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851A - 출입식 전동 콘센트 - Google Patents

출입식 전동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851A
KR20180122851A KR1020170056991A KR20170056991A KR20180122851A KR 20180122851 A KR20180122851 A KR 20180122851A KR 1020170056991 A KR1020170056991 A KR 1020170056991A KR 20170056991 A KR20170056991 A KR 20170056991A KR 20180122851 A KR20180122851 A KR 20180122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sing
casing
ascending
outer casing
desc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기
송병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케이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케이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케이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70056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2851A/ko
Publication of KR2018012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상승) 높이 조절이 가능한 출입식 전동 콘센트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콘센트는, 주방 가구에 고정되는 외부케이싱(10)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하 배열되는 다수의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내부케이싱(20); 상기 내부케이싱(2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 그리고 상기 승하강수단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내부케이싱을, 다수의 설정 높이에서 정지시키기 위하여, 내부케이싱(20)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승하강수단은, 랙기어(16)와, 구동모터(32) 및 피니언(34)으로 구성되어, 내부케이싱(20)을 승하강시킨다. 여기서 감지수단은, 외부케이싱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마그네스(18)와, 내부케이싱의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마그네트와의 반응에 의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다수의 리드스위치(28A,28B,28C)로 구성된다. 따라서 마그네트에 반응하는 리드스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모터가 동작하면서 내부케이싱의 승하강 및 위치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출입식 전동 콘센트{Concents driven by moter in and out type}
본 발명은 전동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를 이용하여 주방 가구에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더욱이 출입 정도를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안전도 및 편의성을 향상시킨 출입식 전동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가전 제품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는 벽면 등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싱크대 등과 같은 주방 가구 등에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에만 꺼내어서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으며 널리 시판 중에 있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출원 제10-2009-0136403호에서도, 싱크대 등과 같은 주방 가구에 설치하여 사용 시에서 상부로 꺼내어 사용하는 전동 콘센트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두 개의 가전 제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2개의 콘센트부를 구비하도록 설치하면서, 1회의 조작에 의하여 2개의 콘센트부가 전부 나오거나 들어가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에 의하면 사용 상 여러 가지 불편함이 제기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가전제품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콘센트부만 노출되도록 올라오면 충분하나, 한 번의 조작으로 2개의 콘센트부가 동시에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정도까지 큰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설계 및 안전성, 그리고 편의성의 측면에서 다소 뒤떨어지고 만족스럽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목적에 맞도록 출입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출입형 전동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싱크대 또는 식탁 등과 같은 주방 가구에서 물기의 침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출입형 전동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출입식 전동 콘센트는, 주방 가구에 고정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하 배열되는 다수의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내부케이싱; 상기 내부케이싱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 그리고 상기 승하강수단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내부케이싱을, 다수의 설정 높이에서 정지시키기 위하여, 내부케이싱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승하강수단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외부케이싱의 내측면에 상하로 설치되는 랙기어와, 내부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감지수단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외부케이싱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1센서부와, 내부케이싱의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제1센서부와의 반응에 의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2센서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감지수단의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모터가 동작하면서 내부케이싱의 승하강 및 위치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전원공급부, 즉 콘센트를 구비하고 있는 내부케이싱을 원하는 높이까지만 돌출시켜서, 필요로 하는 콘센트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기구물이 높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편리한 가전 제품의 사용을 안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수구조에 의하면, 주방의 싱크 또는 식탁 등에서 외부 물기가 콘센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물기에 의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안전상의 작용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전동 콘센트의 정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전동 콘센트의 동작을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전동 콘센트의 종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전동 콘센트의 다른 종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 전동 콘센트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 전동 콘센트의 평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 전동 콘센트의 내부케이싱의 상단부분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입형 전동 콘센트는, 주방 가구에 고정되는 외부케이싱(10)과, 상기 외부케이싱(1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케이싱(2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외부케이싱(10)은, 