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586B1 -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586B1
KR101235586B1 KR1020120121449A KR20120121449A KR101235586B1 KR 101235586 B1 KR101235586 B1 KR 101235586B1 KR 1020120121449 A KR1020120121449 A KR 1020120121449A KR 20120121449 A KR20120121449 A KR 20120121449A KR 101235586 B1 KR101235586 B1 KR 101235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harging
main
outlet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너스
Priority to KR1020120121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 충전을 위한 충전장치를 건물의 벽체 내부로 매입시켜 별도의 충전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모바일기기의 충전이 가능하고, 모바일기기가 거치되는 충전블록을 벽체내로 슬라이딩 인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벽체의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선으로 연결된 충전장치로 인한 유아나 반려동물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는 전원 도입부 갖고,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출입부를 구비하고, 벽체에 매입되는 메인블록; 및 상기 메인블록의 출입부에 결합되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인출되고, 상기 전원도입부와 연결된 모바일기기 충전부를 갖는 충전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WALL OUTLET EQUIPPED WITH CHARGER FOR MOBILE}
본 발명은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 충전을 위한 충전장치를 건물의 벽체 내부로 매입시켜 별도의 충전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모바일기기의 충전이 가능하고, 모바일기기가 거치되는 충전블록을 벽체내로 슬라이딩 인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벽체의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선으로 연결된 충전장치로 인한 유아나 반려동물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의 충전 장치는 전원플러그와 전원플러그와 연결된 케이블 및 케이블 말단에 구비된 모바일기기 충전용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충전장치를 사용하여 모바일기기를 충전할 경우, 특히 가족 구성원 모두가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하나 이상씩 소유하고 있는 현재의 실정에 비추어, 각각의 모바일기기에 맞는 충전장치를 가정 내 구비된 콘센트에 각각 연결하여 충전해야 하므로 가정 내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매입형 콘센트의 형성 위치(바닥에서 약 300mm의 높이)로 인하여 충저장치의 단자에 모바일기기를 접속시킨 상태로 바닥에 놓거나 또는 높이가 낮은 가구 등에 올려놓게 되어 무방비로 노출된 핸드폰의 파손 위험 및 유아나 반려동물에 의한 파손 내지 안전사고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0-0059165호(공개일자 2010.06.04.)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휴대폰 충전기에 충전 중인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2)를 추가하여 충전 중인 휴대폰을 놓을 수 있도록 한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충전 중인 휴대폰을 충전기 본체(1)와 이어진 거치대(2) 위에 올려놓을 수 있게 하는 거치대 (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결과, 충전기 본체(1)와 휴대폰 거치대(2)를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함으로서 충전기의 전선(3)에 연결된 휴대폰이 임의의 위치에 위치하지 않고 거치대에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거치대를 포함한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종래 충전기에 휴대폰 거치대를 단순 구비한 것으로 휴대폰 거치가 불안전하고, 나아가 플러그와 단자를 잇는 전선(케이블)로 인하여 벽체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문제점 역시 존재하고 있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64018호(등록일자 2002.01.30)가 있는데 상기 고안은 주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콘센트의 일측에 휴대폰 배터리 충전용 접속단자와 표시램프가 구비된 휴대폰 삽입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배터리 충전 회로를 내장시킴으로써, 휴대폰 사용자가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경제적 부담없이 자유롭게 휴대폰 배터리를 수시로 충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겸용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안은 소위 멀티탭이라 불리우는 노출형 콘센트에 단순 휴대폰 충전용 접속단자를 더 포함한 것으로, 상기 고안 역시 상기 발명과 마찬가지로 휴대폰 충전을 위해서는 휴대폰을 바닥에 놓음으로써 미관을 해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노출형 콘센트를 가정의 후비진 구석에 놓는 것을 감안하였을 때 사용자는 휴대폰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5-0082095호(공개 일자 2005.08.22)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휴대폰 충전기를 구비하여,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할 경우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충전할 수 있는 매입형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 충전기에 있어서, 전원과 연결되어 전압을 변환시키는 트랜스와, 내측에 회로기판이 장착되며 휴대폰용 배터리가 안착되는 몸체로 이루어진 충전기와;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충전기가 장착되며 벽체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매입케이싱과; 상기 충전기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매입형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은 충전기와 매입형 콘센트가 단순 결합된 구성으로 각기 다른 충전용 단자 및 형태를 갖는 다양한 휴대폰의 충전이 불가능하므로, 휴대폰을 교체할 때마다 벽체에 매입된 충전기를 교체해야 한다는 단점으로 오히려 매입형 충전기로서 부적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밖에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760693호(등록일자 2007.09.14.)