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780B1 -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780B1
KR101908780B1 KR1020160111897A KR20160111897A KR101908780B1 KR 101908780 B1 KR101908780 B1 KR 101908780B1 KR 1020160111897 A KR1020160111897 A KR 1020160111897A KR 20160111897 A KR20160111897 A KR 20160111897A KR 101908780 B1 KR101908780 B1 KR 101908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plate
frame member
holder
poll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892A (ko
Inventor
전경철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단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단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단크
Priority to KR1020160111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780B1/ko
Priority to PCT/KR2017/009574 priority patent/WO2018044109A2/ko
Publication of KR2018002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4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 A47G7/045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the flower-pots being suspended therefrom by wir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7Devices for suspending flower-pots by wir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는 화분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2차원 평면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된 후, 사용시 일부를 비틀어 3차원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가정, 사무실, 매장 등과 같은 실내에서 인테리어용 화분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으로서 자체적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가지며, 또한 저렴하게 제조 가능한 화분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PLATE TYPE FLOWERPOT SUPPORT}
본 발명은 화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가정, 사무실, 매장 등과 같은 실내에서 인테리어용 화분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으로서 자체적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가지며, 또한 저렴하게 제조 가능한 새로운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혹은 매장 내에서 배치하는 화분은 주로 바닥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화분은 사람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협소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사람 시야의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인테리어 효과가 크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실내 공간 중 바닥이 아닌 다양한 위치에 화분을 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근래에 화분을 실내의 바닥 뿐만이 아니라 컴퓨터 모니터 또는 사무실 칸막이 상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번호 10-1232449호(2013년 02월 12일 공고) "칸막이 상부 설치용 화분거치대"의 등록공보에는 가정이나 사물실에서 책상 칸막이 혹은 사무실 파티션 벽체 상부에 설치할 수 있는 화분거치대가 개시된다. 다른 예를 들면, 한국 등록실용신안번호 20-0473620호(2014년 07월 17일 공고) "모니터 걸이용 화분"의 등록공보에는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 모니터의 배면에 거치되고, 식재된 화초가 모니터의 상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모니터 걸이용 화분이 개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화분거치대는 바닥에 화분을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모니터나 칸막이에 화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람 시야에 맞춘 높이에 화분이 배치되고 바닥 공간이 협소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하지만, 이들은 모니터나 칸막이에만 특정되어 설치될 수 있어, 그 설치 위치가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용으로 실내를 장식하는 효과가 크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번호 20-0473620호(2014년 07월 17일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화분 거치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2차원적인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된 후, 사용시 손으로 일부를 비틀어 3차원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예컨대 가정, 사무실, 매장 등과 같은 실내에서 인테리어용 화분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으로서 자체적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가지며, 또한 저렴하게 제조 가능한 새로운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는, 화분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2차원 평면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된 후, 사용시 일부를 비틀어 3차원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는 금속 재질로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서, 하나의 개구면을 둘러싸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부재의 개구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화분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부재와 상기 거치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부재의 개구면과 상기 거치 부재의 표면은 동일한 2차원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되고, 사용시 상기 연결 부재를 비틀면, 그 결과 상기 거치 부재의 표면이 상기 개구면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여 별도의 대응하는 홀더 수단에 탈부착될 수 있는 홀더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부재의 개구면 내에서 거치 부재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접혀져서 소형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2차원적인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된 