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309B1 - 기지국,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309B1
KR101910309B1 KR1020177023099A KR20177023099A KR101910309B1 KR 101910309 B1 KR101910309 B1 KR 101910309B1 KR 1020177023099 A KR1020177023099 A KR 1020177023099A KR 20177023099 A KR20177023099 A KR 20177023099A KR 101910309 B1 KR101910309 B1 KR 101910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information
channel
channel state
feedback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412A (ko
Inventor
치메이 추이
후이 왕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9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기지국은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이용될 수 있고, 사용자 장비와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 품질을 획득하는 채널 품질 획득 유닛; 획득된 업링크 채널 품질을 품질 임계값과 비교하여 업링크 채널 품질이 양호한지 또는 불량한지를 판단하는 채널 품질 판단 유닛;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에 피드백하도록 허용할지를 결정하는 피드백 제어 유닛;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판단 결과가 업링크 채널 품질이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하다는 것일 때, 피드백 제어 유닛은 사용자 장비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에 피드백하도록 허용하기로 결정하고; 판단 결과가 업링크 채널 품질이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채널 품질보다 더 불량하다는 것일 때, 피드백 제어 유닛은 사용자 장비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에 피드백하도록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Description

기지국,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의 분야와 관련되고, 특히 기지국,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과 관련된다.
최근에, 사람들은 무선 통신의 추가적 성능에 대한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 제4 세대 셀룰러 시스템(4G)의 도입을 논의하고 있다. 4G의 협력적 다중 포인트(CoMP) 전송과 같은 기술들이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은 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기지국들이 서로 협력하는 기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은 복수의 기지국이 동시적으로 하나의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을 지칭한다. 이 기술은 높은 데이터 속도 통신의 커버리지를 확대할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에 의해 유발되는 셀들 사이의 간섭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로서 작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는, 다운링크 채널들의 상태를 반영할 수 있고 기지국들이 전송 스킴들(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관련된 포인트들의 세트, 협력적 다중 포인트를 위한 전송 스킴, 및 변조와 코딩 스킴, 등)의 설계를 결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정보와 파라미터들을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요구된다. 그러한 정보와 파라미터들은 하기에서 채널 상태 정보로서 집합적으로 총칭될 것이다. 현재,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을 위해 다중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기 위한 두 가지 스킴이 있다. 하나는 다중 채널 상태 정보가 시간 분할 다중화(TDM)를 통해 피드백되는 모드이다. 또 다른 하나는 다중 채널 상태 정보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또는 부호 분할 다중화(CDM) 등과 같은 기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모드이다.
시간 분할 다중화 스킴에서, 다중 채널 상태 정보는 동일한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전송되고 상이한 시간들에 기지국 측들에 도달한다. 비-시간 분할 다중화 스킴에서, 다중 채널 상태 정보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또는 부호 분할 다중화 등과 같은 다중화 모드를 이용하여 전송되고 동시에 기지국 측들에 도달한다.
시간 분할 다중화 모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스킴은 반송파 집성(CA)에서 다중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스킴과 유사하고, 원래의 표준에 중요한 변화를 도입하지 않는다. 그러나, 채널 상태 정보가 상이한 시간들에 기지국 측들에 도달하기 때문에, 이 스킴은 스케줄 대기 시간의 문제를 유발하여, 다중 포인트 협력적 전송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비-시간 분할 다중화 모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스킴은 다중 채널 상태 정보가 동시에 기지국 측들에 도달하도록 해줌으로써, 스케줄 대기 시간의 문제를 회피한다. 그러나,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PUCCH 또는 PUSCH의 커버리지가 감소한다.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PUCCH 또는 PUSCH의 커버리지에 대한 영향이 더 심해질 것이다.
요약하면, 다중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것은 두 개의 주요 팩터들 즉, 스케줄 대기 시간, 및 PUCCH 또는 PUSCH 커버리지에 관련된다. 상기의 두 가지 스킴들은 이러한 두 개의 팩터들의 관점에서 각각의 장점들과 단점들을 가지며, 그들 사이에 만족스러운 트레이드-오프가 없었다.
