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988B1 - 디스플레이용 팔레트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988B1
KR101906988B1 KR1020170018808A KR20170018808A KR101906988B1 KR 101906988 B1 KR101906988 B1 KR 101906988B1 KR 1020170018808 A KR1020170018808 A KR 1020170018808A KR 20170018808 A KR20170018808 A KR 20170018808A KR 101906988 B1 KR101906988 B1 KR 101906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universal
display
support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710A (ko
Inventor
정상헌
Original Assignee
바이옵트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옵트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옵트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9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팔레트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상기 앞면에 반대되는 뒷면이 거치되는 복수의 유니버설 핀; 복수의 상기 유니버설 핀이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해 돌출된 상기 유니버설 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며, 상기 유니버설 핀은 상기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팔레트{PALLET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 TFT, LCD, 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거나 테스트할 때는 팔레트라 불리는 지지 기구에 디스플레이를 거치한 상태로 이송 및 관리한다. 이 팔레트는 생산 방법이나 디스플레이의 종류, 작업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다.
그런데, 기존의 팔레트는 평판 형상의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화면이 곡면으로 휘어진 커브드 디스플레이 또는 각지게 휘어진 루브르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물론, 커브드 디스플레이, 루브르 디스플레이에 1:1 대응되는 팔레트가 마련될 수 있으나, 커브드 디스플레이의 곡률 또는 루브르 디스플레이의 굴곡 각도 또한 제품마다 다양하므로, 각 디스플레이에 대응하기 위해 이론상 무한대 종류의 팔레트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13117호에는 양측 지지대의 자동 슬라이딩 및 락(lock)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고정 탑재하는 팔레트가 개시되고 있으나,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적응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방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13117호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지지할 수 있는 팔레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팔레트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상기 앞면에 반대되는 뒷면이 거치되는 복수의 유니버설 핀; 복수의 상기 유니버설 핀이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해 돌출된 상기 유니버설 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곡률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며, 상기 유니버설 핀은 상기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팔레트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그 반대면이 거치되는 복수의 유니버설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유니버설 핀은 디스플레이의 곡률 또는 굴곡 각도에 따라 탄성적으로 돌출 길이가 변하므로,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팔레트를 이용해서 플랫(flat) 디스플레이,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 루브르(Louvre) 디스플레이 등 구분없이 각종 디스플레이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니버설 핀의 돌출 길이가 디스플레이의 앞면 형상 또는 뒷면 형상에 맞게 가변된 후 잠금부에 의해 고정되므로, 잠금부로 고정시키는 초기 세팅이 완료되면 특정 형상의 디스플레이의 양산 공정에 신속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니버설 핀의 훼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공압을 이용해서 유니버설 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압을 제공하는 외부 펌프로부터 팔레트가 이탈되더라도 유니버설 핀의 이동 제한 상태, 다시 말해 잠금 상태가 유지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팔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니버설 핀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팔레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잠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잠금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팔레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팔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팔레트는 유니버설 핀(110),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니버설 핀(110)은 디스플레이(10)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0)의 앞면(영상이 출력되는 영역 포함) 또는 앞면에 반대되는 뒷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유니버설 핀(110)은 디스플레이(10)의 앞면 또는 뒷면이 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점차 대형화되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뒷면을 지지하기 위해 유니버설 핀(110)은 디스플레이에 점접촉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해 유니버설 핀(110)은 지지부(130)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근래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 앞면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플랫(flat)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앞면이 곡면으로 휘어진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 앞면이 각지게 휘어진 루브르(Louvre) 디스플레이 등이 등장하고 있다. 대형화 추세에 맞춰 앞면의 형상이 굴곡진 디스플레이의 보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형의 디스플레이를 가공하거나 테스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앞면이 지지되거나 뒷면이 지지될 필요가 있다. 이때, 지지부(130)로부터 디스플레이를 향해 돌출된 유니버설 핀(110)의 돌출 길이 h가 고정된다면, 디스플레이의 앞면 형상 또는 뒷면 형상에 맞게 돌출 길이 h가 형성된 다양한 종류의 팔레트가 마련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디스플레이의 앞면 형상 또는 뒷면 형상은 각 제품마다 다르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커브드 디스플레이라 하더라도, 화면 크기 등에 따라 앞면에 다양한 곡률이 적용되므로, 이론상 무한대 종류의 팔레트가 마련되어야 한다.
