP3 WP4 WP5
1 6.5 7.2 7.3 8.5 6.8
2 6.0 6.7 6.8 8.1 6.2
3 6.1 6.7 6.9 8.1 6.3
4 6.4 7.1 7.2 8.3 6.7
5 6.1 6.7 6.9 8.1 6.8
6 6.2 6.8 6.8 8.0 6.5
7 6.2 7.0 7.2 8.5 6.7
8 6.6 7.3 7.4 9.6 6.9
9 6.6 7.2 7.3 8.5 7.2
10 6.0 6.5 6.7 7.9 7.1
(단위: 지수)
표 2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WP1 내지 WP5)을 흡입 전과 비교하여 흡입 후 전전두엽 부위에서 베타파(mid beta)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MB 지표는 특정 불안, 흥분, 고통상태에 증가하는 뇌파로서,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WP1 내지 WP5)의 향을 맡을 때 뇌의 정서적인 긴장, 불안, 흥분, 고통상태가 긴장에서 이완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표 3은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에 나타난 빠른 알파파(fast alpha)의 변화를 지수 1 내지 10으로 평가한 것이다. 지수가 클수록 알파파(fast alpha)의 증가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뇌의 상태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태로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AFA(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WP1 WP2 WP3 WP4 WP5
1 5.5 6.1 6.3 7.3 5.8
2 5.0 4.6 5.7 7.1 5.1
3 5.1 5.7 5.9 6.8 5.2
4 5.4 6.2 6.3 6.5 5.7
5 5.0 5.6 6.0 7.0 5.8
6 5.3 5.7 5.9 7.2 5.5
7 5.1 6.1 6.3 7.7 5.7
8 5.5 6.2 6.5 8.7 5.9
9 5.7 6.1 6.4 7.6 6.2
10 5.1 5.4 5.8 7.0 6.1
(단위: 지수)
표 3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WP1 내지 WP5)을 흡입 전과 비교하여 흡입 후 전전두엽 부위에서 알파파(fast alpha)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A 지표는 편안한 상태로의 몰입 시 증가하는 뇌파이므로, 본 발명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WP1 내지 WP5)의 향을 맡을 때, 뇌의 상태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태로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2: 항균 효과 실험]
KS 0693 - 1990 시험법에 의거 사람의 피부와 비강표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균주로 하여 106 마리를 면, PET에 대해 접종하고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WP1 내지 WP5)에 대한 직물의 항균도를 측정하였다.
항균 효과는 하기 표 4와 같이 나타내었다.
[평가표]
◎ : 미생물의 양 103이하
○ : 미생물의 양 104이하
△ : 미생물의 양 105이하
WP1 WP2 WP3 WP4 WP5
항균력
상기 항균력 평가에 따르면, WP3 내지 WP4에서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천연 추출물을 복합 추출물로 사용시 각 구성 성분 간의 혼합 작용에 의해 항균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실험예 3: 피부 자극 발생 시험]
피부 자극에 예민한 10세 여성 30명을 선정하여, 6명씩 5개 그룹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WP1 내지 WP5)을 물에 희석시켜 10일 동안 사용하게 한 이후, 피부 자극 발생 여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 전혀 자극이 없음
○: 거의 자극이 없음
△: 약간의 자극이 있어, 민감한 점막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Х: 자극이 심해, 사용이 불가함
WP1 WP2 WP3 WP4 WP5
1
2
3 Х
4
5 Х
상기 표 5에 의하면, WP2 내지 WP4의 경우에는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된 반면, WP 1은 피부 자극이 발생하였다.
WP2 내지 WP4의 경우에 전반적으로 피부 자극이 심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WP3 및 WP4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향기 오일층
200 : 공급부
300 : 버튼부
310 : YES의 메시지를 나타내는 제1 버튼부
320 : NO의 메시지를 나타내는 제2 버튼부
330 : STOP의 메시지를 나타내는 제3 버튼부
400 : 제어부
500 : 통신부
600 : 디스플레이부
700 : 베터리부

Claims (10)