또한, 현재, 채널 상태 정보가 피드백되어야 할 기지국을 결정할 때 업링크 채널 품질에 대한 고려가 없다. 실제로, 불량한 업링크 채널 품질이 PUCCH 또는 PUSCH의 복조 성능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의 관점에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업링크 채널 품질을 고려하여 채널 상태 정보가 피드백되어야 할 기지국들을 결정할 수 있고, 피드백될 상태 정보의 개수와 업링크 채널 품질을 고려하여 피드백에 이용될 특정 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 신규하고 개선된 기지국,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의 아이디어가 이용된다. 첫째, 양호한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갖는 기지국들에만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피드백을 수신할 기지국들을 결정한 후,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작으면,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피드백 스킴만을 이용하고,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많으면,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피드백 스킴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PUCCH 또는 PUSCH의 커버리지는 심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두 가지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스킴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업링크 채널 품질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의 특정 다중화 피드백 모드를 결정하고, 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가진 업링크 채널과 더 많이 연관된 채널 상태 정보에 더 높은 다중화 피드백 우선 순위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이용될 수 있는 기지국이 제공되고, 상기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와 협력적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 채널들의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획득하도록 적응되는 채널 품질 획득 유닛; 획득된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제1 품질 임계값과 비교하여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양호한지 또는 불량한지를 판단하도록 적응되는 채널 품질 판단 유닛;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되는지 결정하도록 적응되는 피드백 제어 유닛;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적응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제어 유닛은 상기 판단의 결과가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하다는 것을 지시할 때, 사용자 장비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된다고 결정하고; 상기 피드백 제어 유닛은 상기 판단의 결과가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채널 품질보다 더 불량하다는 것을 지시할 때, 상기 사용자 장비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의 양태에서 기술된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이용될 수 있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비와 협력적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 채널들의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획득하는 채널 품질 획득 단계; 획득된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제1 품질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양호한지 또는 불량한지를 판단하는 채널 품질 판단 단계;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되는지 결정하는 피드백 제어 단계;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제어 단계에서, 상기 판단의 결과가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하다는 것을 지시할 때, 상기 사용자 장비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된다고 결정되고; 상기 판단의 결과가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채널 품질보다 더 불량하다는 것을 지시할 때, 상기 사용자 장비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고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이용될 수 있는 기지국이 제공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장비와 협력적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 채널들의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획득하도록 적응되는 채널 품질 획득 유닛; 사용자 장비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도록 적응되는 우선 순위 설정 유닛; 및 채널 상태 정보가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피드백되어야 할 때,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하도록 적응되는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 및 결정된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적응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우선 순위 설정 유닛은 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가진 업링크 채널과 더 많이 연관된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은, 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 중에서,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소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또 다른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다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도록,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직전의 양태에서 기술된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이용될 수 있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비와 협력적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 채널들의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획득하는 채널 품질 획득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 단계; 채널 상태 정보가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피드백되어야 할 때,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하는 피드백 모드 결정 단계; 및 결정된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우선 순위 설정 단계에서, 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가진 업링크 채널과 더 많이 연관된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우선 순위가 설정되고; 상기 피드백 모드 결정 단계에서, 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 중에서,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소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또 다른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다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도록, 피드백 다중화 모드가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공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장비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을 획득하도록 적응되는 채널 품질 획득 유닛;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도록 적응되는 우선 순위 설정 유닛; 및 채널 상태 정보가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어야 할 때,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하도록 적응되는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 및 상기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의 결정 결과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적응되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우선 순위 설정 유닛은 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가진 업링크 채널과 더 많이 연관된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은, 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 중에서,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소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또 다른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다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도록,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공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기초하여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적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 개수 결정 유닛; 결정된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모드를 결정하도록 적응되는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 및 상기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의 결정 결과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적응되는 피드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은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클 때,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모드로서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은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일 때,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모드로서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 중 하나만을 이용하는 피드백 모드를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업링크 채널 품질을 고려하여 채널 상태 정보가 피드백되어야 할 기지국들을 결정하고, 피드백될 상태 정보의 개수와 업링크 채널 품질을 고려하여 피드백에 이용될 특정 모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일 양태에서, 불필요한 피드백의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다른 양태에서, 다중 포인트 협력적 전송 시스템의 PUCCH 또는 PUSCH 커버리지와 스케줄 대기 시간 간에 만족스러운 트레이드-오프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기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기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의 (a) 부분 및 (b) 부분은 채널 상태 정보의 비-시간 분할 다중화, 및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다중화를 수행하기 위한 피드백 모드들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각각의 개략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기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기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기능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들 및 구조들을 가진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이용되고, 그들의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을 유의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들과 구조들을 가진 복수의 요소들은 다양한 문자 접미사들을 뒤에 붙인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하다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들과 구조들을 가진 복수의 요소들은 예컨대 기지국들(10A, 10B, 10C, 및 10D) 등과 같이, 서로 구별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들과 구조들을 가진 복수의 요소들을 개별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없다면, 단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병기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10A, 10B, 10C, 및 10D)을 특별히 구별하는 것이 불필요한 경우에, 이것은 간단히 기지국(10)이라고 불린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의 일반적인 구성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은 복수의 기지국들(10)과 통신 단말기(20)를 포함한다.
통신 단말기(20)(사용자 장비)는 기지국들(10)의 제어 하에 기지국들(10)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는 기지국들(10)에 의해 할당된 다운링크 리소스들을 통해 수신 처리를 수행하고, 업링크 리소스들을 통해 송신 처리를 수행한다.
통신 단말기(20)는 퍼스널 컴퓨터(PC), 가정용 비디오 처리 디바이스(DVD 레코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등),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가정용 게임 콘솔, 또는 가정용 기기 등과 같은 정보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20)는 휴대폰, 개인 핸드폰 시스템(PHS),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휴대용 비디오 처리 디바이스, 또는 휴대용 게임 콘솔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기지국들(10)은 그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20)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A)은 기지국(10A)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20A)와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하기의 가정들 하에서 설명이 행해질 것이다. 기지국들(10)은 매크로 셀들을 위한 기지국들(eNodeB)이지만, 기지국들(10)은 매크로 셀들을 위한 기지국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10)은 매크로 셀들을 위한 기지국들의 것보다 작은 최대 전송 전력을 가진 피코 셀들/마이크로 셀들을 위한 기지국들일 수 있거나, 또는 펨토 셀들을 위한 기지국들 또는 중계 노드들일 수 있다.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을 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지국들(10)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협력적 기지국들에서,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의 통신 모드가 종료되고 종래의 비-협력적 모드가 통신에 이용될 때, 통신 단말기(20)를 서빙하는 기지국은 메인 기지국이라고 불린다. 메인 기지국 이외의 협력적 기지국들은 다른 기지국들이라고 불린다. 하기에서 설명될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동작들은 메인 기지국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다른 기지국들 중 하나에서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메인 기지국, 및 다른 기지국들 중 하나 또는 몇몇에 의해 협력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의 구조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의 기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기지국(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1)의 기지국들(10)의 예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은 채널 품질 획득 유닛(210), 채널 품질 판단 유닛(220), 피드백 제어 유닛(230), 및 전송 유닛(240)을 포함한다.
