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709B1 -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709B1
KR100991709B1 KR1020100060337A KR20100060337A KR100991709B1 KR 100991709 B1 KR100991709 B1 KR 100991709B1 KR 1020100060337 A KR1020100060337 A KR 1020100060337A KR 20100060337 A KR20100060337 A KR 20100060337A KR 100991709 B1 KR100991709 B1 KR 10099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utlet
socket
outlet body
ou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선
Original Assignee
김화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선 filed Critical 김화선
Priority to KR102010006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는, 가구나 벽체 등에 매립되는 내부가 빈 관 형상의 하우징 및 이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선택적으로 인출되는 부재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소켓이 구비되는 콘센트 본체로 이루어진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하우징과 슬라이드 끼움구조로 결합되며 일측에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가 상기 랙기어에 기어 교합되는 구동원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원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받아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 및 스위치에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 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신호에 의해 콘센트 본체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또는 복귀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구동원에 의해 콘센트 본체의 인출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 본체가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도 외력에 의해 쉽게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종래의 수동형 인출식 콘센트 장치가 갖는 콘센트 유닛의 유동에 따른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소켓 수를 감안하여 콘센트 본체의 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콘센트 본체가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여 은폐된 상태에서는 각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락시켜 대기전원을 최소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혹시 모를 전기 누전이나 합선 등과 같은 전기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Description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Automatic in and out apparatus of Multi Concen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소켓을 형성한 멀티 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나 벽체에 매립한 상태에서 사용시 소켓 부분을 외부로 노출되게 인출시킴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소켓의 상시 노출로 인한 이물질 및 먼지 유입으로 인한 합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면서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과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 콘센트는 여러 개의 전기 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켓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멀티탭 콘센트는 대부분 전원코드를 통해 유입된 상용 교류전류를 다수의 전기 기구들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각 전기 기구의 플러그가 꽂아지는 소켓이 일렬 배치되고, 일측에는 주 전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전원코드를 구비한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품에 따라서는 전체 소켓 또는 개별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멀티탭 콘센트의 경우 소켓의 콘센트홀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먼지나 이물질이 쉽게 내부로 유입되거나 사용자의 실수로 물기 등이 쉽게 내부로 침투될 수 있어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및 전기 안전사고의 발생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시에도 상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특허출원 제10-2008-0063412호에서 ′인출식 콘센트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인출식 콘센트 장치는 벽부의 설치 공간에 매입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몸체 유닛과, 상기 몸체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된 일단부의 가압 동작에 따라 상기 몸체 유닛에 인입되거나 상기 몸체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며,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속부를 구비하는 콘센트 유닛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때의 상기 콘센트 유닛은 사용자로부터 누름 조작력을 받아 몸체 유닛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서 정지하거나 또는 몸체 유닛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정지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동 조작형 인출식 콘센트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 조작을 하여 인출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사용상의 불편함과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콘센트 유닛을 몸체 유닛으로부터 출몰시키기 위해서는 콘센트 유닛의 가압 캡부를 정확하게 수직하는 방향으로 눌러야 되므로 정확한 조작력이 요구됨에 따라 사용이 불편하고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콘센트 유닛을 몸체 유닛의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콘센트 유닛이 몸체 유닛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누름 조작을 행해야 하므로 이 역시 사용이 불편하여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 및 양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스프링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 저하로 인한 동작의 신뢰성 유지가 곤란한 단점이 있으며, 특히 콘센트 유닛이 인출되고 플러그가 꽂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콘센트 유닛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플러그가 꽂힌 상태로 콘센트 유닛이 하강하여 전기 안전사고를 유발하거나 제품 파손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위치, 적외선 센서, 유·무선 리모트콘트롤 등과 같이 다양한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콘센트 본체를 외부로 노출되게 인출 이동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하우징 내부로 삽입시켜 은폐되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 본체의 인출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소켓 수에 맞게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센트 본체가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하여 은폐된 상태에서는 각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이 단락되어 대기전원을 최소로 할 뿐만 아니라 전기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는, 가구나 벽체 등에 매립되는 내부가 빈 관 형상의 하우징 및 이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선택적으로 인출되는 부재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소켓이 구비되는 콘센트 본체로 이루어진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하우징과 슬라이드 끼움구조로 결합되며 일측에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가 상기 랙기어에 기어 교합되는 구동원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원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받아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 및 스위치에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 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소켓이 형성된 일면을 기준으로 양측면과 후면측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홈 또는 돌기 형상의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센트 본체의 레일부가 슬라이드 끼움될 수 있게 