  1. 향기 오일인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을 포함하는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은 뇌파 중 좌우 전전두엽의 중간 베타파(mid beta)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의 빠른 알파파(fast alpha)를 증가시키는 것인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르가못(citrus bergamia)은 향균 및 방향특성을 나타내는 것인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용 오일 조성물.
  4. 치과 치료 시, 환자의 심리적 안정 및 통증 완화를 위한 인형으로,
    인형 몸체부;
    인형 몸체부의 표면에 형성된 제1항에 따른 오일 조성물을 포함하는 향기 오일층; 및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형 몸체부 내부는,
    베터리부;
    제어부; 및
    오일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하는
    안심 인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제1 버튼부, 제2 버튼부 및 제3 버튼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버튼부는 YES,
    상기 제2 버튼부는 NO, 및
    상기 제3 버튼부는 STOP의 메시지로 구성되는
    안심 인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 인형은 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가 눌려지면, 해당 버튼부의 메시지가 제어부를 통해 전달되며,
    상기 통신부는 전송된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인
    안심 인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인
    안심 인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 인형은 스피커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부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가 눌려지면, 해당 버튼부의 메시지가 제어부를 통해 전달되며,
    상기 스피커부는 제어부를 통해 전달된 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는
    안심 인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 몸체부의 일면은 USB 커넥터가 형성되며,
    상기 USB 커넥터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베터리부를 충전하는 것인
    안심 인형.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오일층은 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향기 오일층은 스폰지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향기 오일층은 공급부와 연결되어 공급부에 의해 오일 조성물을 공급하는 것인
    안심 인형.
KR1020190088502A 2019-07-22 2019-07-22 안심 인형 KR102266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502A KR102266870B1 (ko) 2019-07-22 2019-07-22 안심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502A KR102266870B1 (ko) 2019-07-22 2019-07-22 안심 인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267A true KR20210011267A (ko) 2021-02-01
KR102266870B1 KR102266870B1 (ko) 2021-06-17

Family

ID=7457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502A KR102266870B1 (ko) 2019-07-22 2019-07-22 안심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87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399Y1 (ko) * 2000-05-31 2000-11-15 최규성 향기나는 봉제인형
KR20120131970A (ko) * 2011-05-27 2012-12-05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5939A (ko) * 2013-02-25 2014-09-03 한종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
KR101538355B1 (ko) 2014-07-30 2015-07-22 한현아 향기 인형
KR20170049863A (ko) * 2015-10-29 2017-05-11 이두만 음성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인형
KR101791942B1 (ko) * 2016-09-30 2017-11-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스마트 인형 및 이동형 스마트 인형의 구동 시스템
KR101961608B1 (ko) * 2019-01-31 2019-03-22 김유수 말캉니 오일과 시프리올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 완화용 조성물
KR101940447B1 (ko) * 2018-03-14 2019-04-10 이용주 멀티 미디어 플레이어 겸용 다기능 캐릭터 인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399Y1 (ko) * 2000-05-31 2000-11-15 최규성 향기나는 봉제인형
KR20120131970A (ko) * 2011-05-27 2012-12-05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5939A (ko) * 2013-02-25 2014-09-03 한종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
KR101538355B1 (ko) 2014-07-30 2015-07-22 한현아 향기 인형
KR20170049863A (ko) * 2015-10-29 2017-05-11 이두만 음성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인형
KR101791942B1 (ko) * 2016-09-30 2017-11-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스마트 인형 및 이동형 스마트 인형의 구동 시스템
KR101940447B1 (ko) * 2018-03-14 2019-04-10 이용주 멀티 미디어 플레이어 겸용 다기능 캐릭터 인형
KR101961608B1 (ko) * 2019-01-31 2019-03-22 김유수 말캉니 오일과 시프리올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 완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870B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01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3619322B (zh) 具有缓解压力以及镇静效果的香料组合物以及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
CN107569616A (zh) 一种改善睡眠的复方油及其制备方法
CN108635441A (zh) 复方精油组合物、其应用以及改善睡眠的产品
CN108888536A (zh) 一种具有祛斑美白、补水、抗皱以及紧致肌肤作用的香薰精油及其制备方法
CN104800430A (zh) 一种改善睡眠深度的精油
KR102316168B1 (ko)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KR101714543B1 (ko) 오미자 정유 및 참당귀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리적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향료 조성물
CN107412589A (zh) 一种多功能助眠安神健脑药包
CN105713725A (zh) 用于降低血压的太空舱、植物复方精油及其应用方法
CN108853356A (zh) 一种男士延时喷剂及其制备方法
Valnet Essential Oils and Aromatherapy
KR102266870B1 (ko) 안심 인형
KR101971574B1 (ko) 윈터체리뿌리, 산뽕나무 및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개선 또는 숙면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0019B1 (ko)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발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9432318B (zh) 复方精油、其应用以及复方精油产品
CN110051744B (zh) 一种治疗失眠的复方中药精油
KR102244814B1 (ko)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Curtis et al. Essential Oils: All-natural remedies and recipes for your mind, body and home
KR101971575B1 (ko) 옥수수오일, 귀리, 보리 또는 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urtis et al. Neal's Yard Remedies Essential Oils: Restore* Rebalance* Revitalize* Feel the Benefits* Enhance Natural Beauty* Create Blends
KR20200045213A (ko) 천연 꽃잎을 함유하는 아로마테라피 마스크팩
CN104513708A (zh) 一种睡莲香薰蜡烛
Dye Aromatherapy for Women & Children: Pregnancy and Childbirth
CN108635440B (zh) 复方精油组合物、其应用以及缓解压力的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