채널 품질 획득 유닛(210)은 통신 단말기(20)와 협력적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 채널들의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획득한다. 채널 품질 획득 유닛(210)은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획득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본 기술 분야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지시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의 값들은 대응하는 업링크 채널들을 통해 통신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들(업링크 채널 신호들)에 따라 획득된다. 예를 들어,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지시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은 업링크 수신 신호 전력, 및 업링크 수신 신호의 신호 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율 등과 같은 것들이다.
채널 품질 판단 유닛(220)은 채널 품질 획득 유닛(210)에 의해 획득된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미리 정해진 품질 임계값 Th1("제1 품질 임계값"에 대응함)과 비교하여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양호한지 또는 불량한지를 판단한다.
시스템의 설계 요건들에 기초하여 품질 임계값 Th1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에서, 기지국이 피드백된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할 때, 정확하게 채널 상태 정보를 복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피드백은 비효율적이거나 비효과적이다. 이 경우에, 양호한 업링크 채널 품질을 갖고 있지 않은 그러한 기지국에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그러므로, 업링크 채널 품질이 품질 임계값 Th1에 의해 나타내어진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할 때, 피드백된 채널 상태 정보의 복조 결과가 시스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그리고 업링크 채널 품질이 품질 임계값 Th1에 의해 나타내어진 채널 품질보다 더 불량할 때, 피드백된 채널 상태 정보의 복조 결과가 시스템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도록, 피드백이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미리 시스템 테스트들을 수행하고, 테스트 결과들에 따라, 시스템 복조 성능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임계값 Th1의 값을 결정할 것이 요구된다.
피드백 제어 유닛(230)은 통신 단말기(20)가 채널 품질 판단 유닛(220)에 의해 제공된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허용되는지 결정한다. 피드백 제어 유닛(230)은 판단 결과가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품질 임계값 Th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하다고 지시할 때, 통신 단말기(20)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된다고 결정한다; 피드백 제어 유닛(230)은 판단 결과가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품질 임계값 Th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채널 품질보다 더 불량하다고 지시할 때, 통신 단말기(20)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전송 유닛(240)은 통신 단말기(20)에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 단말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한다.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는 피드백 제어 유닛(230)의 결정 결과, 및 다른 방식들을 통해 결정된 채널 상태 정보의 특정 피드백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기지국(200)은 통신 단말기(20)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 채널들의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양호한지 또는 불량한지에 따라 통신 단말기(20)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되는지를 결정한다. 피드백이 허용되는 기지국들을 선택함으로써, 채널 상태 정보가 피드백되는 기지국의 개수가 감소되고, 그에 의해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를 간접적으로 감소시키고,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에 의해 점유되는 통신 리소스들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제3 실시예에서는 협력적 기지국들 중 메인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들 사이에 차별이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제어 유닛(230)은 통신 단말기(20)와 메인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에 상관없이, 비-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따른 피드백 모드에서 통신 단말기(20)가 협력적 기지국들(10) 중 메인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10A))에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피드백 제어 유닛(230)은 통신 단말기(20)와 메인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에 상관없이, 협력적 기지국들(10) 중 메인 기지국(10A)에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을 항상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은 다중 포인트 협력과 비-다중 포인트 협력 사이의 스위칭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는 어느 순간에 다중 포인트 협력에서 서비스를 받는 상태에 있고, 그 후 다중 포인트 협력 서비스가 어떤 이유로 인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가 메인 기지국(10A)을 향해 이동하고 있음). 비-다중 포인트 협력의 상태로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고, 메인 기지국(10A)의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것만 가능하다. 다중 포인트 협력의 상태 또는 비-다중 포인트 협력의 상태에 상관없이, 관련 정보를 메인 기지국에 피드백하는 방식은 변함없이 유지되며, 따라서 다중 포인트 협력과 비-다중 포인트 협력 간의 스위칭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301에, 통신 단말기(20)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 채널들의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획득된다.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획득하기 위해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지시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의 값들이 통신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채널 신호들에 따라 획득된다.
단계 S302에서, 획득된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미리 정해진 품질 임계값 Th1과 비교하여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양호한지 또는 불량한지가 판단된다. 시스템의 설계 요건들에 기초하여 품질 임계값 Th1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업링크 채널 품질이 품질 임계값 Th1에 의해 나타내어진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할 때, 피드백된 채널 상태 정보의 복조 결과가 시스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그리고 업링크 채널 품질이 품질 임계값 Th1에 의해 나타내어진 채널 품질보다 더 불량할 때, 피드백된 채널 상태 정보의 복조 결과가 시스템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도록, 피드백이 설정될 수 있다.
