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828B1 - 척추 보호기능 백팩 - Google Patents

척추 보호기능 백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828B1
KR101906828B1 KR1020170020835A KR20170020835A KR101906828B1 KR 101906828 B1 KR101906828 B1 KR 101906828B1 KR 1020170020835 A KR1020170020835 A KR 1020170020835A KR 20170020835 A KR20170020835 A KR 20170020835A KR 101906828 B1 KR101906828 B1 KR 10190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shoulder
back plate
back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565A (ko
Inventor
최윌리엄병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처360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처360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처360
Priority to KR1020170020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8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45F2003/122Back cushioning parts or details of backpacks, e.g. with ventilation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사용자의 등이 밀착되는 착용감을 통해 물품의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척추 보호기능 백팩이 소개된다.
척추 보호기능 백팩은 물품의 수납이 이루어지는 몸체와, 몸체의 뒷면을 이루는 등판과, 몸체의 상부 및 양측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 지지끈과 사용자의 어깨부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한 쌍의 제 1 지지끈의 상측을 서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지지끈을 포함하는 어깨끈과, 등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되, 사용자의 흉추부에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만곡부와 사용자의 요추부가 밀착되도록 제 1 만곡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볼록하게 형성하는 제 2 만곡부와 요추부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제 2 만곡부의 양측에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 3 만곡부를 제공하는 지지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척추 보호기능 백팩{BACKPACK WITH PROTECTING BACKBONE}
본 발명은 척추 보호기능 백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흉추 및 요추가 등판에 밀착되는 착용감을 제공하여, 백팩 내 물품의 하중을 사용자의 어깨 및 등에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척추 보호기능 백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팩(backpack)은 주로 여행이나 야유회 하이킹과 같은 활동을 할때 필요한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여 등에 메는 가방을 말한다.
그런데, 백팩을 매고 다닐 때, 사용자의 자세는 백팩에 수납된 물품의 하중으로 인해 전방으로 구부린 자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구부린 자세는 척추에 부담이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척추 질환 및 자세 변형 등과 같은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예컨대, 척추는 목뼈에 해당하는 경추(頸椎), 등뼈에 해당하는 흉추(胸椎), 허리뼈에 해당하는 요추(腰椎), 엉치뼈에 해당하는 천추(薦椎), 꼬리뼈에 해당하는 미추(尾椎)로 구성되는데, 정상적인 척추는 옆에서 바라보았을 때, 요추부(허리쪽)는 앞으로 볼록 나온 모양(전만곡(前彎曲))을 나타내고, 흉추부(가슴쪽)는 뒤로 휜 모양(후만곡(後彎曲))을 나타내는 바, 사용자의 구부린 자세는 흉추부의 후만곡을 증가시킬 수 있고 요추부를 후만곡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백팩에 대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백팩 내 물품의 하중을 사용자의 어깨 및 등에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하중으로 인한 척추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공개공보 10-2014-0069418(2014. 06. 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물품의 하중 분산시켜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척추 보호기능 백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은, 물품의 수납이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뒷면을 이루는 등판; 상기 몸체의 상부 및 양측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 지지끈과, 사용자의 어깨부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끈의 상측을 서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지지끈을 포함하는 어깨끈; 및 상기 등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되, 사용자의 흉추부에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만곡부와, 상기 사용자의 요추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제 1 만곡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볼록하게 형성하는 제 2 만곡부와, 상기 요추부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2 만곡부의 양측에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 3 만곡부를 제공하는 지지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폼은 상기 등판과의 부착을 위해 상기 지지폼의 후면에 마련되는 제 1 벨크로부와, 상기 지지폼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판에는 상기 제 1 벨크로부가 선택적으로 부착가능한 제 2 벨크로부와, 상기 제 1 고정부가 삽입되어 끼워되는 고정홈을 제공하는 제 2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만곡부는 상기 요추부의 상측에 밀착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통기홈을 하부에서 감싸는 상측 만곡부와, 상기 요추부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측 만곡부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상측 만곡부의 하부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하측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만곡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공기의 흐름을 제공하는 통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폼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통기성 