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504B1 - 화상 및 피부 결손 치료용 드레싱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및 피부 결손 치료용 드레싱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504B1
KR101910504B1 KR1020160151332A KR20160151332A KR101910504B1 KR 101910504 B1 KR101910504 B1 KR 101910504B1 KR 1020160151332 A KR1020160151332 A KR 1020160151332A KR 20160151332 A KR20160151332 A KR 20160151332A KR 101910504 B1 KR101910504 B1 KR 10191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ellular matrix
bladder
polyacrylic acid
biocompatible polymer
ec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572A (ko
Inventor
김석호
김진형
최강호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노터스생명과학
주식회사 노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노터스생명과학, 주식회사 노터스 filed Critical (주)노터스생명과학
Publication of KR20170096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2Urine; Urinary tract, e.g. kidney or bladder; Intraglomerular mesangial cells; Renal mesenchymal cells; Adrenal gl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4Ani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 방광 내피에서 추출한 세포 외 기질(ECM)을 베이스로 하여, 내피를 가공한 기저 섬유 및 Tβ4, Ang1 를 유효성분으로 한 드레싱제를 제공하여 화상
및 손상된 피부조직 치료 및 개선용 드레싱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 및 피부 결손 치료용 드레싱제 및 이의 제조방법 {Extra-cellular matrix for burn wound and skin deficit healing and the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조직 재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동물 조직에서 분리한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을 돼지 방광에서 새롭게 추출 후 혼합하는 과정과 이에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여 중증도의 화상 및 피부 결손 치료용으로 활용 가능한 드레싱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피부, 뼈, 인대 등 조직에 손상을 입은 환자의 조직을 재생하고 치료하는 목적으로 다양한 소재의 이식용 생체재료가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으나 세계적으로 28조 원의 수요시장에서 약 67% 만이 충족되고 있어 33%(9.4조원)의 공급 부족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식용 생체재료는 크게 인체조직과 인공합성재료로 나눌 수 있는데 인체조직의 효능이 인공합성재료보다 우수하여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인체조직의 높은 가격과 공급 부족으로 인하여 의료 불평등이 우려되는 실정이며, 따라서 인체조직 같은 동종이식재와 유사한 효능에 경제성이 높은 인공조직 소재 개발이 국내 및 세계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 중, 화상과 피부 결손으로 인한 드레싱 제제들이 현재 국내외를 통틀어 다종 다양하게 등록되어 있고, 기능성 성분을 첨가한 하이드로겔을 베이스로 한 특허들이 다수 공개되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겔이 아닌,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을 이용한 드레싱 제제나 조직 재생용 제제들이 추출 기원이나 성분 함량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었고, 피부 보형제로서 판매되고 있으며, 이 경우 세포외 기질(ECM)의 고순도 추출법과, 추출 기원이 된 조직의 생체 안정성 등이 연구과제로서 남아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하이드로겔 내지 세포외 기질을 이용한 드레싱제제의 경우 점착성 물질에 대한 면역반응과 새로운 육아조직의 손상 등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으면서 피부 재건 효과가 뛰어난 드레싱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0415259 B KR 100880056 B KR 101457789 B KR 101576244 B
Regen Med. 2008 ;3(2):145-56 BIOS. 2009 ;80(1):2024 Biochim Biophys Acta. 2014 ;1840(12):3452-9