그 후, 단계 S303에서, 통신 단말기(20)가 단계 S30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되는지가 결정된다. 단계 S302에서 업링크 채널 품질이 품질 임계값 Th1에 의해 나타내어진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하다고 판단될 때, 통신 단말기(20)는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된다고 결정된다. 단계 S302에서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품질 임계값 Th1에 의해 나타내어진 채널 품질보다 더 불량하다고 판단될 때, 통신 단말기(20)는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고 결정된다.
단계 S304에서, 통신 단말기(20)가 채널 상태 정보를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가 통신 단말기(20)에 전송된다.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는 단계 S303의 결정 결과, 및 다른 방법들을 통해 결정된 채널 상태 정보의 특정 피드백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기지국(200)의 기능 구조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상태 정보의 피드백을 제어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때 협력적 기지국들 중 메인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들을 구별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다른 기지국들의 업링크 채널 품질들에 대해서만 판단된다. 메인 기지국에 관해서는, 그것의 업링크 채널 품질에 상관없이 비-다중 협력 모드에서 채널 상태 정보가 피드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400)의 기능 구조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유사하게, 기지국(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들(10)의 특정 예로서 간주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400)의 기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400)은 채널 품질 획득 유닛(210), 채널 품질 판단 유닛(220), 피드백 제어 유닛(230), 전송 유닛(240), 채널 상태 정보 개수 결정 유닛(450), 및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을 포함한다. 채널 품질 획득 유닛(210), 채널 품질 판단 유닛(220), 피드백 제어 유닛(230), 및 전송 유닛(240)은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된 대응하는 유닛들과 동일한 구조들 및 기능들을 가지며, 여기서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채널 상태 정보 개수 결정 유닛(450)은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기초하여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는 통신 시스템의 설계 요건들에 기초하여 특정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기초하여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를 결정한다는 의미는 하기에서 예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예에서,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포인트 협력을 위한 기지국들(10A, 10B, 10C, 및 10D)에 대하여, 피드백 제어 유닛(230)은 통신 단말기(20)가 메인 기지국(10A)과 기지국들(10B, 10C)에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허용되고, 기지국(10D)에는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고 가정된다. 또한, 통신 단말기(20)는 메인 기지국(10A), 기지국(10B), 기지국(10C), 및 기지국(10D)의 수신 신호 전력들을 S1, S2, S3, 및 S4로서 각각 측정하고, 수신 노이즈 전력이 N이라고 가정된다. 예를 들어,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 CSi를 하기의 방식으로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112017079882770-pat00001
이 예에서, 채널 상태 정보는 신호 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율의 형태로서 정의된다. 물론, 채널 상태 정보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채널 상태 정보는 또한 채널들의 신호 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율, 채널 상태 매트릭스, 채널 상태 매트릭스의 랭크, 다중경로 대기 시간들, 도플러 주파수 시프트들,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채널들의 랭크, 및 빔형성 벡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채널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임의의 정보일 수 있다.
이 예에서, 기지국(10D)의 업링크 채널 품질이 불량하기 때문에 채널 상태 정보는 기지국(10D)에 피드백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10D)은 현재 다중 포인트 전송의 협력에 참여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기지국(10D)의 수신 신호는 간섭 신호로서 간주된다. 채널 상태 정보 개수 결정 유닛(450)은 이 예에서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기초하여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를 4로서 결정한다.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은 결정된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에 따라 통신 단말기(20)에 의해 이용될 피드백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에 따라 피드백 모드를 선택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은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M 이하일 때, 통신 단말기(20)에 의해 이용될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모드로서 간단한 피드백 모드를 결정한다. 간단한 피드백 모드는 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 또는 비-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이다. 비-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 부호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 및 기타 비-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들 등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M보다 더 클 때,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은 통신 단말기(20)에 의해 이용될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모드로서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를 결정한다.
도 5의 (a) 부분 및 (b) 부분은 상기 예에서 비-시간 분할 다중화의 피드백 모드, 및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를 예의 채널 상태 정보 CS1 내지 CS4에 적용하는 예들을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의 (a)에서, 채널 상태 정보 CS1 내지 CS4는 비-시간 분할 다중화의 모드를 통해 피드백된다. 이 경우에, 어떤 피드백 대기 시간도 없지만, PUCCH 또는 PUSCH의 커버리지의 상당한 축소를 유발할 수 있고, 심지어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는 축소를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임계값 M은,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M 이하일 때, 비-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에 의해 유발되는 PUCCH 또는 PUSCH의 커버리지 강하가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들어오고,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M보다 클 때, 비-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에 의해 유발되는 PUCCH 또는 PUSCH의 커버리지 강하가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설정 기준에 따라, 미리 시스템 테스트들을 통해 PUCCH 또는 PUSCH의 커버리지 강하에 대한 시스템의 허용 오차(tolerance)를 결정함으로써 임계값 M의 값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예에서, M의 값은 3이라고 가정된다.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4이기 때문에,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은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피드백의 특정 모드는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CS1과 CS2의 조합과, 채널 상태 정보 CS3과 CS4의 조합은 각각 비-시간 분할 다중화의 모드에서 피드백되고, 이러한 두 개의 조합들 사이에, 피드백은 시간 분할 다중화의 모드에서 수행된다(여기서 이것은 2:2의 모드이다). 물론, 피드백을 1:3의 모드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채널 상태 정보 CS1을 하나의 그룹으로서 형성하고, CS2 내지 CS4를 하나의 그룹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두 개의 그룹들 사이에, 피드백은 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수행된다(도시되지 않음).