일정한 두께의 상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외부케이싱 홀더(12)와 외부케이싱 홀더너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외부케이싱 홀더(12)와 상기 외부케이싱 홀더(12)에 나사결합하는 외부케이싱 홀더너트(14)는, 예를 들면 주방 가구(또는 기기)의 상면을 그 사이에 두고 나사 결합함으로써 외부케이싱(10)을 주방 가구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외부케이싱(10)을 주방 가구에 고정하기 위한 외부케이싱 홀더(12) 및 홀더너트(14)의 구성은 이미 널리 사용되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내부케이싱(20)은, 다수의 전원 공급부(22A,22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외부케이싱(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더욱이 정해진 위치에서 이단 이상으로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2에서 (a)에 도시한 상태는 내부케이싱(20)이 하방으로 내려가 주방 가구의 상판에서 보이지 않는 상태이고, (b)는 내부케이싱(20)이 상방으로 일정 간격 올라온 제1노출위치이며, (c) 는 내부케이싱(20)이 완전히 상부로 올라온 상태이다. 따라서 제1노출위치에서는 하나의 전원 공급부(22A)만 노출된 상태이고, 제2노출위치는 두 개의 전원 공급부(22A,22B)가 같이 노출되어 동시에 사용 가능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원 공급부(22A,22B)는 실질적으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꽂아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하고 콘센트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부분은 실질적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렇게 오목한 전원 공급부(22A,22B)에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꽂아서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필요한 정도에 따라서 하나의 전원공급부를 노출시키는 제1노출위치와 한 쌍의 전원 공급부를 동시에 노출시키는 제2노출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내부케이싱(20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내부케이싱(20)의 상면에 설치된 조작버튼(29)을 1회 누르면 내부케이싱(20)은 제1노출위치까지 상승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조작버튼을 누르면 제2노출위치까지 내부케이싱(20)이 상승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긴 시간 동안 조작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한 번에 제2노출위치까지 내부케이싱(20)이 상승하도록, 제어부(CPU)를 설계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내부케이싱(20)에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 공급부(22A) 및 제2전원 공급부(22B)가 상하에 설치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예를 들면 USP포트(24)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내부케이싱(20)의 최상단부는 탑커버(26)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탑커버(26)는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실제로 주방 가구의 상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내부케이싱(20)의 승하강 및 정해진 위치에서의 멈춤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술한 내부케이싱(20)이 외부케이싱(10)에 대하여 승하강하는 것은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외부케이싱(1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랙기어(16)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랙기어(16)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부케이싱(20)에는 피니언(34) 및 구동모터(3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버튼(26)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모터(32)가 동작하게 되면 피니언(34)이 회전하면서 맞물린 랙기어(16)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2) 및 피니언(34)이 설치되어 있는 내부케이싱(20)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케이싱(20)은, 상부에 있는 제1전원 공급부(22A)만 노출된 상태인 제1노출위치에서 멈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승하는 내부케이싱(20)이 제1노출위치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필요하다. 즉, 후술하는 센서에 의하여 내부케이싱(20)이 제1노출위치에 도달하였다는 것이 감지되고, 이러한 감지신호가 제어부(CPU)(40)에 전달되면 제어부(40)는 구동모터(32)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전원 공급부(22A)만 노출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인 제1노출위치까지 내부케이싱(20)이 상승하였는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써의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고정된 외부케이싱(10)에 대하여 승하강하는 내부케이싱(10)의 상대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도시한 실시 예에 의하면, 외부케이싱(10)의 상단부에는 마그네트(18)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케이싱(20)에는 다양한 높이에 다수의 리드 스위치(Reed switch)(28:28A,28B,28C)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리드스위치(28)는 알려진 바와 같이 자석의 자력에 반응하여 온(On)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승하강하는 내부케이싱(20)에 설치된 다수의 리드스위치(28)가 특정 위치에 이르면 상기 마그네트(18)에 의하여 온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신호를 제어부(CPU)(40)에 전달된다.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중간 리드 스위치(28B)는, 도 2의 (a)상태에서 내부케이싱(20)이 상승하여 제1노출위치로 되는 순간에 내부케이싱(20)이 멈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같이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조작버튼(29)의 조작 신호에 의하여 구동모터(32)가 동작하면서 내부케이싱(20)이 상승하여, 마그네트(18) 위치에 이르면 중간 리드 스위치(28B)가 온(On)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40)는 이러한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모터(32)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내부케이싱(20)의 상승을 정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부에 있는 전원공급부(22A)만 노출된 상태이고, 사용자는 이것을 이용하여 가전제품에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케이싱(20)을 상방으로 완전히 인출한 상태, 즉 한 쌍의 전원공급부(22A,22B)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제2노출위치로 올리기 위해서는, 다시 조작버튼(29)을 한 번 더 누르게 된다. 이러한 신호에 따라서 제어부(40)는 구동모터(32)를 다시 동작시켜 내부케이싱(20)을 상승시킨다. 이렇게 상승하는 내부케이싱(20)은, 하부의 리드스위치(28A)가 마그네스(18)의 위치에 도달하여 온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멈추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내부케이싱(20)이 제2노출위치에 있고, 한 쌍의 전원공급부(22A,22B)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전기의 사용이 모두 완료되면 내부케이싱(2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주방가구 내측으로 넣어야 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사용자는 내부케이싱(20) 상면의 조작버튼(29)을 누르게 된다.
