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342B1 -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 - Google Patents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342B1
KR100758342B1 KR1020070020261A KR20070020261A KR100758342B1 KR 100758342 B1 KR100758342 B1 KR 100758342B1 KR 1020070020261 A KR1020070020261 A KR 1020070020261A KR 20070020261 A KR20070020261 A KR 20070020261A KR 100758342 B1 KR100758342 B1 KR 10075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utle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호
Original Assignee
(주)대광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광기술단 filed Critical (주)대광기술단
Priority to KR102007002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구된 수용부(11)와, 수용부(11)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홀(13)과 수용부(11) 내부 양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돌부삽입홈(14) 및 제2돌부삽입홈(14`)를 갖추고서 벽체에 매설되는 케이스(10)와 ; 전면에 형성되는 플러그연결홈(24)을 갖추고서 수직방향의 회전축(23)을 매개로 케이스(10)의 수용부(1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되, 상면 또는 저면에 회전축(23)을 중심으로 이의 좌우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홈(22,22`)이 구비되어지며 제1돌부삽입홈(14) 및 제2돌부삽입홈(14`)에 삽탈되는 탄성재질의 돌부(P)가 양측면에 형성되는 본체(B)와, 본체(B)에 내설되어 플러그 본체에 삽입된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갖추고서,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콘센트(20) ;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모터(31)와, 모터(31)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피니언(32), 피니언(32)과 맞물려서 직선왕복이동되는 랙(33), 랙(33)에 고정되어 콘센트 본체(B)의 고정홈(22,22`)에 삽탈되는 스토퍼(34)를 갖춘 고정기구(30) ; 케이스(10)에 설치되어 모터(31)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50) 및 ; 케이스(10)의 외면에 설치되는 램프(62)와, 케이스(10)의 제1돌부삽입홈(14)에 설치되며 돌부(P)에 의해 ON·OFF 되어 램프(62)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버튼(61)을 갖춘 발광수단(60)로 이루어져, 플러그연결홈의 이물질 삽입으로 인한 콘센트 손상과 감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미 또한 향상되고, 어두운 곳에서도 콘센트(20)의 사용상태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Outlet Box}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구조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구조의 평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10 ; 케이스 11 ; 수용부
12 ; 정지기구삽입홈 13 ; 가이드홀
14 ; 제1돌부삽입홈 14` ; 제2돌부삽입홈
20 ; 콘센트 21 ; 가이드부 22, 22` ; 고정홈 24 ; 플러그연결홈 30 ; 고정기구 31 ; 모터 32 ; 피니언 33 ; 랙
34 ; 스토퍼 40 ; 정지기구 50 ; 스위치 60 ; 발광수단
61 ; 버튼 62 ; 램프
P ; 돌부 B ; 본체 S ; 스프링
본 발명은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매립형 콘센트와,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에 구비된 콘센트에 연결되어 다른 전기제품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콘센트등이 여러가지 구조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콘센트는 플러그가 꼽히는 플러그연결홈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도전체가 플러그연결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감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유아들은 사고능력과 판단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관심이 소홀할 시 도전체를 콘센트의 플러그연결홈에 삽입시킬 수 있어, 그 위험 정도가 더 크다 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콘센트의 플러그연결홈에 묻기 쉬워, 이로 인해 전기제품을 사용시 스파크가 이물질에 튀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손상을 입기도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플러그 연결홈으로의 이물질 삽입으로 인한 콘센트 손상과 감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주변환경이 어두운 상태에서도 콘센트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구된 수용부와, 수용부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홀과 수용부 내부 양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돌부삽입홈 및 제2돌부삽입홈를 갖추고서 벽체에 매설되는 케이스와 ; 전면에 형성되는 플러그연결홈을 갖추고서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매개로 케이스의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되, 상면 또는 저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의 