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440B1 - 구조정용 후크장치 - Google Patents

구조정용 후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440B1
KR101908440B1 KR1020170060479A KR20170060479A KR101908440B1 KR 101908440 B1 KR101908440 B1 KR 101908440B1 KR 1020170060479 A KR1020170060479 A KR 1020170060479A KR 20170060479 A KR20170060479 A KR 20170060479A KR 101908440 B1 KR101908440 B1 KR 101908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topper
groove
main body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삼
김영태
차정환
류동준
Original Assignee
바다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다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다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40Use of lowering or hoisting gear
    • B63B23/58Use of lowering or hoisting gear with tackle engaging or release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02Davits, i.e. devices having arms for lowering boats by c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40Use of lowering or hoisting gear
    • B63B23/60Additional connections between boat and davits
    • B63B2734/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정에 설치하며, 개방걸림홈 및 잠김걸림홈이 형성된 본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핀으로 설치하며, 일측에는 스토퍼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후크,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핀으로 설치하고, 일측에는 본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걸림후크가 대응되게 회전하면서 개방상태 또는 잠김상태가 되도록 스토퍼걸림홈에 삽입상태로 걸림 배치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후크스토퍼, 후크스토퍼에 연결 설치하며, 일측에는 작업자가 후크스토퍼의 핀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개방걸림홈 또는 잠김걸림홈에 삽입 걸림되는 고정바를 구비하고, 작업자에 의해 당겨질 때까지 탄성력에 의해 개방걸림홈 또는 잠김걸림홈에 고정바를 삽입 걸림된 상태로 유지하는 후크제어핸들을 포함하는 구조정용 후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정용 후크장치{Hook device for rescue boat}
본 발명은 구조정을 선박에 걸림상태로 연결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구조정용 후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정은 선박의 대빗에 설치되어, 무동력 구명벌의 예인이나 본선의 인명 또는 해상에서 위험에 처해 있는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정은 선박에 로프로 걸림 설치되도록 후크장치를 구비한다. 따라서, 구조정이 선박에 마련된 대빗의 작동에 의해 늘어뜨려지는 로프에 의해 강하되면, 후크장치를 조절하여, 로프에 걸림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구조정을 선박으로부터 이탈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정용 후크장치는, 선박으로부터 이탈하기 위한 후크의 작동을 유압수단이나 케이블을 이용하는 바, 선원이 상기 후크장치를 작동하더라도 상기 후크가 바로 작동되지 않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에 작동됨으로 인해 선박에서 빠른 이탈이 어렵게 된다. 더불어, 종래에는 유압수단이나 케이블의 이상으로 인해 상기 후크가 선박에 걸림된 상태에서 해제되지 못하면서 상기 구조정이 선박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정용 후크장치는, 파도나 바람 또는 선박의 진동에 따른 외부조건에 의해 후크의 개방상태나 폐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후크장치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856호(2009.03.16)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구조정의 이탈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작동성을 보장함과 더불어 구조정에서의 이탈을 위한 후크의 개방 또는 구조정에 걸림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후크의 폐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구조정용 후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구조정에 설치하며, 개방걸림홈 및 잠김걸림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핀으로 설치하며, 일측에는 스토퍼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후크,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핀으로 설치하고, 일측에는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후크가 대응되게 회전하면서 개방상태 또는 잠김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토퍼걸림홈에 삽입상태로 걸림 배치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후크스토퍼, 상기 후크스토퍼에 연결 설치하며, 일측에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후크스토퍼의 핀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개방걸림홈 또는 잠김걸림홈에 삽입 걸림되는 고정바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자에 의해 당겨질 때까지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방걸림홈 또는 상기 잠김걸림홈에 상기 고정바를 삽입 걸림된 상태로 유지하는 후크제어핸들을 포함하는 구조정용 후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걸림홈은 상기 후크스토퍼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후크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후크스토퍼의 회전시, 상기 걸림후크에 접하는 상기 걸림부 단부가 상기 스토퍼걸림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스토퍼이동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후크스토퍼에 고정 결합되는 관 구조의 연결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드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후크제어핸들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연결대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며, 일단 외측에는 상기 고정바가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핀이 형성된 관 구조를 가지는 핸들스토퍼, 일단은 상기 가이드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대의 타단 내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대 내측에 삽입 배치하며, 상기 작업자에 의한 당김힘이 발생하기 전까지 상기 핸들스토퍼의 일단이 상기 후크스토퍼 방향으로 밀림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핸들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의 외측에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후크제어핸들이 회전할 때, 상기 본체의 테두리 부분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고정바이동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정용 후크장치는, 본체에 걸림후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후크스토퍼의 걸림부는 걸림후크의 스토퍼걸림홈에 삽입 걸림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후크제어핸들의 회전을 통한 신속한 걸림후크의 개방 또는 잠김이 이루어지게 한다. 