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076B1 -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076B1
KR101908076B1 KR1020160165345A KR20160165345A KR101908076B1 KR 101908076 B1 KR101908076 B1 KR 101908076B1 KR 1020160165345 A KR1020160165345 A KR 1020160165345A KR 20160165345 A KR20160165345 A KR 20160165345A KR 101908076 B1 KR101908076 B1 KR 101908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glucopyranoside
composition
metastasis
ob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080A (ko
Inventor
마진열
김애영
임민주
조원경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0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는 동시에 암 전이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암 전이 또는 암 전이 관련 질환의 치료제, 또는 암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inhibiting metastasis comprising Piceatannol-3’-O-β-D-glucopyranoside}
본 발명은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하여 암의 전이를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은 세계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으며, 서구 사회에서는 심혈관 질환 다음으로 가장 일반적인 사망 원인이다. 특히, 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흡연 인구의 증가 및 대기 오염으로 인해 폐암이 증가하고 있으며, 식생활이 서구화되어 고지방식의 섭취가 일반화되고, 환경 오염 물질의 급격한 증가, 음주량의 증가 등으로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암의 조기 예방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인간 건강의 증진, 건강한 삶의 질 향상 및 인류 보건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항암 물질의 창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악성 종양은 대부분의 경우 하나의 장기(폐, 간, 신장, 위, 대장, 직장 등)에서 발생한 후 처음 발생한 원발 부위인 장기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퍼져 나가는데, 이렇게 원발 부위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퍼져 나가는 것을 전이(metastasis)라 한다. 전이는 악성 종양의 진행에 수반되는 현상으로, 악성 종양 세포가 증식하고 암이 진행함에 따라 전이에 필요한 새로운 유전 형질을 획득한 후 혈관과 림프선으로 침윤하고 혈액과 림프를 따라 순환하다가 다른 조직에 정착한 후 증식하게 된다.
최근 연구 결과에서 전이와 관련된 유전 형질들이 밝혀지고 있으며, 원발 조직의 유전자 검사를 통해 차후 타 장기로의 전이를 통한 재발 고위험군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전이 초기 단계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matrix metalloproteinase; MMP)는 암세포가 세포 외 기질과 기저막을 분해하여 암세포의 침윤을 유도하고 전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금까지 20종 이상이 분리, 확인되었다.
MMP는 아연을 보조 효소로 사용하는 엔도프로티나아제(endoproteinase)로, 콜라겐분해효소(collagenase), 젤라틴 분해 효소(gelatinase), 스트로멜라이신(stromelysins), Membrane-type MMP로 나뉘어진다. 특히, 이들 MMP 중에서도 MMP-2(72 kDa type IV collagenase; gelatinase A)와 MMP-9(92 kDa type IV collagenase; gelatinase B)는 기저막의 중요 성분인 Type IV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로, 암의 이동과 전이에 가장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재발 및 사망률 증가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또한, MMP-9의 프로모터 영역은 전사 인자인 AP-1과 NF-κB 결합 영역을 가지고 있으므로 TNF-α와 같은 싸이토카인이나 PMA(phorbol 12-mysistate 13-acetate)와 같은 암 유발 자극원이 이들 AP-1과 NF-κB 등의 전사 인자의 활성을 유도하여 MMP-9의 발현 및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2 및 3).
악성 종양의 전이에 대한 치료는 국소 치료와 전신 치료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악성 종양의 전이에 대한 치료의 원칙은 종양의 종류와 종양의 전이 부위에 따라 다르다. 전이에 의한 국소 증상이 심하거나, 전이에 대한 수술적 치료가 악성 종양의 자연 경과를 호전시킬 수 있다고 알려진 일부 악성 종양의 경우 전이에 대해 치료 수술 혹은 방사선 치료와 같은 국소 치료 방침을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악성 종양에서 전이가 일어난 경우 국소적인 치료보다는 항암 화학 요법과 같은 전신적인 치료를 통하여 전이 부위뿐 아니라 원발 부위의 종양을 함께 치료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하지만 림프종과 같은 극소수의 종양을 제외하고는 전이가 발생한 악성 종양의 경우 완치의 가능성은 대단히 낮다.