한 종류의 팔레트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해 유니버설 핀(110)의 돌출 길이 h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형상 또는 뒷면 형상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유니버설 핀(110)은 돌출 길이 h가 가변되도록 지지부(1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평소 복수의 유니버설 핀(110)의 돌출 길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유니버설 핀(110)에 커브드 디스플레이의 앞면이 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유니버설 핀(110)의 돌출 길이는 디스플레이의 가운데를 지지하는 유니버설 핀(110)의 돌출 길이보다 작게 가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니버설 핀(11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는 유니버설 핀(110)의 단면이 나타난다.
유니버설 핀(110)에는 디스플레이가 거치되는 제2 핀(113), 탄성 수단(119)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핀(113)은 지지부(130)로부터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대형의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뒷면이 거치되는 현실을 비추어볼 때 중력 방향과 동축일 수 있다.
탄성 수단(119)은 지지부(130)와 제2 핀(113) 사이에 개재되고 제1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 수단(119)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제2 핀(113)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제2 핀(113)이 디스플레이, 특히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에 접촉되면 디스플레이가 훼손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대면되는 제2 핀(113)의 단부에는 디스플레이에 접촉되는 댐핑 수단(117)이 마련될 수 있다. 댐핑 수단(117)은 디스플레이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부드럽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댐핑 수단(117)은 고무 재질을 포함하거나, 발포폴리프로필렌 등의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핀(113)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자유도를 갖게 지지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핀(113)은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가이드되도록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 형상 또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유니버설 핀(110)에는 지지부(130)와 제2 핀(113)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핀(1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핀(111)은 지지부(130)에 고정되는 요소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핀(113)은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1 핀(11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핀(111)과 제2 핀(113)이 모두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2 핀(113)은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제1 핀(111)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핀(111)에 제2 핀(113)이 끼워지면 제2 핀(113)은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1 핀(111)이 마련된 경우 탄성 수단(119)은 제1 핀(111)과 제2 핀(11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훼손을 방지하면서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유니버설 핀(110)의 개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댐핑 수단(117)의 직경은 가능한 큰 것이 좋다. 그런데, 플렉시블한 댐핑 수단(117)을 지지하기 위해 제2 핀(113)의 직경이 커지면 팔레트 전체의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댐핑 수단(117)과 비교하여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핀(113)을 이용해서 댐핑 수단(117)을 지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대면되는 제2 핀(113)의 단부에는 제2 핀(113)보다 큰 직경을 갖는 연결판(115)이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대면되는 연결판(115)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에 접촉되며 제2 핀(113)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댐핑 수단(117)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판(115)은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115)에 의해 작은 직경의 제2 핀(113)으로 큰 직경의 댐핑 수단(117)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30)에 형성된 복수의 유니버설 핀(110)에 디스플레이가 거치되면, 각 유니버설 핀(110)은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돌출 길이 h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돌출 길이 h의 가변은 탄성 수단(119)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루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거치 초기에 각 유니버설 핀(110)은 제1 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상태, 즉 출렁거리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서 멈추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커브드 디스플레이의 경우 가장자리의 유니버설 핀(110)은 가운데의 유니버설 핀(110)보다 돌출 길이가 줄어든 상태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유니버설 핀(110)에 