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 설계에 따라,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은 또한,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M 이하일 때, 통신 단말기(20)에 의해 이용될 피드백 모드로서 시간 분할 다중화의 피드백 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M보다 클 때, 통신 단말기(20)에 의해 이용될 피드백 모드로서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를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에 의해 유발되는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M 이하일 때, 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에 의해 유발되는 대기 시간이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M보다 클 때, 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에 의해 유발되는 대기 시간이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도록, 미리 정해진 임계값 M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에 의한 결정 후에, 전송 유닛(240)은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를 통신 단말기(20)(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는 어느 기지국들에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허용되는지에 관한 피드백 제어 유닛(230)으로부터의 결정 결과, 및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으로부터의 다중화 피드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20)는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방송에 의해 채널 상태 정보 CS1 내지 CS4를 기지국들 10A 내지 10C에 피드백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개수 결정 유닛(450) 및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에 의해 구현된 기능들은 통신 단말기(20)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에 구성된 채널 상태 정보 개수 결정 유닛은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공지된 정의에 기초하여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통신 단말기(20)에 구성된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은 결정된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은,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일 때, 무선 통신 단말기(20)로 하여금 비-시간 분할 다중화의 피드백 모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게 하고,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클 때, 무선 통신 단말기(20)로 하여금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게 한다. 마침내, 피드백 유닛은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의 결정 결과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들에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한다.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에 따라 피드백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이 사용자 장비에서 수행되더라도,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이것은 여기서 반복해서 기술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600)의 기능 구조가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유사하게, 기지국(6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들(10)의 특정 예로서 간주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600)의 기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600)은 채널 품질 획득 유닛(210), 채널 품질 판단 유닛(220), 피드백 제어 유닛(230), 전송 유닛(240), 채널 상태 정보 개수 결정 유닛(450),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 우선 순위 설정 유닛(670), 및 제2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680)을 포함한다. 채널 품질 획득 유닛(210), 채널 품질 판단 유닛(220), 피드백 제어 유닛(230), 및 전송 유닛(24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대응하는 유닛들과 동일한 구조들 및 기능들을 가지며, 채널 상태 정보 개수 결정 유닛(450)과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대응하는 유닛들과 동일한 구조들 및 기능들을 가지며, 여기서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의 예에서,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은 통신 단말기(20)가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에서 채널 상태 정보 CS1 내지 CS4를 피드백해야 한다고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임계값 M= 3의 경우에, 다중화를 조합한 CS1 내지 CS4의 피드백은 다양한 조합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시간 분할 다중화가 CS1 내지 CS4 중 한 쌍의 조합과 CS1 내지 CS4 중 다른 쌍의 다른 조합에 적용되고, 그 조합들 사이에, 시간 분할 다중화의 2:2 모드가 이용되고; 그리고 CS1 내지 CS4 중 임의의 세 개에 비-시간 분할 다중화가 적용되고 나머지 하나에 대해 시간 분할 다중화의 1:3 모드가 적용된다. 또한, 2:2 모드와 1:3 모드 각각은 다양한 가능한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시스템의 필요들, 예컨대 통신 효율성에 대한 요건들, 및 PUCCH와 PUSCH의 커버리지에 대한 상기 조합의 영향 등에 따라, 조합들 중 어느 것이 이용될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기(20)와 협력적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들의 채널 품질들에 따라 다중화를 조합한 특정 모드를 결정하도록 의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600)에서,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460)이 통신 단말기(20)에 의해 이용될 피드백 모드로서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를 결정할 때, 우선 순위 설정 유닛(670)은 통신 단말기(20)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에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 설정 유닛(670)은 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가진 업링크 채널과 더 많이 연관된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제2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680)은 우선 순위 설정 유닛(670)에 의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2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680)은, 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 중에서,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소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또 다른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다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도록,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가 하기에서 예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된 예와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기(20)는 채널 상태들 CS1 내지 CS4를 피드백할 것이고, 미리 정해진 임계값 M= 3이다. 제1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은 통신 단말기(20)에 의해 이용될 피드백 모드로서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를 결정한다. 이 경우에, 우선 순위 설정 유닛(670)은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본 예에서는 신호 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율), 및 통신 단말기(20)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에 따라 CS1 내지 CS4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20)와 협력적 기지국들(10A 내지 10D) 사이의 업링크 채널들의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Q1 내지 Q4이고, Q1 내지 Q4는 내림 차순으로 배열된다고 가정된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10A)의 업링크 채널 품질이 기지국(10B)의 업링크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하고, 기지국(10B)의 업링크 채널 품질이 기지국(10C)의 업링크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하고, 기지국(10C)의 업링크 채널 품질이 기지국(10D)의 업링크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하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기지국(10D)의 업링크 채널 품질이 가장 낮고, 그러므로 업링크 정보의 복조 성능에 대한 시스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채널 상태 정보는 기지국(10D)에 피드백되지 않고, 그것의 수신 신호 전력 S4는 간섭 신호 전력으로서 간주된다.