좌우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홈이 구비되어지며 제1돌부삽입홈 및 제2돌부삽입홈에 삽탈되는 탄성재질의 돌부가 양측면에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에 내설되어 플러그 본체에 삽입된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갖추고서,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콘센트 ;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피니언, 피니언과 맞물려서 직선왕복이동되는 랙, 랙에 고정되어 콘센트 본체(B)의 고정홈에 삽탈되는 스토퍼를 갖춘 고정기구 ; 케이스에 설치되어 모터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및 ;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되는 램프와, 케이스의 제1 돌부삽입홈에 설치되며 돌부에 의해 ON·OFF 되어 램프로 전력을 공급하는 버튼을 갖춘 발광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구조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구조의 평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콘센트 구조는 전면이 개구된 수용부(11)와, 수용부(11)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홀(13)과 수용부(11) 내부 양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돌부삽입홈(14) 및 제2돌부삽입홈(14`)를 갖추고서 벽체에 매설되는 케이스(10)와 ; 전면에 형성되는 플러그연결홈(24)을 갖추고서 수직방향의 회전축(23)을 매개로 케이스(10)의 수용부(1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되, 상면 또는 저면에 회전축(23)을 중심으로 이의 좌우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홈(22,22`)이 구비되어지며 제1돌부삽입홈(14) 및 제2돌부삽입홈(14`)에 삽탈되는 탄성재질의 돌부(P)가 양측면에 형성되는 본체(B)와, 본체(B)에 내설되어 플러그 본체에 삽입된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갖추고서,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콘센트(20) ;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모터(31)와, 모터(31)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피니언(32), 피니언(32)과 맞물려서 직선왕복이동되는 랙(33), 랙(33)에 고정되어 콘센트 본체(B)의 고정홈(22,22`)에 삽탈되는 스토퍼(34)를 갖춘 고정기구(30) ; 케이스(10)에 설치되어 모터(31)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50) 및 ; 케이스(10)의 외면에 설치되는 램프(62)와, 케이스(10)의 제1돌부삽입홈(14)에 설치되며 돌부(P)에 의해 ON·OFF 되어 램프(62)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버튼(61)을 갖춘 발광수단(60)로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측면에 정지기구삽입홈(12)이 구비되는 한편, 콘센트 본체(B)의 외면이 라운드 처리되고, 이 라운드 처리된 콘센트 본체(B)의 측면에 가이드부(21)가 형성되어, 케이스(10)의 정지기구삽입홈(12)에 삽탈되는 정지기구(40)가 가이드부(21)에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스프링(S)을 매개로 일방향으로 탄발지지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장방형 형상으로 전면에 수용부(11)가 형성되되 수용부(11)의 양측면이 라운드 져지며, 수용부(11)의 내부 양측면에 정지기구삽입홈(1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용부(11)의 내부 상면에 가이드홀(13)이 형성되어, 벽체에 매설된다. 또한 케이스(10)의 수용부(11) 양측면으로는 상호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돌부삽입홈(14) 및 제2돌부삽입홈(14`)이 수용부(11)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콘센트(20)는 플러그삽입홈(24a)과 단자삽입홈(24b)으로 이루어진 플러그연결홈(24)을 갖춘 본체(B)와, 본체(B)에 내설되어 플러그 본체에 삽입된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갖추고서,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본체(B)는 상면에 회전축(23)을 중심으로 좌우대칭되는 고정홈(22,22`)이 형성되어, 회전축(23)을 매개로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양측면에 는 케이스(10)의 제1돌부삽입홈(14) 및 제2돌부삽입홈(14`)에 삽탈되는 돌부(P)가 형성된다. 이때 돌부(P)는 신축성이 좋은 탄성재질을 이용한다. 또한 외면이 라운드 처리되고, 이 라운드 처리된 콘센트 본체(B)의 측면에 가이드부(21)가 형성되어, 케이스(10)의 정지기구삽입홈(12)에 삽탈되는 정지기구(40)가 가이드부(21)에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스프링(S)을 매개로 일방향으로 탄발지지된다. 한편, 콘센트(20)의 전력라인은 회전축(23)을 통해 외부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기구(3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부(A)에 고정되는 모터(31)와, 모터(31)의 출력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니언(32)과, 피니언(32)과 맞물리는 랙(33)과, 랙(33)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토퍼(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31)는 모터(31)의 출력축이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여, 모터(31)의 출력축과 연동하는 피니언(32)을 회전시키고, 피니언(32)의 회전운동이 랙(33)에 의해 직선왕복이동으로 변환된다. 또한, 랙(33)에 고정된 스토퍼(34)는 랙(33)과 연동하여 상하직선왕복이동을 하게 되며, 케이스(10)의 가이드홀(13)의 안내를 받으면서 콘센트 본체(B)의 고정홈(22,22`)에 삽탈된다.
