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265B1 - 착탈식 전자태그 - Google Patents

착탈식 전자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265B1
KR101910265B1 KR1020170007192A KR20170007192A KR101910265B1 KR 101910265 B1 KR101910265 B1 KR 101910265B1 KR 1020170007192 A KR1020170007192 A KR 1020170007192A KR 20170007192 A KR20170007192 A KR 20170007192A KR 101910265 B1 KR101910265 B1 KR 101910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electronic tag
base
r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294A (ko
Inventor
손영전
Original Assignee
손영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전 filed Critical 손영전
Priority to KR1020170007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265B1/ko
Priority to PCT/KR2018/000676 priority patent/WO2018131967A1/ko
Priority to CN201880007098.XA priority patent/CN110178144B/zh
Publication of KR2018008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5Mounting details of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47Mounting details of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being mounted as a mod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착탈식 전자태그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설치된 안테나와,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부와,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외형에 관계없이 릴의 일측면에 베이스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착탈식 전자태크는 외형에 관계없이 릴의 일측면에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므로 용이하게 재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착탈식 전자태그{Removable RFID Tag}
본 발명은 전자태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부품을 수납하는 캐리어 테이프가 감긴 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전자태그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기전자제품은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회로기판은 인쇄회로기판에 다수의 전자부품들, 예컨대 집적회로 칩,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 등의 능동소자부품들 또는 저항, 콘덴서 및 코일과 같은 수동소자부품들이 실장된 회로장치이다.
이러한 회로기판의 부품 실장은 전자제품의 회로 설계도, 기판 설계도 및 부품 리스트 등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품실장설비(또는 칩 마운트)에서 릴에 수납된 부품들이 기판에 자동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부품실장설비에 릴이 장착된 다수의 피더들이 장전됨으로써 자동으로 부품들이 공급되어 기판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의 개발 및 제작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부품들은 부품실장설비에 장전되기 적합하도록 릴 포장되어 유통된다.
일부 부품들이 사용되고 나머지 부품들이 남은 상태의 릴은 다음 회로기판 제작에 사용하기 위하여 부품창고 내의 릴 수납장치에 보관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자부품을 수납한 수많은 릴들은 전산 관리를 위하여 바코드 라벨이나 전자태그(RFID 태그, IC 태그 또는 무선태그)가 부착된다. 따라서 릴은 바코드 또는 태그 리더기를 통하여 전산 시스템에 데이터 입력되고 관리된다.
바코드 판독 관리방식은 바코드 리더기로 라벨에 인쇄된 바코드를 리드하는 작업자의 바코드 리딩 동작이 수반되며, 라벨이 손상될 경우 바코드 리더기로 리드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바코드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태그 기술이 도입되었다.
일본등록특허 제5472779호, 일본공개특허 제2013-243417호에서는 릴 측면에 전자태그를 접착제로 접착시킨 전자태그 기술을 소개한다.
통상 접착제로 전자태그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수납된 부품이 다 소모되면 릴과 함께 전자태그도 쓰레기 처리된다.
일본등록특허 제10-1185113호, 일본공개특허2005-101576, 2014-28687에서는 릴에 감겨진 캐리어 테이프에 전자태그를 설치한 기술을 소개한다. 일본등록특허 제10-1185113호 기술은 전자태그 홀더를 테이프에 끼워서 사용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피더에 릴을 장착할 때 마다 홀더를 피더의 장착홈에 장착하는 동작이 요구되고, 사용 후 피더로부터 릴을 제거할 때마다 홀더를 릴에 보관하는 동작이 요구되므로 작업상 사용이 불편하고 작업자의 부주의로 전자태그가 분실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전자태그가 캐리어 테이프의 말단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 후 보관할 때마다 전자태그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그리고 보관시 전자태그의 위치가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릴의 원주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선반에 수납시 리더기의 독취범위에 릴의 전자태그가 위치하도록 릴의 수납방향을 고려해서 수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선반에서 리더기의 독취범위와 릴의 전자태그 위치가 매칭되지 못할 경우에는 전자태그의 판독이 불가능하므로 시스템 오류가 발생되거나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의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릴의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착탈식 전자태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사 마다 다른 다양한 릴 외부 형상 또는 사이즈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좋은 착탈식 전자태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릴의 수납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안테나의 독취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릴 중심 부근에 결합되는 착탈식 전자태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태그가 릴의 중심위치에 항상 위치하게 되므로 리더기의 안테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어서 리더기 제작 원가를 다운시킬 수 있는 착탈식 전자태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릴에 장착되는 착탈식 전자태그는 베이스, 베이스에 설치된 안테나,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부,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릴의 일측면에 베이스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상과 사이즈를 가진 모든 릴의 일측면에 범용적으로 착탈이 가능한 결합부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범용적으로 착탈이 가능한 결합부재의 일실시예로는 베이스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릴의 축공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 걸림홈에 삽입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든 릴들은 공통적으로 표준화된 축공과 축걸림홈을 가진다. 릴의 축공은 릴의 회전축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릴의 축걸림홈은 부품 계수기 이외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릴의 사용에는 방해되지 않으면서도 전자태그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는 축 걸림홈이 적격이다. 본 발명에서는 축걸림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부재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는 베이스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릴 마다 축걸림홈의 사이즈 편차가 존재하므로 모든 릴의 축걸림홈에 범용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 걸림돌기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돌기는 외주면이 신축성 있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것이 더욱 좋다.