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각 가정, 사무실 및 숙박업소와 같은 건물의 벽면에 전원 연결을 위해 매립 설치되고 전원 연결홈(110)이 구비되는 매립형 콘센트 본체(100)와, 휴대폰과 같은 전자제품(20)을 충전하기 위하여 연결단자(212)가 구비된 단자부(210)와 충전 회로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매립형 콘센트 본체(100)에 일연체로 결합된 충전 회로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충전회로 일체형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 역시 각각 다른 충전 단자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같은 다양한 전자제품을 충전하기에는 고정된 단자로 인하여 범용성이 떨어져서, 현재에는 거의 사양된 통합 충전 단자를 구비한 휴대폰에 기술의 적용이 가능할 뿐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모두 충전시킬 수 있고, 벽체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기기 충전과 별도록 상시적인 상용 전원 소켓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매입된 메인블록에 슬라이딩 인출되는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블록의 슬라이딩 인출의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충전블록의 인출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인입 시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도록, 탄성부재와, 인입상태를 고정하는 스냅 클랩핑 수단을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충전블록 인출 시 고장 발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된 기어탬퍼로 이루어지는 감속수단을 구비하고, 제조의 용이성을 높이고 상기 랙의 파손 발생 시 수리를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랙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고정레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는
전원 도입부 갖고,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출입부를 구비하고, 벽체에 매입되는 메인블록; 및
상기 메인블록의 출입부에 결합되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인출되고, 상기 전원도입부와 연결된 모바일기기 충전부를 갖는 충전블록;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에서 상기 충전블록과 상기 메인블록 사이에는 충전블록을 탄지하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고, 탄성부재는 상기 충전블록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고, 상기 메인블록에는 충전블록의 인입상태를 고정하는 스냅 클램핑 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는 상기 메인블록에 구비된 랙과, 상기 충전블록에 구비된 피니언으로 구성된 기어템퍼(geared temper)로 이루어지는 감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블록에는 상기 랙이 슬라이딩결합되는 고정레일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는 건물의 매입된 메인블록에 슬라이딩 인출되는 충전블록을 도입하여, 모바일기기 충전 시 모바일기기의 안전한 거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아나 반려 동물에 의한 모바일기기 파손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모바일기기 미충전 시 에는 벽체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전블록을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충전블록의 인입상태를 고정하는 스냅 클램핑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소음을 동반하지 않는 자연스러운 충전블록의 인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된 기어템퍼로 이루어진 감속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반복되는 인출에 의한 고장 발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메인블록에 랙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고정레일을 구비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구장 발생 시 손쉬운 수리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의 요부 정면도, 평면도,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충정패널의 인출방향을 정하여 인출 시를 전진으로 인입 시를 후진으로 특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을 설명함에 있어 콘센트라 함은 통상적으로 가정 내의 벽체에 매입되는 매입형 콘센트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형 콘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본 상세한 설명에서 편의를 위하여 가정에 구비된 매입형 콘센트만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기기라 함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유에스비 잭을 구비한 충전케이블을 통하여 충전 가능한 MP3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임을 밝힌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를 설명하기에 앞서, 통상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콘센트를 간략히 설명한다.
종래의 콘센트는 벽체 내부에 삽입되고 벽체에 구비된 메인전원선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을 감싸고 벽체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블록 및 커버에는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기 위한 플러그 삽입공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콘센트는 통상적으로 수직 배열된 2개의 플러그 삽입공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속칭 1박스형(2구형)의 콘센트라 칭하고 있다.