더불어 작업자에 의한 당김힘이 발생하기 전까지 후크제어핸들의 고정바가 탄성력에 의해 본체의 개방걸림홈 또는 잠김걸림홈에 걸림상태가 유지되면서 걸림후크의 개방 또는 잠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정용 후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정용 후크장치의 잠김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정용 후크장치의 개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정용 후크장치의 후크제어핸들 당김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걸림후크의 핀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정용 후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정용 후크장치의 잠김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정용 후크장치의 개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구조정용 후크장치는, 본체(100), 걸림후크(200), 후크스토퍼(300), 후크제어핸들(4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구조정(도면미도시)에 고정되게 결합하는 부분으로, 이후 설명될 걸림후크(200)와 걸림스토퍼(3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구조정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후크(200)와 걸림스토퍼(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판 부재(101,10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판 부재(101,102) 사이는 스페이서(103)를 통해 연결 결합되어, 걸림후크(200)와 걸림스토퍼(300)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 지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 테두리 부분,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판 부재(101,102)의 각 일측 테두리 단부에는 이후 설명될 후크제어핸들(400)의 고정바(411)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 걸림되는 개방걸림홈(110) 및 잠김걸림홈(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걸림홈(110)은 이후 설명될 걸림후크(200)의 개방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바(411)를 삽입상태에서 걸림되게 하며, 상기 잠김걸림홈(120)은 걸림후크(200)의 잠김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바(411)를 삽입상태에서 걸림되게 한다. 이때, 상기 개방걸림홈(110) 및 상기 잠김걸림홈(120)은 고정바(411)의 회전반경에 위치하는 상기 판 부재(101,102)의 일측 테두리 단부에 형성되어, 후크제어핸들(400)을 후크스토퍼(300)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할 때,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바(411)가 상기 개방걸림홈(110) 또는 상기 잠김걸림홈(120)에 삽입 걸림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회전 가능하게 스프링핀(131)으로 결합 설치되는 회전걸림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걸림대(130)의 하단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된 걸림핀(140)에 의해 걸림상태로 지지된다. 즉, 상기 회전걸림대(130)는 상기 스프링핀(131)의 탄성력에 의해 일측방향,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힘을 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걸림대(130)의 하단이 상기 걸림핀(140)에 걸림상태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걸림대(130)는 타측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바, 이후 설명될 걸림후크(200)가 잠김된 상태에서 로프(10)를 걸림 배치시, 로프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밀림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로프(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회전걸림대(1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바, 걸림후크(200)를 잠김한 상태에서 로프(10)를 걸림후크(200)에 걸림 배치시키고자 할 경우, 회전걸림대(130)를 회전시킨 후 걸림후크(200)에 쉽게 걸림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후크(200)는 상기 구조정을 상기 선박의 대빗이나 크레인의 로프(10)에 연결상태로 거치될 수 있게 걸림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걸림후크(200)는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핀(201)으로 결합 설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후크(200)는 상기 본체(100)의 판 부재(101,102) 사이에 삽입 배치하며, 상기 판부재(101,102)에 결합되는 상기 핀(20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후크(200)의 일측에는 상기 핀(201)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공(20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기 핀(201)의 중앙에는 구리스주입홀(201a)이 형성되고, 상기 핀(201)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리스주입홀(201a)에 연결되도록 구리스연결홀(20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리스주입홀(201a)에는 윤활유를 공급하는 구리스니플(도면미도시)을 연결하여, 상기 구리스주입홀(201a)에서 상기 구리스연결홀(201b)을 통해 윤활유가 공급되게 하면서, 상기 걸림후크(200)와 상기 핀(201) 사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되게 함과 더불어 상기 걸림후크(200)와 상기 핀(201)이 맞닿는 면이 부식되면서 고착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후크(200)의 일측에는 이후 설명될 후크스토퍼(300)의 연결대(320)를 삽입상태로 걸림되게 할 수 있도록 스토퍼걸림홈(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걸림홈(210)은 후크스토퍼(300)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후크(200)의 일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스토퍼걸림홈(210)은 후크스토퍼(300)의 회전시, 연결대(320) 