본 발명은 생체 조직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직을 재생하는데 강력한 효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세포외 기질을 돼지 방광 내피에서 추출하여, 내피 기질 섬유 및 성장인자인 티모신 베타 4(Thymosin β4; Tβ4) 및 안지오포이틴 1(Angiopoetin-1; Ang1)를 포함하는 중증 화상 및 피부 결손 환자, 동물의 피부조직 재생, 치료 또는 개선용 드레싱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의 일측면에 돼지 방광 내피 조직에서 추출한 세포 외 기질(ECM), 내피 기저 섬유, 티모신 베타 4(Tβ4) 및 안지오포이틴1(Ang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드레싱제를 제공한다.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는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아크릴산(PAA), 폴리옥시에틸렌(PO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에스터(PES),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PVDF), 폴리실록산 (Silicone Rubber), 폴리글리콜산 (PGA), 폴리락트산(PLA), 폴리메타크릴산(PMA),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폴리사카라이드(PS),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실리콘,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셀룰로오스, 펙틴, 키틴, 키토산, 젤라틴, 콜라겐, 피브린, 히알루론산,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포 외 기질(ECM)은 돼지 방광 내피 조직을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탈세포 및 소독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는 직경 10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의 기공이 형성된 미세다공성 구조인 것이 특징이며, 상기 드레싱제는 화상 또는 손상된 피부조직의 재생, 보호, 관리, 치료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은 1) 멸균하여 분리한 돼지 방광 내피를 분리 후 탈핵, 탈세포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얻은 방광 내피에서 세포 외 기질(ECM)을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추출한 세포 외 기질 및 방광 내피 기저 섬유를 혼합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준비된 혼합물에 티모신 베타 4(Tβ4) 및 안지오포이틴 1(Ang 1)을 혼합한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5) 상기 건조된 조성물을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에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및 손상된 피부조직 치료 및 관리를 위한 드레싱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증 화상 및 피부 결손 환자, 동물의 피부조직 재생, 치료 또는 개선용 드레싱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인체 조직을 대체 할 수 있는 인공 조직 원재료 페이스트를 생산할 수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드레싱 제제가 개발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사람과 동물을 한정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의 고부가가치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의 (A) 및 (B)은 멸균한 돼지 방광에서 내피를 분리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특정한 효소를 이용하여 탈세포 처리를 하는 과정과 세포외 기질을 추출 한 후 인공 진피 대용 냉건 필름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증류 추출기를 이용해 추출한 돼지 방광 ECM liquid 이다.
도 3은 증류 추출기를 이용한 방식의 돼지 방광 ECM liquid 가 기존 추출 공정인 121℃, 15분 동안 건열식 고압건조멸균기를 통해 추출했을 때 비해 세포외 기질을 이루는 collagen, gelatin, elastin 의 비율 및 순도가 개선 된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각의 비율이 유리체 단백질 형태로 약 collagen: gelatin: elastin= 3.5: 4: 2.5 비율로 분석 확인. 추출결과 기존 방식 대비 collagen 12%, gelatin 17%, elastin 8% 추출율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4는 증류 추출기를 이용한 방식의 돼지 방광 ECM liquid 가 기존 추출 공정에 비해 악취가 얼마나 제취되었는지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Shinyei 사의 Handheld Odor meter 인 OMX-SR 을 이용해 300 초까지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신 공정의 방법으로 처리한 방광의 경우 기존 공정과 비교해 유의한 취기 감소를 보였다. 또한 취기 강도가 정상 범위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Normal range: 80~90 class level 이다.
도 5는 Tβ4 및 Ang1 이 혼합된 세포외 기질이 사람혈관내피세포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을 농도 별로 증식 시키는 세포 증식율 연구 그래프이다. 각각의 기능성 소재를 혈관내피세포에 처리했을 시 세포의 증식율을 평가해 *p<0.05 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평가했으며, Thymosin beta 4 0.3㎍/ml 처리시 가장 높은 혈관내피세포 증식율이 유도되었다.
도 6은 혈관내피세포가 내피세포막을 형성하는 단계 중 하나인 tube formation 을 확인한 것으로 기능성 소재를 혈관내피세포에 처리후 100 배율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Tube 사이의 세포 연장 길이를 측정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p<0.05 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평가했다. (1, Control; 2, TB4 0.01; 3, TB4 0.3; 4, Ang1 0.01; 5, Ang1 0.3; 6, H2O2 200mM) 앞서 증식율 결과와 같이 Thymosin beta 4 0.3㎍/ml 처리시 가장 높은 Tube formation 형성율을 보였다.