거치시킬 때마다 유니버설 핀(110)의 출렁거림이 계속된다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작업이 불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최적의 위치에서 움직임이 정지된 유니버설 핀(110)의 돌출 높이 h를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팔레트는 유니버설 핀(110)의 이동을 로킹(locking)하는 잠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150)는 유니버설 핀(110), 구체적으로 제2 핀(113)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제2 핀(11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잠금부(150)가 제2 핀(113)의 외주면으로부터 도피되면, 유니버설 핀(110)의 이동 제한이 해제되고 제2 핀(113)은 제1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제2 핀(113)의 외주면에 대해 밀착되거나 도피되도록 잠금부(150)는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핀(113)의 외주면에는 잠금부(150)를 향해 돌출된 돌출 수단(114)이 마련될 수 있다. 잠금부(150)가 유니버설 핀(110)의 외주면에 가압되면, 돌출 수단(114)은 잠금부(150)에 걸리면서 유니버설 핀(110)의 이동을 로킹시킬 수 있다. 만약, 돌출 수단(114)이 없다면 제2 핀(113)의 외주면에 잠금부(150)가 밀착된 상태라 하더라도 거치된 디스플레이의 자중에 의해 제2 핀(113)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잠금부(150)에 대해 제2 핀(113)이 슬라이딩되면 제2 핀(113)의 돌출 길이 h가 변할 수 있다. 그러나, 돌출 수단(114)에 따르면 제2 핀(113)의 슬라이딩이 확실하게 방지되므로 돌출 길이 h는 잠금부(150)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예로, 돌출 수단(114)은 유니버설 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속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은 절삭 공정 등을 통해 제2 핀(113)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나사산은 제1 방향에 수직하지 않게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므로, 지지부(130)에 형성된 홀 등에 제2 핀(113)이 관통 배치될 때 제1 방향에 수직하게 돌출된 고리 형상과 비교하여 해당 홀에 쉽게 걸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잠금부(150)에는 우레탄과 같은 플렉시블 재질의 로킹 수단(169)이 마련될 수 있다. 로킹 수단(169)은 유니버설 핀(110), 구체적으로 제2 핀(113)의 외주면에 가압되면서 나사산에 맞춰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형상 변형에 따라 로킹 수단(169)의 일부는 각 나사산 사이에 끼워지면서 유니버설 핀(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살펴보면, 나사산이 로킹 수단(169)의 외면을 파고 들어간 것과 유사한 형태로 나사산에 의해 로킹 수단(169)이 변형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로킹 수단(169)의 형상 변형에 의해 유니버설 핀(110)의 이동이 확실하게 제한될 수 있으므로, 유니버설 핀(110)의 돌출 길이 h 역시 디스플레이를 지지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팔레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지지부(130)는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방향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이면, 제2 방향은 지면에 수평한 방향일 수 있다.
유니버설 핀(110)은 제2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지지부(130)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30)의 연장 방향과 잠금부(150)의 이동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지지부(130)에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판(137),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가이드(131),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가이드(132)가 제1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방향을 따라 지지판(137), 제1 가이드(131), 제2 가이드(132)가 설정 위치 배치도도록 지지판(137), 제1 가이드(131), 제2 가이드(132)를 연결하고 지지하는 고정 수단(139)이 추가될 수 있다.
지지판(137)에는 제1 핀(111)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에는 제2 핀(113)이 관통하는 관통 홀이 마련될 수 있다. 2개의 관통 홀을 통과는 제2 핀(113)은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에 밑에 배치된 지지판(137)에 설치된 제1 핀(111)에 끼워질 수 있다.
잠금부(150)는 제1 방향의 이동 자유도가 제한되면서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는 잠금부(150)의 레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잠금부(150)는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잠금부(150)는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 사이에 위치한 제2 핀(113)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제2 핀(113)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2 핀(113)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제2 핀(113)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도 4는 잠금부(150)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잠금부(15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잠금부(150)를 덮고 있는 제3 판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잠금부(150)에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153)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장공(153)의 일측 내면에는 제2 방향을 따라 잠금부(150)가 움직일 때 제2 핀(113)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로킹 수단(169)이 마련될 수 있다.