본 발명에서 착탈식 전자태그의 베이스는 링 형상이고, 상기 링의 외경은 상기 릴의 코어 반경과 동일하거나 작고, 상기 링의 내경은 상기 릴의 축공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보다 큰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베이스 형상은 릴에 결합시 안테나의 위치를 축공과 동심원 상으로 위치시키므로 릴의 수납 방향에 관계없이 리더기의 독취범위의 중심과 전자태그의 안테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상 편리성 증대와 정확한 태그정보의 독취가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착탈식 전자태그는 베이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 및 안테나를 하나의 금속판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방식은 착탈식 전자태그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부재는 베이스를 릴의 플랜지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에 걸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후크는 착탈식 전자태그의 릴 결합력을 배가시켜서 사용 중 혹시라도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와 후크 사이에는 길이조정수단이 형성된 것이 좋다. 릴의 코어 축공과 플랜지 통공 사이의 거리가 릴 마다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가 후크와 결합돌기의 조합으로 된 경우에 범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길이조정수단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길이조정수단은 예컨대 신축성 밴드 또는 버클 및 밴드 구조 등 다양한 길이조정수단들이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길이조정수단은 베이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와, 고정부를 따라 후크를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소정 위치에서 고정부에 락킹되는 가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부재는 베이스를 릴의 플렌지 일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들에 걸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후크는 릴의 플렌지 일측면에 형성된 하나의 통공에 걸고, 다른 하나의 후크는 다른 하나의 통공에 거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탈식 전자태그는 릴의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 중에 분리되거나 분실될 우려가 없다. 또한 모든 릴에 공통적으로 형성된 축 걸림홈에 결합되므로 릴의 외형에 관계없이 호환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탈식 전자태그는 릴의 축공과 동심으로 결합되므로 항상 동일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릴의 수납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안테나 독취범위에 매칭되게 위치하게 되므로 전자태그의 정확한 판독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캐리어 테이프가 감겨진 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직경 7인치(180mm) 릴의 다양한 형상들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직경 13인치(330mm) 릴의 다양한 형상들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들에 따른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사시도.
도 5는 도4의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들에 따른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릴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5의 A-A 선 단면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1변형예(200)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2변형예(300)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2실시예(400)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제2실시예(400)를 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3실시예(500)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제3실시예(500)를 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4실시예(600)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B-B선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5실시예(700)가 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7의 C-C 선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6실시예(800)가 릴에 장착되어 락킹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6실시예(800)가 장착되어 락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7실시예(900)의 평면도.
도 22는 도 21의 D-D선 단면도.
도 23은 제7실시예를 릴의 플랜지(14)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제7실시예를 릴의 플랜지(16)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8실시예(1000)의 평면도.