시트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끈에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사용자의 등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경추부 또는 어깨부에 밀착되어 상기 경추부 또는 어깨부를 지지하는 쿠션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등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백팩에 대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백팩 내 물품의 하중을 분산시켜 하중으로 인한 척추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어깨의 움직임에 따라 어깨끈이 신축이 가능함으로써, 백팩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어깨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움직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추어, 백팩의 등판 상에서 지지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백팩을 사용자의 등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발을 디디거나 땔 때, 지지폼의 쿠션부재가 어깨로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백팩의 장시간 착용에도 백팩의 착용에 따른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을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에서 어깨끈을 제거한 상태의 지지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에서 어깨끈을 제거한 상태의 지지폼이 등판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을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을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에서 어깨끈을 제거한 상태의 지지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에서 어깨끈을 제거한 상태의 지지폼이 등판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은, 물품의 수납을 위한 몸체(100)와, 몸체(100)의 뒷면에 마련되는 등판(200)과, 어깨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몸체(100)에 연결되는 어깨끈(300)과,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도록 등판(2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폼(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00)는 다양한 종류의 물품에 대한 수납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물품의 수납을 위해 크고 작은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0)에는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단속장치, 예를 들어, 지퍼, 똑딱이, 벨크로 또는 조임끈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몸체(100)는 나일론, 캔버스 천, 기타 패브릭 소재 또는 가죽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몸체(100)는 사용목적 및 기능 등에 맞추어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0)는 중량이 가벼운 재질의 경량소재 또는 방수 기능이 우수한 방수소재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몸체(100)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판(200)이 마련될 수 있고, 몸체(100)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는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을 사용자의 어깨에 맬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3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등판(200)은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어깨끈(300)은 몸체(100)를 어깨에 멜 수 있도록 몸체(100)의 상부과 하부 양측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되는 끈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착용감 향상을 위해 "H"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어깨끈(300)은 몸체(100)의 상단 사이에 완충홀(321)을 제공하는 "H"자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을 착용할 때, 완충홀(321)이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어깨 및 목 사이에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의 편안함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깨끈(300)은 양단이 몸체(100)의 상부 및 하부 양측을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 지지끈(310)과, 한 쌍의 제 1 지지끈(310)의 상측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지지끈(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지지끈(320)은 어깨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위해 신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끈(320)은 스판덱스(spandex) 소재, 탄성사(彈性絲)가 포함된 밴드소재, 레이온 신축 소재 또는 신축성이 높은 메쉬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끈(320)은 사용자의 어깨 라인을 따라 "∩" 형태로 곡률지게 형성되므로,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의 착용시, 제 2 지지끈(320)은 전체적으로 어깨에 밀착되면서 어깨를 탄성 지지할 수 있고, 결국, 제 2 지지끈(320)은 척추 보호기능 백팩(10) 내 물품의 하중을 어깨 전체로 분산하면서 하중으로 인한 척추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지지폼(400)은 사용자의 등과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의 등판(200) 사이에 위치되어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에 대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폼(400)은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폼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의 착용시, 사용자의 흉추부 및 요추부에 밀착이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폼(400)은 사용자의 흉추부에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만곡부(410)와, 사용자의 요추부가 밀착되도록 제 1 만곡부(410)의 하부에 연결되어 볼록하게 형성하는 제 2 만곡부(420)와, 요추부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제 2 만곡부(420)의 양측에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 