후, 사용시 손으로 일부를 비틀어 3차원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2차원 평면 적인 플레이트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금속판을 이용하여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가능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가 제공된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는 보관, 유통, 판매시 2차원 평판 형태의 제품으로서 제공되므로,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아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나아가 사용자는, 예컨대 가정, 사무실, 매장 등과 같은 실내에서 인테리어용 화분을 거치할 때, 2차원 평판 형태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의 일부를 비틀어 3차원 형태로 변형한 후, 원하는 화분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는, 3차원 변형 후 화분이 거치된 상태로, 벽이나 천정에 매달리거나 또는 책상이나 바닥에 세워지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화분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는, 다양한 디자인으로서 자체적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가지면서도, 저렴하게 제조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화분 배치가 가능하여 인테리어 효과가 높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의 2차원 형상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3차원 형상으로 변형한 예를 도시하는 사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에 화분이 거치된 모습을 예시하는 사진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예시하는 사진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예시하는 사진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예시하는 사진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예시하는 사진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예시하는 사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의 2차원 형상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3차원 형상으로 변형한 예를 도시하는 사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에 화분이 거치된 모습을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0)가 도시된다. 이는 화분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일단 예컨대 하나의 금속판에 소정 패턴을 가공하여 하나의 2차원 패턴을 가진 판, 시트,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된 후, 사용시 일부를 예컨대 손으로 비틀거나 접어서 3차원 형태로 변형(즉, 소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0)는, 전체적으로 소정 패턴이 형성된 원판으로 생각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 부재(11), 거치 부재(13), 연결 부재(15) 및 홀더 부재(17)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 부재(11)는, 대체로 원형의 프레임으로서 하나의 개구면(B)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진다. 이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화분이 거치되는 거치 부재(13)를 위한 기계적인 프레임 역할을 하지만, 나아가 화분을 둘러싸는 시각적 프레임으로서 전체적인 미관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도시된 예에서 베이스 프레임 부재(11)는 원형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프레임 부재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꼴, 또는 불규칙하거나 또는 잘 알려진 캐릭터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은 해당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거치 부재(13)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11)의 개구면(B)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화분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거치 부재(13)는 도시된 예에서 하나의 화분이 삽입될 수 있는 하나의 고리 형상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거치 부재가 반드시 하나의 고리 형상만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각각 화분을 삽입할 수 있는 고리를 복수개 가진 하나의 판 부재일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화분을 삽입할 수 있는 고리를 가진 다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연결 부재(15)는 거치 부재(13)를 베이스 프레임 부재(11)에 연결하는 부분이면서, 예컨대 사용자가 손으로 구부림으로써 소성 변형(즉, 변형을 일으킨 힘이 사라져도 변형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변형)되는 부분이다. 이렇게 연결 부재(15)가 소성 변형됨으로써, 처음의 2차원적인 플레이트가 3차원적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예에서, 베이스 프레임 부재(11)의 외측에 배치된 홀더 부재(17)를 더 포함한다. 홀더 부재(17)는 도시된 예에서 고리 형태이며, 별도의 대응하는 홀더 수단(예컨대, 줄)에 꿰어져서, 화분이 거치된 상태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0)가 전체적으로 높은 곳에 매달려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 부재(11)의 개구면(B)과 상기 거치 부재(13)의 표면(A)은 동일한 2차원 평면(도시된 예에서, X-Z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사용자가 화분을 거치하기 원하는 경우, 예컨대 거치 부재(13)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11)를 각각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면, 연결 부재(15)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 부재(15)가 비틀어지게 된다. 그 결과 거치 부재(13)의 표면(A)이 베이스 프레임 부재(11)의 개구면(B)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치 부재의 표면(A)이 베이스 프레임 부재의 개구면(B)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된 상태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20)가 예시된다. 이 예에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20)의 연결 부재(25)가 비틀어져 있으며, 거치 부재(23)의 표면(A)과 베이스 프레임 부재(21)의 개구면(B)은 서로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소성 변형되어 있다. 다시 발해서 거치 부재(23)의 표면(A)은 X-Y평면 상에 위치하고, 베이스 프레임 부재(21)의 개구면(B)은 X-Y평면과는 수직한 방향의 X-Z 평면 상에 위치한다.
