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468B1 -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468B1
KR101909468B1 KR1020160182498A KR20160182498A KR101909468B1 KR 101909468 B1 KR101909468 B1 KR 101909468B1 KR 1020160182498 A KR1020160182498 A KR 1020160182498A KR 20160182498 A KR20160182498 A KR 20160182498A KR 101909468 B1 KR101909468 B1 KR 10190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urchase
purchase history
his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7800A (ko
Inventor
방윤경
Original Assignee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2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46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7/3055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매한 물품들의 구매내역을 통합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각각 관리되는 구매내역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구매내역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분석한 통계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물품을 효율적으로 재구매 또는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PURCHASE DETAILS MANAGEMENT BASED ON REAL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매한 물품들의 실 구매내역을 통합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 및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각각 관리되는 실 구매내역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실 구매내역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분석한 통계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물품을 효율적으로 재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및 모바일 무선통신 단말의 보급과 사용증가로 인해 사람들의 생활양식뿐만 아니라 쇼핑분야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그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즉, 구매자가 판매자와 직접 대면하여 물품을 구매하던 전통적인 쇼핑방식은 인터넷을 통해 가상으로 제품 정보를 취합하고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쇼핑(Online shopping)방식으로 확장되고 있다.
온라인쇼핑은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물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이 가진 이동성과 즉시성이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들의 니즈(needs)를 충분히 만족시켜, 현대인들에게 적합한 소비 트렌드(trends)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쇼핑몰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쇼핑몰은 물품을 사용자에게 판매하기 위해 온라인쇼핑몰별로 쇼핑애플리케이션을 각각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쇼핑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에 각각 접속하여 필요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쇼핑서비스의 형태는 각 온라인쇼핑몰에서 제공하는 독립적인 쇼핑애플리케이션이나 웹페이지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물건을 구입한 후 재구입을 원하거나, 최종적으로 물품을 구매하였는지에 대한 여부, 여러 가지의 물품을 서로 다른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동시에 구매하였을 경우에 해당 구매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을 일일이 방문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쇼핑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매한 물품에 대한 구매내역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진정한 실 구매정보에 기반하여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 구매정보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구매정보, 즉 남과 주고받는 선물, 가족과 주고받는 구매품을 필터링하여 걸러내고 진정한 사용자 자신의 구매정보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구매한 물품들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있지만 사용자의 메일함에서 구매내역 등을 단순히 검색하고 관리해주는 기능에 불과하다. 즉 사용자는 상기 플랫폼에 온라인쇼핑몰관련 메일이 수신되는 이메일 계정을 등록하고, 상기 플랫폼은 각각의 온라인쇼핑몰에서 보내는 이메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온라인쇼핑 구매내역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온라인쇼핑몰에서는 별도의 통합 이메일 플랫폼을 이용해야 하거나 또는 제대로 된 정보를 보내지 않을 경우 상기 관리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온라인쇼핑몰, 결제시스템 또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제공받아, 이를 통합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물품별 온라인쇼핑몰 정보, 물품별 카테고리, 월별 또는 날짜별 통계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계획적으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특정 물품에 대하여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재구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6647호(2010.04.08.)는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한 구매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 각 클라이언트 시스템(기업 시스템)의 정보 및 상기 각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한 상품의 구매내역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공유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상품 주문 및 구매내역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 유사한 점은 있으나, 반면에 본 발명은 쇼핑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쇼핑몰에서 물품을 구매한 경우, 해당 구매내역에 관한 데이터를 온라인쇼핑몰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분석한 통계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에 대한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과거에 구매한 물품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재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5-0082716호(2015.07.16.)는 포인트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물품판매점(예: 커피 판매점, 의류 판매점, 음식 판매점)으로부터 물품결제에 대한 포인트를 지급하는 단말을 통해 포인트 정보 데이터 수신하여, 이를 분류, 저장,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판매점에서 지급받은 포인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판매점에서 발행한 포인트를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복수의 단말로부터 생성되어 제공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부분 유사한 특징이 있으나, 반면에 본 발명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로부터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전송받아, 해당 물품의 구매내역정보, 구매내역에 대한 통계데이터 및 분석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내역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통계데이터 및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 물품을 계획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특정 물품에 대한 재구매를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이러한 기술적 구성을 전혀 언급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과 상기 선행기술은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온라인쇼핑몰 시스템, 결제시스템 또는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물품 구매 내역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에 