단부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라운진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스토퍼(300)는 이후 설명될 후크제어핸들(40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후크(200)를 개방상태 또는 잠김상태가 되도록 상기 걸림후크(200)에 연결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후크스토퍼(300)는 상기 본체(100)의 판부재(101,102) 사이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핀(301)을 통해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후크(200)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스토퍼걸림홈(210)에 삽입상태로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부(3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310)는 상기 스토퍼걸림홈(210)에 삽입상태로 상기 걸림후크(200)에 걸림되도록 연결 배치되어, 상기 후크스토퍼(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후크(200)도 대응되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310)에는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회전시, 상기 걸림후크(200)에 접하는 상기 걸림부(310) 단부가 상기 걸림후크(200)의 스토퍼걸림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스토퍼이동롤러(31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타측에는 이후 설명될 후크제어핸들(400)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대(3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대(320)는 중공이 형성된 관 구조의 부재로, 상기 연결대(3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타측에 고정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320)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드슬릿(330)을 상기 연결대(320)의 내외측을 연결하도록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슬릿(330)은 이후 설명될 후크제어핸들(400)의 핸들스프링(420) 일단을 상기 연결대(320)에 연결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 한다.
상기 후크제어핸들(400)은 상기 작업자에 의한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상기 작업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걸림후크(200)를 개방상태로 유지되게 하거나 잠김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후크제어핸들(400)은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핀(301)을 축으로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개방걸림홈(110) 또는 상기 잠김걸림홈(120)에 삽입된 후,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방걸림홈(110) 또는 상기 잠김걸림홈(120)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후크제어핸들(400)은 핸들스토퍼(410), 핸들스프링(420)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스토퍼(410)는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연결대(3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작업자에 의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핸들스토퍼(410)는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연결대(320) 외측에 삽입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중공이 형성된 관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핸들스토퍼(4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연결대(320)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하며, 상기 핸들스토퍼(41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중공 부분을 밀폐하도록 핸들커버(410a)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스토퍼(410)의 길이방향 일단 외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개방걸림홈(110) 또는 잠김걸림홈(120)에 삽입상태로 걸림되는 고정바(411)를 수직되게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411)는 상기 본체(100)의 판부재(101,102)에 형성된 개방걸림홈(110) 또는 잠김걸림홈(120)에 각각 삽입 걸림되도록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411)의 외측에는 고정바이동롤러(41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바이동롤러(412)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후크제어핸들(400)을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핀(310)을 축으로 회전되게 할 때, 상기 본체(100)의 판부재(101,102) 테두리 부분에 접한 상태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스토퍼(410)의 길이방향 일단 내측에는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가이드슬릿(330)에 삽입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핀(4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핀(413)은 상기 핸들스토퍼(410)의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연결대(320)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호 이탈하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핸들스프링(420)은 상기 핸들스토퍼(410)의 고정바(411)를 개방걸림홈(110) 또는 잠김걸림홈(120)에 삽입 걸림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한 당김힘이 발생하기 전까지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이다. 즉, 상기 핸들스프링(420)은 상기 작업자에 의한 당김힘이 발생하기 전까지 상기 핸들스토퍼(410)의 일단이 상기 후크스토퍼(300) 방향으로 밀림되도록 상기 핸들스토퍼(410)를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핸들스프링(420)은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연결대(420) 내측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핸들스프링(420)의 일단은 상기 핸들스토퍼(410)의 가이드핀(413)에 결합되고, 상기 핸들스프링(420)의 타단은 상기 연결대(420) 타단 내측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 실시예의 구조정용 후크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걸림후크(200)가 잠김상태로 배치될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후크제어핸들(400)의 고정바(411)는 상기 본체(100)의 잠김걸림홈(120)에 삽입 걸림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후크스토퍼(300)의 걸림부(310) 단부는 상기 걸림후크(200)에 형성된 스토퍼걸림홈(210)의 'a'지점에 위치하면서 상기 걸림후크(200)를 잠김상태로 위치되게 지지한다.
