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058B1 -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9058B1 KR101909058B1 KR1020180032324A KR20180032324A KR101909058B1 KR 101909058 B1 KR101909058 B1 KR 101909058B1 KR 1020180032324 A KR1020180032324 A KR 1020180032324A KR 20180032324 A KR20180032324 A KR 20180032324A KR 101909058 B1 KR101909058 B1 KR 1019090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bar
- power
- terminal
- mounting
- terminal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디에 장착되고 신호와 전류의 전달을 단속하는 전원단속부재,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단속부재에 전달하는 버스바, 전원단속부재와 버스바에 통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와이어를 연결한 터미널부재, 및 전원단속부재와 버스바에 미연결된 터미널부재를 바디에 거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링터미널을 바디에 구비된 거치대에 거치하여 고정함으로써 릴레이의 유지 보수 후 릴레이에 링터미널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거치대를 통해 링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의 배선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별도의 스토퍼가 불필요함에 따라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링터미널을 바디에 구비된 거치대에 거치하여 고정함으로써 릴레이의 유지 보수 후 릴레이에 링터미널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거치대를 통해 링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의 배선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별도의 스토퍼가 불필요함에 따라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링터미널을 바디에 구비된 거치대에 거치하여 고정함으로써 릴레이의 유지 보수 후 릴레이에 링터미널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거치대를 통해 링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의 배선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별도의 스토퍼가 불필요함에 따라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착용 배터리는 가솔린차, 디젤차를 불문하고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퓨즈박스터미널은 상기와 같이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배터리에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이 고급화되고 차량내부의 전기장치들이 복잡해짐에 따라 퓨즈박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퓨즈박스는 여러 전장부품과 관련된 퓨즈를 집합시켜 놓은 것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각종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퓨즈박스의 내부에는 버스바 및 퓨즈박스터미널을 비롯하여 다수의 전장물이 실장된다. 퓨즈박스에는 볼트안착부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볼트안착부는 볼트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볼트의 머리부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퓨즈박스의 내부에는 버스바안착부가 형성된다. 버스바안착부는 버스바의 일부 및 터미널이 겹쳐지도록 안착되어 볼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부분이다.
퓨즈박스에는 버스바가 실장된다. 버스바는 퓨즈박스에 안착되어, 퓨즈박스터미널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모든 전장품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버스바에는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터미널에 형성된 결합공과 함께 볼트에 의해 관통되어 조여진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36538호(발명의 명칭: 퓨즈박스의 버스바 장착구조, 2007.08.28: 등록)가 제시되어 있다.
기존에 버스바를 퓨즈박스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우선 버스바를 버스바안착부에 안착시키고, 그 위에 터미널을 겹치도록 안착시키며, 볼트에 너트를 조여 버스바와 터미널이 결합되는데, 버스바를 퓨즈박스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볼트와 너트를 조이게 될 경우, 버스바가 일방향으로 휘어지는 힘을 받게 되면서 파손되거나 다른 부품들과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차량용 전원접속장치가 터미널을 거치하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링의 텐션에 의한 조립에 어려움이 있어 조립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링터미널을 바디에 구비된 거치대에 거치하여 고정함으로써 릴레이의 유지 보수 후 릴레이에 링터미널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차량용 전원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볼트로써 링터미널을 릴레이에 체결시, 거치대를 통해 링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의 배선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별도의 스토퍼가 불필요함에 따라 원가 절감을 실현하고자 하는 차량용 전원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신호와 전류의 전달을 단속하는 전원단속부재;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단속부재에 전달하는 버스바; 상기 전원단속부재와 상기 버스바에 통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와이어를 연결한 터미널부재; 및 상기 전원단속부재와 상기 버스바에 미연결된 상기 터미널부재를 상기 바디에 거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바디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부재의 하측을 거치하는 거치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리브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부재의 하측 일부를 수용하는 거치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리브는 나란하게 배치된 사이에 상기 와이어를 배선 처리함으로써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부재를 상기 전원단속부재에 체결시 상기 와이어의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버스바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링터미널을 바디에 구비된 거치대에 거치하여 고정함으로써 릴레이의 유지 보수 후 릴레이에 링터미널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볼트로써 링터미널을 릴레이에 체결시, 거치대를 통해 링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의 배선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별도의 스토퍼가 불필요함에 따라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에 터미널부재가 접속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에 터미널부재가 접속된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에 터미널부재가 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에 터미널부재가 접속된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에 터미널부재가 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에 터미널부재가 접속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에 터미널부재가 접속된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에 터미널부재가 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10)는 바디(20), 전원단속부재(30), 버스바(40), 터미널부재(50) 및 거치부(100)를 포함한다.
