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768B1 -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768B1
KR102468768B1 KR1020200168864A KR20200168864A KR102468768B1 KR 102468768 B1 KR102468768 B1 KR 102468768B1 KR 1020200168864 A KR1020200168864 A KR 1020200168864A KR 20200168864 A KR20200168864 A KR 20200168864A KR 102468768 B1 KR102468768 B1 KR 102468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outlet
socket
pow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9265A (ko
Inventor
김지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아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아이에스
Priority to KR102020016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76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콘센트용 브라켓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용 브라켓은, 테이블의 설치홀에 삽입되어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각종 구성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케이스 및 이 바디 케이스의 상부테두리를 확장하여 설치홀에 걸림되게 구비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바디 케이스의 상면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분배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상소켓 및 접속포트를 구비한 상부 콘센트부; 상기 바디 케이스의 하부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원 공급을 위한 하소켓 및 상기 하소켓의 전원을 온오프 단속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로 이루어진 하부 콘센트부; 상기 바디 케이스의 측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단은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 연결 지지되고 하단은 바디 케이스 측부에 연결 지지되어 조작력을 받아 정,역 회전하는 이송축 및 이 이송축에 나사 결합되고 그 측부가 바디 케이스 측부에 접촉되어 회전이 방지되면서 승강되게 구비된 편심블럭으로 이루어진 마운팅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테이블을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주방가구 예컨대, 밥솥이나 전자레인지 등의 전자제품을 수납 사용할 수 있도록 테이블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마련한 싱크장이나 아일랜드 식탁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테이블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상부 콘센트부와 하부 콘센트부를 일체로 제공함에 따라 종전의 여러 멀티탭과 콘센트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대상물 즉, 아일랜드 식탁이나 테이블 등의 가구에 설치홀을 형성하고, 별도의 공구 없이도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하여 견고하고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립 및 분해에 따른 작업 난이도가 높지 않아 숙련도에 상관없이 누구나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Table embedded multi outlet}
본 발명은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밥솥이나 전자레인지 등의 전자제품을 수납 사용할 수 있도록 테이블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형태의 싱크장이나 아일랜드 식탁 등에 적용하여 하나의 콘센트만으로도 테이블의 상·하 공간에서 전기사용을 동시에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 콘센트는 벽이나 바닥에 설치된 전원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여러 개의 전기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복수의 소켓이 구비되며, 이외에도 범용직렬버스(USB)포트 및 네트워크 포트 등을 부가 구비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멀티탭 콘센트는 대부분 전원코드를 통해 유입된 상용 교류전류를 다수의 전기 기구들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각 전기 기구의 플러그가 꽂아지는 소켓과, 이 소켓 외에도 범용직렬버스(USB) 포트 및 네트워크 포트 등이 배치되고, 일측에는 주 전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전원코드를 구비한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품에 따라서는 전체 소켓 또는 개별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멀티탭 콘센트의 경우 소켓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먼지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실수로 물기 등이 쉽게 내부로 침투될 수 있어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등의 전기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도 상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91709호에서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가구나 벽체 등에 매립되는 내부가 빈 관 형상의 하우징 및 이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선택적으로 인출되는 부재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소켓이 구비되는 콘센트 본체로 이루어진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하우징과 슬라이드 끼움구조로 결합되며 일측에 정역모터에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 회전하는 구동기어가 상기 랙기어에 기어 교합되는 구동원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원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받아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 및 스위치에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소켓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전원을 차단하는 소켓전원 차단기가 연결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승강방식으로 구비된 하우징이 출몰되는 구조이므로,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책상이나 테이블의 하측으로 하우징을 비롯한 각종 부속품들이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종래의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를 싱크대에 설치하는 경우, 하우징을 비롯한 구동원 등이 싱크대 하부장 내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싱크대 하부장의 공간 