CS1 내지 CS4에 대한 정의들로부터,
Figure 112017079882770-pat00002
CS1은 기지국(10A)의 업링크 채널과 최대 연관을 갖는다고 공지된다. 실제로, 간섭과 노이즈가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 CS1은 CS2 내지 CS4에 비해 기지국(10A)의 수신 전력 S1과만 연관된다. 그러므로, 우선 순위 설정 유닛(670)은 CS1의 우선 순위를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CS2는 CS3 및 CS4에 비해 기지국(10B)의 업링크 채널과 가장 많이 연관된다. 그러므로, 우선 순위 설정 유닛(670)은 CS2의 우선 순위를 두 번째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서 설정한다. CS3은 CS4에 비해 기지국(10C)의 업링크 채널과 더 많이 연관된다. 그러므로, 우선 순위 설정 유닛(670)은 CS3의 우선 순위를 세 번째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서 설정한다. CS4는 각각의 기지국들과 약한 연관을 갖는다. 그러므로, 우선 순위 설정 유닛(670)은 CS4의 우선 순위를 가장 낮은 우선 순위로서 설정한다.
그 후, 본 실시예에서, 제2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680)은 우선 순위 설정 유닛(670)에 의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CS1 내지 CS4에 관하여, CS1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고 임계값 M= 3이기 때문에 즉, 시스템은 최고 3개까지의 채널 상태 정보의 비-시간 분할 다중화의 경우를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680)은 시간 분할 다중화의 모드에서 CS1이 피드백되고, 비-시간 분할 다중화 모드에서 CS2 내지 CS4가 피드백되도록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CS1 내지 CS4 중 한 쌍이 조합을 형성하고 다른 쌍이 다른 조합을 형성하는 2:2 모드를 적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제2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680)은 피드백을 위한 임의의 조합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5개의 채널 상태 정보 CS1 내지 CS5가 있을 수 있고, 그들의 우선 순위들은 내림 차순으로 배열되고, 미리 정해진 임계값 M= 3이다. 이 경우에, 제2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680)은 더 높은 우선 순위들을 가지는 채널 상태 정보 CS1과 CS2를 그룹으로서 취급함으로써 비-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이 적용되도록, 그리고 더 낮은 우선 순위들을 가지는 채널 상태 정보 CS3과 CS5를 그룹으로서 취급함으로써 비-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이 적용되도록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680)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하기 위해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미리 정해진 개수의 채널 상태 정보를 선택하고, 시간 분할 다중화 또는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하기 위해 나머지 채널 상태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하일 때,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에 의해 유발되는 PUCCH 또는 PUSCH의 커버리지 강하가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들어오고,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보다 클 때,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에 의해 유발되는 PUCCH 또는 PUSCH의 커버리지 강하가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도록, 미리 정해진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 CS1 내지 CS4 및 미리 정해진 임계값 M= 3의 예에 관하여, 제2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680)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하기 위해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미리 정해진 개수(즉, 3)의 채널 상태 정보(즉, CS2 내지 CS4)를 선택하고, 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하기 위해 나머지의 채널 상태 정보(즉, CS1)를 선택함으로써, CS1 내지 CS4의 다중화 피드백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CS1 내지 CS5 및 미리 정해진 임계값 M= 3의 예에 관하여, 제2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680)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하기 위해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미리 정해진 개수(즉, 3)의 채널 상태 정보(즉, CS3 내지 CS5)를 선택하고,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하기 위해 나머지의 채널 상태 정보(즉, CS1 및 CS2)를 선택함으로써, CS1 내지 CS5의 다중화 피드백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순위 설정 유닛(670)과 제2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680)의 구성과 구현이 반드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른 유닛들의 것에 기초할 필요는 없다. 실제로, 우선 순위 설정 유닛과 제2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을 그들의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기의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행해질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700)의 기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기지국(700)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들(10)의 예로서 간주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700)은 채널 품질 획득 유닛(710), 우선 순위 설정 유닛(720),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730), 및 전송 유닛(740)을 포함한다.
채널 품질 획득 유닛(710)은 통신 단말기(20)와 협력적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 채널들의 업링크 채널 품질들을 획득한다. 우선 순위 설정 유닛(720)은 통신 단말기(20)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우선 순위 설정 유닛(720)은 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가진 업링크 채널과 더 많이 연관되는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가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에서 통신 단말기(20)에 의해 피드백되어야 할 때,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730)은 우선 순위 설정 유닛(720)에 의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전송 유닛(740)에 제공한다. 전송 유닛(740)은 결정된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통신 단말기(20)에 전송한다.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730)은, 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소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또 다른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다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도록,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730)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하기 위해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미리 정해진 개수의 채널 상태 정보를 선택하고, 시간 분할 다중화 또는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하기 위해 나머지 채널 상태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하일 때,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에 의해 유발되는 PUCCH 또는 PUSCH의 커버리지 강하가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들어오고,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보다 클 때,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에 의해 유발되는 PUCCH 또는 PUSCH의 커버리지 강하가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도록, "미리 정해진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구현의 특정 예들이 도 6의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된 예들에서 발견될 수 있고,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801에서, 통신 단말기와 협력적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 채널들의 업링크 채널 품질들이 획득된다.
단계 S802에서, 통신 단말기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 및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해 우선 순위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는 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가진 업링크 채널과 더 많이 연관된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803에, 채널 상태 정보가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에서 통신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어야 할 때,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다중화 모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 중에서,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소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또 다른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다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도록,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S804에, 결정된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가 통신 단말기에 전송된다.
또한,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특정한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하는 상기의 기능은 사용자 장비 측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하기의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행해질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900)의 기능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통신 단말기(900)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의 통신 단말기(20)의 예로서 간주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900)는 채널 품질 획득 유닛(910), 우선 순위 설정 유닛(920),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930), 및 피드백 유닛(940)을 포함한다.