도 26은 제8실시예를 릴의 플랜지(14)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캐리어 테이프가 감겨진 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직경 7인치(180mm) 릴의 다양한 형상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직경 13인치(330mm) 릴의 다양한 형상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릴은 수납되는 부품, 메이커 또는 릴 포장업체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게 된다. 보편적으로 7"(180mm) 또는 13"(330mm) 직경을 가진 릴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릴(10)은 코어(12) 및 플랜지(14, 16)를 구비한다. 코어(12)의 중심에는 아버(arbor) 홀(18)이 형성되고, 코어(12)의 원주면에 캐리어 테이프(20) 및 탑 커버 테이프(22)로 구성된 부품 수납 테이프가 감겨진다. 캐리어 테이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엠보싱된 수납 홈들이 각각 형성되고 이 수납 홈들 내에 부품(24)이 수납되고 탑 커버 테이프로 밀봉된다. 플랜지(14, 16)에는 캐리어 테이프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플랜지 통공(14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플랜지 통공(14a)의 수는 플랜지 통공(14a)을 통하여 감겨진 캐리어 테이프의 반경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플랜지 통공(14a)의 수는 1, 2, 3, 4, 5, 6 또는 8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랜지 통공(14a)은 대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아버 홀(18)을 중심으로 코어(12) 주변에 동심원 상으로 배열되어, 반경방향 에지(14b)와 원주방향 에지(14c)에 의해 한정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릴들은 직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중심에는 내경 13mm의 축공(18a)과 축공 둘레에 3개의 축 걸림홈들(18b)이 형성된 아버(arbor) 홀(18)이 형성되어 있다. 축공(18a)에는 테이프를 권취하는 권취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되고, 축 걸림홈(18b)에는 회전축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3개의 축 걸림돌기들이 삽입된다. 3개의 축 걸림홈들(18b)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형상은 동일하지만 홈 폭이나 깊이 사이즈는 제조사 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축 걸림홈(18b)의 종단까지의 직경(D2)은 20 ~ 21mm이다. 축걸림홈(18b)의 내측 폭(W1)은 1.5 ~ 2.8mm까지 다양하다. 다음 < 표 1 >은 8가지 종류의 7인치 릴들의 외경, 두께, 축공 내경 및 축 걸림홈 폭의 측정치를 나타낸다.
< 표 1 > 릴의 치수
Figure 112017005146053-pat00001
통상적으로 릴에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하는 부품 권취 릴 제조단계에서는 권취과정에서 아버 홀(18)의 축 걸림홈(18b)을 사용하지만 부품 실장 단계 및 보관단계에서는 아버 홀(18)의 축공(18a)은 종종 사용되지만 축 걸림홈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릴의 사용상 제한을 하지 아니하면서도 모든 릴에 범용적으로 호환이 가능하고 기구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착탈식 전자태그를 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4의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들에 따른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릴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실시예(100)는 범용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부재(120)를 3개의 결합돌기들로 구성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100)는 베이스(110), 결합부재(120), 안테나(130) 및 회로부(14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 및 결합부재(120)는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중심에 통공(112)이 형성된 링 형상이고, 외측 에지(114)와 내측에지(116)를 가진다. 링형 베이스(110)의 내경은 릴의 13mm 축공과 동일하거나 크고 외경은 릴의 60mm 코어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코어(12) 내부에 위치하는 사이즈로 구성된다. 통공(112)을 한정하는 내측 에지(116)에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요홈(118)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통공(112)의 내경(D3)은 릴(10)의 축공(18a)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진다. 예컨대 13mm 이상의 사이즈를 가진다. 3개의 요홈(118)들은 릴(10)의 축걸림홈(18b)의 내측 폭 1.5~3mm을 수용하는 3mm 이상의 폭(W2) 사이즈를 가지며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결합부재(120)는 테이퍼진 3개의 기둥형상의 결합돌기들로 구성되어 각각 대응하는 요홈(118)들의 종단 에지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러므로 결합돌기(120)도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결합돌기(120)의 배치 직경(D4)은 14mm(D1+W1/2) 보다는 크고 19mm(D2-W1) 보다는 작은 배치직경 사이즈를 가지며 각 결합돌기(120)의 최대 외경은 3mm로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130)는 금속 코일, 금속판 또는 플렉시블 회로기판 상의 도전 패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주파수 밴드에 적합한 형상이거나 완전 루프 또는 개방 루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120)는 인쇄회로기판이고 안테나(13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도체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부(140)는 태그 칩 및 개별 부품(커패시터, 저항 또는 인덕터 포함)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태그 회로를 포함하고 표면실장 기술로 안테나 또는 베이스 상에 실장된다. 안테나(130) 및 칩(140)은 플렉시블 기판 상에 실장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100)는 릴(10)의 아버 홀(18)에 3개의 결합돌기들(120)이 축걸림홈(18b)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도 8은 도 5의 A-A 선 단면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20)의 외주면은 신축성 있는 탄성재질(122), 예컨대 실리콘,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20)의 신축성 탄성재질은 릴(10)의 축 걸림홈(18b)의 제조사 별 오차범위에 따른 억지끼움 방식의 결합력 차이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재질(122)은 이중 사출방식에 의해 심재(124) 외부를 감싸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거나 별개의 신축성 커버를 심재에 끼워서 외피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 아니면 결합돌기 전체를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돌기(120)는 상술한 억지끼움식 이외에도 축걸림홈(18b)을 통하여 관통하여 코어(12)의 일측면에서 타측면 이상으로 돌출되고 타측면에서 서브결합부재에 딸각이식으로 결합되거나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1변형예(200)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2변형예(300)이다.