전이가 발생한 악성 종양에 대한 경과는 다양하며, 원발성 악성 종양의 종류와 전반적인 종양의 진행 속도에 따라 경과가 결정된다. 어떤 장기에 전이가 되었느냐에 따라 합병증은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뇌 전이의 경우 두통, 시야 감소,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골 전이의 경우 골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병적 골절이 발생할 수도 있다. 골 전이에 동반하여 고칼슘 혈증으로 의식 혼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검진을 통한 종양의 조기 발견 및 원발 종양의 유전자 검사는 전이로 인한 사망률 증가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한편, 일부 종양에서 수술적인 치료 후 보조 항암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이용하여 재발 및 전이를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치료법은 정상 세포들에게도 영향을 주어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치료 효과가 높은 대체적인 암치료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최근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물, 미생물 유래 등 천연 자원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까지 암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제들은 전신 치료용 주사제나 경구 투여제로서 혈류를 따라 전신에 비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암세포에 대한 특이성이 낮으며, 약제 투여에 따른 전신적인 부작용이 많아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많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효과를 보는 기존의 화학적 치료법 역시 부작용이 많고, 폐와 같은 장기로의 전이 등을 막을 수 있는 획기적인 신약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암 전이 또는 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소재를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가 고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으면서, 암전이 억제 효과가 있으므로, 부작용이 감소된 암전이 억제 소재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Nabeshima, K. 외, Pathol. Int., 52, pp255-264, 2002. Sato H., 외, Oncogene, 19, pp2904-2912, 2000. Lee S. O., 외, Biochem Biophys Res Commun, 354, pp165-171, 2007.
본 발명의 목적은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여 암의 전이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Piceatannol-3’-O-β-D-glucopyranoside)"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6119711449-pat00001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암 전이"란 악성 종양이 발병한 장기에서 떨어진 다른 조직으로 전파한 상태를 말한다. 하나의 장기에서 시작한 악성 종양이 진행함에 따라 처음 발생한 원발 부위인 장기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퍼져 나가는데, 이렇게 원발 부위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퍼져 나가는 것을 전이라 할 수 있다. 전이는 악성 종양의 진행에 수반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악성 종양 세포가 증식하고 암이 진행함에 따라 새로운 유전 형질을 획득하면서 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 새로운 유전 형질을 획득한 종양 세포가 혈관과 림프선으로 침입하고 혈액과 림프를 따라 순환하다가 다른 조직에 정착, 증식하게 되면 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
전이가 발생하는 조직에 따라, 간암, 폐암, 위암, 대장암, 직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또는 췌장암 등 각종 암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이를 억제하여 암이 퍼지는 것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이로부터 파생되는 암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억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암 전이 또는 전이로부터 파생한 암 관련 질환의 발병을 억제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하여, 약제학적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공인된 암 전이 억제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의 세포독성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처리한 군의 경우, 높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세포생존률을 나타내어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가 높은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세포 외 기질(ECM)을 분해함으로써 암 전이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MMP-9의 활성에 대한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의 효능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처리함으로써 PMA 자극에 의한 MMP-9의 활성 증가가 극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처리한 군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암세포 이동 능력이 억제되어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가 항전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시험관 내 트랜스웰(Transwell) 세포 이동 및 세포 침윤능 분석에서, 세포 이동과 세포 침윤 활성이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처리한 세포에서 상당히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따라서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가 세포의 이동 및 침윤 억제를 통해 항전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4a 및 도 4b).