3 만곡부(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2 만곡부(420)는 요추부의 상측에 밀착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통기홈(421a)을 하부에서 감싸는 상측 만곡부(421)와, 요추부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측 만곡부(421)보다 낮은 높이로 상측 만곡부(421)의 하부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하측 만곡부(4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지지폼(400)이 부착된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을 사용자가 착용하면, 사용자의 흉추부는 제 1 만곡부(410)를 통해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에 밀착될 수 있고, 사용자의 요추부는 제 2 만곡부(420) 및 제 3 만곡부(430)를 통해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에 밀착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백팩의 장시간 착용에도 안정적인 착용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의 부담은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지지폼(400)의 제 2 만곡부(420)에는 공기의 흐름을 제공하는 통기홈(421a)이 형성될 수 있다. 통기홈(421a)은 제 2 만곡부(420)의 중앙에서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홈 형태로 제공되므로,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의 착용시, 사용자의 등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쿨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지지폼(400)의 전면은 다수개의 통공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통기성 시트(44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통기성 시트(440)는 지지폼(400)의 전면과 사용자의 등 사이에 위치되므로,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의 착용시, 사용자에게 쿨링감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폼(400)은 등판(200)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폼(400)의 후면에는 찍찍이 형태의 제 1 벨크로부(450)가 마련될 수 있고, 지지폼(400)의 상단에는 제 1 고정부(460)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등판(200)에는 제 1 벨크로부(450)가 선택적으로 부착가능한 제 2 벨크로부(250)와, 제 1 고정부(460)가 삽입되어 끼워되는 고정홈(261)을 제공하는 제 2 고정부(2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지지폼(400)은 필요에 따라 제 1 벨크로부(450)를 등판(200)의 제 2 벨크로부(250)에 부착한 상태에서, 제 1 고정부(460)를 등판(200)의 제 1 고정부(460)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지지폼(400)의 제 1 벨크로부(450)가 등판(200)의 제 2 벨크로부(250)에 부착될 때, 제 1 벨크로부(450)는 제 2 벨크로부(250)의 특정 위치에 부착이 가능하므로, 지지폼(400)은 등판(200)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개인별 신체 조건을 고려한 지지폼(400)의 위치 조정을 통해,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을 사용자의 등에 최대한 편안하고 안정적인 위치에서 착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폼(400)은 적어도 일부가 몸체(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다시 말해, 지지폼(400)의 하단이 몸체(100)의 하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폼(400)의 제 1 벨크로부(450)가 등판(200)의 제 2 벨크로부(250)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구조이지만, 지지폼(400)은 몸체(100)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폼(400)의 제 1 벨크로부(450)와 등판(200)의 제 2 벨크로부(250) 만을 통해서, 지지폼(400)이 등판(200)에 탈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지지폼(400)은 등판(200)에 벨크로(찍찍이)를 통해 착탈 가능한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다양한 부착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수단으로는 스냅 단추(똑딱이 단추), 지퍼, 후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척추 보호기능 백팩(10')에서, 제 2 지지끈(320)에는 쿠션부재(50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쿠션부재(5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예를 들어, 몸체(100), 등판(200), 어깨끈(300), 및 지지폼(400)은,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몸체(100), 등판(200), 어깨끈(300), 및 지지폼(400)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쿠션부재(500)는 사용자의 경추부 또는 어깨부에 밀착되어 상기 경추부 또는 어깨부를 지지함으로써, 몸체(100)에서 사용자의 등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사용자의 어깨 라인을 통해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쿠션부재(500)는 제 2 지지끈(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 예를 들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쿠션부재(500)는 비신축성 소재인데 반해, 쿠션부재(500)가 마련되는 제 2 지지끈(320)은 제 2 지지끈(320)은 신축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하여, 백팩에 대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백팩 내 물품의 하중을 분산시켜 하중으로 인한 척추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고, 어깨의 움직임에 따라 어깨끈이 신축이 가능함으로써, 백팩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어깨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움직일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추어, 백팩의 등판 상에서 지지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백팩을 사용자의 등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발을 디디거나 땔 때, 지지폼의 쿠션부재가 어깨로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백팩의 장시간 착용에도 백팩의 착용에 따른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몸체 200 :등판
300 :어깨끈 310 :제 1 지지끈
320 :제 2 지지끈 400 :지지폼
410 :제 1 만곡부 420 :제 2 만곡부
430 :제 3 만곡부 500 :쿠션재

Claims (6)

  1. 물품의 수납이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뒷면을 이루는 등판;