대응되는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레일부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원은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에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랙기어에 기어 교합되는 구동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단부에 고리 형상의 테두리부 및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 나사부를 구비하는 상단 마감캡이 결합되고, 상기 상단 마감캡의 하부로는 상기 체결 나사부와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 고리 형상을 가지면서 내면에 나선이 형성된 하단 마감캡이 결합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콘센트 본체는,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소켓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판형의 커버가 구비되는 가동 몸체와; 상기 가동 몸체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동원이 설치되는 안내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또는 복귀되는 콘센트 본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에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 받으며, 감지신호를 기초로 정·역모터와 동작 상태를 화면 또는 소리로 출력하는 표시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전기 연결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또는 복귀되는 콘센트 본체의 각 소켓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 받아 감지신호와 스위치의 신호를 기초로 소켓을 다단 노출되게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전기 연결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소켓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소켓전원 차단기가 연결되며, 이 소켓전원 차단기는 상기 컨트롤러로 제어신호를 인가받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신호에 의해 콘센트 본체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또는 복귀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구동원에 의해 콘센트 본체의 인출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 본체가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도 외력에 의해 쉽게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종래의 수동형 인출식 콘센트 장치가 갖는 콘센트 유닛의 유동에 따른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소켓 수를 감안하여 콘센트 본체의 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콘센트 본체가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여 은폐된 상태에서는 각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락시켜 대기전원을 최소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혹시 모를 전기 누전이나 합선 등과 같은 전기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에서 콘센트 본체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의 내부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의 제어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납되어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상부에 마련된 커버(21)에 스위치(sw)가 구비되는 콘센트 본체(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에서 콘센트 본체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상기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원(30)에 의해 승강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소켓홀(20h)이 형성된 콘센트 본체(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랙기어(35) 및 상부에 조립되어 설치 대상에 결합 고정되기 위한 상·하단 마감캡(15,17)이 구비되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로 슬라이드 인입(삽입)되어 인출 및 복귀되는 관 형상의 부재로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소켓홀(20h)이 마련되는 콘센트 본체(20)와, 이 콘센트 본체(20)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구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랙기어(35)를 따라 구동 회전하는 구동원(30)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의 내부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 단면도로서, 도 5는 콘센트 본체(20)가 하우징(10)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콘센트 본체(20)가 하우징(10)에서 인출되어 소켓홀(20h)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20)는 일측에 결합된 구동원(3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랙기어(35)를 따라 출몰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된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1)는 가구나 벽체 등과 같은 설치 대상물(100)에 매립되는 것으로, 외체를 형성하며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을 갖는 길이재의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슬라이드 끼움구조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인출 또는 복귀되며 일면에 다수의 소켓(20h)이 구비되는 콘센트 본체(20)와, 상기 콘센트 본체(20)를 하우징(10)으로부터 구동원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원(30)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4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은 관 형상으로 구비되면서 내부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랙기어(35)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설치 대상물(100)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상단 마감캡(15)과 하단 마감캡(17)이 구비된다.
상기 랙기어(35)는 후술할 구동원(30)을 구성하는 구동기어(33)와 교합되는 기어이로서 상기 콘센트 본체(20)를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 또는 그 내부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단 마감캡(15)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부에 나사체결 또는 용접으로 접합 고정되거나 또는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고리 형상을 갖는 테두리부(15b)와, 이 테두리부(15b)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감쌀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구비되면서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 나사부(15a)가 구비된다.
상기 하단 마감캡(17)은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면서 내면에 나선을 형성하여 상기 상단 마감캡(15)의 체결 나사부(15a)에 나사체결되는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충분히 수용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상단 마감캡(15)과 하단 마감캡(1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체결 나사부(15a)를 충분히 수용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설치홀(미부호)이 형성된 설치 대상물(100)을 기준으로 그 상면으로 테두리부(15b)가 위치되고 하면으로는 하단 마감캡(17)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10)을 설치 대상물(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콘센트 본체(20)는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형상의 부재로서, 일면에 다수의 소켓(20h)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콘센트 본체(20)는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부에는 접촉시 스위치(sw)가 구비된 판형의 커버(21)를 일체로 구성한 가동 몸체(23)와, 상기 가동 몸체(23)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 구비되는 것으로 냅주에 구동원(30)이 설치되는 안내 케이스(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 케이스(25)는 상기 소켓(20h)이 형성된 일면을 기준으로 양측면과 후면측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홈 또는 돌기 형상으로 된 내측 후면레일부(26) 및 내측 측면레일부(27)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내측 후면레일부(26) 및 내측 측면레일부(27)와 슬라이드 끼움될 수 있게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 후면레일부(11) 및 외측 측면레일부(1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콘센트 본체(20)는 상기 하우징(10)과 슬라이드 끼움 구조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승강 동작시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고, 안정된 승강 동작이 보장된다.