장공(153)의 일측 내면에는 로킹 수단(169)이 수용되는 홈 형상의 설치 홈(162)이 마련될 수 있다. 설치 홈(162)에 설치된 로킹 수단(169)의 일부는 장공(153)의 일측 내면으로부터 제2 핀(113)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로킹 수단(169)은 플렉시블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잠금부(150)가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제2 핀(113)의 외주면에 가압되면서 밀착될 수 있다. 제2 핀(113)의 외주면에 돌출 수단(114)이 마련된 경우, 돌출 수단(114)에 대면되는 로킹 수단(169)은 가압 밀착 과정에서 돌출 수단(114)에 의해 밀리면서 함몰될 수 있다. 그 형상은 마치 로킹 수단(169)에 돌출 수단(114)이 끼워진 형태가 되므로, 돌출 수단(114) 및 제2 핀(113)의 제1 방향 이동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잠금부(150)에는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딩 수단, 슬라이딩 수단을 움직이는 액추에이터(159), 슬라이딩 수단과 액추에이터(159)를 연결하는 링크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수단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수단은 지지부(130)의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에 의해 제1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슬라이딩 수단에 연결된 링크 수단의 일단과 액추에이터(159)에 연결된 링크 수단의 타단은 제2 방향 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수단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59)는 제1 방향을 따라 링크 수단의 타단을 움직일 수 있다. 지지부(130)에 의해 제1 방향 이동이 제한된 슬라이딩 수단에 연결된 링크 수단의 일단은 링크 수단의 타단이 제1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 제2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슬라이딩 수단은 링크 수단의 일단과 함께 제2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딩 수단에 연결된 링크 수단의 일단이 액추에이터(159)에 연결된 링크 수단의 타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경우, 액추에이터(159)에 의해 링크 수단의 타단이 상승하면 링크 수단의 일단은 제2 핀(113)의 외주면이 가압되는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반대로 액추에이터(159)에 의해 링크 수단의 타단이 하강하면 링크 수단의 일단은 제2 핀(113)의 제2 핀(113)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슬라이딩 수단은 제2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2 핀(113)에 밀착되거나 제2 핀(113)으로부터 도피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슬라이딩 수단에는 제2 핀(113)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도피되는 장공(153) 및 로킹 수단(169)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 수단에는 유니버설 핀(110)의 간격에 맞춰 복수의 장공(15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슬라이딩 수단이 움직이는 것에 의해 복수의 유니버설 핀(110)이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수단에는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를 가로지르는 고정 수단(139)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작동공(155)이 마련될 수 있다.
각 장공(153)에 마련된 로킹 수단(169)이 각 유니버설 핀(110)을 고르게 가압하도록 하고, 팔레트 전체의 무게 중심이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액추에이터(159)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부(130)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59)를 기준으로 지지부(130)의 일측에는 제1 슬라이딩 수단(151) 및 제1 링크 수단(157)이 마련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59)를 기준으로 지지부(130)의 타측에는 제2 슬라이딩 수단(151) 및 제2 링크 수단(158)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링크 수단(157)과 제2 링크 수단(158)은 'v' 형태로 액추에이터(159)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액추에이터(159)에 의해 각 링크의 타단이 상승하면 제1 링크 수단(157)의 일은 좌측으로 밀리고, 제2 링크 수단(158)의 일단은 우측으로 밀리게 된다.
슬라이딩 수단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유니버설 핀(110)의 돌출 높이가 변동될 수 있다. 그러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슬라이딩 수단(151)과 제2 슬라이딩 수단(151)에 의해 진동이 상쇄되므로 유니버설 핀(110)의 돌출 높이를 변동시키는 진동 유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잠금부(150)에 의해 유니버설 핀(110)의 돌출 길이 h가 고정되면, 해당 팔레트는 동일한 규격의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른 규격의 디스플레이를 지지할 필요가 있으면, 사용자는 잠금부(150)의 로킹을 해제한 후 다른 규격의 디스플레이를 거치시킨 후 다시 잠금부(150)를 로킹하면 된다.