제2노출위치에서 노작버튼(29)이 눌러지면, 제어부(40)는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서 내부케이싱(2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내부케이싱(20)의 하방 이동 시, 제어부(40)는 하부 리드스위치(28A) 및 중간 리드스위치(28B)에서의 신호는 무시하고, 가장 상부에 있는 상부 리드스위치(28C)의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모터(32)를 제어한다. 즉, 가장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리드스위치(28C)가 마그네트(18)가 설치된 위치까지 내려와서 반응하게 되면 온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제어부(40)는 이러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3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부로 돌출된 내부케이싱(20)의 상단부가 주방 가구의 상면과 유사한 높이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는 도 1의 (a)에 도시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버튼(29)의 조작에 따라 내부케이싱(20)의 승하강 제어는 다양하게 변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을 길게 누르는 한 번의 조작으로 제2노출위치까지 내부케이싱(20)을 상승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의하면, 내부케이싱(20)이 상승한 후 2개소(제1노출위치 및 제2노출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상승 방향에서는 두 개의 리드스위치(28A,28B)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케이싱(20)의 상승 시 정지하는 높이는 리드스위치(28)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2개소 또는 3개소로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내부케이싱(20)은, USB포트(24)만이 노출될 수 있는 높이에서 멈추거나, 상부에 있는 제1전원공급부(22A)까지 노출될 수 있는 높이에서 멈추거나, 하부의 제2전원공급부(22B)까지 노출될 수 있는 높이에서 멈추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리드스위치(28) 및 마그네트(18)은 예시적인 것이고, 외부케이싱(10)에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1센서부(마그네트의 기능)와, 상기 제1센서부에 반응할 수 있고 내부케이싱의 다른 높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센서부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제2센서부의 승하강시 제1센서부가 특정 높이의 제2센서부를 감지할 수 있어서,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40)로 전송함으로써 구동모터(32)를 정지하거나 구동시킬 수 있으면, 내부케이싱을 설정된 높이에서 여러 지점에서 충분히 정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면 내부케이싱(20)을 원하는 높이에서 멈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내부케이싱(20)에 무드 램프(4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무드램프(42)는 내부케이싱(20)이 제1노출위치 그리고/또는 제2노출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제어부(4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다음에는 내부케이싱(20)의 상단부에 있는 조작버튼(29)과 관련되는 방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주방에서 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기 제품은 반드시 방수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내부케이싱(20)의 상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탑커버(26)의 상면은 물기가 항상 존재하는 부분일 수 있어서 특히 방수가 문제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커버(26)의 상면 중앙에는 조작버튼(29)이 설치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조작버튼(29)을 포함하는 탑커버(26)의 상면을 한 장의 고무 시트를 이용하여 성형하게 되면 방수는 완벽하게 될 수 있으나, 항상 노출되어 있는 탑커버(26)의 상면에 대한 디자인에 대한 한계가 지적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탑커버(26)의 상면과 조작버튼(29)을 별도의 소재로 따로 성형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그 사이를 통하여 물기의 침투가 예상되고, 이 부분에 대한 방수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커버(26)의 중앙에는 별도의 사출물로 성형되는 조작버튼(29)이 설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일정한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조작버튼(29)은 중앙부분에는 누름돌기(29a)가 성형되어 있고, 외벽(29b)의 하단부에는 플랜지부(29c)가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29c)의 상부에는 탑커버(26)의 내측벽(26a)의 하단부가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탑커버(26)와 조작버튼(29)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물기가 침투하게 되면, 회로기판(47)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의 방수를 위하여, 누름돌기(29a)의 외벽(29b) 및 플랜지부(29c)와 탑커버(26)의 내벽(26a)의 하단부 사이에는, 방수를 위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성형되는 씰링(46)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버튼(29)과 탑커버(26)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의 물기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작버튼(29)의 중앙부분을 누르게 되면, 합성수지의 탄성력에 의하여 중앙부분이 하방으로 탄성변형하게 되고, 누름돌기(29a)가 스위치(45)를 눌러 접점을 온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45)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내부케이싱(20)의 승하강 등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의 전원공급부를 가지는 내부케이싱(20)을 정해진 다단의 위치로 상부로 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콘센트만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출발점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자명하다.