구동원(3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정역모터(31)와, 상기 정·역모터(31)에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랙기어(35)에 기어 교합되는 구동기어(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역모터(31)는 상기 컨트롤러(4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구동력을 생성하며, 상기 구동기어(33)는 상기 랙기어(35)에 기어 교합되는 요소로, 이러한 구동원(30)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4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스위치(sw)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전장품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컨트롤러(40)는 마이컴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7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2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41)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 받아 정역모터(3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회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기(41)는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는 콘센트 본체(2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요소로, 이때의 상기 감지기(41)는 각 소켓(20h)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빛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정역모터(31)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회전량에 따른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각종 위치 검출용 센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컨트롤러(40)는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 또는 복귀 이동되는 상기 콘센트 본체(2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41)에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 받으며, 이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정역모터(3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인출 완료 및 복귀 완료에 따른 정역모터(3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콘센트 본체(20)의 일측면에 마련된 다수의 소켓(20h)을 다단 노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노출된 소켓(20h)에 대해서만 전원이 공급되게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소켓(20h)에 전원 단속을 위한 공지의 스위칭 회로인 소켓전원 차단기(48)를 각각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 소켓(20h)에 대해서만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되는 소켓(20h)에 대해서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로 제어가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소켓전원 차단기(48)를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상기 소켓전원 차단기(48)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콘센트 본체(20)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상기 소켓(20h)에 상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콘센트 본체(20)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표시수단(45)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상기 표시수단(45)은 동작상태를 화면 표시요소인 디스플레이, 점등요소인 엘이디(LED)나 전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피커나 부저를 통해 음향 출력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하우징(10)이 설치 대상물(100)에 매립 설치되고, 콘센트 본체(2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각 소켓(20h)에 공급되는 전원이 단락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콘센트 본체(2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21)에 구비된 스위치(sw)를 조작하면, 상기 스위치(sw)의 조작신호가 컨트롤러(40)로 인가되고, 상기 컨트롤러(40)는 구동원(30)을 구성하는 정역모터(31)를 구동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상기 정·역모터(31)에 연결된 구동기어(33)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설된 랙기어(35)를 따라 상승 이동하여 도 6과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20)의 상승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컨트롤러(40)가 정·역모터(3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소켓전원 차단기(48)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소켓(20h)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사용자는 플러그를 소켓(20h)에 꽂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켓(20h)에 대한 사용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스위치(sw)를 다시 한번 조작하면, 상기 정·역모터(31)는 인출동작을 하기 위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과적으로 콘센트 본체(20)가 하우징(10) 내부로 하강하여 도 5와 같은 상태로 위치 복귀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컨트롤러(40)의 제어에 의해 각 소켓(20h)에 공급되는 전원이 단락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10 : 하우징
11 : 외측 후면레일부 13 : 외측 측면레일부
15 : 상단 마감캡 17 : 하단 마감캡
20 : 콘센트 본체 21 : 커버
23 : 가동 몸체 25 : 안내 케이스
26 : 내측 후면레일부 27 : 내측 측면레일부
30 : 구동원 31 : 정·역모터
33 : 구동기어 40 : 컨트롤러

Claims (8)

  1. 가구나 벽체 등에 매립되는 내부가 빈 관 형상의 하우징 및 이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선택적으로 인출되는 부재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소켓이 구비되는 콘센트 본체로 이루어진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랙기어(35)가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 본체(20)는 상기 하우징(10)과 슬라이드 끼움구조로 결합되며 일측에 정역모터(31)에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 회전하는 구동기어(33)가 상기 랙기어(35)에 기어 교합되는 구동원(30)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원(30)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받아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sw) 및 스위치(sw)에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40)에 연결되고,
    상기 소켓(20h)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컨트롤러(40)의 제어신호를 받아 전원을 차단하는 소켓전원 차단기(48)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20)는 상기 소켓(20h)이 형성된 일면을 기준으로 양측면과 후면측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홈 또는 돌기 형상의 레일부(26,27)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콘센트 본체(20)의 레일부(26,27)가 슬라이드 끼움될 수 있게 대응되는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레일부(11,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상단부에 고리 형상의 테두리부(15b) 및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 나사부(15a)를 구비하는 상단 마감캡(15)이 결합되고,
    상기 상단 마감캡(15)의 하부로는 상기 체결 나사부(15a)와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 고리 형상을 가지면서 내면에 나선이 형성된 하단 마감캡(17)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20)는,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소켓(20h)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판형의 커버(21)가 구비되는 가동 몸체(23)와;
    상기 가동 몸체(23)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동원(30)이 설치되는 안내 케이스(2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 또는 복귀되는 콘센트 본체(2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41)에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 받으며, 감지신호를 기초로 정·역모터(31)와 동작 상태를 화면 또는 소리로 출력하는 표시수단(45)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전기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 또는 복귀되는 콘센트 본체(20)의 각 소켓(20h)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 받아 감지신호와 스위치(sw)의 신호를 기초로 소켓(20h)을 다단 노출되게 구동원(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전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출형 멀티 콘센트장치.