액추에이터(159)는 지렛대와 같은 기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기구 구조로 형성된 액추에이터(159)에 따르면, 팔레트는 외부에 연결된 요소가 없으므로 거치된 디스플레이와 함께 다른 장소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그런데, 액추에이터(159)가 기구 구조로 형성되면, 유니버설 핀(110)의 고정 기능이 변동되거나 무리한 가압에 의해 유니버설 핀(110)이 훼손될 염려가 있다. 또한, 자동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유니버설 핀(110)의 고정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유니버설 핀(110)의 훼손을 방지하고 자동화를 달성하기 위해 액추에이터(159)는 공압에 의해 슬라이딩 수단을 움직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팔레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에 표시된 4개의 지지부(130) 중 맨 아래의 지지부(130)는 제2 가이드(132)가 제거된 상태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팔레트에는 액추에이터(159)의 공압을 조절하는 조절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조절부(190)는 기체의 공급을 통해 공압을 유발하는 외부 펌프에 공급 라인(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조절부(190)에 의해 외부 펌프로부터 제공된 기체가 액추에이터(159)로 공급되면, 액추에이터(159)는 공압에 의해 링크 수단을 움직이고, 잠금부(150)는 유니버설 핀(110)의 이동이 로킹되도록 유니버설 핀(110)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조절부(190)는 잠금부(150)의 밀착에 의해 유니버설 핀(110)의 이동이 제한되면, 액추에이터(159)로 공급되거나 액추에이터(159)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조절부(190)에 의해 기체의 흐름이 차단되면 액추에이터(159)를 구동시킨 기체가 배출되지 않고 액추에이터(159) 내에 존재하므로, 슬라이딩 수단은 조절부(190)로부터 공급 라인이 이탈되더라도 유니버설 핀(1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190)에 의해 자동으로 액추에이터(159)가 구동된 후 사용자는 공급 라인을 액추에이터(159)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공급 라인으로부터 이탈된 팔레트는 거치된 디스플레이와 함께 자유롭게 이송될 수 있다.
조절부(190)와 액추에이터(159)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3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159)가 복수로 마련된 경우, 각 연결 라인(30)은 조절부(19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조절부(190)는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190)에는 공급 라인에 연결되는 제1 홀(191), 연결 라인(30)에 연결되는 제2 홀(192), 액추에이터(159)로부터 배출된 기체가 배출되는 제3 홀(193)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홀(191)은 공급 라인에 착탈될 수 있다.
밸브 스위치는 레버(199)에 의해 수동 조작되거나 지지부(130), 메인 프레임(180), 보조 프레임(170) 등에 설치되는 버튼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딩 유니트와 유니버설 핀(110) 간의 밀착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다.
유니버설 핀(110)의 이동을 제한할 경우, 밸브 스위치는 조절부(190)의 제1 홀(191)과 제2 홀(192)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외부 펌프로부터 공급된 기체는 공급 라인, 제1 홀(191), 제2 홀(192), 연결 라인(30)을 거쳐 액추에이터(159)로 입력될 수 있다.
슬라이딩 수단, 장공(153), 로킹 수단(169) 등이 유니버설 핀(110)을 설정값으로 가압하면, 밸브 스위치는 조절부(190)의 제2 홀(192)로부터 제1 홀(191) 및 제3 홀(193)을 단절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추가의 기체가 액추에이터(159)로 공급되지 못하므로 강한 압력에 의해 액추에이터(159), 연결 라인(30), 유니버설 핀(110), 슬라이딩 수단 등이 훼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잇다. 또한, 액추에이터(159)에 충진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므로, 잠금부(150)가 유니버설 핀(110)을 설정값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유니버설 핀(110)의 이동을 허용할 경우, 밸브 스위치는 제2 홀(192)과 제3 홀(193)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액추에이터(159)에 충진된 기체는 연결 라인(30), 제2 홀(192), 제3 홀(193)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팔레트는 복수의 지지부(130)가 설치되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메인 프레임(18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80)은 지지부(130)의 연장 방향에 해당하는 제2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메인 프레임(180)은 제1 방향에도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80)은 지지부(1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30)의 양단부에는 메인 프레임(180)에 연결되는 연결 수단(141)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수단(141)은 메인 프레임(180)에 조여지거나 풀어질 수 있다. 지지부(130)의 양측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180)의 양단에 형성된 중공(181)은 팔레트를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에 결합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중공에 의해 메인 프레임(180)을 경량화시킬 수 있다.