이후, 상기 걸림후크(200)가 개방상태로 되게 하고자 할 경우, 도 4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후크제어핸들(400)의 핸들스토퍼(410)를 잡아당겨 상기 고정바(411)가 상기 잠김걸림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해제되게 한 후, 상기 고정바(411)를 상기 본체(100)의 개방걸림홈(110)에 삽입되도록 상기 후크제어핸들(400)의 핸들스토퍼(410)를 상기 개방걸림홈(110)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게 한다. 이렇게, 상기 고정바(411)가 상기 개방걸림홈(110)에 위치한 후, 상기 작업자가 상기 핸들스토퍼(410)를 당기는 힘을 제거할 경우, 상기 고정바(411)는 상기 개방걸림홈(11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핸들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해 안정적인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바(411)가 상기 개방걸림홈(110)에 삽입 걸림된 경우,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걸림부(310) 단부는 상기 걸림후크(200)에 형성된 스토퍼걸림홈(210)의 'b' 지점에 위치하면서 상기 걸림후크(200)를 개방상태로 위치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정용 후크장치는, 상기 본체(100)에 상기 걸림후크(20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후크스토퍼(300)의 걸림부(310)는 상기 걸림후크(200)의 스토퍼걸림홈(210)에 삽입 걸림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후크제어핸들(400)의 회전을 통한 신속한 상기 걸림후크(200)의 개방 또는 잠김이 이루어지게 한다. 더불어 작업자에 의한 당김힘이 발생하기 전까지 상기 후크제어핸들(400)의 고정바(411)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개방걸림홈(110) 또는 잠김걸림홈(120)에 걸림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걸림후크(200)의 개방 또는 잠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01,102: 판부재
103: 스페이서 110: 개방걸림홈
120: 잠김걸림홈 130: 회전걸림대
140: 걸림핀 200: 걸림후크
210: 스토퍼걸림홈 300: 후크스토퍼
320: 연결대 330: 가이드슬릿
400: 후크제어핸들 410: 핸들스토퍼
411: 고정바 412: 고정바이동롤러
413: 가이드핀 420: 핸들스프링

Claims (4)

  1. 구조정에 설치하며, 개방걸림홈 및 잠김걸림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핀으로 설치하며, 일측에는 스토퍼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후크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핀으로 설치하고, 일측에는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후크가 대응되게 회전하면서 개방상태 또는 잠김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토퍼걸림홈에 삽입상태로 걸림 배치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후크스토퍼; 및
    상기 후크스토퍼에 연결 설치하며, 일측에는 작업자가 상기 후크스토퍼의 핀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개방걸림홈 또는 잠김걸림홈에 삽입 걸림되는 고정바를 구비하고, 작업자에 의해 당겨질 때까지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방걸림홈 또는 상기 잠김걸림홈에 상기 고정바를 삽입 걸림된 상태로 유지하는 후크제어핸들;을 포함하며,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후크스토퍼에 고정 결합되는 관 구조의 연결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드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후크제어핸들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연결대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며, 일단 외측에는 상기 고정바가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핀이 형성된 관 구조를 가지는 핸들스토퍼와,
    일단은 상기 가이드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대의 타단 내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대 내측에 삽입 배치하며, 작업자에 의한 당김힘이 발생하기 전까지 상기 핸들스토퍼의 일단이 상기 후크스토퍼 방향으로 밀림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핸들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조정용 후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걸림홈은 상기 후크스토퍼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후크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후크스토퍼의 회전시, 상기 걸림후크에 접하는 상기 걸림부 단부가 상기 스토퍼걸림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스토퍼이동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하는 구조정용 후크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의 외측에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후크제어핸들이 회전할 때, 상기 본체의 테두리 부분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고정바이동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하는 구조정용 후크장치.