이렇게 3차원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거치 부재(13)의 고리에 화분을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홀더 부재(27)에 줄을 꿰어 천정에 고정된 고리에 묶는 등의 방식으로 화분 및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전체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0, 20)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11, 21)의 외측 일부에 형성된 홀더 부재(17, 27)를 이용하여 매달리는 구조를 가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예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홀더 부재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아래에서 도 7 등을 참조하여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책상이나 바닥 등에 세워서 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의 2차원 형상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3차원 형상으로 변형한 예를 도시하는 사진이며,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에 화분이 거치된 모습을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40)가 도시된다. 이는 화분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일단 예컨대 하나의 금속판에 소정 패턴을 가공하여 하나의 2차원 패턴을 가진 판, 시트,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된 후, 사용시 일부를 예컨대 손으로 비틀거나 접어서 3차원 형태로 변형(즉, 소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40)는, 전체적으로 소정 패턴이 형성된 원판으로 생각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 부재(41), 거치 부재(43), 연결 부재(45), 홀더 부재(47), 및 표시면(49)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 부재(41), 연결 부재(45) 및 홀더 부재(47)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예에서 거치 부재(43)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41)의 개구면(B)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화분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된 실시예에 비하여, 거치 부재(43)는 3개의 소형 개구(430)를 가지는 원판 형상인 점에서 상이하다.
더 나아가 본 예에서, 베이스 프레임 부재(41)의 내측에서 연장된 표시면(49)이 더 포함된다. 표시면(49)은 별도의 인쇄 과정 또는 스티커를 부착함으로써 소정 디자인 형상이 표시되도록 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유사하게, 베이스 프레임 부재(41)의 개구면(B)과 상기 거치 부재(43)의 표면(A)은 동일한 2차원 평면(도시된 예에서, X-Z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사용자가 화분을 거치하기 원하는 경우, 예컨대 거치 부재(43)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41)를 각각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면, 연결 부재(45)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 부재(45)가 비틀어지게 된다. 그 결과 거치 부재(43)의 표면(A)이 베이스 프레임 부재(41)의 개구면(B)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거치 부재의 표면(A)이 베이스 프레임 부재의 개구면(B)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된 상태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50)가 예시된다. 이 예에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50)의 연결 부재(55)가 비틀어져 있으며, 거치 부재(53)의 표면(A)과 베이스 프레임 부재(51)의 개구면(B)은 서로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소성 변형되어 있다. 다시 발해서 거치 부재(23)의 표면(A)은 X-Y평면 상에 위치하고, 베이스 프레임 부재(51)의 개구면(B)은 X-Y평면과는 수직한 방향의 X-Z 평면 상에 위치한다.
이렇게 3차원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거치 부재(53)의 각각의 개구(530)에 화분(예컨대, 긴 유리관 형태의 화분)을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홀더 부재(57)에 줄을 꿰어 천정에 고정된 고리에 묶는 등의 방식으로 화분 및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전체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의 2차원 형상을 예시하는 사진이며,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3차원 형상으로 변형한 예를 도시하는 사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에 화분이 거치된 모습을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70)가 도시된다. 이는 화분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일단 예컨대 하나의 금속판에 소정 패턴을 가공하여 하나의 2차원 패턴을 가진 판, 시트,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된 후, 사용시 일부를 예컨대 손으로 비틀거나 접어서 3차원 형태로 변형(즉, 소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70)는, 전체적으로 소정 패턴이 형성된 원판으로 생각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 부재(71), 거치 부재(73), 연결 부재(75), 홀더 부재(77), 표시면(79), 및 다리 부재(78)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 부재(71), 홀더 부재(77), 및 표시면(79)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예에서 거치 부재(73)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71)의 개구면(B)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화분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거치 부재(73)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된 실시예의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점에 비하여, 하나 및 두 개의 소형 고리를 복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나아가 거치 부재(73)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된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연결 부재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 부재(71)와 연결되는 구조인 것에 비하여, 각각 하나의 연결 부재(75)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 부재(71)와 연결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유사하게, 베이스 프레임 부재(71)의 개구면과 상기 거치 부재(73)의 표면은 동일한 2차원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사용자가 화분을 거치하기 원하는 경우, 예컨대 거치 부재(73)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71)를 각각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면, 연결 부재(75)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 부재(75)가 비틀어지거나 구부러지게 된다. 그 결과 거치 부재(73)를 이루는 복수의 부재의 각각의 표면이 베이스 프레임 부재(71)의 개구면과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한 쌍의 다리 부재(78)를 더 포함한다. 다리 부재(78)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71)의 개구면 내에서 이 개구면과 동일한 2차원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사용자가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70)를 책상면이나 바닥면에 세워서 배치하기 원하는 경우, 예컨대 다리 부재(78)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71)를 각각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면, 다리 부재(78)가 베이스 프레임 부재(71)와 서로 만나는 지점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리 부재(78)가 구부러지게 된다. 