채널 품질 획득 유닛(910)은 통신 단말기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채널 품질 획득 유닛(910)은 통신 단말기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우선 순위 설정 유닛(920)은 통신 단말기(20)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채널의 업링크 채널 품질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통신 단말기(900)는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우선 순위 설정 유닛(920)은 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가진 업링크 채널과 더 많이 연관된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930)은 채널 상태 정보가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한 피드백 모드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어야 할 때,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930)은 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 중에서,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소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또 다른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다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도록,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마침내, 피드백 유닛(940)은 피드백 모드 결정 유닛(930)의 결정 결과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한다.
또한, 도 2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기술된 각각의 실시예들을 다시 참조하면, 피드백 제어 유닛(230)은 채널 상태 정보가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서 주기적 피드백과 비주기적 피드백 간에 구별 없이 기지국들 중 어느 것에 피드백되도록 허용되는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비주기적 피드백에 대해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기술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주기적 피드백과 비주기적 피드백 간에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마, 피드백될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를 어느 정도까지 감소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상기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의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대안들과 수정들을 얻을 수 있고, 물론 다양한 대안들과 수정들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지국들 또는 통신 단말기의 처리 단계들을 반드시 흐름도들에서 기술된 시간 순서로 실행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지국들 또는 통신 단말기의 처리 단계들을 흐름도들에 기술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또는 병렬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단말기 또는 기지국들에 탑재된 하드웨어(중앙 처리 장치(CPU),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로 하여금 통신 단말기 또는 기지국들의 컴포넌트들과 등가의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도 제공된다.

Claims (17)

  1.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사용자 장비와 복수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통신 채널 품질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채널 품질들을 제1 품질 임계값과 비교하여 채널 품질 상태들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기초하여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용될 피드백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채널 품질들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하다는 것을 상기 판단의 결과가 나타낼 경우,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채널 품질들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채널 품질보다 더 불량하다는 것을 상기 판단의 결과가 나타낼 경우,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되지 않고,
    상기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할 경우, 피드백된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복조 결과가 시스템 요건을 충족시키고, 상기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채널 품질보다 더 불량할 경우, 피드백된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복조 결과가 상기 시스템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도록,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이 설정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협력적 기지국들 중의 메인 기지국 사이의 상기 채널 품질에 상관없이, 비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따른 피드백 모드에서 상기 메인 기지국으로 상기 채널 상태 정보가 피드백되게 허용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모드는 제1 피드백 모드를 포함하고,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피드백 모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용될 상기 피드백 모드로서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하고,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1 피드백 모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용될 상기 피드백 모드로서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 중 하나만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용될 상기 피드백 모드로서 비-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비-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에 의해 유발되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의 커버리지 강하가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들어오고,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비-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에 의해 유발되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의 커버리지 강하가 상기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도록,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이 설정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용될 상기 피드백 모드로서 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에 의해 유발되는 대기 시간이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들어오고,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에 의해 유발되는 대기 시간이 상기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도록,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이 설정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피드백 모드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용될 피드백 모드로서 시간 분할 다중화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조합할 때, 상기 사용자 장비와 각각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따라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가진 채널과 더 많이 연관된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되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 중에서,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소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가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한 그리고 다른 동일한 시간 주기를 공유하는 더 다수의 채널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보다 높도록, 상기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하기 위해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미리 정해진 개수의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선택하고, 시간 분할 다중화 또는 비-시간 분할 다중화를 통해 피드백하기 위해 나머지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피드백 다중화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개수 이하일 때, 상기 비-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에 의해 유발되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의 커버리지 강하가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들어오고,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개수보다 클 때, 상기 비-시간 분할 다중화 피드백 모드에 의해 유발되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의 커버리지 강하가 상기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도록, 상기 미리 정해진 개수가 설정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비-주기적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를 결정하기만 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채널들의 신호 대 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율, 채널 상태 매트릭스, 상기 채널 상태 매트릭스의 랭크, 다중경로 대기 시간들, 도플러 주파수 시프트들,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채널들의 랭크 및 빔형성 벡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상기 채널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정보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대응하는 기지국들로 상기 허용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을 위해 기지국들을 협력시키는 것을 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와 복수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통신 채널 품질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채널 품질들을 제1 품질 임계값과 비교하여 채널 품질 상태들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한 정의에 기초하여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피드백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용될 피드백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품질들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하다는 것을 상기 판단의 결과가 나타낼 경우,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채널 품질들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채널 품질보다 더 불량하다는 것을 상기 판단의 결과가 나타낼 경우,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피드백하도록 허용되지 않고,
    상기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할 경우, 피드백된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복조 결과가 시스템 요건을 충족시키고, 상기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채널 품질보다 더 불량할 경우, 피드백된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복조 결과가 상기 시스템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도록,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이 설정되는, 무선 통신 방법.