각 지지부(130)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연결 수단(141)은 메인 프레임(18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수단(141)이 풀어지면 지지부(130)는 메인 프레임(18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연결 수단(141)이 조여지면 지지부(130)는 메인 프레임(18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수단(141)을 이용해서 각 지지부(13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가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메인 프레임(180)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조 프레임(1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는 보조 프레임(170)에 의해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보조 프레임(170)의 단부에는 메인 프레임(180)에 연결되는 보조 수단(142)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수단(141)과 마찬가지로 보조 수단(142) 역시 메인 프레임(180)에 조여지거나 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프레임(170)은 메인 프레임(1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디스플레이 30...연결 라인
110...유니버설 핀 111...제1 핀
113...제2 핀 114...돌출 수단
115...연결판 117...댐핑 수단
119...탄성 수단 130...지지부
131...제1 가이드 132...제2 가이드
137...지지판 139...고정 수단
141...연결 수단 142...보조 수단
150...잠금부 151...제1 슬라이딩 수단
152...제2 슬라이딩 수단 153...장공
155...작동공 157...제1 링크 수단
158...제2 링크 수단 159...액추에이터
162...설치 홈 169...로킹 수단
170...보조 프레임 180...메인 프레임
181...중공 190...조절부
191...제1 홀 192...제2 홀
193...제3 홀 199...레버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상기 앞면에 반대되는 뒷면이 거치되는 복수의 유니버설 핀;
    복수의 상기 유니버설 핀이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해 돌출된 상기 유니버설 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며,
    상기 유니버설 핀은 상기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을 로킹(locking)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버설 핀에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막대 형상의 제2 핀이 마련되며,
    상기 제2 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잠금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잠금부가 상기 유니버설 핀의 외주면에 가압되면, 상기 돌출 수단은 상기 잠금부에 걸리면서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을 로킹시키는 팔레트.
  6.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상기 앞면에 반대되는 뒷면이 거치되는 복수의 유니버설 핀;
    복수의 상기 유니버설 핀이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해 돌출된 상기 유니버설 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며,
    상기 유니버설 핀은 상기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을 로킹(locking)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에는 플렉시블 재질의 로킹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유니버설 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유니버설 핀의 외주면에 가압되면서 상기 나사산에 맞춰 형상이 변형되고,
    상기 로킹 수단의 형상 변형에 의해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이 제한되는 팔레트.
  7.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상기 앞면에 반대되는 뒷면이 거치되는 복수의 유니버설 핀;
    복수의 상기 유니버설 핀이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해 돌출된 상기 유니버설 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며,
    상기 유니버설 핀은 상기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을 로킹(locking)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버설 핀에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제2 핀이 마련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 핀의 외주면에 밀착되면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2 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도피되면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 제한을 해제하는 팔레트.
  8. 삭제
  9.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상기 앞면에 반대되는 뒷면이 거치되는 복수의 유니버설 핀;
    복수의 상기 유니버설 핀이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해 돌출된 상기 유니버설 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며,
    상기 유니버설 핀은 상기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을 로킹(locking)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버설 핀에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거치되는 제2 핀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가이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가이드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마련되며,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제1 핀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에는 상기 제2 핀이 관통하는 관통 홀이 마련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방향의 이동 자유도가 제한되면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2 핀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 핀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상기 제2 핀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제2 핀의 이동을 허용하는 팔레트.
  10.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상기 앞면에 반대되는 뒷면이 거치되는 복수의 유니버설 핀;
    복수의 상기 유니버설 핀이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해 돌출된 상기 유니버설 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며,
    상기 유니버설 핀은 상기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을 로킹(locking)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버설 핀에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막대 형상의 제2 핀이 마련되며,
    상기 잠금부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장공의 일측 내면에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잠금부가 움직일 때 상기 제2 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로킹 수단이 마련되는 팔레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일측 내면에는 상기 로킹 수단이 수용되는 홈 형상의 설치 홈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 홈에 설치된 상기 로킹 수단의 일부는 상기 일측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핀을 향해 돌출된 팔레트.
  12.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상기 앞면에 반대되는 뒷면이 거치되는 복수의 유니버설 핀;
    복수의 상기 유니버설 핀이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해 돌출된 상기 유니버설 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며,
    상기 유니버설 핀은 상기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을 로킹(locking)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버설 핀에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막대 형상의 제2 핀이 마련되며,
    상기 잠금부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딩 수단, 상기 슬라이딩 수단을 움직이는 액추에이터, 상기 슬라이딩 수단과 상기 액추에이터를 연결하는 링크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슬라이딩 수단에 연결된 상기 링크 수단의 일단과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된 상기 링크 수단의 타단은 상기 제2 방향 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링크 수단의 타단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기 슬라이딩 수단에 연결된 상기 링크 수단의 일단은 상기 링크 수단의 타단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링크 수단의 일단과 함께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제2 핀에 밀착되거나 상기 제2 핀으로부터 도피되는 팔레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지지부의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제1 슬라이딩 수단 및 제1 링크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는 제2 슬라이딩 수단 및 제2 링크 수단이 마련되는 팔레트.