상기 정지기구(40)는 콘센트(20)의 가이드부(21)에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스프링(S)을 매개로 일방향으로 탄발지지되어, 케이스(10)의 정지기구삽입홈(12)에 삽탈되도록 왕복이동한다.
상기 스위치(50)은 케이스(10)의 외면 상면에 설치되어 모터(31)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한다.
상기 발광수단(60)은 케이스 수용부(11)의 제1돌부삽입홈(14)에 설치되는 버튼(61)과, 케이스(1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버튼(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로(62)로 구성되며, 버튼(61)은 외부 힘에 의해 눌려질 때는 전력을 공급하며, 외부 힘이 사라졌을 때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통상적인 푸쉬스위치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구조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위치(50)을 누르면, 스위치(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31)가 회전을 하고, 이와 더불어 피니언(32)이 회전을 한다. 피니언(32)의 회전은 랙(33)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랙(33)은 콘센트(20)의 고정홈(22)로부터 빠져나와 도 5와 같이 된다.
이후, 콘센트(20)을 뒤로 밀면, 콘센트(20)는 회전축(23)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려하고, 정지기구(40)는 스프링(S)을 압축시키면서 가이드부(21) 내부로 이동한다. 케이스(10)의 정지기구삽입홈(12)을 빠져나온 콘센트(20)는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케이스(10)의 정지기구삽입홈(12)을 빠져나온 정지기구(40)가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콘센트 본체(B)의 측면에 구비된 돌부(P) 또한 케이스(10)의 제2돌부삽입홈(14`)로부터 이탈된다.
이후 계속적인 회전력을 받은 콘센트(20)는 정지기구(40)가 정지기구삽입홈(12)에 삽입되어 케이스(10)에 고정되고, 콘센트(20)의 방향은 처음과 반대의 위 치가 된다. 이때 콘센트 본체(B)의 돌부(P)는 케이스(10)의 제1돌부삽입홈(14)에 삽입되며, 이와 동시에 발광수단(60)의 버튼(61)을 눌러 외부 전원으로부터 램프(62)로 전력을 공급하여, 램프(62)가 점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콘센트(20)의 위치가 반대로 되면 스위치(50)을 눌러, 고정기구(30)의 모터(31)가 역방향으로 돌아, 랙(33)이 콘센트(20)의 고정홈(22`)에 삽입고정되게 되어, 콘센트(20)가 케이스(10)에 고정되게 한다.
한편, 콘센트(20)을 다시 사용할 필요가 있을 시는 콘센트(20)를 역방향으로 돌려, 콘센트(20)를 사용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콘센트 박스는 콘센트(2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플러그가 꼽히는 콘센트(20)의 플러그연결홈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부주위로 인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사고능력과 판단능력이 부족한 유아들의 콘센트(20)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콘센트의 플러그연결홈에 묻게 하지 않아, 전기제품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에 의한 화재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 노출로 인한 물리적 손상도 입지 않는다.