도 7의 (A) 및 (B)는 화상 및 피부 결손을 유도한 C57BL/6j mouse 를 사용한 실험에서 기능성 소재의 효능을 평가한 그림이다. 화상 실험의 경우 마우스의 등을 제모 한 후 직경 1cm2 원형의 크기로 100 ℃ 의 물을 10초간 반응시켜 2도 화상을 유도하였고, 각각의 시험군 처리를 하였다. 피부 결손 실험의 경우 마우스의 등을 제모 한 후 직경 1cm2 원형의 크기로 수술용 가위를 이용하여 절제하였다. 이후 시험군 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Tβ4 와 Ang1 이 혼합된 기능성 소재를 처리한 군에서 피부의 재생 및 회복이 빠르다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였다.
도 8은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 상에 세포 외 기질, 내피 기저 섬유 및 티모신 베타 4(Tβ4)를 도포한 드레싱제를 나타낸다.
도 9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 상에 세포 외 기질, 내피 기저 섬유 및 안지오포이틴 1(Ang1)이 혼입된 생체 필름을 나타낸다.
최근 세포활성을 증진시키거나 반흔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많은 드레싱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피부 조직 손실의 정도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드레싱제를 선핵하여 사용하는 것이 합병증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피부 조직의 재건 속도를 향상시키며, 치료 후에도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어 피부 조직 치료에 있어 드레싱제는 필수 의약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싱제는 손실된 피부 부위에 습윤환경을 제공해 주고 세균침범을 막아 창상부위의 세포들이 제 기능을 활발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은 약 100년 전 처음 발견되었고 초기에는 단순한 세포간 연결체로서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를 넘어서 세포의 분열과 분화, 사멸 등 여러 세포생리 조절인자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배아줄기세포나 성체줄기세포와 접목된 세포치료와 재생의학을 위해서 최근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세포 외 기질은 세포가 성장하고 분화화는데 필요한 생화학적 인자(biochemical factors)들을 저장하고 적절히 공급해 줌과 동시에 세포가 인식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제공한다.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은 조직 내 또는 세포 외의 공간을 채우고 있는 생체고분자의 복잡한 집합체로 결합조직에 다량으로 존재하고, 모든 조직에서 소량씩이라도 존재한다. 기저막은 세포 외 기질의 일종이며, 세포에 의해 합성되고 세포 외에 분비, 축적된 분자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분자로서는 교원질, 탄력소 등의 섬유성 단백질, 프로테오글리칸,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라는 복합단백질, 피브로넥틴, 라미닌, 비트로넥틴 등의 세포부착성 당단백질이 있다. 현재는 교원질이나 탄력소에도 세포부착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 분자는 다가의 결합부위가 있어 같은 분자끼리 응집하거나 또는 다른 분자와 경합하여 거대한 기질을 구축하고 있다. 세포 외 기질은 골격, 치아, 힘줄, 피부 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조직의 지지와 결합, 물리적 경계, 힘의 흡수, 탄성 요소라는 물리적 역할이 있다. 최근에 와서 세포증식, 세포이동, 세포내 대사, 세포분화, 세포의 형태 등을 세포의 외부에서 조절하는 생리화학적 역할이 밝혀지게 되었다. 발생, 가령(加齡), 암의 전이, 조직구축, 창상치료, 생체방어 등의 현상에도 세포 외 기질이 기능하고 있다. 세포기능의 조절기구에 대해서는 분자 수준에서의 해석이 진행되어, 인테그린을 대표하는 세포외 기질수용체가 세포질막 표면 상에 존재함을 밝혀냈다. 세포 외 기질(특히 접착 단백질)은 인테그린을 개재하며 세포의 정보를 세포 내에 전달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세포 외 기질의 특성을 만전으로 활용하기 위해 사람 조직에 가장 가까우며, 생체 조직 재건능이 우수한 돼지 방광을 원재료로 하여, 그 기저막이 포함된 내피에서 세포외 기질을 추출하고, 기질 섬유를 사용하였다. 