활용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이유로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1382698호를 통해 ′자동 개폐 매립형 멀티 콘센트장치′를 제안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테이블에 형성된 수납홈에 고정되는 가이드 유닛; 상기 가이드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면에 복수의 소켓이 구비되어 상기 소켓이 구비된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로 은폐되는 소켓 유닛; 상기 소켓 유닛과 가이드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유닛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가이드 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 부재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소켓 유닛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컨트롤러에는 스위치 부재를 터치한 시점에서 경과된 시간을 컨트롤러로 인가하는 타이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 매립형 멀티 콘센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대부분의 매립형 콘센트의 경우 싱크장이나 식탁 또는 책상 등과 같이 테이블의 구비한 가구에 있어,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측으로 소켓을 노출시켜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으나, 상기 테이블을 기준으로 아래 공간에 비치되는 전자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멀티탭을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일례로, 싱크장 또는 아일랜드 식탁의 경우 통상 테이블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제공되는 하부 수납공간에 밥솥이나 전자레인지를 수납한 상태로 사용하도록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밥솥이나 전자레인지를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콘센트 기구를 부착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91709호(2010.10.28.),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조립구조를 통해 테이블을 구비한 형태의 가구에 매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테이블의 상·하 공간에서 여러 전자제품에 대한 전원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테이블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제공한 형태의 가구, 예컨대 밥솥이나 전자레인지 등의 전자제품을 수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싱크장이나 아일랜드 식탁 등에 적용하여 상기 테이블을 기준으로 상부 공간과 하부의 수납공간에 비치된 전자제품에 대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을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소켓 노출로 인한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용 브라켓은, 테이블의 설치홀에 삽입되어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각종 구성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케이스 및 이 바디 케이스의 상부테두리를 확장하여 설치홀에 걸림되게 구비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바디 케이스의 상면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분배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상소켓 및 접속포트를 구비한 상부 콘센트부; 상기 바디 케이스의 하부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원 공급을 위한 하소켓 및 상기 하소켓의 전원을 온오프 단속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로 이루어진 하부 콘센트부; 상기 바디 케이스의 측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단은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 연결 지지되고 하단은 바디 케이스 측부에 연결 지지되어 조작력을 받아 정,역 회전하는 이송축 및 이 이송축에 나사 결합되고 그 측부가 바디 케이스 측부에 접촉되어 회전이 방지되면서 승강되게 구비된 편심블럭으로 이루어진 마운팅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본체는 바디케이스의 측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안내홈과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이송축 및 이 이송축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 지지부싱 및 상기 이송축의 하단일부가 삽입 통과하도록 관통홀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바디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된 관통지지부싱 및 상기 관통지지부싱을 통과한 이송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 조작력을 받는 조임손잡이 및 상기 이송축에 나사 체결되어 나선을 따라 상·하 변위를 갖는 것으로 편심 확장된 돌출부를 이용하여 테이블의 하면에 접촉 지지하되, 이 돌출부는 이송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안내홈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수용되어 테이블 하면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는 편심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플랜지에 끼움 조립되어 상기 상부 콘센트부를 가리거나 노출될 수 있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는 슬라이드 커버; 상기 바디 케이스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소켓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회동커버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상부 콘센트부는, 전원공급을 위한 상 소켓; 상기 한 쌍의 소켓 일측에 충전상태 또는 전원의 사용유무를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 표시등; 상기 소켓의 일측에 제공되어 USB 단자가 접속하는 USB 접속포트; 상기 플랜지의 측면에 제공되는 PD충전포트;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입하기 위한 주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드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슬라이드커버가 상부 콘센트부를 커버한 상태에서는 상소켓과 접속포트에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슬라이드커버가 콘센트부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소켓과 접속포트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는 테이블을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주방가구 예컨대, 밥솥이나 전자레인지 등의 전자제품을 수납 사용할 수 있도록 테이블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마련한 싱크장이나 아일랜드 