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387B1 - 출입형 멀티콘센트 - Google Patents

출입형 멀티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387B1
KR101907387B1 KR1020180070937A KR20180070937A KR101907387B1 KR 101907387 B1 KR101907387 B1 KR 101907387B1 KR 1020180070937 A KR1020180070937 A KR 1020180070937A KR 20180070937 A KR20180070937 A KR 20180070937A KR 101907387 B1 KR101907387 B1 KR 101907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crew
unit
socket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Priority to KR102018007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형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콘센트유닛을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출입 작동 안내하는 조작부로써, 콘센트유닛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베이스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도록 둘레면에 나사산부를 형성함에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콘센트유닛을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스크류, 하우징에 구비되어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및 하우징에 축 삽입된 경우에도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콘센트유닛의 전측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나사산을 형성한 스크류를 적용하여 콘센트유닛을 하우징에 대해 안정적으로 출입 가능하게 하고, 콘센트유닛의 케이싱이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한 채 직선 왕복 이동됨에 따라 스크류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형 멀티콘센트{IN-AND-OUT TYPE MULTI-CONCENT}
본 발명은 출입형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산을 형성한 스크류를 적용하여 콘센트유닛을 하우징에 대해 안정적으로 출입 가능하게 하고, 콘센트유닛의 케이싱이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한 채 직선 왕복 이동됨에 따라 스크류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출입형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 콘센트는 여러 개의 전기 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켓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멀티탭 콘센트는 대부분 전원코드를 통해 유입된 상용 교류전류를 다수의 전기 기구들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각 전기 기구의 플러그가 꽂아지는 소켓이 일렬 배치되고, 일측에는 주 전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전원코드를 구비한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품에 따라서는 전체 소켓 또는 개별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성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멀티탭 콘센트의 경우 소켓의 콘센트홀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먼지나 이물질이 쉽게 내부로 유입되거나 사용자의 실수로 물기 등이 쉽게 내부로 침투될 수 있어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및 전기 안전사고의 발생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시에도 상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78798호(발명의 명칭: 인출식 콘센트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인출식 콘센트 장치는 콘센트 유닛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 인출되도록 구성한 바, 탄성부재의 탄성력 저감시, 콘센트 유닛의 인출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콘센트 유닛이 순간적으로 인출됨에 따라 탄성부재와 전자부품소자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나사산을 형성한 스크류를 적용하여, 스크류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방향에 의해 콘센트유닛을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함으로써, 콘센트유닛을 하우징에 대해 안정적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형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돌부와 가이드홈부를 통해, 콘센트유닛의 케이싱이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한 채 직선 왕복 이동됨에 따라,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하는 케이싱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음으로써, 스크류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출입형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는: 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개방된 일측으로 출입되고, 하나 이상의 소켓을 상기 하우징에 출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노출되게 구비하는 콘센트유닛; 및 외부 신호에 의해, 상기 콘센트유닛을 상기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출입 작동 안내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콘센트유닛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도록 둘레면에 나사산부를 형성함에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콘센트유닛을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스크류;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하우징에 축 삽입된 경우에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콘센트유닛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최저점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거나 검출하기 위해 서포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크류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구동모터를 고정 장착하는 로어캡; 상기 로어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스크류의 노출을 방지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벽체에 결속되는 프로텍터를 포함한다.
상기 콘센트유닛은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스크류의 회전시 회전방지부에 의해 원주 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부; 및 상기 케이싱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이 상기 가이드돌부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는 종래 기술과 달리 나사산을 형성한 스크류를 적용하여, 스크류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방향에 의해 콘센트유닛을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함으로써, 콘센트유닛을 하우징에 대해 안정적으로 출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돌부와 가이드홈부를 통해, 콘센트유닛의 케이싱이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한 채 직선 왕복 이동됨에 따라,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하는 케이싱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음으로써, 스크류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의 초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의 초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콘센트(100)는 하우징(110), 콘센트유닛(120) 및 조작부(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벽체(10)에 매립되고, 적어도 벽체(10) 외측을 향하는 축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하우징(110)은 단면상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콘센트유닛(120)은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하우징(110)에 축 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콘센트유닛(120)은 미사용시 벽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구비됨에 따라 이물질이 묻는 것이 방지되고, 공간 활용성이 확대된다.