종래에는 1박스형의 콘센트가 주를 이루어왔으나, 현대 사회에서 증가하는 전자제품의 수요에 따른 다수의 콘센트 필요에 따라 별도의 노출형 콘센트를 상기 매입형 콘센트와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전기 사용에 따른 안전의 필요성과 전력사용 절약을 위하여 2박스 내지 3박스형의 매입형 콘센트를 기본적으로 구비하는 벽체가 기본적으로 설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2박스형 내지 3박스형의 매입형 콘센트를 이용하여 종래의 콘센트와 같이 플러그 삽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폭발적으로 증가한 모바일기기의 충전 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모바일기기 구매 시 통상적으로 동봉되어 사용자가 쉽게 구비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케이블만으로도 모바일기기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면서,
모바일기기의 안전한 거치를 가능하게 하여 유동적인 충전장치로 인한 벽체 미관의 저해와 유아나 반려동물에 의한 모바일기기 파손 및 안전사고 방지에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를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를 설명함에 있어, 2박스형 내지 3박스형의 매입형 콘센트를 제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1박스형의 콘센트에도 벽체의 간단한 구조 증강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를 건물의 벽체에 구비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는 전원도입부를 갖고, 가이드레일(130)을 구비한 출입부(100A)를 구비하고, 벽체에 매입되는 메인블록(100); 및
상기 메인블록(100)의 출입부(100A)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딩 인출되고, 상기 전원도입부와 연결된 모바일기기 충전부를 갖는 충전블록(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각각의 구성부를 도시한 정면도, 단면도, 평면도이다.
우선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블록(100)은 종래의 콘센트에서와 같이 건물의 벽체에 구비되어 전자제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장착부에 매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콘센트장착부는 벽체의 일부가 제거되어 건물의 메인전원의 전기 배선을 연결할 수 있는 삽입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블록(100)의 전원도입부는 상기 전기 배선과 연결되어 콘센트를 통해 플러그를 삽입한 전자제품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콘센트가 설치되는 콘센트장착부에는 콘센트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시멘트 등으로 형성된 벽체와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조인트박스(도면 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서는 상기 조인트박스와 결합하는 고정브라켓(16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60)과 상기 메인블록(100)을 고정시킨 후 후술하는 메인커버(300) 및 충전블록(20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160)에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블록(200)은 모바일기기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는 거치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부(210)에 모바일기기를 거치시킨 후 충전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모발일기기의 충전이 가능해지게 되고,
통상적으로 콘센트장착부는 바닥에서 약 300mm 상측에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콘센트를 이용하여 모바일기기를 충전할 경우 무방비로 노출되어 모바일기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유아나 반려동물에 의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블록(200)은 상기 메인블록(100)의 가이드레일(130)과 슬라이딩 결합하는 가이드홈(230)을 구비하여 일종의 서랍식으로 상기 메인블록(100)내로 슬라이딩 인출(수납)된다.
상기 충전블록(200)을 상기 메인블록(100)에 슬라이딩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모바일기기 미충전 시 상기 충전블록(200)을 상기 메인블록(100)에 수납하여 벽체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공급되는 전력은 A/C의 교류전원이 공급되는데, 모바일기기용 충전을 위해서는 D/C의 직류전원이 필요하다.