식탁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테이블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상부 콘센트부와 하부 콘센트부를 일체로 제공함에 따라 종전의 여러 멀티탭과 콘센트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대상물 즉, 아일랜드 식탁이나 테이블 등의 가구에 설치홀을 형성하고, 별도의 공구 없이도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하여 견고하고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립 및 분해에 따른 작업 난이도가 높지 않아 숙련도에 상관없이 누구나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에서 슬라이드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2에 나타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도 2에 나타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에서 마운팅 브라켓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바디케이스(11)와, 이 바디케이스(11)의 상부 테두리를 확장하여 된 플랜지(13)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에 의해 그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 콘센트부에 대한 커버작용을 수행하는 슬라이드커버(15)와, 상기 본체(10)의 네모서리 중 대락 방향으로 수직하게 제공되어 테이블의 설치홀에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마운팅 브라켓(40)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상부 콘센트부(20)와 하부 콘센트부(미도시)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인 주전원(p)과, 상기 하부 콘센트부(미도시)를 구성하는 하소켓을 개폐시키기 위한 회동커버(17)로 이루어진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1)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에서 슬라이드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바디케이스(11) 및 테이블(t)의 설치홀 상면 테두리에 안착되는 플랜지(13)를 구비한 본체(10)와, 가정용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상소켓(21) 및 전원의 사용여부나 충전여부 등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수단인 엘이디 표시등(23) 및 USB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접속포트(25)로 이루어진 상부 콘센트부(20)와, 이 상부 콘센트부(20)의 상면을 커버하거나 또는 오픈시키기 위한 것으로 바디케이스(11)의 상부에 슬라이드 끼움으로 조립된 슬라이드커버(15)와, 상기 바디케이스(11)의 하부 일측에 제공되는 회동커버(17)에 의해 개폐되는 하소켓과 전원스위치를 구비한 하부 콘센트부와, 상기 직사각 형상을 갖는 바디케이스(11)의 네모서리 중 대각 방향으로 구비되어 테이블(t)의 저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플랜지(13)와 함께 테이블(t)에 대한 결합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송축(41) 및 편심블럭(43) 및 조임손잡이(45)로 이루어진 마운팅 브라켓(40)을 포함하는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1)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설치홀을 형성한 테이블(t)에 매립 설치되는 바디케이스(11)와 플랜지(13)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노출 구비되는 상부 콘센트부(20) 및 이 상기 플랜지(13)에 슬라이드 끼움으로 조립되어 상기 상부 콘센트부(20)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드커버(15)와, 상기 바디케이스(11)의 하부 측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소켓(31) 및 전원스위치(33)로 이루어진 하부 콘센트부(30) 그리고 상기 바디케이스(11)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13)와 함께 상기 테이블(t)의 항하면에 접촉하여 고정력을 생성하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40)으로 이루어진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1)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테이블(t)의 상부로 플랜지(13)가 돌출 위치되고, 상기 테이블(t)의 하측으로는 하부 콘센트부(30)와 마운팅 브라켓(40)이 위치되는 구성의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1)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에 슬라이드 끼움 조립되는 것으로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콘센트부(20)를 개방한 슬라이드커버(15)와, 전자제품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상소켓(21) 및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엘이디 표시등(23) 및 USB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접속포트(25)로 이루어진 상부 콘센트부(20)로 이루어진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1)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아일랜드 식탁이나 싱크장 또는 책상 등의 테이블(t)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플랜지(13)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바디케이스(11)가 위치하는 본체(10)와, 상기 바디케이스(11)의 하부 일측에 제공되어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하소켓(31) 및 이 하소켓(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스위치(33)로 구성된 하부 콘센트부(30)와, 상기 바디케이스(11)의 측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13)에 대해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편심블럭(43) 및 이 편심블럭(43)을 수직 방향으로 승강 안내하기 위한 이송축(41) 그리고 상기 이송축(41)에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전달하기 위한 조임손잡이(45) 그리고 상기 이송축(41)의 하단을 회전 지지하는 관통 지지부싱(42)으로 구성된 마운팅 브라켓(40)을 포함하는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1)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테이블(t)에 상부에 플랜지(13)가 위치되고 그 하부는 테이블(t)의 하측에 매립 위치되는 본체(10)와, 상기 플랜지(13)와 함께 테이블(t)의 상·하면에 접촉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마운팅 브라켓(40) 그리고 상기 본체(10)를 구성하는 바디케이스(11)의 하부 일측에 제공되는 하부 콘센트부(미도시)와, 이 하부 콘센트부의 하소켓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바디케이스(11)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회동되는 회동커버(17)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상부 콘센트부(미도시)와 하부 콘센트부(미도시)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주전원(p)으로 