  8. 삭제
KR1020100060337A 2010-06-25 2010-06-25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KR100991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337A KR100991709B1 (ko) 2010-06-25 2010-06-25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337A KR100991709B1 (ko) 2010-06-25 2010-06-25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709B1 true KR100991709B1 (ko) 2010-11-03

Family

ID=4340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337A KR100991709B1 (ko) 2010-06-25 2010-06-25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70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586B1 (ko) * 2012-10-30 2013-02-21 주식회사 위너스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KR200474858Y1 (ko) * 2013-08-01 2014-10-22 (주)코스모 콘센트 기구
KR20170024738A (ko) 2015-08-26 2017-03-08 (주)밀크 스마트 기기 연동형 자동 인출입 멀티콘센트
KR101907387B1 (ko) * 2018-06-20 2018-10-12 (주)퍼맥스 출입형 멀티콘센트
KR101914432B1 (ko) 2018-07-12 2018-11-02 (주)퍼맥스 출입형 멀티콘센트
KR20210035432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비아이에스 양면 무선충전 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KR102276948B1 (ko) * 2020-11-30 2021-07-13 주식회사 진우엘텍 습도센서가 구비된 승하강식 매립등
WO2022085828A1 (ko) * 2020-10-23 2022-04-28 금성에이스산업(주) 전기 분배 장치
KR20220079265A (ko)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비아이에스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KR20230072133A (ko) 2021-11-17 2023-05-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확보를 위한 콘센트
KR102644558B1 (ko) * 2023-11-24 2024-03-07 (주)럭키기술단 공동주택 실내벽면 전기 콘센트 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682Y1 (ko) * 2005-03-11 2005-07-14 김영훈 콘센트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682Y1 (ko) * 2005-03-11 2005-07-14 김영훈 콘센트 승강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586B1 (ko) * 2012-10-30 2013-02-21 주식회사 위너스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KR200474858Y1 (ko) * 2013-08-01 2014-10-22 (주)코스모 콘센트 기구
KR20170024738A (ko) 2015-08-26 2017-03-08 (주)밀크 스마트 기기 연동형 자동 인출입 멀티콘센트
KR101907387B1 (ko) * 2018-06-20 2018-10-12 (주)퍼맥스 출입형 멀티콘센트
KR101914432B1 (ko) 2018-07-12 2018-11-02 (주)퍼맥스 출입형 멀티콘센트
KR20210035432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비아이에스 양면 무선충전 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WO2022085828A1 (ko) * 2020-10-23 2022-04-28 금성에이스산업(주) 전기 분배 장치
KR102276948B1 (ko) * 2020-11-30 2021-07-13 주식회사 진우엘텍 습도센서가 구비된 승하강식 매립등
KR20220079265A (ko)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비아이에스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KR20230072133A (ko) 2021-11-17 2023-05-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확보를 위한 콘센트
KR102644558B1 (ko) * 2023-11-24 2024-03-07 (주)럭키기술단 공동주택 실내벽면 전기 콘센트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709B1 (ko)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CA2911988C (en) Motorized window sha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082199B1 (en) Waterproof socket
KR200474858Y1 (ko) 콘센트 기구
WO2014116732A1 (en) Smart toilet systems and methods
JP3231016U (ja) カーテン駆動装置
CN104836055A (zh) 一种可实现自锁的供电设备及其使用方法
CN202682394U (zh) 具分离式接电装置的抽拉门消毒碗柜
KR20180010742A (ko) 자동인출 수납장치
KR20150136906A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382698B1 (ko) 자동 개폐 매립형 멀티 콘센트장치
KR102468768B1 (ko)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CN104485555A (zh) 通用底座组件
CN109378622A (zh) 电器接口及智能电器
KR20210035432A (ko) 양면 무선충전 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ITPO20090012A1 (it) Dispositivo intelligente di spegnimento per prese multiple
KR100871434B1 (ko) 플러그 방향 전환 이용과 수납이 가능한 콘센트
CN215070749U (zh) 一种结构紧凑的轨道插座
US20120012447A1 (en) Light switch extender
CN209389286U (zh) 电器接口及智能电器
KR20180122851A (ko) 출입식 전동 콘센트
CN209592420U (zh) 一种电气工程用安全插座
KR200472130Y1 (ko) 매립형 전원콘센트
CN204243386U (zh) 通用底座组件
KR200458651Y1 (ko) 원터치 방수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