이에 상기 충전블록(200)의 충전부에는 모바일기기용 전원으로 외부전원을 변환하는 어댑터 내장부(22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 내장부(220)에 내장되는 어댑터(도면미도시)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공지의 기술로써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어댑터 내장부(220)는 상기 거치부(210)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콘센트장착부의 전기배선으로부터 전도되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인입부와, 모바일기기가 결합되는 인출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부(222)는 종래의 클램핑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메인전원선 즉, 통상의 전선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관과 전선의 유동을 보장하면서 유동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방지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223)는 모바일기기 충전케이블의 플러그(잭)가 결합되는 단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케이블(224)은 도 1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 구매 시, 기기와 동봉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추가비용 없이 쉽게 구비할 수 있는 케이블로서, 통상적으로 상기 충전케이블은 일측에 유에스비 플러그(잭; 224a)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모바일기기 전용의 충전 플러그(224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인출부(223)를 구성하는 단자는 종래의 유에스비 잭이 결합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유에스비 단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사용자는 별도의 충전 장치 없이도 충전이 가능해지고,
비교적 저가의 충전케이블 사용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충전케이블의 파손 등이 발생하여도 추가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는 모바일기기 미충전 시에는 상기 충전케이블을 상기 충전블록의 거치부에 수납 후 충전블록을 인입시킬 수 있게 되어 건물 벽체의 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콘센트에서 상기 충전블록(200)의 외부에는 상기 어댑터 내장부(220)와 연결되어 모바일기기의 충전 완료여부를 이종의 색상으로 표현하는 충전완료 표시 램프(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램프(24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충전 여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여 충전 완료 후 지속적으로 소비되는 대기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블록(200)의 안정된 인출을 보장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상기 충전블록(200)과 상기 메인블록(100) 사이에 상기 충전블록(200)을 탄지하는 탄성부재(250)가 더 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25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인블록(100)과 상기 충전블록(200)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이 결합할 수 있는 코일스프링 결합부(번호미표기)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충전블록(200)에 구비된 코일스프링 결합부는 일측이 밀폐된 연통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재(250)가 상기 충전블록(20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충전블록(200)의 인출을 보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250)로 인하여 사용자는 상기 충전블록(200)에 추가적인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충전블록의 인출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에서 상기 메인블록(100)에는 상기 충전블록(200)의 인입상태를 고정하는 스냅 클램핑 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충전블록(200)에 구비되고 후크(212a)를 갖는 클램퍼(212)와,
상기 메인블록(100)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에 결합되는 걸림체(1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수단의 바람직한 일례로 등록특허 제10-0834093호(등록일자 2008.05.26.)의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에서 제시하는 잠금수단이 있는데,
상기 발명은 한번 누르면 걸림돌기를 물고 다시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를 풀게 되는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가 탈착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물품이 담긴 진공포장백을 받칠 수 있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원활한 진공 포장작업이 가능한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클램핑 수단으로 활용하여 클램퍼의 후크를 물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블록(200) 또는 상기 메인블록(100)에 배열되어, 스프링(미도시)과의 작용으로 한번 누르면 상기 클램퍼를 물고 다시 누르면 상기 클램퍼를 풀게 되는 걸림체를 구비하여 충전블록(200)의 원터치 인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충전블록(200)의 인출 시 상기 탄성부재(250)의 탄성에 의하여 충전블록(200)이 고속으로 인출될 경우 이로 인한 파손 내지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2의 하측 일점쇄선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블록(200)과 메인블록(100) 사이에는 충전블록(200)의 인출 또는 인입 속도를 줄이는 감속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수단은 상기 메인블록(100)에 구비된 랙(111)과, 상기 충전블록(200)에 구비된 피니언(211)으로 구성된 기어템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랙(111)은 박형으로 일측에 톱니부(111a)를 갖고, 상기 피니언(211)은 상기 톱니부(111a)와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인입 또는 인출 속도를 감소시킨다.