현재까지 추출된 세포외 기질로 만든 피부 치료용 제제 및 드레싱제들이 시판되고 있지만, 생체 안정성 및 인체 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수준의 양산화된 세포 외 기질 드레싱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인체 조직과 유사한 돼지 조직에서도 가장 순도 높은 세포외 기질이 존재하는 돼지 방광의 내피만을 이용하고, 여기에 탈핵 및 세포 제거 과정을 통해 생체 안정성이 높은 세포 외 기질 추출 및 기질 섬유를 구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포 외 기질 및 기저섬유의 추출원이 제한되지는 않지만 돼지 방광 내피에서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며, 소, 양, 사슴, 염소, 등의 동물 방광 내피에서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β4는 소의 흉선에서 추출한 성장인자로서 분자량 12,000인 단백질로, T세포의 분화유도 작용을 한다. 겔·등 전점전기영동법으로 나누면 10~15의 주성분과 다른 소성분으로 분리되며, 등전점법에 의한 분리로 α, β, γ등의 이름으로 분류하고 있다. Tβ4는 분자량 4,982이고 4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고, 림프계 줄기세포에서 전흉선세포로 분화를 유도하며, 신경 세포 및 피부 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드레싱제에 Tβ4는 소 및 돼지 등 추출원이 제한되지 않으며, 인공 합성된 것도 무방하다.
안지오포이틴 1(Ang 1)은 내피세포에서 발현되는 Tie2 타이로신 카이나아제 수용체 (Tie2 tyrosine kinase receptor)에 대한 리간드(ligand) 를 폭넓게 발현시키고 혈관의 성장, 발달, 완성 및 투과성을 조절한다. 안지오포이틴-1은 혈관생성의 유도, 내피세포 생존의 증가 및 혈관의 누설을 방지하는데 강력한 치료제로 이용된다.
본 발명은 화상 및 피부조직 재생을 위한 치료 및 개선용 드레싱제를 제공함에 있어, 그 제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제형으로 가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천 기술에 근본적인 목적을 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돼지 방광에서 유래한 세포 외 기질(ECM)은 탈세포 처리를 위해 고온, 고압 방법이나 약품처리를 통한 처리 과정을 거쳤으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릴 뿐 아니라 처리 후 탈세포가 개체마다 차이가 있는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탈세포 처리와 살균 처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하여, 균질화된 조직 재생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재료>
돼지 방광 3개 이상, 10% iodine (빨간약), 생리식염수, 100IU/ml 페니실린과 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과 0.625 ug/ml 암포테리신이 포함된 생리식염수, aprotonin 10 KIU ml-1 과 0.1% EDTA 가 포함된 Tris-HCL(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hydrochloride) 10 mM (pH 8.0), 0.1% SDS with Tris-HCL, deoxyribonuclease I 50 Uml-1 와 ribonuclease A 1 Uml- 1 가 포함된 Tris-HCL(pH 7.5), 1 M 차아염소산 나트륨 용액 적정량을 준비하였다. 또한 기질 조직의 결합을 강하게 하며, 제취를 위한 시클로덱스트린 (cyclodextrin) 0.5% 를 적정 준비했다.
<실시예 1> 세포 외 기질 제조
수거한 돼지 방광을 잘 수세 후, 3개 기준으로 500ml 10% iodine 에 5분간 담궈 소독한다. 멸균된 생리식염수로 iodine을 씻어 낸 뒤, 두께 1mm 미만의 돼지 방광 내피를 수술용 칼을 이용하여 하얀색 박막 형태로 떼어낸다. aprotonin 과 0.1% EDTA 가 포함된 Tris-HCL 용액에 세 번에 걸쳐 세척한다. 이후, 0.1% SDS with Tris-HCL 용액으로 세 번에 걸쳐 세척한다. 분리된 방광 내피를 탈세포화 및 살균을 위해 30분 간격으로 40%, 50%, 70% 차아염소산 나트륨 용액으로 순차적 처리한다.