대한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집되는 물품 구매내역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구매내역에 대한 월별, 날짜별, 카테고리별, 온라인쇼핑몰별 통계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물품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재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물품을 구매한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분석한 통계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소비성향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리적으로 물품구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을 통해서 구매한 구매내역을 직접적으로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 구매정보에 기반하여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구매정보, 즉 남과 주고받는 선물, 가족과 주고받는 구매품을 필터링하여 걸러내고 진정한 사용자 자신의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는 복수의 온라인쇼핑몰로부터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수집하는 구매내역 수집부, 상기 수집한 구매내역을 토대로 각 사용자별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소비패턴 분석부 및 상기 수집한 구매내역 및 분석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로 제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온라인쇼핑몰로부터 제공되는 구매내역을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부 및 상기 구매내역 수집부를 통해 사용자별 새로운 구매내역이 수집되는 경우, 과거에 저장된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하는 구매내역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과거에 저장된 사용자별 구매내역에 상기 수집된 새로운 구매내역을 추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매내역 수집부는, 상기 복수의 온라인쇼핑몰로부터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제공받아 각 사용자에 대한 구매내역을 수집하거나, 구매물품에 대한 대금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시스템으로부터 결제내역을 제공받아 각 사용자에 대한 구매내역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데이터는, 상기 수집한 구매내역을 시기별(계절별, 월별, 일별)로 분석한 통계데이터, 물품별 구매주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데이터는, 이미지, 텍스트, 그래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차트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방법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로부터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수집하는 구매내역 수집 단계, 상기 수집한 구매내역을 토대로 각 사용자별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소비패턴 분석 단계 및 상기 수집한 구매내역 및 분석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로 제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온라인쇼핑몰로부터 제공되는 구매내역을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단계 및 상기 구매내역 수집부를 통해 사용자별 새로운 구매내역이 수집되는 경우, 과거에 저장된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하는 구매내역 업데이트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과거에 저장된 사용자별 구매내역에 상기 수집된 새로운 구매내역을 추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매내역 수집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온라인쇼핑몰로부터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제공받아 각 사용자에 대한 구매내역을 수집하거나, 구매물품에 대한 대금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시스템으로부터 결제내역을 제공받아 각 사용자에 대한 구매내역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데이터는, 상기 수집한 구매내역을 시기별(계절별, 월별, 일별)로 분석한 통계데이터, 물품별 구매주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데이터는, 이미지, 텍스트, 그래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차트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에 대한 사용자의 실 구매내역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복수의 물품에 대한 구매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온라인쇼핑몰에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에 대한 실 구매내역을 통합한 구매내역 정보와 각 구매내역에 대한 온라인쇼핑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특정 물품에 대한 재구매를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실 구매내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분석한 통계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본인의 소비성향과 지출내역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계획적이고 합리적인 물품구입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에 대한 사용자 구매내역을 수집하여, 사용자별로 자신의 구매내역을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 결제시스템(400)과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자는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배포하며, 상기 사용자는 직접 상기 통합관리 장치(100)에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 APP store)로부터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가 된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는 이동성과 즉시성을 구비한 스마트폰, 모바일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이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애플리케이션 실행환경을 제공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범용 컴퓨터나 노트북 PC 등과 같이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단말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에서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쇼핑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에 설치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온라인쇼핑몰(300)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에 대한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한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함으로서,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내역 통합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을 통해 물품을 구매한 사용자의 구매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한 구매내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하나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상기 각 온라인쇼핑몰(300)로부터 물품을 구매한 경우에 상기 각 온라인쇼핑몰(3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제공받거나, 은행 또는 신용카드 회사 등에 구축되어 있는 결제시스템(400)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하고 해당 물품에 대한 결제내역을 제공받음으로써, 상기 구매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온라인쇼핑몰(300)을 통해 물품을 구매하고, 상기 구매한 물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물품에 대한 결제내역을 수집하여 사용자별 구매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을 통해서 구매한 구매내역을 직접적으로 통합관리할 수도 있으며, 실 구매정보에 기반하여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구매정보, 즉 남과 주고받는 선물, 가족과 주고받는 구매품을 필터링하여 걸러내고 진정한 사용자 자신의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필터링은 이메일, 결제정보 등을 이용하고 참조하되, 구체적인 배송지(자택, 직장 등)를 더 참조하여 사용자 개인의 실질적인 구매정보를 추출해 내는 과정이다.