상기 피니언(211)은 회전하는 작은 기어의 형태를 갖고 있는 바, 피니언(211)이 결합된 축핀(미도시)에 피니언(211)의 회전을 일정속도로 유지시키는 저항체(도면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충전블록(200)의 인입 또는 인출 시 탄성부재(250) 또는 사용자의 가압에도 불구하고, 상기 충전블록(200)은 일정속도 이상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되지 않아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블록(200)의 인입 또는 인출 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항체는 상기 축핀과 상기 피니언 사이에 개제된 베어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은 피니언(211)의 안정적이고 일정한 속도의 회전을 보장하되,
축핀과 피니언(211)의 접촉부에 마찰력을 증대시켜 회전 속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속수단의 일례로 등록특허 제10-0987490호(등록일자 2010.10.06.)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은 도어의 폐쇄측 또는 개방측에 설치되어 충돌 충격을 줄이고 소음을 방지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한 미닫이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구비된 저항체와 마찰을 일으켜 도어의 개폐 슬라이딩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접촉마찰부를 구비하고 접촉마찰부의 탄성을 위한 후퇴를 보장을 위한 분리공간부를 가져 보다 확실한 충돌 및 소음 감소가 가능하며, 나아가 설치가 용이한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생산성이 우수한 완충수단을 구비한 미닫이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의 저항체와 접촉마찰부 및 분리공간부 등을 활용하여 본 발명의 충전수단의 인입 또는 인출 속도를 유지하여 고장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에서, 상기 메인블록(100)에는 상기 랙(111)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고정레일(112)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감속 수단에 의하여 상기 기어템퍼로 구성되는 감속수단의 고장 발생을 줄일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건물의 벽체에 설치된 후 수십년동안 사용되는 매입형 콘센트의 특성을 감안했을 때, 상기 감속수단의 고장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속수단, 즉 기어템퍼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충전블록(200)에 구비된 피니언(211)의 경우 인출되는 충전블록(200)으로 인하여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나, 벽체 내부로 매입된 메인블록(100)에 구비된 상기 랙(111)은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블록(100)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1고정레일(112a)과, 돌출 형성되고 말단이 상기 제1고정레일(112a)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 제2고정레일(112b)로 이루어진 고정레일(112)을 구비하여 상기 랙(111)이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랙(111)의 교체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레일(112a)은 상기 랙(111)의 톱니부(111a)를 간섭하지 않도록 랙(111)의 일측 하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레일(112b)은 상기 랙(111)의 타측과 상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랙(111)의 고정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에서 상기 메인블록(100)은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 후면에 결합되는 리어커버(150)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110)에는 상기 콘센트장착부에 형성되는 전기배선, 즉 메인전원선을 고정하는 통상의 클램핑스프링 내장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 스프링 내장공간에 구비되는 클램핑 스프링은 상술한 어댑터 내장부의 인입부에 형성되는 클램핑 스프링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커버(150)는 메인전원선의 삽입구멍(151)이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 스프링과 함께 본 발명의 콘센트 내부로 전원의 안전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 즉 탄성부재(250; 도 2참조)는 상기 충전블록(200)의 인출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바,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어커버(150) 또는 상기 바디(110)에는 상기 코일스프링 후단부를 수용하는 원형 슬리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의 용이한 조립을 위하여 상기 리어커버(150)에는 상기 바디(110)와 리어커버(150)를 체결시켜 고정하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연통공(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리어커버(150)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바디(110)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는 상술한 모바일기기의 충전 기능뿐만 아니라, 종래의 콘센트로서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2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블록과 결합하고 건물의 벽체 외부로 노출되는 메인커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커버(300)의 일측 즉, 상기 메인블록의 출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블록이 인출되는 인출구(310)를 제외한 일측에는 통상의 플러그 삽입구(32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는 2박스 내지 3박스 규격의 콘센트장착부에 설치되는 바, 1박스 내지 2박스 규격의 공간을 상술한 모바일기기 충전을 위한 구성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남은 1박스 규격의 공간을 플러그 삽입구를 포함하는 종래의 콘센트의 구성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 삽입구(3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2개소가 일렬로 배열,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320)는 상용 전원 소켓(330)과 연결되고 상기 상용 전원 소켓은 상기 콘센트 장착부에 구비된 메인전원선과 연결되어 종래의 콘센트로서의 기능을 보장한다.