  14.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상기 앞면에 반대되는 뒷면이 거치되는 복수의 유니버설 핀;
    복수의 상기 유니버설 핀이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해 돌출된 상기 유니버설 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며,
    상기 유니버설 핀은 상기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을 로킹(locking)하는 슬라이딩 수단, 공압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수단을 움직이는 액추에이터가 마련된 잠금부;
    상기 액추에이터의 공압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공압을 유발하는 외부 펌프에 공급 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에 의해 상기 외부 펌프로부터 제공된 기체가 상기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면, 상기 잠금부는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이 로킹되도록 상기 유니버설 핀에 밀착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잠금부의 밀착에 의해 상기 유니버설 핀의 이동이 제한되면, 상기 액추에이터로 공급되거나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조절부에 의해 상기 기체의 흐름이 차단되면,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조절부로부터 상기 공급 라인이 이탈되더라도 상기 유니버설 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팔레트.
  15.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의 앞면 또는 상기 앞면에 반대되는 뒷면이 거치되는 복수의 유니버설 핀;
    복수의 상기 유니버설 핀이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해 돌출된 상기 유니버설 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며,
    상기 유니버설 핀은 상기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부가 설치되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수단이 마련되고,
    각 지지부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팔레트.
KR1020170018808A 2017-02-10 2017-02-10 디스플레이용 팔레트 KR101906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808A KR101906988B1 (ko) 2017-02-10 2017-02-10 디스플레이용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808A KR101906988B1 (ko) 2017-02-10 2017-02-10 디스플레이용 팔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10A KR20180092710A (ko) 2018-08-20
KR101906988B1 true KR101906988B1 (ko) 2018-10-12

Family

ID=6344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808A KR101906988B1 (ko) 2017-02-10 2017-02-10 디스플레이용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9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6826A1 (ja) 2009-09-28 2011-03-31 シャープ株式会社 収納トレ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117B1 (ko) 2006-10-17 2008-03-17 최보경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의 지지수단을 갖는 팔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6826A1 (ja) 2009-09-28 2011-03-31 シャープ株式会社 収納ト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10A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5087B1 (en) Bracket and mounting device thereof
JP6842747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成形用金型
KR101685899B1 (ko) 인쇄스크린 프레임 고정장치
TW201330948A (zh) 板材之加工裝置、按壓模具以及模具設置體
US20070034770A1 (en) Electronic device and regulator thereof
KR101906988B1 (ko) 디스플레이용 팔레트
CN104172758B (zh) 固定装置、滑轨总成及其固定装置
US20070182294A1 (en) Drawer slide assembly
WO1995019246A1 (en) Presser assembly
KR200455202Y1 (ko) 디스플레이 월의 스크린 변형방지 및 간격유지를 위한 위치 고정장치
US20130104393A1 (en) Riveting machine
JP2002210689A (ja) 搬送装置
KR102381613B1 (ko) 조정 가능한 안내 장치를 가진 웨지 구동부
KR102091100B1 (ko) 프레스 장치
KR102011306B1 (ko) 보일러의 점화확인창 고정 장치
US20030001331A1 (en) Link type paper tray structure
US8104053B2 (en) Optical pickup guide mechanism with edge rail portion
US6918333B2 (en) Retainer device for a press punch
CN111496449A (zh) 焊接载具
CN113634459B (zh) 导向装置及涂布设备
KR101990052B1 (ko) 코킹장치 및 그 작동방법
CN213017531U (zh) 皮带调节装置及皮带传动机构
KR102570421B1 (ko) 평면 및 곡면에 적용되는 자동 정밀 압착성형 장치
EP3960548A1 (en) Bug screen for mounting to a grille of a vehicle
KR200376112Y1 (ko) 직선 승강구조의 세퀸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