그 결과 다리 부재(78)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71)의 개구면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거치 부재를 이루는 복수의 부재의 각각의 표면과 다리 부재가 베이스 프레임 부재의 개구면과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된 상태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80)가 예시된다. 이 예에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80)의 연결 부재(85)가 서로 다른 정도로 구부러져 있으며, 거치 부재(83)의 표면 베이스 프레임 부재(81)의 개구면은 서로 다른 다양한 각도로 위치되도록 소성 변형되어 있다. 나아가 구부러져 있는 한 쌍의 다리 부재(88)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81)의 하단 부분이 책상면 또는 바닥면과 접촉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80)가 바닥면에 세워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3차원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거치 부재의 각각의 개구에 화분(예컨대, 긴 유리관 형태의 화분)을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다리 부재(78, 88)을 구부려서 바닥면 상에 세우거나, 홀더 부재(77, 87)에 줄을 꿰어 천정에 고정된 고리에 묶어서 매달거나, 또는 홀더 부재(77, 87)를 벽에 고정된 못에 거는 등의 방식으로 화분 및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전체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하는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의 2차원 형상을 예시하는 사진이며,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3차원 형상으로 변형한 예를 도시하는 사진이며,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에 화분이 거치된 모습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00)가 도시된다. 이는 화분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일단 예컨대 하나의 금속판에 소정 패턴을 가공하여 하나의 2차원 패턴을 가진 판, 시트,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된 후, 사용시 일부를 예컨대 손으로 비틀거나 접어서 3차원 형태로 변형(즉, 소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00)는, 전체적으로 소정 패턴이 형성된 원판으로 생각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 부재(101), 거치 부재(103), 연결 부재(105), 홀더 부재(107), 및 다리 부재(108)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 부재(101), 거치 부재(103), 연결 부재(105), 홀더 부재(107)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고, 다리 부재(108)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다리 부재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유사하게, 베이스 프레임 부재(101)의 개구면(B)과 거치 부재(103)의 표면(A)은 동일한 2차원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사용자가 화분을 거치하기 원하는 경우, 예컨대 거치 부재(103)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101)를 각각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면, 연결 부재(105)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 부재(105)가 비틀어지게 된다. 그 결과 거치 부재(103)의 표면(A)이 베이스 프레임 부재(101)의 개구면(B)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다리 부재(108)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101)의 개구면(B) 내에서 이 개구면(B)과 동일한 2차원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사용자가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00)를 책상면이나 바닥면에 세워서 배치하기 원하는 경우, 예컨대 다리 부재(108)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101)를 각각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면, 다리 부재(108)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71)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리 부재(108)가 구부러지게 된다. 그 결과 다리 부재(108)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101)의 개구면(B)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거치 부재의 표면과 다리 부재가 베이스 프레임 부재의 개구면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된 상태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10)가 예시된다. 도 11의 (a)는 측면에서 본 사진으로서, 거치 부재(113)의 표면(A)과 베이스 프레임 부재(111)의 개구면은 직각보다 더 작은 각도를 가진다는 점이 나타나 있으며, 다리 부재(118)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111)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는 점이 나타난다. 도 11의 (b)는 정면에서 본 사진으로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10)의 연결 부재(115)가 비틀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예에서, 거치 부재(113)의 표면(A)이 베이스 프레임 부재(111)의 개구면(B)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위치되도록 소성 변형되어 있으며, 나아가 구부러져 있는 한 쌍의 다리 부재(118)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111)의 하단 부분이 책상면 또는 바닥면과 접촉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10)가 바닥면에 세워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3차원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거치 부재의 개구에 화분을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다리 부재(108, 108)을 서로 같은 방향으로 구부려서 바닥면 상에 세울 수 있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예에서, 다리 부재(108, 118)을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홀더 부재(107, 117)에 줄을 꿰어 천정에 고정된 고리에 묶어서 매달거나, 또는 홀더 부재(107, 117)를 벽에 고정된 못에 거는 등의 방식으로 화분 및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전체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하는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의 2차원 형상을 예시하는 사진이며,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3차원 형상으로 변형한 예를 도시하는 사진이며,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에 화분이 거치된 모습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30)가 도시된다. 이는 화분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일단 예컨대 하나의 금속판에 소정 패턴을 가공하여 하나의 2차원 패턴을 가진 판, 시트,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된 후, 사용시 일부를 예컨대 손으로 비틀거나 접어서 3차원 형태로 변형(즉, 소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30)는, 화분을 거치하기 위한 화분 거치부(130A)와, 화분이 소정 높이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130B)로 구분될 수 있다.