따라서 상기 리어커버(150; 도 5 참조))에 구비되는 메인전원선 삽입구멍(151) 내지 클램핑스프링은 상기 상용 전원 소켓(330; 도 2참조)으로부터 전원공급선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콘센트장착부의 메인전원선이 리어커버의 메인전원선 삽입구멍(151) 또는 상기 사용 전원 소켓 중 어느 하나와 먼저 연결되어 전체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변형, 수정할 수 있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을 저해하는 요소가 아니므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상기 상용 전원 소켓(330)과 상기 메인블록(100)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메인블록(100)에는 상기 사용 전원 소켓을 위한 제1결합부(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용 전원 소켓(330)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본질적 특징과는 직접적 관련성이 낮으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구성 및 연결 관계는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는 도 2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의 콘센트 장착부에 고정된 조인트박스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고정브라켓(1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커버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박스에 고정되어 본 발명의 매입형 콘센트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6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평판 형상의 부재로써, 상기 고정브라켓(160)은 일측에 상기 상용 전원 소켓(330)이 삽입, 관통되는 상용 전원 소켓용 소켓결합부(162)와, 타측에 상기 메인블록(100)이 결합될 수 있는 메인블록용 메인결합부(161)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는 콘센트 활용의 범용성 및 설치의 용이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160)의 메인결합부(161)는 분할바(163)에 의하여 나뉘어져 형성되어 별도의 상용전원 소켓용 제2결합부(165) 및 메인블록(100) 결합용 제3결합부(164)로 이용되어지거나,
상기 분할바(163)를 제거하여 상기 제2결합부(165) 및 상기 제3결합부(164)가 하나의 결합부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블록용 메인결합부(161)로 활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2박스형 또는 3박스형의 규격을 갖는 콘센트 장착부에 모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콘센트 장착부의 규격은 건물의 용도 변경 내지 사용자의 확장, 활용을 위하여 상기 콘센트 장착부는 3박스형으로 이루어지되,
벽체 외부로 노출되는 메인커버(300)는 3박스형의 면적을 갖되, 플러그 삽입구(320)는 2박스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160)을 3박스형으로 제작하고, 분할바(163)를 통한 규격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모바일기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충전블록의 규격을 달리하여 선택 설치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는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메인블록 111 : 랙
112 : 고정레일 120 : 전원도입부
130 : 가이드레일 140 : 걸림체
150 : 리어커버 160 : 고정브라켓
161 : 메인결합부 162 : 소켓결합부
163 : 분할바 164 : 제2결합부
165 : 제3결합부
200 : 충전블록 221 : 어댑터내장부
222 : 인입부 223 : 인출부
210 : 거치부 211 : 피니언
212 : 후크 230 : 가이드홈
240 : 램프 300 : 메인커버
310 : 출입부 320 : 플러그 삽입구

Claims (6)

  1. 전원도입부(120)를 갖고, 가이드레일(130)을 구비한 출입부를 구비하고, 벽체에 매입되는 메인블록(100); 및
    상기 메인블록(100)의 출입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딩 인출되고, 상기 전원도입부(120)와 연결된 모바일기기 충전부를 갖는 충전블록(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블록(200)과 상기 메인블록(100) 사이에는 충전블록(200)을 탄지하는 탄성부재(250)가 개재되어 있고, 충전블록(200)의 인출 또는 인입 속도를 줄이는 감속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감속수단은 상기 메인블록(100)에 구비된 랙(111)과, 상기 충전블록(200)에 구비된 피니언(211)으로 구성된 기어템퍼(geared temper)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블록(100)에는 상기 랙(111)이 슬라이딩결합되는 고정레일(11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블록(200)의 충전부에는 모바일기기용 전원으로 외부전원을 변환하는 어댑터가 내장될 수 있는 어댑터 내장부(2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 내장부(220)는 모바일기기용 충전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는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충전블록(20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고,