한편 상기 구매내역은, 구매물품, 물품을 구매한 날짜, 물품가격, 물품을 구매한 온라인쇼핑몰에 대한 정보(예: 온라인쇼핑몰 이름, URL 등), 카테고리(예: 패션, 가구, 식물, 생활용품, 가전용품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결제시스템(400)은 온라인쇼핑몰(300)과의 연동을 통해 신용카드, 실시간 계좌이체, 가상계좌, 스마트폰 결제, 유선전화 결제, 상품권 결제 등의 다양한 전자결제서비스를 지원한다.
또한 결제시스템(400)은 통합관리 장치(100)와의 연동(제휴)하여 특정 사용자가 물품 구입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통합관리 장치(100)로 해당 결제내역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통합관리 장치(100)가 상기 제공받은 결제내역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는,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부(110),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0), 데이터베이스(500)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부(130), 사용자 데이터를 관리하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140),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1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제공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구매내역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해당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운영체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버전으로 제작되어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다운로드한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에 사용자 ID, 단말 정보, 비밀번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등록을 수행함으로써, 구매내역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구매내역, 상기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분석한 통계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에 대한 로고버튼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로고버튼을 터치하면 해당 온라인쇼핑몰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물품을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통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로부터 과거에 구매하였던 구매내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통계데이터를 통해 계절별, 월별, 날짜별로 어떠한 제품군을 주로 구매하였는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물품에 대해 재구입을 원할 경우에는 상기 온라인쇼핑몰 로고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특정 물품을 판매하는 해당 온라인쇼핑몰로 연결되어 쉽게 재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대금결제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물품을 재구매하거나 구매한 경우 상기 대금결제기능을 통해 상기 재구매 또는 구매한 특정 물품에 대한 대금을 결제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 단말, 결제시스템(400),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과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구매내역 통합관리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또한 DB 인터페이스부(130)는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500)에 구매내역 통합관리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 정보, 해당 사용자의 구매내역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140)는 사용자별로 구매내역에 대한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여 통합관리하며, 새로운 물품을 구입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한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하여, 사용자별 구매내역에 대한 정보를 최신의 상태로 유지 관리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140)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50)는 상기 수집한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상기 등록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50)는 수집한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분석한 통계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특정 물품에 대한 재구매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부(150)는,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과 연동하여,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또는 로고버튼을 등록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한 이미지 또는 로고버튼을 이용하여 해당 온라인쇼핑몰(300)에 곧바로 접속하여 온라인쇼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50)는 결제시스템(400)과 연동하여 다양한 결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쇼핑몰(300)로부터 물품을 구매한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용카드, 실시간 계좌이체 등을 통해 해당 물품에 대한 대금결제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부(150)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의 구성부분에 대한 동작과 구성부분 간 데이터의 흐름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140)와 서비스 제공부(150)는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 구현되어 자체적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관리하고 또한 구매정보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140)는, 사용자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정보 관리부(141),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수집하는 구매내역 수집부(142) 및 상기 수집한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하는 구매내역 업데이트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정보 관리부(141)는,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를 통해 제공한 사용자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사용자정보 관리부(141)는 상기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구매내역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로그인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와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상호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정보는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로 제공되는 것으로, 사용자 ID, 비밀번호, 사용자 단말정보(예: 전화번호, 단말번호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구매내역 수집부(142)는 사용자별 물품 구매내역을 수집한다. 한편 상기 물품은 일반적으로 일정하게 쓸 만한 값어치가 있는 물건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의 물품은 치료, 운송 등과 같은 서비스, 개임이나 교육 등을 위해 구매되는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재화로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구매내역 수집부(142)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쇼핑몰(300)로부터 물품을 구매한 경우, 해당 온라인쇼핑몰(300)로부터 구매내역을 제공받아, 이를 사용자별로 분류 및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한다.