게다가, 상기 램프(62)가 콘센트(20)의 전후면을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손쉽게 콘센트(2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를 벗어 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10)와 ;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콘센트(20) ;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고정기구(30) 및 고정기구(30)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50) 및 ; 콘센트(2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수단(60)으로 이루어져, 플러그연결홈의 이물질 삽입으로 인한 콘센트 손상과 감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미 또한 향상되고, 주변환경이 어두운 상태에서도 콘센트(20)의 위치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면이 개구된 수용부(11)와, 수용부(11)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홀(13)과 수용부(11) 내부 양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돌부삽입홈(14) 및 제2돌부삽입홈(14`)를 갖추고서 벽체에 매설되는 케이스(10)와 ; 전면에 형성되는 플러그연결홈(24)을 갖추고서 수직방향의 회전축(23)을 매개로 케이스(10)의 수용부(1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되, 상면 또는 저면에 회전축(23)을 중심으로 이의 좌우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홈(22,22`)이 구비되어지며 제1돌부삽입홈(14) 및 제2돌부삽입홈(14`)에 삽탈되는 탄성재질의 돌부(P)가 양측면에 형성되는 본체(B)와, 본체(B)에 내설되어 플러그 본체에 삽입된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갖추고서,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콘센트(20) ;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모터(31)와, 모터(31)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피니언(32), 피니언(32)과 맞물려서 직선왕복이동되는 랙(33), 랙(33)에 고정되어 콘센트 본체(B)의 고정홈(22,22`)에 삽탈되는 스토퍼(34)를 갖춘 고정기구(30) ; 케이스(10)에 설치되어 모터(31)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50) 및 ; 케이스(10)의 외면에 설치되는 램프(62)와, 케이스(10)의 제1돌부삽입홈(14)에 설치되며 돌부(P)에 의해 ON·OFF 되어 램프(62)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버튼(61)을 갖춘 발광수단(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측면에 정지기구삽입홈(12)이 구비되는 한편, 콘센트 본체(B)의 외면이 라운드 처리되고, 이 라운드 처리된 콘센트 본체(B)의 측면에 가이드부(21)가 형성되며, 정지기구(40)가 가이드부(21)에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스프링(S)을 매개로 외측방향으로 탄발지지되어, 콘센트 본체(B) 외부로 돌출된 정지기구(40)가 정지기구삽입홈(12)에 삽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
KR1020070020261A 2007-02-28 2007-02-28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 KR10075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261A KR100758342B1 (ko) 2007-02-28 2007-02-28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261A KR100758342B1 (ko) 2007-02-28 2007-02-28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342B1 true KR100758342B1 (ko) 2007-09-14

Family

ID=3873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261A KR100758342B1 (ko) 2007-02-28 2007-02-28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7063A (zh) * 2020-10-14 2021-01-12 王磊 一种方便安装插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846A (ko) * 2000-06-28 2002-01-05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화학 증착에 의한 다이아몬드의 티탄-붕소 및 크롬-붕소코팅법
KR100633372B1 (ko) * 2006-09-15 2006-10-16 주식회사 세종전력기술단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846A (ko) * 2000-06-28 2002-01-05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화학 증착에 의한 다이아몬드의 티탄-붕소 및 크롬-붕소코팅법
KR100633372B1 (ko) * 2006-09-15 2006-10-16 주식회사 세종전력기술단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7063A (zh) * 2020-10-14 2021-01-12 王磊 一种方便安装插座
CN112217063B (zh) * 2020-10-14 2021-11-23 山东锦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安装插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689B1 (ko)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콘센트 단자함
US7249976B1 (en) Electrical plug, receptacle and switch
JP6346957B2 (ja) 安全ソケットおよびその用途
US6750410B2 (en) Electric outlet with rotatable receptacles
US9196996B2 (en) Safe outlet
KR100759129B1 (ko) 공공주택의 실내전기공급용 소켓
KR100758340B1 (ko)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공급 콘센트 단자함
KR100739126B1 (ko) 실내 전기접속기구의 감전방지구조
KR100758342B1 (ko)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구조
KR100759121B1 (ko)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단자함
KR100760697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콘센트구조
KR100759120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콘센트 구조
KR100759119B1 (ko)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배선 단말구조
KR100760662B1 (ko) 공공주택의 매설형 콘센트 구조
KR200218451Y1 (ko) 테이블 부설용 출몰식 다기능 콘센트
KR100739886B1 (ko)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US20040009689A1 (en) Dustproof electrical wall socket
KR200184537Y1 (ko) 감전방지구가 구비된 안전콘센트
KR102483167B1 (ko) 공동주택과 실내건축물의 전기 공급용 소켓장치 제공방법
KR100758685B1 (ko) 공동주택의 안전형 전기공급단자함
KR102483168B1 (ko) 광대역 통합망 구성을 위한 기지국 접속라인의 커넥팅 소켓장치 제공방법
KR200335154Y1 (ko) 이동식 콘센트
KR100759125B1 (ko) 벽체 매설형 전기배전단자함
KR100768958B1 (ko) 공동주택의 실내벽면에 매설되는 전기콘센트박스
CN218247075U (zh) 除螨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