구성된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1)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에서 마운팅 브라켓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사각 통체 형상을 갖는 본체(10)를 구성하는 바디케이스(11)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케이스(11)의 네모서리에서 대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되, 이때 상기 바디케이스(11)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안내홈(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19)의 일측으로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이송축(41)이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축(41)의 상단은 상기 플랜지(13)의 하면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지지부싱(44)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축(41)에는 편심블럭(43)이 나사체결되어 나선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변위를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편심블럭(43)은 일부분을 편심돌출시켜서 된 돌출부가 마련되며, 이 돌출부는 상기 테이블(t)의 하면에 접촉되어 접촉지지력을 작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편심블럭(43)은 테이블(t)의 설치홀에 상기 바디케이스(11)를 삽입하는 경우 위치 간섭을 일으키게 되므로 상기 이송축(41) 상에서 소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돌출부 부분이 안내홈(19)으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설치홀을 통과할 수 있게 제공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면으로 상소켓(21)을 노출시키도록 구비되는 상부 콘센트부(2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하소켓(31)을 노출시키도록 제공되는 하부 콘센트부(30)와, 상기 본체(10)를 테이블(t)의 설치홀에 견고하게 결합고정된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마운팅 브라켓(40)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각종 구성품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바디케이스(11)와, 이 바디케이스(11)의 상부 테두리 부분을 확장하여 된 플랜지(13) 그리고 상기 플랜지(13)에 슬라이드 끼움으로 조립되어 사용자가 미닫이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슬라이드커버(15) 및 상기 바디케이스(11)의 하부 일측에 제공되는 하부 콘센트부(30)의 하소켓(31)을 개폐시키기 위해 바디케이스(1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여닫이 식으로 회동되는 회동커버(17)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체(10)는 절연성과 난연성을 갖는 소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케이스(11)는 네모서리의 대각 방향으로 수직하게 안내홈(19)을 형성하며, 이 안내홈(19)은 후술할 마운팅 브라켓(40)의 편심블럭(43)의 돌출부 부분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체(10)는 상기 슬라이드커버(15)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센서(10s)와, 상기 개폐감지센서(10s)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슬라이드커버(15)가 상부 콘센트부(20)를 커버한 상태에서는 상소켓(21)과 엘이디 표시등(23) 및 전원접속포트(25)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슬라이드커버(15)가 상부 콘센트부(20)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소켓(21)과 전원접속포트(25) 및 엘이디 표시등(23)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스위치 컨트롤러(10c)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커버(15)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소켓(21)과 전원접속포트(25) 및 엘이디 표시등(23)은 사용이 불가한 상태이므로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상소켓(21)과 전원접속포트(25) 및 엘이디 표시등(23)에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부 콘센트부(20)는 상기 바디케이스(11)의 상면에 복수의 상소켓(21)과 엘이디 표시등(23) 그리고 전원접속포트(25)가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 콘센트부(20)는 복수의 상소켓(21)과 전원접속포트(25)에 전원을 분배 공급하기 위한 회로를 구비하며, 이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상소켓(21)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적절하게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엘이디 표시등(23)은 상소켓(21) 또는 전원접속포트(25)에 접속된 전기용품의 전원 사용상태를 알리거나 또는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단색의 엘이디를 점등 또는 다색의 엘이디를 점등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상부 콘센트부(20)는 플랜지(13)의 측면으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또는 태블릿 등의 스마트 전자기기의 고속충전 포트인 PD충전포트(27)가 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원공급을 위한 다양한 전원접속포트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하부 콘센트부(30)는 상기 바디케이스(11)의 하부 일측면에 제공되는 것으로, 전기용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하소켓(31)이 제공되며, 그 일측에는 하소켓(31)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스위치(33)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콘센트부(30)는 싱크장의 경우 하부 수납공간에 밥솥이나 전자레인지를 두고 사용하는 경우 장기간 사용을 하지 않을시에는 전원스위치(33)를 오프시켜 하소켓(3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운팅 브라켓(40)은 크게 외면에 나사선을 형성하여 정,역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축(41)과, 상기 이송축(4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변위를 갖는 편심블럭(43)과 , 상기 이송축(41)의 상·하단을 상기 플랜지(13)와 바디케이스(11)의 일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인 회전지지부싱(44) 및 관통 지지부싱(42)과, 상기 이송축(41)에 사용자의 회전 조작력을 전달하기 위한 조임손잡이(45)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축(41)은 상기 바디케이스(11)의 안내홈(19)의 일측으로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외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축요소이다.