이와 같이,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는 높은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는 동시에 암 전이 억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암 전이 억제가 필요한 개체에 투여하여 암 전이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암 전이 또는 전이로부터 파생한 암 관련 질환은 간암, 폐암, 위암, 대장암, 직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또는 췌장암 등의 각종 암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체는 암 전이 억제가 필요한 개체로서, 인간뿐만 아니라 암 전이의 억제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 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투여되는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제형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로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살리신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카르복실산 염에는,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에 의해 형성된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라이신, 아르지닌, 구아니딘 등의 아미노산 염, 디시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민, 디에탄올아민, 콜린 및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 등이 포함된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암 전이 또는 전이로부터 파생한 암 관련 질환은 간암, 폐암, 위암, 대장암, 직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또는 췌장암 등의 각종 암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는 대황의 일 성분으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정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상식할 수 있으면서도 암 전이 억제를 도모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되어 섭취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데, 상기 식품은 암 전이 억제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암 전이 억제 효과에 방해가 되지 않는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보조첨가제는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은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는 동시에 암 전이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암 전이 억제제, 또는 암 전이 억제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히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 처리에 따른 HT1080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MTT 어세이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 처리에 따른 MMP-9의 활성의 감소를 젤라틴 자이모그래피(Gelatin zymography)를 통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의 처리에 따른 상처 치유 어세이(wound healing assay)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PG) 처리에 따른 트랜스웰 세포 이동 및 세포침윤 활성 어세이(Transwell migration and invasing assay)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PG) 의 처리 농도 별 세포 이동 정도 (처리 후 8시간 경과 후) 및 세포 침윤 정도 (처리 후 24시간 경과 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에서 측정한 세포이동 정도를 세포 지수(cell index)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MTT 어세이를 이용한 피세아타놀 -3‘-O-b-D- 글루코피라노시드의 세포 독성 분석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의 세포 독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MTT 분석(MTT assay)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전이 암세포주인 HT1080에 0.25 내지 50㎍/ml 농도의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각각 처리한 후 배양하였다. 48시간 처리 후, 상기 세포에 10㎕의 MTT용액(PBS에서 5mg/ml)을 가하여 4시간 더 배양하였다. 그 다음, 포르마간(formazan) 침전물을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로 녹인 후, 흡광도를 Infinite R M200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TECAN Group Ltd. 스위스)로 570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는 고농도인 50㎍/ml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기존 항암 또는 항전이 제제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2: MMP -9의 활성 감소 분석
MMP-9는 주위 세포의 기질(ECM)을 분해함으로써 암 전이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암세포에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처리하는 경우, MMP-9의 활성이 감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젤라틴 자이모그래피(Gelatin zymography)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phobol myristate acetate; PMA)를 MMP-9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유도물질로서 사용하였다. 즉, HT1080세포를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10㎍/ml, 25㎍/ml, 50㎍/ml의 농도를 사용)가 포함된, 혈청이 없는 DMEM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에 5nM의 PMA를 처리하고 추가적으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자극하였다.
상기 PMA로 자극한 세포의 배양 배지를 0.1% 젤라틴이 포함된 8% SDS-PAGE에서 전기 영동 하고, 젤을 세척 버퍼(50 mM Tris-HCl, pH 7.5, 100 mM NaCl, 2.5% Triton X-100)로 꼼꼼히 세척한 후, 활성 버퍼(50 mM Tris-HCl, pH 7.5, 150 mM NaCl, 10 mM CaCl2, 0.02% NaN3, 1 μM ZnCl2)에 담근 다음, 37 ℃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젤을 쿠마시 브릴리언트 블루(Coomassie Brilliant Blue) R-250 염색 용액(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미국)으로 염색하고, 10% 이소프로판올/10% 아세트산(v/v) 용액으로 탈염색하였다. MMP-9의 젤라틴 분해 능력은 어두운 푸른색 배경에서 투명한 밴드로 92 kDa 크기에서 탐지되었다.
실험 결과, 성분을 처리한 경우, 이를 미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는 PMA 자극에 의한 MMP-9의 활성을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3: 세포 이동 저해 능력 분석
암세포에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처리하는 경우, 세포 이동 능력이 억제되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상처 치유 분석(wound healing assays)을 수행하였다.
약 80% 정도 단일층으로 증식된 HT1080 세포에 25 ㎍/㎖의 미토마이신 C(mitomycin C; Sigma chemical Co.)로 30분 동안 처리하여 세포 증식을 정지시킨 후, 상기 단일층에 폭이 약 2 ㎜ 정도인 상처(wound)를 만들었다. 그 다음, 떨어진 세포 부유물을 제거한 후,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50 ㎍/㎖)가 포함된 10% FBS-DMEM 배양 배지를 처리한 다음, 상처 부위에서의 세포 이동 능력을 위상차 현미경을 통해 9시간 후 그리고 15시간 후에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미처리 대조군의 HT1080 세포의 경우, 15시간 동안 손상 부위가 눈에 띄게 치유된 반면,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처리한 HT1080 세포의 경우에는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여 손상 부위로의 암세포 이동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실시예 4: 시험관 내 세포 이동 및 침윤 억제능 분석
암세포에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처리하는 경우, 세포 이동 능력 및 침윤 능력이 억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트랜스웰 이동/침윤 분석(Transwell migration/invasion assay)을 수행하였다.