특히, 본원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접속장치(10)는 차량에 설치되는 정션박스나 멀티박스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물론, 전원접속장치(10)는 가정용이나 건물용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바디(20)는 전원접속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바디(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전원단속부재(30)는 바디(20)에 장착된다. 특히, 전원단속부재(30)는 바디(20)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단속부재(30)는 신호와 전류의 전달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원단속부재(30)는 전류 통전 및 제어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원단속부재(30)는 릴레이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버스바(4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단속부재(30)에 전달하기 위해 전원단속부재(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버스바(40)는 통전 재질로 이루어져 전류의 흐름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버스바(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터미널부재(50)는 전원단속부재(30)와 버스바(40)에 통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으며, 와이어(52)를 연결한다.
즉, 터미널부재(50)는 전원단속부재(30)를 통해 와이어(52)로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와이어(52)는 차량의 전장품에 연결된다.
특히, 체결부재(54)가 터미널부재(50) 및 버스바(40)에 삽입되면서 전원단속부재(30)에 체결된다. 그래서, 터미널부재(50)와 버스바(40)가 전원단속부재(30)에 연결되어 통전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체결부재(54)는 볼트나 스크류인 것으로 한다.
한편, 터미널부재(50)와 버스바(40) 및 전원단속부재(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지 보수될 경우나 교체될 경우, 터미널부재(50)는 전원단속부재(30)에 대한 구속력이 해제됨에 따라 재조립시 당겨진 후 조립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그래서, 터미널부재(50)가 전원단속부재(30)에 대한 구속력 해제 후 체결부재(54)에 의한 재체결시, 조립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에 따라, 거치부(100)가 구비된다.
거치부(100)는 전원단속부재(30)와 버스바(40)에 미연결된 터미널부재(50)를 바디(20)에 거치하기 위해 형성된다.
거치부(100)는 거치리브(110) 및 거치홈부(120)를 포함한다.
거치리브(110)는 바디(20)의 내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거치리브(110)는 체결부재(54)에 의해 전원단속부재(30)에 구속되기 전(前) 상태인 터미널부재(50)의 하측을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거치리브(110)는 터미널부재(50)와 전원단속부재(30)의 체결 부위에 인접되게 배치됨으로써, 거치된 터미널부재(50)를 전원단속부재(30)에 체결을 위한 이동 거리를 줄이도록 한다.
아울러, 거치홈부(120)는 거치리브(110)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어 터미널부재(50)의 하측 일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터미널부재(50)는 거치홈부(120)에 안착됨으로써 거치리브(1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거치홈부(120)의 크기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거치리브(110)는 하나의 터미널부재(50)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거치리브(110)는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거치리브(110) 각각은 거치홈부(120)를 함몰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터미널부재(50)에 연결된 와이어(52)는 이웃한 거치리브(11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체결부재(54)가 전원단속부재(30)에 체결시,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터미널부재(50)가 체결부재(54)에 의해 전원단속부재(30)에 결속시에도, 터미널부재(50)에 연결된 와이어(52)는 이웃한 거치리브(110)에 의해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이웃한 거치리브(110)가 와이어(52)의 스토퍼 역할을 한다.
이때, 와이어(52)는 바디(20)의 내부 하측을 통해 외부로 연결된다.
또한, 바디(20)는 버스바(4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부(60)를 형성할 수 있다.
버스바(40)가 체결부재(54)에 의해 전원단속부재(30)에 결속시 체결부재(54)로 인해 원주 방향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버스바(40)가 장착홈부(60)에 장착됨에 따라 전원단속부재(30)에 결속시 이동이나 회전 방지된다.