상기 회전지지부싱(44)은 상기 이송축(41)의 상단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13)의 하면 일측에 결합 구비되는 축지지요소이다.
상기 관통 지지부싱(42)은 상기 이송축(41)의 하단 일부가 삽입 통과하도록 관통홀(미부호)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바디케이스(11)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관통 지지부싱(42)은 상기 바디케이스(11)와 일체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손잡이(45)는 상기 관통 지지부싱(42)을 통과하여 그 하측으로 돌출된 끝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회전 조작을 받기 위한 요소이다.
상기 편심블럭(43)은 상기 이송축(41)에 나사 체결되어 나선을 따라 상·하 변위를 갖는 승강 부재로서, 일측이 편심확장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돌출부의 상면은 상기 테이블(t)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플랜지(13)와 결속 작용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편심블럭(43)은 이송축(4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게 구비되며, 이렇게 소정각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바디케이스(11)에 형성된 안내홈(19)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위치된다. 이는 상기 바디케이스(11)를 테이블의 설치홀에 매립시키기 위해 삽입하는 경우 상기 편심블럭(43)에 의해 진입이 곤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편심블럭(43)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돌출부 부분이 상기 안내홈(19)의 내측에 위치함에 따라 진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바디케이스(11)를 설치홀에 진입시키면, 상기 플랜지(13)가 설치홀의 테두리 부분에 안착되어 걸림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편심블럭(43)을 다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돌출부 부분이 상기 안내홈(19)에서 벗어나게 되어 도면에서와 같이 돌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조임손잡이(4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편심블럭(43)을 상기 이송축(4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편심블럭(43)은 이송축(41)에 나사체결되어 있으므로 일체로 회전되지 않도록 손으로 잡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10 : 본체 10c : 스위치 컨트롤러
10s : 개폐감지센서 11 : 바디케이스
13 : 플랜지 15 : 슬라이드커버
17 : 회동커버 19 : 안내홈
20 : 상부 콘센트부 21 : 상소켓
23 : 엘이디 표시등 25 : USB 접속포트
27 : PD충전포트 23 : 전원접속포트
30 : 하부 콘센트부 31 : 하소켓
33 : 전원스위치 40 : 마운팅 브라켓
41 : 이송축 42 : 관통 지지부싱
43 : 편심블럭 44 : 회전지지부싱
45 : 조임손잡이 t : 테이블
p : 주전원

Claims (5)

  1. 테이블의 설치홀에 삽입되어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각종 구성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케이스 및 이 바디 케이스의 상부테두리를 확장하여 설치홀에 걸림되게 구비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바디 케이스의 상면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분배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상소켓 및 접속포트를 구비한 상부 콘센트부;
    상기 바디 케이스의 하부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원 공급을 위한 하소켓 및 상기 하소켓의 전원을 온오프 단속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로 이루어진 하부 콘센트부;
    상기 바디 케이스의 측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단은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 연결 지지되고 하단은 바디 케이스 측부에 연결 지지되어 조작력을 받아 정,역 회전하는 이송축 및 이 이송축에 나사 결합되고 그 측부가 바디 케이스 측부에 접촉되어 회전이 방지되면서 승강되게 구비된 편심블럭으로 이루어진 마운팅 브라켓;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바디케이스의 측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안내홈과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이송축 및 이 이송축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 지지부싱 및 상기 이송축의 하단일부가 삽입 통과하도록 관통홀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바디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된 관통지지부싱 및 상기 관통지지부싱을 통과한 이송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 조작력을 받는 조임손잡이 및 상기 이송축에 나사 체결되어 나선을 따라 상·하 변위를 갖는 것으로 편심 확장된 돌출부를 이용하여 테이블의 하면에 접촉 지지하되, 이 돌출부는 이송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안내홈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수용되어 테이블 하면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는 편심블럭;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 끼움 조립되어 상기 상부 콘센트부를 가리거나 노출될 수 있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는 슬라이드 커버;