KR1020170060479A 2017-05-16 2017-05-16 구조정용 후크장치 KR101908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479A KR101908440B1 (ko) 2017-05-16 2017-05-16 구조정용 후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479A KR101908440B1 (ko) 2017-05-16 2017-05-16 구조정용 후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440B1 true KR101908440B1 (ko) 2018-10-16

Family

ID=6413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479A KR101908440B1 (ko) 2017-05-16 2017-05-16 구조정용 후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5544A (zh) * 2021-12-31 2022-05-06 宏光空降装备有限公司 双轨锁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285A (ko) * 2012-01-04 2013-07-12 바다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자동후크장치
KR20130080284A (ko) * 2012-01-04 2013-07-12 바다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후크장치
KR20130100502A (ko) * 2012-03-02 2013-09-11 바다중공업 주식회사 구명정용 대빗장치
KR20170043354A (ko) * 2015-10-13 2017-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회전 타워형 구명정 진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285A (ko) * 2012-01-04 2013-07-12 바다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자동후크장치
KR20130080284A (ko) * 2012-01-04 2013-07-12 바다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후크장치
KR20130100502A (ko) * 2012-03-02 2013-09-11 바다중공업 주식회사 구명정용 대빗장치
KR20170043354A (ko) * 2015-10-13 2017-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회전 타워형 구명정 진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5544A (zh) * 2021-12-31 2022-05-06 宏光空降装备有限公司 双轨锁舌装置
CN114435544B (zh) * 2021-12-31 2023-07-18 宏光空降装备有限公司 双轨锁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257B2 (en) Lifeboat suspension systems
US4093293A (en) Shackles
KR101301629B1 (ko) 선박용 자동후크장치
US8523253B1 (en) Lifting assembly
US6450558B1 (en) Snap-hook device for attachment to an object such as a ring or mooring buoy, and release thereof, particularly for boats
JP6147210B2 (ja) 管状体のロック機構
AU201522291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attachment of a payload
KR101908440B1 (ko) 구조정용 후크장치
US3372908A (en) Quickly openable snatch block
US20110247183A1 (en) Plunger pin shackle locking apparatus
KR101301628B1 (ko) 선박용 후크장치
JP2007223762A (ja) 吊りフック
KR20190033002A (ko) 선박의 해치 구조
JP5138417B2 (ja) 吊り戸の吊り下げ装置
KR20160029943A (ko) 트럭용 윙도어 잠금장치
GB2387617A (en) A karabiner
JP2007131266A (ja) フック装置及び揚艇装置
KR102311883B1 (ko) 자전거 안장을 이용한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KR20160027362A (ko) 선박 객실 비상탈출장치
KR200484678Y1 (ko) 앵커 체인 스토핑 장치
JP2016020602A (ja) 吊支式スライド扉装置およびその施錠装置
US3653101A (en) Quick-release, self-locking hook
KR101545180B1 (ko) 좌우 양측으로 개폐가능한 도어시스템
US3182348A (en) Door control arm panic release
JPH1017263A (ja) 艇吊り下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