    상기 몸체의 상부 및 양측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 지지끈과, 사용자의 어깨부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끈의 상측을 서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며, 곡률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는 제 2 지지끈을 포함하는 어깨끈; 및
    상기 등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되, 사용자의 흉추부에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만곡부와, 상기 사용자의 요추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제 1 만곡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볼록하게 형성하는 제 2 만곡부와, 상기 요추부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2 만곡부의 양측에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 3 만곡부를 제공하는 십자 형태의 지지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폼은
    상기 등판과의 부착을 위해 상기 지지폼의 후면에 마련되는 제 1 벨크로부와, 상기 지지폼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판은
    중심부에 상기 제 1 벨크로부가 선택적으로 부착가능한 제 2 벨크로부가 마련되고, 상부에 상기 제 1 고정부가 삽입되어 끼워되는 고정홈을 제공하는 제 2 고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호기능 백팩.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만곡부는
    상기 요추부의 상측에 밀착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측 만곡부와,
    상기 요추부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측 만곡부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상측 만곡부의 하부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하측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호기능 백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만곡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공기의 흐름을 제공하는 통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호기능 백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폼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통기성 시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호기능 백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끈에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사용자의 등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경추부 또는 어깨부에 밀착되어 상기 경추부 또는 어깨부를 지지하는 쿠션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호기능 백팩.
KR1020170020835A 2017-02-16 2017-02-16 척추 보호기능 백팩 KR101906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35A KR101906828B1 (ko) 2017-02-16 2017-02-16 척추 보호기능 백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35A KR101906828B1 (ko) 2017-02-16 2017-02-16 척추 보호기능 백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565A KR20180094565A (ko) 2018-08-24
KR101906828B1 true KR101906828B1 (ko) 2018-10-12

Family

ID=6345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835A KR101906828B1 (ko) 2017-02-16 2017-02-16 척추 보호기능 백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8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5866B2 (ja) * 1993-12-28 2000-07-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流体噴射ノズル弁
JP2005342168A (ja) * 2004-06-02 2005-12-15 Camel:Kk リュックサック
JP2009160253A (ja) * 2008-01-08 2009-07-23 Daiyu Shoji:Kk 背当て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背負い式バ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5866B2 (ja) * 1993-12-28 2000-07-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流体噴射ノズル弁
JP2005342168A (ja) * 2004-06-02 2005-12-15 Camel:Kk リュックサック
JP2009160253A (ja) * 2008-01-08 2009-07-23 Daiyu Shoji:Kk 背当て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背負い式バ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565A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419B2 (en) Head and neck stabilizer for travel
CA2715549C (en) Backpack with side bolsters
US6634533B2 (en) Backpack hip belt with split pads and support bridge
WO2015119877A1 (en) Backpack frame insert
US20150028077A1 (en) Ergonomic Back Support Device
US20090283561A1 (en) Anti-slip apparatus
US10744023B2 (en) Postural support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KR101906828B1 (ko) 척추 보호기능 백팩
KR200476355Y1 (ko) 가방의 어깨끈에 부착되는 가방 하중 분산 부재
KR20150125180A (ko)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에 압박감을 분산시킬 수 있는 배낭용 패드
JPH08336421A (ja) リュックサック
KR101369675B1 (ko) 백팩용 가변적인 서스펜션 시스템
JP2006257615A (ja) 保護胴衣及びプロテクタ
JP6023997B2 (ja) 頚椎装具
KR200466701Y1 (ko) 통풍과 체온조절이 용이한 등받이가 부착된 가방
KR101502661B1 (ko) 백브리지배낭
KR101382586B1 (ko) 등판 길이 조절 가능한 배낭
KR101196808B1 (ko) 인체공학적 배낭
KR20160115160A (ko) 위치변경 가능한 가방
KR200491568Y1 (ko)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
US20230037973A1 (en) Backpack Accessory to Improve Ventilation and Comfort
KR102502281B1 (ko) 스트레칭 등받이
KR200411740Y1 (ko) 배낭
AU2011100902B4 (en) Backpack with side bolsters
KR200190847Y1 (ko) 동태 안정 등허리 보호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