한편 구매내역 수집부(142)는, 상기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로부터 구매내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뿐만 아니라, 결제시스템(400)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에서 물품을 구입하고, 각 온라인쇼핑몰(300)에서 제공하는 결제서비스를 통해 대금결제를 수행한 경우에는 상기 결제시스템(400)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결제내역을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의 구매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구매내역에 대한 정보는 온라인쇼핑몰(300) 또는 결제시스템(400)이외에 사용자가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쇼핑몰(300)에 접속하여 물품을 구매하고 대금결제를 수행한 경우,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대금결제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구매내역 수집부(142)로 상기 수집한 대금결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매내역은, 각 사용자별로 수집되어 통합관리 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에 대한 정보(예: 물품명, 구매수량, 가격), 상기 물품을 구매한 온라인쇼핑몰정보(예: 이름, URL과 같은 온라인주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한편,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에서 제공되는 구매내역은 서로 다른 데이터포맷으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매내역 수집부(142)는 상기 제공받은 구매내역으로부터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에 대한 정보, 온라인쇼핑몰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통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관리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진정한 실 구매정보에 기반하여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하므로, 실 구매정보를 수집하여야 한다. 여기서 실 구매정보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구매정보, 즉 남과 주고받는 선물, 가족과 주고받는 구매품을 필터링하여 걸러내고 진정한 사용자 자신의 구매정보를 말한다.
상기 구매내역 수집부(142)는 구매내역을 수집할 때, 필터링부를 두어, 결제정보 또는 온라인쇼핑몰에서 제공하는 구매내역을 이용하고 참조하되, 구체적인 배송지(자택, 직장 등)를 더 참조하여 사용자 개인의 실질적인 구매정보를 추출해 내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구매내역 업데이트부(143)는 특정 사용자가 새로운 물품을 구매하여 온라인쇼핑몰(300)로부터 해당 물품에 대한 구매내역을 수신하는 경우, 과거에 저장된 특정 사용자에 대한 구매내역에 상기 수신한 구매내역을 추가함으로써, 업데이트한다. 이를 통해 항상 최신의 구매내역을 유지 및 관리하고,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는 구매내역 제공부(151), 상기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분석하는 소비패턴 분석부(152) 및 상기 분석한 사용자의 소비패턴에 대한 분석데이터를 제공하는 통계데이터 제공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구매내역 제공부(151)로부터 구매내역을 수신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에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소(미도시)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구매내역 제공부(151)는 구매내역을 기반으로 물품별로 계절별, 구매날짜별, 온라인쇼핑몰별, 카테고리별(예: 패션, 가구, 식품, 생활용품, 가전 등)로 분류한 구매내역을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며,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분류한 구매내역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비패턴 분석부(152)는 상기 수집한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토대로 각 사용자별 소비패턴을 분석한 분석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분석데이터를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소비성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석데이터는 상기 수집한 구매내역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을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시기별(계절별, 월별, 일별)로 분석한 통계데이터로써, 보고서 형식으로 제공되며, 품목별 분류(카테고리)를 통해 목적에 따른 사용자 자신의 소비패턴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석데이터는 자주 구매한 물품 또는 소모품에 대한 구매주기를 분석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매주기를 참조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상기 물품을 재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소비패턴 분석부(152)는 해당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분석한 분석데이터와 타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평균한 분석데이터를 비교한 비교데이터를 제공하여, 타 사용자 대비 해당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계데이터는 계절별, 월별, 날짜별, 물품 카테고리별로 구매내역에 대한 지출금액을 분석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비패턴 분석부(152)는, 계절별, 월별, 날짜별, 물품 카테고리별 평균 지출금액을 계산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지출경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비패턴을 분석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실 구매정보에 대해서 필터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실 구매정보를 바탕으로 각 구매정보에 대한 스코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링은 각 구매정보가 소비패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 및 분석하고자 각 구매정보가 어떠한 분류에 속하는지 분류하고, 각 분류에 속한 품목이 전체 품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가격, 구매횟수, 명품(품질)여부 등으로 세분하여 스코어링을 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에 따라 해당 구매정보가 속한 품목의 소비패턴을 도출할 수 있으며, 상기 도출된 품목별 구매정보는 소비패턴으로 환산될 수 있다.