제1변형예(200)의 전자태그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비교하여 2개의 결합돌기(220)로 구성한 점이 다르다. 제2변형예(300)의 전자태그는 하나의 결합돌기(320)로 구성한 점이 다르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및 제2변형예들(200, 300)은 릴 중심에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지만 중심의 통공에 의해 축이 릴 축공(18a)에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리더기 안테나의 독취 범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2실시예(400)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2실시예(400)를 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실시예(400)는 원판형 베이스(410)의 에지에서 하나의 결합돌기(420)가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베이스(410)에는 안테나(430)가 설치되고 안테나(430)에 칩(440)이 연결된다. 결합돌기(420)는 릴(10)의 아버 홀(18)에 형성된 3개의 축걸림홈(18b) 중 어느 하나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전자태그(400)를 릴(10)에 고정시킨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10)의 축공(18a)의 직경(D1)을 벗어나 릴(10)에 결합되므로 축공(18a)에 축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리더기 안테나의 독취 범위에 크게 벗어나지 않게 위치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3실시예(500)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제3실시예(500)를 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실시예(500)는 개구리 얼굴 형상의 베이스(510)의 개구리 눈 부위에서 두개의 결합돌기(520)가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베이스(510)에는 안테나(530)가 설치되고 안테나(530)에 칩(540)이 연결된다. 결합돌기(520)는 릴(10)의 아버 홀(18)에 형성된 3개의 축걸림홈(18b) 중 인접하는 2개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전자태그(500)를 릴(10)에 고정시킨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10)의 축공(18a)의 직경(D1)을 벗어나 릴(10)에 결합되므로 축공(18a)에 축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릴 중심 근처에 위치하므로 리더기 안테나의 독취 범위에 크게 벗어나지 않게 위치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4실시예(600)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B-B선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600)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다른 점은 베이스(610), 걸림돌기(620) 및 안테나(130)를 금속도체를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한 점이 다르다.
즉 베이스(610) 및 안테나(630)는 릴의 축공(18a) 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일측에 갭(612)이 형성된 오픈 루프형상으로 형성된다. 갭(612) 부위의 양단이 회로부(640)의 안테나 단자 쌍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합돌기(620)는 축 걸림홈(18b)에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 복원되고, 그 종단에는 축 걸림홈(18b)의 반대편 에지에 걸리는 걸림턱(622)이 형성된 탄성편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 의하면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고, 외형에 관계없이 릴 장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여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5실시예(700)가 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5실시예(700)는 베이스(710)를 릴(10)의 플랜지(14) 일측면에 형성된 플랜지 통공(14a)에 걸기 위한 후크(750)를 더 구비한 점이 다르다. 결합돌기(720)는 1 내지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후크(750)를 플랜지 통공(14a)의 원주방향 에지에 걸고 걸림돌기(720)를 축 걸림홈(18b)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면 베이스(710)가 릴의 코어(12)의 측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후크(720)와 걸림돌기(720) 사이에 릴의 코어 일부가 꼭 끼는 형태로 결합되므로 엄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6실시예(800)가 릴에 장착되어 락킹 해제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6실시예(800)가 장착되어 락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실시예(800)는 도너츠형 베이스(810)의 외곽 에지에 2개의 회전형 후크들(852, 854)이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점이 다르다. 회전형 후크(852)는 플랜지 통공(14a-1)에 삽입되고, 회전형 후크(854)는 플랜지 통공(14a-2)에 삽입된 다음에 베이스(810)를 회전시키면 회전형 후크(852, 854)가 플랜지 통공(14a-1, 14a-2)의 반경방향 에지(14b)에 걸려서 락킹상태로 된다. 제6실시예(800)는 플랜지(14)에 2개 이상의 플랜지 통공들(14a)이 형성된 릴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7실시예(900)의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23은 제7실시예를 릴의 플랜지(14)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제7실시예를 릴의 플랜지(16)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7실시예(900)는 상술한 실시에들과 비교하면 길이조정수단(960)을 구비한 점이 다르다. 릴(10)은 제조사, 릴의 종류, 부품의 종류에 따라 플랜지 통공들의 숫자, 크기 형상들이 다르고, 코어의 직경도 달라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릴의 크기나 형상 또는 플랜지 통공들의 숫자나 크기가 서로 달라도 모든 릴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베이스와 후크 사이의 길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7실시예(900)는 오픈 루프 형상의 금속 링으로 구성된 베이스 및 안테나(910, 930), 회로부(940), 제1후크(952), 제2후크(954) 및 길이조정수단(960)을 포함한다.