화분 거치부(130A)는 전체적으로 소정 패턴이 형성된 원판으로 생각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 부재(131), 거치 부재(133), 연결 부재(135), 및 홀더 부재(137)를 포함한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고, 다만 베이스 프레임(131)의 하단에 지지부(130B)가 연결된다는 점만이 상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지지부(130B)는, 예컨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의 다리 부재를 확장 변형한 구조물로서, 구체적으로 지주부(132), 서포트 프레임부(134), 및 연결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지주부(132)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131)의 하단 외측에서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되어, 바닥면에서부터 화분 거치부(130A)를 소정 높이까지 띄우는 역할을 한다. 서포트 프레임부(134)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30)의 전체 무게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을 커버하도록 하는 프레임 부재이다. 서포트 프레임부(134)의 크기나 형상은, 비록 도시된 예에서 소정 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36)는 힘을 받으면 비틀려짐으로써 소성 변형되는 부분이다.
이 실시예에서, 화분 거치부(130B)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들과 유사하게, 베이스 프레임 부재(131)의 개구면(B)과 거치 부재(133)의 표면(A)은 동일한 2차원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사용자가 화분을 거치하기 원하는 경우, 예컨대 거치 부재(133)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131)를 각각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면, 연결 부재(135)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 부재(135)가 비틀어지게 된다. 그 결과 거치 부재(133)의 표면(A)이 베이스 프레임 부재(131)의 개구면(B)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예컨대, 직각으로)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지지부(130B)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111)의 개구면(B) 동일한 2차원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사용자가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30)를 책상면이나 바닥면에 세워서 배치하기 원하는 경우, 예컨대 지지부(130B)의 지주부(132)와 서포트 프레임부(134)를 각각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면, 지주부(132)와 서포트 프레임부(134)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136)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부(136)가 비틀어지게 된다. 그 결과 서포트 프레임부(134)는 지주부(132)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거치 부재의 표면과 서포트 프레임부가 베이스 프레임 부재의 개구면 및 지주부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된 상태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40)가 예시된다.
본 예에서, 지지부(140B)의 지주부(142)는 화분 거치부(140A)의 베이스 프레임 부재(141)의 개구면(B)에 대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서포트 프레임부(144)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141)의 개구면(B)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는 위치로 변형된다. 다시 말해서 서포트 프레임부(144)와 거치 부재(143)의 표면(A)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141)의 개구면(B)과 지주부(142)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3차원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화분 거치부의 거치 부재에 화분을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지지부를 변형시켜 바닥면 상에 세울 수 있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예에서 지지부(130B, 140B)를 변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홀더 부재(137, 147)에 줄을 꿰어 천정에 고정된 고리에 묶어서 매달거나, 또는 홀더 부재(137, 147)를 벽에 고정된 못에 거는 등의 방식으로 화분 및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전체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하는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예시하는 사진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의 2차원 형상을 예시하는 사진이며,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를 3차원 형상으로 변형한 예를 도시하는 사진이며, 도 18은 도 17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상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에 화분이 거치된 모습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60)가 도시된다. 이는 화분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일단 예컨대 하나의 금속판에 소정 패턴을 가공하여 하나의 2차원 패턴을 가진 판, 시트,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된 후, 사용시 일부를 예컨대 손으로 비틀거나 접어서 3차원 형태로 변형(즉, 소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60)는, 전체적으로 소정 패턴이 형성된 직사각형 판으로 생각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 부재(161), 거치 부재(163), 연결 부재(165), 홀더 부재(167), 및 다리 부재(168)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 부재(161)는, 대체로 사각형의 프레임으로서 하나의 개구면(B)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진다. 이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화분이 거치되는 거치 부재(163)를 위한 기계적인 프레임 역할을 하지만, 나아가 화분을 둘러싸는 시각적 프레임으로서 전체적인 미관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거치 부재(163)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161)의 개구면(B)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화분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거치 부재(163)는 도시된 예에서 6개의 화분이 삽입될 수 있는 6개의 개구(1630)을 포함하는 하나의 소형 판이다.