이러한 소비패턴은 각 사용자에 대해서는 물론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서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구매정보를 품목별로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클러스터(품목별 클러스터링 수행)를 생성한다. 여기서 품목은 예를 들어 생필품, 악세사리, 식품, 장신구, 서적, 문구류 등과 같이 분류할 수 있으며, 각 분류된 클러스터에 대해서 각 세부품목을 할당하고, 이들에 대한 구매정보를 가격, 구매횟수, 품질 등을 토대로 소비지수를 생성한다. 상기 소비지수는 해당 품목이 전체 품목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 환산한 결과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특정 품목에 대한 소비지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소비지수를 각 세부품목에 대해서도 산출하고, 몇 개의 품목에 대해서 그룹핑한 소비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세부품목, 품목 및 그룹핑된 품목에 대해서 각각 소비지수를 산출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포와 패턴을 추출하는 것은 비교적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클러스터링을 위해서는 딥러닝을 이용한 기계학습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각 클러스터에 대해서 소비지수를 산출하는 것도, 빅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소비지수를 추출하기에 적합한 학습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학습모델에 사용자의 실 구매정보를 입력하면 소비지수가 예측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예측된 소비지수는 각 품목별로 추출되어 전체적으로 한 사용자가 일정기간동안 구매하고 소비한 소비패턴이 추출되며, 향후 소비할 품목이 어떤 것인지도 예측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각 사용자는 자신의 소비패턴을 예측하여 다음번에 구매할 것이 예상되는 제품의 품목을 소비지수를 예측하여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계데이터 제공부(153)는 이미지, 텍스트를 포함한 차트(예: 그래프)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자신의 소비패턴을 간편하고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쇼핑몰(300)로부터 구매한 물품에 대한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분석데이터를 토대로, 어떠한 제품군을 주로 구매하였으며, 어느 시기(즉, 계절, 월)에 어떠한 제품군을 구매하였는지를 손쉽게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물품에 대한 재구매를 합리적이고 계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 온라인쇼핑몰(300)에 대한 로고버튼이나 이미지를 터치하여, 해당 온라인쇼핑몰(300)로 접속하여 간편하게 상기 특정 물품에 대한 재구매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는 우선,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를 통해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에 접속하여,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S110).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에서 각각 수집 및 관리되는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에 설치되며,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거나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설치한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에 사용자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인증 및 사용자 등록을 수행한다(S120).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에 설치한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에서 제공한 쇼핑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에서 물품을 구매하고, 이에 대한 대금을 결제한 경우(S130), 상기 각 온라인쇼핑몰(300)은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에 해당 물품에 대한 구매내역을 전송한다(S140).
이때, 상기 온라인쇼핑몰(300)은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와 연동 또는 제휴하여 상기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상기 통합관리 장치(100)로 제공한다.
한편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와 연동 또는 제휴되는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은 상기 통합관리 장치(100)에 등록된다.
다음으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는 상기 각 온라인쇼핑몰(300)로부터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수신하여 저장하며(S150), 상기 저장한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로 제공하여(S160),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에 대한 구매내역을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로부터 수신되는 각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에 대한 소비성향을 분석한 통계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에 제공한다(S170).
한편 상기 사용자는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구매내역을 통합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제공되는 통계데이터로부터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주기를 파악하여 특정 물품을 재구매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가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온라인쇼핑몰(300)을 통해 상기 특정 물품을 재구매한 경우(S180), 상기 특정 온라인쇼핑몰(300)은 해당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내역을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로 제공한다(S190).