길이조정수단(960)은 고정부(962)와 가동부(964)를 포함한다. 고정부(962)는 베이스(910)의 일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가이드 통공(962a)이 형성된 밴드 형상이다. 고정부(962)의 길이 방향 에지에는 톱니(962b)가 형성된다. 고정부(962)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베이스(9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부(964)는 제1가이드 바(964a), 제2가이드 바(964b), 제1탄성 가이드 레일(964c), 제2탄성 가이드 레일(964d), 제1가이드 돌기(964e), 제2가이드 돌기(964f), 제1스톱퍼(964g) 및 제2스톱퍼(964h)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 바(964a)의 일단과 제2가이드 바(964b)의 일단 사이에 제1탄성 가이드 레일(964c)이 형성되고, 제1가이드 바(964a)의 타단과 제2가이드 바(964b)의 타단 사이에 제2탄성 가이드 레일(964d)이 형성된다. 제1가이드 바(964a)의 상면에는 제1가이드 돌기(964d)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 바(964a)의 하면에는 제1후크(95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 바(964b)의 상면에는 제2가이드 돌기(964e)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탄성 가이드 레일(964c)의 중간에 제1스톱퍼(964g)가 톱니(962b)에 치합되게 형성된다. 제2탄성 가이드 레일(964d)의 중간에 제2스톱퍼(964h)가 톱니(962b)에 치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동부(964)의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964e, 964f)가 고정부(962)의 가이드 통공(962a)에 끼워져 고정부(96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스톱퍼(964g, 964h)는 톱니(962b)의 곡부에서는 락킹상태를 유지한다. 가동부(964)의 이동시 제1 및 제2스톱퍼(964g, 964h)가 톱니(962b)의 곡부에서 첨두 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에 제1 및 제2탄성 가이드 레일(964c, 964d)이 밀리면서 제1 및 제2가이드 바(964a, 964b)의 사이가 좁혀지고, 제1 및 제2스톱퍼(964g, 964h)가 톱니(962b)의 첨두에서 곡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에 제1 및 제2탄성 가이드 레일(964c, 964d)이 복원되면서 제1 및 제2가이드 바(964a, 964b)의 사이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된다. 그러므로 가동부(964)에 형성된 제1후크(952)의 위치가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므로 후크(952)와 베이스(910) 사이의 길이 조정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후크(954)와 베이스(910) 사이의 길이 조정도 동일 방식으로 조정 가능하게 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및 제2후크(952, 954)와 베이스(910) 사이의 길이 조정이 양측에서 각각 조정 가능하므로 베이스(910)의 중심이 릴의 축공 중심과 일치하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릴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형상이 서로 달라도 본 발명의 제7실시예(900)는 길이조정수단(960)에 의해 양측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릴의 다양한 측면 형상에 관계없이 모든 릴에 대해서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릴용 착탈식 전자태그의 제8실시예(1000)의 평면도이고, 도 26은 제8실시예를 릴의 플랜지(14)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1000)는 상술한 제7실시예와 길이조정수단(960)을 고무 밴드(160)로 구성한 점이 다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8실시예(1000)는 오픈 루프 형상의 금속 링으로 구성된 베이스 및 안테나(1010, 1030), 회로부(1040), 제1후크(1052), 제2후크(1054) 및 길이조정수단(1060)을 포함한다.