10 ..... 외부케이싱
16 ..... 랙기어
20 ..... 내부케이싱
22A ..... 제1전원공급부
22B ..... 제2전원공급부
24 ..... USB포트
26 ..... 탑커버
28 ..... 리드스위치
29 ..... 조작버튼
32 ..... 구동모터
34 ..... 피니언
40 ..... 제어부
42 ..... 무드램프

Claims (3)

  1. 주방 가구에 고정되는 외부케이싱(10)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하 배열되는 다수의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내부케이싱(20);
    상기 내부케이싱(2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 그리고
    상기 승하강수단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내부케이싱을, 다수의 설정 높이에서 정지시키기 위하여, 내부케이싱(20)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되는 출입식 전동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외부케이싱의 내측면에 상하로 설치되는 랙기어와, 내부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출입식 전동 콘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외부케이싱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1센서부와, 내부케이싱의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제1센서부와의 반응에 의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2센서부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모터가 동작하면서 내부케이싱의 승하강 및 위치제어가 가능한 출입식 전동 콘센트.




KR1020170056991A 2017-05-04 2017-05-04 출입식 전동 콘센트 KR20180122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991A KR20180122851A (ko) 2017-05-04 2017-05-04 출입식 전동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991A KR20180122851A (ko) 2017-05-04 2017-05-04 출입식 전동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851A true KR20180122851A (ko) 2018-11-14

Family

ID=6432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991A KR20180122851A (ko) 2017-05-04 2017-05-04 출입식 전동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28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108B1 (ko) 2019-04-04 2020-08-06 김석호 간편 장착구조를 갖는 가구용 콘센트 기구
KR20230001994U (ko) 2022-04-12 2023-10-19 주식회사 일룸 콘센트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108B1 (ko) 2019-04-04 2020-08-06 김석호 간편 장착구조를 갖는 가구용 콘센트 기구
KR20230001994U (ko) 2022-04-12 2023-10-19 주식회사 일룸 콘센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1863A1 (en) Electrically adjustable furniture piece comprising a drive motor
KR20180122851A (ko) 출입식 전동 콘센트
CN206059208U (zh) 一种智能开关罩
KR100991709B1 (ko) 자동 인출입형 멀티 콘센트장치
KR900002746A (ko) 전기소제기의 파워브러시
JP2011072470A (ja) 昇降棚装置
KR100612464B1 (ko) 승강식 배기후드 장치
KR20180010742A (ko) 자동인출 수납장치
EP2348153A2 (en) Stepping-free electric dehydration barrel
KR20180122854A (ko) 외부 모듈 장착형 출입식 전동 콘센트
US6828532B2 (en) Microwave oven with microwave leak control
US10231539B1 (en) Table cabinet having power-driven lifting socket and power-driven lifting socket
KR20170072619A (ko) 식기 수납장
US3363080A (en) Electronic cooking oven
US20100089903A1 (en) Cooking Appliance
JP2003049468A (ja) 排水栓装置
KR20200012418A (ko) 조명장치
CN109235563B (zh) 一种防溢水洗手池
JP2006296574A (ja) 移動位置検出装置
CN215604169U (zh) 一种智能化定制多功能橱柜
CN106214005B (zh) 一种锅具的非侵入式防水按键结构
US11730264B1 (en) Cabinet system
US20230231335A1 (en) Installation element
CN210575602U (zh) 一种面板开关用保护壳
CN221531895U (zh) 一种安装在沙发上的控制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