한편 상기 사용자가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을 통해 상기 특정 물품을 구입한 경우, 복수의 온라인쇼핑몰(300)에서 판매하고 있는 특정 물품에 대한 가격정보를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이를 참조하여 적절한 온라인쇼핑몰(300)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 물품을 재구매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는 상기 수신한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내역을 과거에 저장한 구매내역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대한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한다(S200).
다음으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100)는 상기 업데이트한 구매내역을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200)로 제공함으로서, 상기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사용자별로 자신의 구매내역을 최신의 상태로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수집되고 관리되는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거에 어떠한 물품을 구매하였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토대로 각 사용자별 소비성향 또는 소비패턴을 분석한 통계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물품을 계획적이고 효율적으로 재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110 : 애플리케이션 제공부 120 : 통신 인터페이스부
130 : DB 인터페이스부 140 :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
141 : 사용자정보 관리부 142 : 구매내역 수집부
143 : 구매내역 업데이트부 150 : 서비스 제공부
151 : 구매내역 제공부 152 : 소비패턴 분석부
153 : 통계데이터 제공부 200 :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
300 : 온라인쇼핑몰 400 : 결제시스템
5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이나 대금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수집하되, 결제정보 또는 온라인쇼핑몰에서 제공하는 구매내역을 참조하여 사용자 자신의 구매정보 이외에 남과 주고받는 선물이나 가족과 주고받는 구매품을 포함한 사용자 자신의 것이 아닌 구매정보를 필터링하여 걸러내고 실 구매정보를 수집하는 구매내역 수집부; 및
    상기 수집한 구매내역을 토대로 각 사용자별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소비패턴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내역 수집부는,
    상기 복수의 온라인쇼핑몰로부터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제공받아 각 사용자에 대한 구매내역을 수집하거나,
    구매물품에 대한 대금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시스템으로부터 결제내역을 제공받아 각 사용자에 대한 구매내역을 수집하며,
    상기 수집한 구매내역 및 상기 분석데이터를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이나 대금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매내역을 사용자의 실 구매정보에 기반하여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부; 및
    상기 구매내역 수집부를 통해 사용자별로 새로운 구매내역이 수집되는 경우, 과거에 저장된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하는 구매내역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과거에 저장된 사용자별 구매내역에 상기 수집된 새로운 구매내역을 추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데이터는,
    수집한 구매내역을 시기별(계절별, 월별, 일별)로 분석한 통계데이터, 물품별 구매주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석데이터는,
    이미지, 텍스트, 그래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차트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6.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를 통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에서,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이나 대금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수집하되, 결제정보 또는 온라인쇼핑몰에서 제공하는 구매내역을 참조하여 사용자 자신의 구매정보 이외에 남과 주고받는 선물이나 가족과 주고받는 구매품을 포함한 사용자 자신의 것이 아닌 구매정보를 필터링하여 걸러내고 실 구매정보를 수집하는 구매내역 수집 단계; 및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에서, 상기 수집한 구매내역을 토대로 각 사용자별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소비패턴 분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내역 수집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온라인쇼핑몰로부터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제공받아 각 사용자에 대한 구매내역을 수집하거나,
    구매물품에 대한 대금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시스템으로부터 결제내역을 제공받아 각 사용자에 대한 구매내역을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에서, 상기 수집한 구매내역 및 상기 분석데이터를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온라인쇼핑몰이나 대금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매내역을 사용자의 실 구매정보에 기반하여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방법은,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구매내역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단계; 및
    상기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에서, 상기 구매내역 수집 단계를 통해 사용자별 새로운 구매내역이 수집되는 경우, 과거에 저장된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하는 구매내역 업데이트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과거에 저장된 사용자별 구매내역에 상기 수집된 새로운 구매내역을 추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방법.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석데이터는,
    수집한 구매내역을 시기별(계절별, 월별, 일별)로 분석한 통계데이터, 물품별 구매주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석데이터는,
    이미지, 텍스트, 그래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차트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내역 통합관리 방법.