멸균된 생리식염수로 차아염소산나트륨 잔기를 씻어낸 뒤, 탈핵 처리를 위해 deoxyribonuclease 와 ribonucleasae가 포함된 Tris-HCL 용액에 3시간 정도 반응시킨다. 고온 가압멸균이 가능한 금속 트레이에 담아 121℃, 15분 동안 건열식 고압건조멸균기에서 가공한다. 이로써 추출된 액상 세포외 기질은 상온 이상에서 보관 하고, 남은 방광 내피는 따로 모아 동결 건조하여 기저 섬유 가루로 파쇄한다.
<실시예 2> 유효성분 혼합물 제조
기저 섬유 가루를 세포 외 기질(ECM)에 혼합하기 위해, 세포 외 기질 용액 500 ml와 내피 기저 섬유 가루 50g을 측정하여 고르게 혼합한다. 혼합된 용액에 Tβ4, Ang1 를 10μg/ml 이상의 농도로 첨가시킨다. 원하는 성형 용기에 혼합액을 부은 뒤, 시클로덱스트린을 0.5% 이상 되도록 첨가하여 4℃ 냉장 상태에서 6시간 이상 건조시켜 고체화시킨다.
<실시예 3> 드레싱제 제조
상기 제조한 유효성분 혼합물과 콜라겐이 섞인 점착성 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인 폴리우레탄 재질 필름 위에 고르게 도포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의 일측면에 돼지 방광 내피 조직에서 추출한 세포 외 기질(ECM), 내피 기저 섬유, 티모신 베타 4(Tβ4) 및 안지오포이틴1(Ang 1)을 포함하고,
    상기 세포 외 기질(ECM)은 돼지 방광 내피 조직을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탈세포 및 소독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는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아크릴산(PAA), 폴리옥시에틸렌(PO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에스터(PES),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PVDF), 폴리실록산 (Silicone Rubber), 폴리글리콜산 (PGA), 폴리락트산(PLA), 폴리메타크릴산(PMA),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폴리사카라이드(PS),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실리콘,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셀룰로오스, 펙틴, 키틴, 키토산, 젤라틴, 콜라겐, 피브린, 히알루론산,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는 직경 10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의 기공이 형성된 미세다공성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제는 화상 또는 손상된 피부조직의 재생, 보호, 관리, 치료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6. 1) 멸균하여 분리한 돼지 방광 내피를 분리 후 탈핵, 탈세포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얻은 방광 내피에서 세포 외 기질(ECM)을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추출한 세포 외 기질 및 방광 내피 기저 섬유를 혼합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준비된 혼합물에 티모신 베타 4(Tβ4) 및 안지오포이틴 1(Ang 1)을 혼합한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5) 상기 건조된 조성물을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에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1) 단계에서 돼지 방광 내피를 차아염소산 나트륨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및 손상된 피부조직 치료 및 관리를 위한 드레싱제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는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아크릴산(PAA), 폴리옥시에틸렌(PO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에스터(PES),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PVDF), 폴리실록산 (Silicone Rubber), 폴리글리콜산 (PGA), 폴리락트산(PLA), 폴리메타크릴산(PMA),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폴리사카라이드(PS),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실리콘,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셀룰로오스, 펙틴, 키틴, 키토산, 젤라틴, 콜라겐, 피브린, 히알루론산,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의 제조방법
KR1020160151332A 2016-02-16 2016-11-14 화상 및 피부 결손 치료용 드레싱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0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91 2016-02-16
KR20160017591 2016-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572A KR20170096572A (ko) 2017-08-24
KR101910504B1 true KR101910504B1 (ko) 2018-10-22

Family

ID=5975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332A KR101910504B1 (ko) 2016-02-16 2016-11-14 화상 및 피부 결손 치료용 드레싱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8223B (zh) * 2018-09-05 2021-10-15 安徽徽科生物工程技术有限公司 仿生创伤修复膜及其制备方法
KR102424616B1 (ko) * 2020-07-10 2022-07-2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적외선 감응형 ecm 유래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용 조성물