한편, 연결 부재(165)는 거치 부재(163)를 베이스 프레임 부재(161)에 연결하는 한 쌍의 브릿지 부분이면서, 예컨대 사용자가 손으로 구부림으로써 소성 변형되는 부분이다. 이렇게 연결 부재(165)가 소성 변형됨으로써, 처음의 2차원적인 플레이트가 3차원적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예에서, 베이스 프레임 부재(161)의 내측에 배치된 홀더 부재(167)를 더 포함한다. 홀더 부재(167)는 도시된 예에서 3개의 구멍이 뚫어져 있는 스트립 형태이며, 별도의 대응하는 홀더 수단(예컨대, 줄)에 꿰어져서, 화분이 거치된 상태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60)가 전체적으로 높은 곳에 매달려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 부재(161)의 개구면(B)과 상기 거치 부재(13)의 표면(A)은 동일한 2차원 평면(도시된 예에서, X-Z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사용자가 화분을 거치하기 원하는 경우, 예컨대 거치 부재(163)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161)를 각각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면, 연결 부재(165)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 부재(165)가 비틀어지게 된다. 그 결과 거치 부재(163)의 표면(A)이 베이스 프레임 부재(161)의 개구면(B)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예컨대, 직각으로)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2쌍의 다리 부재(168)를 포함한다. 다리 부재(168)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161)의 하단부 좌측에 한쌍, 우측에 한쌍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60)를 바닥면에 세워서 배치하기 원하는 경우, 예컨대 다리 부재(168)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161)를 각각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면, 다리 부재(168)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161)가 만나는 위치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리 부재(168)가 구부러지게 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거치 부재의 표면(A)이 베이스 프레임 부재의 개구면(B)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되고, 다리 부재가 구부러져서 세워져 있는 상태의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70)가 예시된다. 이 예에서,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70)의 연결 부재(175)가 비틀어져 있으며, 거치 부재(173)의 표면(A)과 베이스 프레임 부재(171)의 개구면(B)은 서로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소성 변형되어 있다. 다시 발해서 거치 부재(173)의 표면(A)은 X-Y평면 상에 위치하고, 베이스 프레임 부재(171)의 개구면(B)은 X-Y평면과는 수직한 방향의 X-Z 평면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다리 부재(178)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2개씩 모두 4개가 구부러져 바닥면에 접촉함으로써,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170)를 세워지도록 한다.