길이조정수단(1060)은 고무 밴드로 구성한다. 고무 밴드(1060)는 베이스(1010)의 제1 및 제2밴드체결부(1012, 1014) 및 제1및 제2후크(1052, 1054)의 밴드 체결구(1052a, 1054a)에 체결된다. 제1 및 제2밴드체결부(1012, 1014)는 베이스(1010)의 북쪽과 남쪽 에지를 절곡하여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릴의 일측면의 하나의 플랜지 통공(14a-1)에 제1후크(1052)를 걸고 다른 하나의 플랜지 통공(14a-2)에 제2후크(1054)를 걸어서 본 발명의 제8실시예(100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릴의 두 개의 플랜지 통공들(14a-1, 14a-2) 사이의 거리에 관계없이 모든 릴에 대해서 릴축 중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착탈식 전자태그는 릴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없이 모든 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릴을 릴 수납장치에 보관시에 릴 수납 방향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아무렇게나 꽂아도 리더기 안테나의 독취 범위 내에 전자태그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릴에 감겨진 부품을 다 소진한 경우에 릴을 쓰레기 처리할 때 릴에 결합된 본 발명의 전자태그는 분리시켜서 재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후크는 클립 또는 플랜지 통공에 걸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포함하는 대표적 명칭으로 사용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태그의 중심이 반드시 릴의 축 중심과 일치할 필요는 없다. 리더기의 독취범위 내에서 착탈식 전자태그가 릴의 일측면에 위치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리더기의 독취범위가 플랜지 영역까지 확대된다면 코어 영역을 벗어나 플랜지 영역에 착탈식 전자태그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릴에 장착되는 착탈식 전자태그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전자태그는
    상기 릴의 회전축공의 지름 보다 큰 내경을 가진 링형 베이스;
    상기 링형 베이스에 설치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링형 베이스에 설치된 회로부; 및
    상기 링형 베이스가 상기 릴의 회전축공에 동심원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릴의 일측면에 상기 링형 베이스를 릴 케이스의 분해조립없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한 착탈식 전자태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릴의 일측면 코어영역 내에 결합되는 착탈식 전자태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릴의 축공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 걸림홈에 삽입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로 구성된 착탈식 전자태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는 상기 링형 베이스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인 착탈식 전자태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는 외주면이 신축성 있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착탈식 전자태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링 형상이고, 상기 링의 외경은 상기 릴의 코어 반경과 동일하거나 작고, 상기 링의 내경은 상기 릴의 축공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보다 큰 착탈식 전자태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 및 안테나는 하나의 도체판에 일체로 형성된 착탈식 전자태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를 상기 릴의 플랜지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에 걸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를 더 구비한 착탈식 전자태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베이스와 후크 사이에는 길이조정수단이 더 형성된 착탈식 전자태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수단은
    신축성 밴드로 구성된 착탈식 전자태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수단은
    상기 링형 베이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따라 상기 후크를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소정 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에 락킹되는 가동부를 구비한 착탈식 전자태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릴의 플렌지 일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들에 상기 베이스를 걸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들로 구성된 착탈식 전자태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후크 사이에는 길이조정수단이 더 형성된 착탈식 전자태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수단은
    신축성 밴드로 구성된 착탈식 전자태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수단은
    상기 링형 베이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따라 상기 후크를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소정 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에 락킹되는 가동부를 구비한 착탈식 전자태그.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들은 복수개이고 하나의 후크는 상기 릴의 플렌지 일측면에 형성된 하나의 통공에 걸리고, 다른 하나의 후크는 다른 하나의 통공에 걸리는 착탈식 전자태그.