KR20220083621A (ko) *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로킷헬스케어 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8776A1 (en) * 2007-04-25 2011-11-03 Schapira Jay N Programmed-release, nanostructured biological construct for stimulating cellular engraf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KR101494649B1 (ko) 2013-12-03 2015-02-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미생물로부터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바이오오일 추출 방법
WO2016025945A1 (en) 2014-08-15 2016-02-1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echnology Ventures Composite material for tissue resto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308B1 (ko) * 2009-06-19 2012-01-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외기질 성분과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8211A (ko) * 2011-07-12 2013-01-22 김선미 동물의 방광으로부터 분리한 세포간 신호전달 촉진물질이 포함된 세포외기질의 구성분인 단백질를 약효제로 포함하는 세포재생 기능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8776A1 (en) * 2007-04-25 2011-11-03 Schapira Jay N Programmed-release, nanostructured biological construct for stimulating cellular engraf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KR101494649B1 (ko) 2013-12-03 2015-02-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미생물로부터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바이오오일 추출 방법
WO2016025945A1 (en) 2014-08-15 2016-02-1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echnology Ventures Composite material for tissue resto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572A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34155B2 (ja) コラーゲンフレーク体
CN111265719B (zh) 最终消毒的来自细胞外基质的水凝胶的制备方法
CN104254351B (zh) 用于韧带或肌腱修复的方法
KR102138152B1 (ko) 주사가능한 실크 피브로인 입자 및 그의 용도
EP3031466B1 (en) Purified amphiphilic peptid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Villarreal-Leal et al. Biomimetic immunomodulation strategies for effective tissue repair and restoration
El Blidi et al. Extraction methods, characterization and biomedical applications of collagen: A review
Morris et al. Decellularized materials derived from TSP2-KO mice promote enhanced neovascularization and integration in diabetic wounds
CN1735685A (zh) 用未分化的间充质细胞治疗组织
WO2011087743A2 (en) Decellularized adipose cell growth scaffold
AU2019222977B2 (en) Biomaterial for articular cartilage maintenance and treatment of arthritis
EP2976097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llagen and prp for tissue regeneration
EP2700655B1 (en) Surface-active collagen membrane by peptide
Tan et al. Biofunctionalized fibrin gel co-embedded with BMSCs and VEGF for accelerating skin injury repair
KR101910504B1 (ko) 화상 및 피부 결손 치료용 드레싱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6765540B2 (ja) 生着率を増加させた移植用真皮層及びその製造方法
Choi et al. Adipose tissue: A valuable resource of biomaterials for soft tissue engineering
Liu et al. Three-dimensionally presented anti-fouling zwitterionic motifs sequester and enable high-efficiency delivery of therapeutic proteins
EP2780048A1 (en) A dextran-based tissuelette containing platelet-rich plasma lysate for cartilage repair
KR101536134B1 (ko) 연부조직 수복용 매트릭스의 제조방법
Zhang et al. Additively manufactured macroporous chambers facilitate large volume soft tissue regeneration from adipose-derived extracellular matrix
Lee et al. Three-dimensional artificial skin construct bioprinted with a marine-based biocomposite
Ramakrishnan et al. Silk fibroin-based bioengineered scaffold for enabling hemostasis and skin regeneration of critical-size full-thickness heat-induced burn wounds
Mensah et al. The chicken eggshell membrane: A versatile, sustainable, biological material for translational biomedical applications
CN1622826A (zh) 用凝血酶肽衍生物刺激骨生长和软骨形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