KR1020160182498A 2016-12-29 2016-12-29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909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498A KR101909468B1 (ko) 2016-12-29 2016-12-29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498A KR101909468B1 (ko) 2016-12-29 2016-12-29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800A KR20180077800A (ko) 2018-07-09
KR101909468B1 true KR101909468B1 (ko) 2018-10-18

Family

ID=6291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498A KR101909468B1 (ko) 2016-12-29 2016-12-29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586B1 (ko) * 2019-06-12 2021-05-13 카페24 주식회사 설정값의 집중도를 이용하여 설정값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51588B1 (ko) * 2019-06-12 2021-05-13 카페24 주식회사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51587B1 (ko) * 2019-06-12 2021-05-13 카페24 주식회사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설정값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78809B1 (ko) * 2019-11-06 2021-07-19 (주)만월회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제품과 인플루언서를 매칭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05503B1 (ko) * 2020-04-10 2022-06-07 주식회사 제로투원파트너스 소비 데이터와 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소비동향 예측 지수 생성 방법과 이를 적용한 소비동향 예측 지수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25408B1 (ko) * 2021-04-07 2022-07-27 주식회사 파인데이터랩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3224138A1 (ko) * 2022-05-17 2023-11-23 주식회사 파인데이터랩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100A (ja) * 2005-10-13 2009-03-19 崔 眞錫 加盟店への会員顧客の顧客管理情報を提供する顧客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systemandmethodforprovidinginformationofcustomer’spurchasepatterntoaffiliatedstor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707A (ko) * 2005-03-05 2006-09-1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서버와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KR20070109328A (ko) * 2006-05-10 2007-11-15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고객별 실시간 맞춤 정보 통합 제공 시스템
KR20080104398A (ko) * 2007-01-19 2008-12-03 유석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사용자의 소비 성향에 따른 정보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00863A (ko) * 2011-06-24 2013-0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방향키 탑재용 대차
KR101487199B1 (ko) * 2012-10-26 2015-02-05 남기원 데이터 분산구조를 이용한 쌍방향 데이터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11490A (ko) * 2013-03-11 2014-09-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자 영수증 발급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5288B1 (ko) * 2014-01-02 2020-07-17 십일번가 주식회사 구매이력 기반 구매 지원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60000716A (ko) * 2014-06-25 2016-01-05 (주)두드림인베스트먼트 사용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60002469A (ko) * 2014-06-30 2016-01-08 (주) 애드잇 서버 장치,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100A (ja) * 2005-10-13 2009-03-19 崔 眞錫 加盟店への会員顧客の顧客管理情報を提供する顧客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systemandmethodforprovidinginformationofcustomer’spurchasepatterntoaffiliatedsto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800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468B1 (ko)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5183817B2 (ja) 代替関係判定装置、代替関係判定方法及び代替関係判定プログラム
US202202844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CN104715391B (zh) 商品销售数据处理装置及控制方法
CN107609971A (zh) 信息处理装置及控制方法
JP5035715B1 (ja) 事業所内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
EP2513858A1 (en) Context information utilizing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CN107122965A (zh) 信息处理装置及电子票据系统
WO2014100322A1 (en) Framework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item list
JP2014016911A (ja) クーポン配布サーバ装置
JP2016071586A (ja) 家計簿管理装置、家計簿管理方法及び家計簿管理プログラム
US9727888B2 (en) Sales promotion assisting system
KR100892266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중고컴퓨터 보상판매방법
JP2012058785A (ja) 情報共有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装置
JP2002042244A (ja) バーコードによる顧客管理システム
JP2002007839A (ja) 仮想市場に於ける商取引のポイント集計システム
JP2002259757A (ja) 販売価格提示サービスシステム
JPWO2017126707A1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
JP716088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39620B1 (ko) Qr 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799628B1 (ko) 자사정보의 실시간 통합을 이용한 상권분석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095983A (ko) 할인점 온-오프라인 쇼핑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45865B2 (ja) 電子レシート管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24429B1 (ko) 모바일 스탬프 통합 앱을 활용한 영업방식
JP2011134052A (ja) 家計簿作成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