물론, 장착홈부(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원접속장치 20: 바디
30: 전원단속부재 40: 버스바
50: 터미널부재 52: 와이어
54: 체결부재 60: 장착홈부
100: 거치부 110: 거치리브
120: 거치홈부
30: 전원단속부재 40: 버스바
50: 터미널부재 52: 와이어
54: 체결부재 60: 장착홈부
100: 거치부 110: 거치리브
120: 거치홈부
Claims (2)
-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신호와 전류의 전달을 단속하는 전원단속부재;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단속부재에 전달하는 버스바; 상기 전원단속부재와 상기 버스바에 통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와이어를 연결한 터미널부재; 및 상기 전원단속부재와 상기 버스바에 미연결된 상기 터미널부재를 상기 바디에 거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바디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부재의 하측을 거치하는 거치리브; 및 상기 거치리브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부재의 하측 일부를 수용하는 거치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버스바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거치리브는 하나의 상기 터미널부재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미널부재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는 이웃한 상기 거치리브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체결부재가 상기 전원단속부재에 체결시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터미널부재와 상기 버스바에 삽입되면서 상기 전원단속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터미널부재와 상기 버스바가 상기 전원단속부재에 연결되어 통전되며,
상기 거치리브는 이웃되게 배치된 사이에 상기 와이어를 배선 처리함으로써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버스바와 상기 터미널부재를 상기 전원단속부재에 체결시 상기 와이어의 방향성을 유지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전원단속부재에 결속시 상기 체결부재로 인해 발생되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장착홈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2324A KR101909058B1 (ko) | 2018-03-20 | 2018-03-20 |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2324A KR101909058B1 (ko) | 2018-03-20 | 2018-03-20 |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7710A Division KR101843136B1 (ko) | 2016-11-07 | 2016-11-07 |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1451A KR20180051451A (ko) | 2018-05-16 |
KR101909058B1 true KR101909058B1 (ko) | 2018-10-17 |
Family
ID=6245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2324A KR101909058B1 (ko) | 2018-03-20 | 2018-03-20 |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9058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20932A (ja) * | 2013-05-09 | 2014-11-20 | 矢崎総業株式会社 | 丸端子固定構造 |
JP2016174504A (ja) | 2015-03-18 | 2016-09-29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電気接続箱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54379B2 (ja) * | 1996-01-08 | 2005-06-02 |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 リアクター |
JP3625114B2 (ja) * | 1996-11-29 | 2005-03-02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ヒューズボックス |
JP2006050824A (ja) * | 2004-08-05 | 2006-02-16 | Sumitomo Wiring Syst Ltd | 自動車用電気接続箱 |
KR100796030B1 (ko) * | 2006-10-31 | 2008-01-2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링터미널 및 링터미널의 고정구조 |
KR101869547B1 (ko) * | 2018-03-20 | 2018-06-20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
-
2018
- 2018-03-20 KR KR1020180032324A patent/KR1019090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20932A (ja) * | 2013-05-09 | 2014-11-20 | 矢崎総業株式会社 | 丸端子固定構造 |
JP2016174504A (ja) | 2015-03-18 | 2016-09-29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電気接続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1451A (ko) | 2018-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70184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US8638188B2 (en) | Fusible link unit | |
US8226446B2 (en) | Terminal connector for a regulator | |
US8395061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US10686261B2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US8804314B2 (en) | Electric junction box | |
US10910736B2 (en) | Charging inlet | |
US7108943B2 (en) | Structure of connecting battery terminals to bus bars | |
KR101869547B1 (ko) |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 |
JP5299698B2 (ja) | 電気接続箱 | |
KR20190057883A (ko) | 정션 블록 | |
KR20190129233A (ko) | 차량용 통전장치 | |
KR101909058B1 (ko) |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 |
KR101843136B1 (ko) |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 |
US6811412B2 (en) | Separable structured electric connection box | |
KR100755031B1 (ko) |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 |
JP2007330054A (ja) | 電気接続箱 | |
JP2002330527A (ja) | 電気接続箱 | |
JP2002280083A (ja) | 電流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 |
US7358702B2 (en) | Storage battery with auxiliary terminals | |
KR200436538Y1 (ko) | 퓨즈박스의 버스바 장착구조 | |
JP3916283B2 (ja) |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 |
JP2011223767A (ja) | 電気接続箱 | |
KR200408484Y1 (ko) | 연결브라켓 연결구조 | |
JPH11136900A (ja) | 電気機器の端子箱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