아울러, 콘센트유닛(120)은 하우징(110)에 출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소켓(124)을 노출되게 구비한다. 이로 인해, 콘센트유닛(120)이 하우징(110)에 삽입시, 소켓(124)은 외부로 노출이 방지됨으로써, 소아나 유아의 안전사고가 예방된다.
물론, 소켓(124)은 형상 및 개수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조작부(130)는 외부 신호에 의해, 콘센트유닛(120)을 하우징(110)에 축 방향으로 출입 작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콘센트유닛(120)은 조작부(130)에 의해 하우징(110)에 자동 출입됨으로써, 작동 편의성이 증대된다.
여기서, 조작부(130)는 베이스플레이트(132), 스크류(134), 구동모터(136) 및 스위치유닛(138)을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32)는 콘센트유닛(120)에 고정된다.
특히, 콘센트유닛(120)은 케이싱(122)에 의해 외형을 형성한다. 소켓(124)은 케이싱(122)의 둘레면으로 노출되도록 케이싱(122)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32)는 케이싱(122)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크류(134)는 일측이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베이스플레이트(132)에 나사 결합되도록 둘레면에 나사산부(135)를 형성한다. 그래서, 스크류(134)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콘센트유닛(120)과 베이스플레이트(132)를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콘센트유닛(120)은 하우징(110)에 출입 작동된다.
이때, 스크류(134)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베이스플레이트(132)가 하우징(110)의 축 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스크류(134)는 케이싱(122) 내부로 축 삽입됨으로써, 소켓(124)은 스크류(134)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케이싱(122) 내부에 구비된다.
구동모터(136)는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스크류(13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구동모터(136)는 하우징(110)에 고정 장착되고, 스크류(134)의 일측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기어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유닛(138)은, 콘센트유닛(120)이 하우징(110)에 축 삽입된 경우에도,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측으로 노출되도록, 콘센트유닛(120)의 전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스위치유닛(138)은 구동모터(1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스위치유닛(138)은 사용자의 조작시 구동모터(136)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구동모터(136)는 스크류(134)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된다.
이때, 스위치유닛(138)이 한번 작동되면, 스크류(134)는 구동모터(136)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베이스플레이트(132)와 콘센트유닛(120)을 케이싱(122) 내부로 설정치만큼 인입 안내한다.
반대로, 스위치유닛(138)이 한번 더 작동되면, 스크류(134)는 구동모터(136)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콘센트유닛(120)과 베이스플레이트(132)를 케이싱(122) 외부로 설정치만큼 인출 안내한다.
여기서, 스위치유닛(138)은 스윙타입 버튼이나 터치(압점) 스위치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내부에 서포터(140)를 구비한다.
서포터(140)는 최저점에 위치한 베이스플레이트(132)를 지지하여 콘센트유닛(120)의 자중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32)가 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최저점에 위치한 베이스플레이트(132)를 검출함으로써 구동모터(136)의 구동을 정지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서포터(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하우징(110)은 로어캡(112), 슬리브(114) 및 프로텍터(116)를 포함한다.
로어캡(112)은 스크류(134)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구동모터(136)를 고정 장착한다. 이때, 스크류(134)는 구동모터(136)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채 일측이 로어캡(11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물론, 로어캡(11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슬리브(114)는 로어캡(112)의 개방된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베이스플레이트(132)와 스크류(134)의 노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로어캡(112)이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132)와 스크류(134)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구동모터(136)가 내부 깊이가 깊은 로어캡(112)에 고정 설치하기 어렵다. 그래서, 로어캡(112)은 깊지 않게 형성하고, 슬리브(114)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물론, 로어캡(112)과 슬리브(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로텍터(116)는 슬리브(114)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슬리브(114)는 프로텍터(116)에 축 삽입된다. 그리고, 프로텍터(116)는 벽체(10)에 삽입된 후 벽체(10)에 결속된다.
이때, 프로텍터(116)와 슬리브(114)는 결속되고, 프로텍터(116)가 벽체(10)에 결속됨에 따라, 슬리브(114)는 벽체(10)와 결속에 따른 파손이 방지되고 벽체(1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 가능하게 된다. 물론, 프로텍터(116)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프로텍터(116)와 슬리브(114)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속되고, 프로텍터(116)는 다양한 방식으로 벽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22)은, 스크류(134)의 회전시, 회전방지부(150)에 의해 원주 방향 회전이 방지된다.
여기서, 회전방지부(150)는 가이드돌부(152) 및 가이드홈부(154)를 포함한다.
가이드돌부(152)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다. 즉, 슬리브(114)와 로어캡(112)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원주 궤적을 따라 복수 개 돌출된다. 이때, 가이드돌부(152)가 슬리브(114)와 로어캡(112)에 동시에 돌출될 경우, 대응되는 슬리브(114)의 가이드돌부(152)와 로어캡(112)의 가이드돌부(152)는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물론, 가이드돌부(15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홈부(154)는 케이싱(122)과 베이스플레이트(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대응되는 가이드돌부(152)를 수용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32)가 하우징(11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케이싱(122)이 가이드돌부(152)를 따라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콘센트유닛(120)과 하우징(110)은 가이드돌부(152)와 가이드홈부(154)를 통해 접촉됨에 따라 접촉 면적이 최소화된다. 이로 인해, 콘센트유닛(120)이 하우징(110)에 출입시 마찰력이 작아지게 됨에 따라, 콘센트유닛(120)을 이동시키기 위해 스크류(134)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6)의 부하가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출입형 멀티콘센트 110: 하우징
112: 로어캡 114: 슬리브
116: 프로텍터 120: 콘센트유닛
122: 케이싱 124: 소켓
130: 조작부 132: 베이스플레이트
134: 스크류 136: 구동모터
138: 스위치유닛 140: 서포터
150: 회전방지부 152: 가이드돌부
154: 가이드홈부