8 ㎛의 구멍 크기의 폴리카보네이트 막(Corning costar, Cambridge, MA)을 가진 10 ㎜ 직경의 트랜스웰 챔버(transwell chamber)의 아래쪽 챔버에 600 ㎕의 10% FBS/DMEM를 채우고, 위쪽 챔버는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HT1080 세포(1×105개/100 ㎕)가 포함된, 혈청이 없는 DMEM 100 ㎕를 채워 넣은 후, 37℃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이동하지 않은 필터의 위쪽 표면에 남아있는 세포를 제거하고, 필터를 0.2% 크리스탈 바이올렛/20% 메탄올(w/v)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침윤능 분석은 20 ㎕의 마트리젤:DMEM의 1:2 혼합물(마트리젤, BD Biosciences, Bedford, MA, 미국)로 트랜스웰 챔버를 코팅하여 중간 침윤 장벽(intervening invasive barrier)을 형성한 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는 이의 미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의 이동능을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세포의 침윤능(마트리젤 경계를 침투하는 능력) 역시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가 처리된 세포에서 유의미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폐암, 위암, 대장암, 직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또는 췌장암인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의 농도는 10 내지 50㎍/ml인 것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는 동시에 암 전이 억제 활성을 가지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암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7.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 방법.
KR1020160165345A 2016-12-06 2016-12-06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908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345A KR101908076B1 (ko) 2016-12-06 2016-12-06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345A KR101908076B1 (ko) 2016-12-06 2016-12-06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080A KR20180065080A (ko) 2018-06-18
KR101908076B1 true KR101908076B1 (ko) 2018-10-16

Family

ID=6276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345A KR101908076B1 (ko) 2016-12-06 2016-12-06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0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6320A (zh) * 2013-11-29 2015-06-03 昆明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曲札茋苷在制备治疗癌症药物中的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6320A (zh) * 2013-11-29 2015-06-03 昆明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曲札茋苷在制备治疗癌症药物中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ARCH PHARM RES VOL 35, NO 10, PP. 1763~1770, 2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080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si et al. The Janus‐faced role of antioxidants in cancer cachexia: new insights on the established concepts
JP7112791B2 (ja) 金属イオンに結合されたイオン化合物を含む癌治療用薬学組成物
KR101561552B1 (ko) 리그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99540A (ko) 암세포의 방사선 치료에 대한 감수성 증진용 조성물
KR101908076B1 (ko) 피세아타놀-3‘-O-b-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908075B1 (ko) 라폰티신을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837692B1 (ko) 네오리큐로사이드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CN113573725A (zh) 含有if1作为活性成分的抗癌药物组合物
Kefayat et al. Phycocyanin C a natural product with impressive therapeutic efficacy for inhibition of breast tumors’ growth and metastasis in vivo
KR101800129B1 (ko)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32307B1 (ko) 죽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2349013B1 (ko) 멜라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RU2780016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рака, содержащая ионное соединение, имеющее связь с ионом металла
KR101558946B1 (ko)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 또는 암 예방용 조성물
KR20190118286A (ko) 다이알릴 다이설파이드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9036B1 (ko) 베르바민 및 sr 140333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24780B1 (ko) 정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표적치료제의 항암 활성 증진용 조성물
KR102535840B1 (ko)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위장관기질종양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KR102415193B1 (ko) 벤즈브로마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13336B1 (ko) 비피도박테리움 속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그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018795A (ko) 마이크로 RNA-30a 및 RNA-30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사선 치료 민감제 조성물
KR20180138302A (ko)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34528A (ko) 멜라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58593B1 (ko) Pi4k 동위효소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KR102455428B1 (ko)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