  15. 협력적 다중 포인트 전송에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복수의 협력적 기지국 사이의 통신 채널 품질들을 측정하고,
    상기 채널 품질들을 제1 품질 임계값과 비교하여 채널 품질 상태들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상기 통신 채널 품질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피드백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채널 품질들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하다는 것을 상기 판단의 결과가 나타낼 경우, 상기 정보를 피드백하고,
    상기 정보에 대한 정의에 기초하여 피드백될 상기 정보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피드백될 상기 정보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피드백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채널 품질보다 더 양호할 경우, 피드백된 상기 정보의 복조 결과가 시스템 요건을 충족시키고, 상기 채널 품질이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채널 품질보다 더 불량할 경우, 피드백된 상기 정보의 복조 결과가 상기 시스템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도록, 상기 제1 품질 임계값이 설정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대응하는 협력적 기지국들에 직접적으로 상기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협력적 기지국들 중 메인 기지국에 상기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20177023099A 2012-09-29 2013-07-08 기지국,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910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376901.1A CN103716120B (zh) 2012-09-29 2012-09-29 基站、无线通信终端、无线通信系统和无线通信方法
CN201210376901.1 2012-09-29
PCT/CN2013/078987 WO2014048158A1 (zh) 2012-09-29 2013-07-08 基站、无线通信终端、无线通信系统和无线通信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705A Division KR101771826B1 (ko) 2012-09-29 2013-07-08 기지국,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412A KR20170099412A (ko) 2017-08-31
KR101910309B1 true KR101910309B1 (ko) 2018-10-19

Family

ID=503869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705A KR101771826B1 (ko) 2012-09-29 2013-07-08 기지국,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77023099A KR101910309B1 (ko) 2012-09-29 2013-07-08 기지국,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705A KR101771826B1 (ko) 2012-09-29 2013-07-08 기지국,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48360B2 (ko)
EP (1) EP2903194B1 (ko)
JP (1) JP6028869B2 (ko)
KR (2) KR101771826B1 (ko)
CN (1) CN103716120B (ko)
ES (1) ES2738103T3 (ko)
TR (1) TR201911193T4 (ko)
WO (1) WO20140481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9892A1 (ja) * 2015-08-18 2017-02-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334224B1 (en) * 2016-12-07 2019-09-2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 of coordinating multi-cells and method thereof
TWI639314B (zh) 2017-12-12 2018-10-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多天線系統及預編碼方法
CN110710260B (zh) * 2018-02-07 2021-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设备
CN108834211B (zh) * 2018-04-23 2020-07-07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一种基于5g通信网络的定时调整方法及系统
TWI717736B (zh) 2019-05-15 2021-02-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多天線系統及其通道校正方法
CN111262783B (zh) * 2020-01-14 2022-04-26 深圳前海微众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动态路由的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7272A1 (en) * 2009-08-21 2011-09-29 Qualcomm Incorporated Multi-point equalization framework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0103886A1 (ja) * 2009-03-12 2012-09-13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局装置
KR101450407B1 (ko) * 2009-08-25 2014-10-1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그룹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781005B2 (en) * 2009-10-01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quantiz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for MIMO transmission
US9961579B2 (en) * 2009-10-01 2018-05-01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channel feedback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1674655A (zh) * 2009-10-14 2010-03-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及下行信道信息获取方法和系统
CN102056264B (zh) * 2009-10-27 2014-05-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多点协同传输中协同小区及传输点确定方法、系统和设备
US8817647B2 (en) * 2011-02-15 2014-08-26 Mediatek Inc. Priority rules of periodic CSI reporting in carrier aggreg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7272A1 (en) * 2009-08-21 2011-09-29 Qualcomm Incorporated Multi-point equalization framework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l Corporation, "Downlink control signaling for DL CoMP", R1-121517, 3GPP TSG RAN WG1 Meeting#68. (2012.03.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911193T4 (tr) 2019-08-21
KR101771826B1 (ko) 2017-08-25
KR20170099412A (ko) 2017-08-31
ES2738103T3 (es) 2020-01-20
CN103716120A (zh) 2014-04-09
US9948360B2 (en) 2018-04-17
WO2014048158A1 (zh) 2014-04-03
KR20150060911A (ko) 2015-06-03
CN103716120B (zh) 2018-06-01
EP2903194A4 (en) 2017-01-18
US20150295624A1 (en) 2015-10-15
EP2903194B1 (en) 2019-07-03
EP2903194A1 (en) 2015-08-05
JP6028869B2 (ja) 2016-11-24
JP2015534378A (ja)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309B1 (ko) 기지국,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JP6425052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09861802B (zh) 无线网络中自适应传输的系统和方法
JP6486931B2 (ja) 無認可スペクトルを用いるlte(登録商標)/lte−aにおけるcsiおよびack報告強化
US906550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47682B1 (ko)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통신을 위한 채널 추정 방법 및 장치
US96813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nge of operation state of a cell
EP2910060B1 (en) Selection of access points for coordinated multipoint uplink reception
US106744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orking state change of small cell
EP2888911B1 (en) Self adaptive multi-level downlink power control for noise-limited wireless cellular networks
US201503580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feedback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621309B2 (en) Joint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518828B1 (ko) 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신 방법
CN108713342B (zh) 无线通信系统及管理装置
CN104602347A (zh) 在多个资源块上对小区进行协调的方法和设备
JP2018516498A (ja) アダプティヴダウンリンクCoMP伝送方法及び装置
EP25107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users on a wireless network
WO2013111455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無線端末
JPWO2020095460A1 (ja) フロントホールマルチプレクサ及び信号合成方法
US1138204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coordinated multipoint enhancement mode
CN109151831A (zh) 一种服务小区与协作小区资源调配的方法和装置
CN116349370A (zh) 信道状态信息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KR10239124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771117B2 (en) Radio resource scheduling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in cellular networks
KR102118916B1 (ko) 클러스터 기반의 적응적인 결합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