이렇게 3차원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거치 부재(163)의 6개의 개구(1730)에 각각 화분을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다리 부재(178)와 베이스 프레임 부재(171)의 하단부를 바닥면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바닥면에 세워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시공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 20, 40, 50, 70, 80, 100, 110, 130, 140, 160, 170 : 화분 거치대
11, 21, 41, 51, 71, 81, 101, 111, 131, 141, 161, 171 : 베이스 프레임 부재
13, 23, 43, 53, 73, 83, 103, 113, 133, 143, 163, 173 : 거치 부재
15, 25, 45, 55, 75, 85, 105, 115, 135, 145, 165, 175 : 연결 부재
17, 27, 47, 57, 77, 87, 107, 117, 137, 147, 167, 177 : 홀더 부재
430, 530, 1730 : 소형 개구
78, 88, 108, 118, 168, 178 : 다리 부재
132, 142 : 지주부
134, 144 : 서포트 프레임부
136, 146 : 연결부

Claims (5)

  1. 화분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하나의 개구면(B)을 둘러싸는 베이스 프레임 부재(11)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부재(11)의 개구면(B)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화분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 부재(13);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부재(11)와 상기 거치 부재(13)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5)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부재(11)의 개구면(B)과 상기 거치 부재(13)의 표면(A)은 동일한 2차원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되고, 사용시 상기 연결 부재(15)를 비틀면, 그 결과 상기 거치 부재(13)의 표면(A)이 상기 개구면(B)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소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는 금속 재질로 일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부재(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여 별도의 대응하는 홀더 수단에 탈부착될 수 있는 홀더 부재(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부재(11)의 개구면(B) 내에서 거치 부재(13)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접혀져서 소형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KR1020160111897A 2016-08-31 2016-08-31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KR101908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897A KR101908780B1 (ko) 2016-08-31 2016-08-31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PCT/KR2017/009574 WO2018044109A2 (ko) 2016-08-31 2017-08-31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897A KR101908780B1 (ko) 2016-08-31 2016-08-31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92A KR20180024892A (ko) 2018-03-08
KR101908780B1 true KR101908780B1 (ko) 2018-10-16

Family

ID=6130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897A KR101908780B1 (ko) 2016-08-31 2016-08-31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8780B1 (ko)
WO (1) WO2018044109A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033B2 (ja) * 1997-07-10 2000-06-26 木村化工機株式会社 ステンレス鋼防食表面処理方法
JP2001292642A (ja) 2000-04-10 2001-10-23 Yukako Kanai システム植木鉢スタンド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033Y2 (ko) * 1988-03-31 1991-12-25
JPH0391760U (ko) * 1989-12-28 1991-09-18
JP3057033U (ja) * 1998-08-26 1999-03-26 俊雄 野治 植木鉢ホルダおよび植木鉢スタンド
KR200232459Y1 (ko) * 1999-03-04 2001-09-13 이상현 화분대
JP3091760U (ja) * 2002-07-29 2003-02-14 昌弘 洲浜 園芸ポット安定具
KR101014627B1 (ko) * 2008-10-29 2011-02-16 심이성 화분
JP2012179029A (ja) * 2011-03-02 2012-09-20 Yamabe Seisakusho:Kk 植木鉢スタンド
KR200473620Y1 (ko) 2013-04-26 2014-07-17 이언호 모니터 걸이용 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033B2 (ja) * 1997-07-10 2000-06-26 木村化工機株式会社 ステンレス鋼防食表面処理方法
JP2001292642A (ja) 2000-04-10 2001-10-23 Yukako Kanai システム植木鉢スタンド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91760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92A (ko) 2018-03-08
WO2018044109A2 (ko) 2018-03-08
WO2018044109A3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4444B (en) Commodity display device
US4026508A (en) Hanger bracket
US6212810B1 (en) Pole system for displaying picture frames
US4319421A (en) Ceiling grid suspension display device
US1387765A (en) Display-stand
US8083077B2 (en) Display device
KR101908780B1 (ko)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US3263355A (en) Card holding device
US2993604A (en) Display stand
US6709339B1 (en) Quick exchange infinity mirro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40263919A1 (en) Multi-functional slats for use in various support structures
US6405879B1 (en) Vertical card display
EP4046699A1 (en) Puzzle case with mounting accessories
US10068501B2 (en) Modular light merchandising system
CA2406326A1 (en) Watch display stand and support
KR20190013300A (ko) 매장용 입체 쇼케이스
KR200484632Y1 (ko) 헤어브러시 진열대
US7380764B2 (en) Prayer rug/QURAN stand
ES2343718B1 (es) Colgador multiuso.
KR200410555Y1 (ko) 고정식 거치대
JP2004073690A (ja) 食品サンプル展示具
JP7300712B2 (ja) 保持装置
JP2533659Y2 (ja) 商品カード保持具
RU29836U1 (ru) Стенд для подвешивания и демонстрации различного товара
JP3238683U (ja) ハンガー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