    상기 바디 케이스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소켓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회동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센트부는, 전원공급을 위한 상 소켓;
    상기 상 소켓 일측에 충전상태 또는 전원의 사용유무를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 표시등;
    상기 소켓의 일측에 제공되어 USB 단자가 접속하는 USB 접속포트;
    상기 플랜지의 측면에 제공되는 PD충전포트;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입하기 위한 주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플랜지에 끼움 조립되어 상기 상부 콘센트부를 가리거나 노출될 수 있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는 슬라이드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와,
    상기 개폐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슬라이드커버가 상부 콘센트부를 커버한 상태에서는 상소켓과 접속포트에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슬라이드커버가 콘센트부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소켓과 접속포트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컨트롤러;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KR1020200168864A 2020-12-04 2020-12-04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KR102468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864A KR102468768B1 (ko) 2020-12-04 2020-12-04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864A KR102468768B1 (ko) 2020-12-04 2020-12-04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265A KR20220079265A (ko) 2022-06-13
KR102468768B1 true KR102468768B1 (ko) 2022-11-18

Family

ID=8198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864A KR102468768B1 (ko) 2020-12-04 2020-12-04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7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5841A (ja) 2014-10-24 2016-05-19 株式会社石黒製作所 コンセントホルダ
KR101825003B1 (ko) 2017-06-30 2018-02-02 김훈이 무선 충전부를 구비한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KR102090314B1 (ko) 2019-10-25 2020-03-17 (주)퍼맥스 책상패널용 멀티탭 보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709B1 (ko) 2010-06-25 2010-11-03 김화선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JP3188367U (ja) * 2013-10-31 2014-01-16 株式会社ノア 家具用電源コンセント
KR101754874B1 (ko) * 2015-09-03 2017-07-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광 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콘센트 어셈블리
KR20190011412A (ko) * 2017-07-25 2019-02-07 김시환 테이블 장착용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5841A (ja) 2014-10-24 2016-05-19 株式会社石黒製作所 コンセントホルダ
KR101825003B1 (ko) 2017-06-30 2018-02-02 김훈이 무선 충전부를 구비한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KR102090314B1 (ko) 2019-10-25 2020-03-17 (주)퍼맥스 책상패널용 멀티탭 보관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88367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265A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709B1 (ko)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US6329616B1 (en) Power control apparatus
US11973290B2 (en) Installation element for socket elements
KR200468311Y1 (ko) 전기제품에 연결된 여유전선의 정리가 편리한 멀티 콘센트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KR101787085B1 (ko) 테이블용 콘센트함
KR20190099942A (ko)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장치
KR102468768B1 (ko)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US20170104299A1 (en) Illuminated Power Strip
EP1714363B1 (de) Elektro-installationseinheit
CA2311011C (en) Wall mounted heater fan with electrical outlet
KR101382698B1 (ko) 자동 개폐 매립형 멀티 콘센트장치
KR200419231Y1 (ko) 박스형 멀티탭
KR101907835B1 (ko) 가구용 멀티콘센트
KR20210035432A (ko) 양면 무선충전 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US20220322885A1 (en) Blender
KR200472130Y1 (ko) 매립형 전원콘센트
KR20090010482U (ko) 콘센트 이원화 절전 멀티탭
CN104485555A (zh) 通用底座组件
KR200494085Y1 (ko) 가구 매립용 콘센트 시스템
CN204243386U (zh) 通用底座组件
KR101252783B1 (ko) 멀티 콘센트
KR100477529B1 (ko) 110/220v 겸용 콘센트 장치
KR101791602B1 (ko) 다기능 멀티탭
CN219017997U (zh) 储能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