KR1020170007192A 2017-01-16 2017-01-16 착탈식 전자태그 KR101910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192A KR101910265B1 (ko) 2017-01-16 2017-01-16 착탈식 전자태그
PCT/KR2018/000676 WO2018131967A1 (ko) 2017-01-16 2018-01-15 착탈식 전자태그
CN201880007098.XA CN110178144B (zh) 2017-01-16 2018-01-15 可拆卸电子标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192A KR101910265B1 (ko) 2017-01-16 2017-01-16 착탈식 전자태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294A KR20180084294A (ko) 2018-07-25
KR101910265B1 true KR101910265B1 (ko) 2018-10-19

Family

ID=6284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192A KR101910265B1 (ko) 2017-01-16 2017-01-16 착탈식 전자태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10265B1 (ko)
CN (1) CN110178144B (ko)
WO (1) WO2018131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8886A (zh) * 2019-07-22 2019-09-27 杭州沃朴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落结构及装有该结构的防脱落管理装置
CN110348557B (zh) * 2019-07-26 2024-04-16 惠州市雅博聚力科技有限公司 电缆电子标签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901A (ja) 2008-08-07 2010-02-18 Panasonic Corp 電子部品供給用フィーダ、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rfid管理システム
JP2010074066A (ja) * 2008-09-22 2010-04-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リール管理システム
JP2011070749A (ja) * 2009-09-28 2011-04-07 Fujifilm Corp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64014A1 (en) * 2004-04-08 2005-10-08 Unknown Closed-loop reel setup verification and traceability
JP2007004938A (ja) * 2005-06-27 2007-01-11 Fujifilm Holdings Corp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DE102007017120A1 (de) * 2007-04-11 2008-10-23 Siemens Ag Zuordnung zwischen Gebinde-Aufnahmefach und Bauelement-Zuführvorrichtung mittels Führungselement
KR100883996B1 (ko) * 2007-07-05 2009-02-17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Rfid 안테나 어레이
JPWO2009004728A1 (ja) * 2007-07-05 2010-08-26 富士通株式会社 Rfidタグおよびrfidタグの製造方法
JP4946830B2 (ja) * 2007-11-28 2012-06-06 Tdk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ケースおよび情報記録媒体
JP5671874B2 (ja) * 2009-12-28 2015-02-1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タグ
WO2014038061A1 (ja) * 2012-09-07 2014-03-13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照合システム
EP3622790A1 (en) * 2015-02-19 2020-03-18 Mycronic AB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hanging display information on a display arranged on a storage location by activating input mea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901A (ja) 2008-08-07 2010-02-18 Panasonic Corp 電子部品供給用フィーダ、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rfid管理システム
JP2010074066A (ja) * 2008-09-22 2010-04-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リール管理システム
JP2011070749A (ja) * 2009-09-28 2011-04-07 Fujifilm Corp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1967A1 (ko) 2018-07-19
CN110178144A (zh) 2019-08-27
KR20180084294A (ko) 2018-07-25
CN110178144B (zh)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265B1 (ko) 착탈식 전자태그
US4583641A (en) Article packaging system
US7334734B2 (en) Non-contact IC module
EP2911244B1 (en) Antenna and antenna manufacturing method
US20080217394A1 (en) Operation support system, component arrangement recognition method and cassette arrangement recognition method i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WO2004030148A1 (ja) Rfid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5091434A1 (ja) 記録媒体用icタグ貼付シート及び記録媒体
CN102292783A (zh) 磁性元件
TWI445248B (zh) 無線標籤
EP1385115A2 (en) Replaceable memory element in a single reel tape cartridge
US9524460B2 (en) System for processing media units and an associated media roll
CN109844594B (zh) 用于卷绕光纤线缆类型的一定长度的线缆的卷盘
US11136195B2 (en) Holder for conveyance of cylindrical body
JP6092879B2 (ja) テープフィーダ照合システム
JP4175501B2 (ja) テープフィーダのリール装着構造及びリール誤装着防止方法
JP2011219254A (ja) 電子部品搬送用リール体
US10576763B2 (en) Tape cassette
JP5176131B2 (ja) ケーブル管理用icタグ
JP2008158845A (ja) 無線icタグおよび中間icタグ体
JP2010021840A (ja) Rfidタグおよびrfidタグの製法
JP2008299424A (ja) 長尺材用無線icタグホルダー
JP2010177389A (ja) 部品情報読取装置用アンテナおよび部品パッケージ
JP4028537B2 (ja) 部品の管理方法
KR101252151B1 (ko) 테이프 릴
CN212075013U (zh) 用于运输多个部件的柔性承载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