Claims (4)

  1. 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개방된 일측으로 출입되고, 하나 이상의 소켓을 상기 하우징에 출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노출되게 구비하는 콘센트유닛; 및 외부 신호에 의해, 상기 콘센트유닛을 상기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출입 작동 안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콘센트유닛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도록 둘레면에 나사산부를 형성함에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콘센트유닛을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하우징에 축 삽입된 경우에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콘센트유닛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크류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구동모터를 고정 장착하는 로어캡;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스크류의 노출을 방지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벽체에 결속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로어캡에 결속된 채 상기 스크류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콘센트유닛에 결속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나사 결합된 상기 스크류에 의해 상기 슬리브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최저점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거나 검출하기 위해 서포터를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로어캡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서포터의 설치 용이성을 위해 상기 슬리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형 멀티콘센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유닛은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스크류의 회전시 회전방지부에 의해 원주 방향 회전이 방지되며,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부; 및
    상기 케이싱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이 상기 가이드돌부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형 멀티콘센트.
KR1020180070937A 2018-06-20 2018-06-20 출입형 멀티콘센트 KR101907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937A KR101907387B1 (ko) 2018-06-20 2018-06-20 출입형 멀티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937A KR101907387B1 (ko) 2018-06-20 2018-06-20 출입형 멀티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387B1 true KR101907387B1 (ko) 2018-10-12

Family

ID=6387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937A KR101907387B1 (ko) 2018-06-20 2018-06-20 출입형 멀티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3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211B1 (ko) * 2007-01-22 2007-10-29 이상호 다세대 주택의 실내설치형 전기공급단자
KR100991709B1 (ko) * 2010-06-25 2010-11-03 김화선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CN204011885U (zh) 2014-06-18 2014-12-10 浙江华工电气有限公司 智能型升降式插座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211B1 (ko) * 2007-01-22 2007-10-29 이상호 다세대 주택의 실내설치형 전기공급단자
KR100991709B1 (ko) * 2010-06-25 2010-11-03 김화선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CN204011885U (zh) 2014-06-18 2014-12-10 浙江华工电气有限公司 智能型升降式插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39801A1 (en) Angle tool
JP5542477B2 (ja) 走行ローラ並びに走行ローラにより走行可能な物体
KR101907387B1 (ko) 출입형 멀티콘센트
KR100758689B1 (ko)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콘센트 단자함
KR20040093036A (ko) 제어회로기판을 구비한 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049697B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20010070108A (ko) 드릴 가공 또는 스크류 가공 장치
CN213389378U (zh) 洗衣机
CN108015725A (zh) 手柄组件以及具有该手柄组件的园林工具
KR100758340B1 (ko)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공급 콘센트 단자함
CN207613692U (zh) 一种洁面仪
KR200296141Y1 (ko) 콘센트
KR101753599B1 (ko) 전선권취장치
JP6581725B2 (ja) 動力工具
CN113261185A (zh) 马达以及旋转设备
CN111828632B (zh) 容器装置及容器设备
KR100601110B1 (ko) 매입형 콘센트
KR20220079265A (ko)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CN114190829B (zh) 清洁机器人的清洁组件和具有其的清洁机器人
CN211305873U (zh) 带式打磨机
CN220253159U (zh) 组合手柄模块
CN108036490B (zh) 开关门运动机构及空调器
KR100758342B1 (ko)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
KR100222645B1 (ko) 청소기의 연장관
KR102616617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