    상기 메인블록(100)에는 충전블록(200)의 인입상태를 고정하는 스냅 클램핑 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클램핑 수단은 후크(212a)를 갖는 클램퍼(212)와, 상기 후크(212a)에 결합되는 걸림체(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형 콘센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100)과 결합하고 건물의 벽체 외부로 노출되는 메인커버(300)와, 상기 메인블록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도입부와 연결된 상용 전원 소켓(3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블록(100)과 상기 메인커버(300) 사이에는 벽체의 콘센트 장착부에 고정된 조인트박스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6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60)의 일측에는 상기 상용 전원 소켓(330)이 삽입, 관통되는 상용 전원 소켓용 소켓결합부(16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메인블록(100)이 결합되는 메인블록용 메인결합부(161)가 형성되되,
    상기 메인결합부(161)는 분할바(163)에 의하여 나뉘어져 형성되어 별도의 상용전원 소켓용 제2결합부(165) 및 메인블록(100) 결합용 제3결합부(164)로 이용되어지거나,
    상기 분할바(163)를 제거하여 상기 제2결합부(165) 및 상기 제3결합부(164)가 하나의 결합부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블록용 메인결합부(161)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KR1020120121449A 2012-10-30 2012-10-30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KR101235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449A KR101235586B1 (ko) 2012-10-30 2012-10-30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449A KR101235586B1 (ko) 2012-10-30 2012-10-30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586B1 true KR101235586B1 (ko) 2013-02-21

Family

ID=4789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449A KR101235586B1 (ko) 2012-10-30 2012-10-30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5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391A (ko) * 2017-06-12 2018-12-20 이상호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도난 방지 방법
KR102503203B1 (ko) * 2021-11-03 2023-02-24 주식회사 파워랩스 무선 전력 송수신 스피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693B1 (ko) 2005-12-23 2007-09-21 주식회사 모빌일렉트론 충전회로 일체형 매립형 콘센트
KR200439257Y1 (ko) * 2006-12-22 2008-03-28 조진우 휴대폰 충전기가 구비된 테이블
KR100978798B1 (ko) * 2008-07-01 2010-08-30 주식회사 동남 인출식 콘센트 장치
KR100991709B1 (ko) * 2010-06-25 2010-11-03 김화선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693B1 (ko) 2005-12-23 2007-09-21 주식회사 모빌일렉트론 충전회로 일체형 매립형 콘센트
KR200439257Y1 (ko) * 2006-12-22 2008-03-28 조진우 휴대폰 충전기가 구비된 테이블
KR100978798B1 (ko) * 2008-07-01 2010-08-30 주식회사 동남 인출식 콘센트 장치
KR100991709B1 (ko) * 2010-06-25 2010-11-03 김화선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391A (ko) * 2017-06-12 2018-12-20 이상호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도난 방지 방법
KR102035290B1 (ko) * 2017-06-12 2019-10-22 이상호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도난 방지 방법
KR102503203B1 (ko) * 2021-11-03 2023-02-24 주식회사 파워랩스 무선 전력 송수신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90114B2 (en) Piece of furniture having a drawer and current consumer
CN103959593A (zh) 充电台
CN201999587U (zh) 一种充电器电线集线装置
KR101235586B1 (ko) 슬라이딩 인출식 모바일기기 충전블록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CN209266770U (zh) 一种隐藏式电源板
AU2015101842A4 (en) Power Assembly
US20160242560A1 (en) Seating furniture
CN201781128U (zh) 升降排插
CN112285401A (zh) 一种电能计量装置
KR100750960B1 (ko) 공동주택의 배선단자의 안전형 설치구조
KR200394764Y1 (ko) 휴대전화기용 멀티충전어셈블러
CN202917701U (zh) 一种墙体内嵌式插座
CN201945613U (zh) 一种电能表的安装结构
CN201805114U (zh) 一体式滑盖托板插座面板
CN205911481U (zh) 一种防触电电插头
KR20100003489A (ko) 인출식 콘센트 장치
CN201233999Y (zh) 安全防水嵌入式插座盒
CN210536324U (zh) 一种多功能充电器
WO2014020198A1 (es) Sistema y conector de carga eléctrica para dispositivos electrónicos
CN208284697U (zh) 一种新型多功能便携插座
CN206004088U (zh) 旅行安全充电插座
KR20210035432A (ko) 양면 무선충전 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CN202142746U (zh) 一种方便定位或挂置的插座
CN205319482U (zh) 多功能旅行充电转换插头
CN201708734U (zh) 壁挂式太阳能供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